KR20200029722A -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22A
KR20200029722A KR1020180108103A KR20180108103A KR20200029722A KR 20200029722 A KR20200029722 A KR 20200029722A KR 1020180108103 A KR1020180108103 A KR 1020180108103A KR 20180108103 A KR20180108103 A KR 20180108103A KR 20200029722 A KR20200029722 A KR 2020002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school bus
safety
central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택
문성혁
Original Assignee
한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택 filed Critical 한상택
Priority to KR102018010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722A/ko
Publication of KR2020002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어린이 통학버스에서 어린이의 승하차시 특히 미하차 어린이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통학버스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제 1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통학버스의 출발전에 제 1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1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되고 제 2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통학버스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제 2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2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수신한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출발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도착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Safety system for children getting on and off the school bus}
본 발명은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학버스에서 어린이의 승하차시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어린이들을 교육시설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코스로 이동하는 승합차 또는 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통학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학차량은 여러 가지 도로상황에 따라 애초 설정된 도착시각보다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수업시간에 맞춰 신속한 하차를 강조하다 보니 한꺼번에 하차하여 인원파악이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때로는 미처 하차하지 못한 상태에서 문을 잠금에 따라 홀로 남은 어린이가 발생하여 폭염 속에 방치되어 생명까지 위협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0557호(유치원, 어린이집 스마트 안심 알림 시스템)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6010호(스마트 승하차 확인앱 시스템)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689호(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어린이 통학버스에서 어린이의 승하차시 특히 미하차 어린이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은, 통학버스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제 1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전에 상기 제 1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1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상기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되고, 제 2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통학버스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2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수신한 상기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출발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상기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로 도착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일 수 있다.
상기 제 2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1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2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은, 통학버스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전에 운전자 단말로부터의 제 1 안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상기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통학버스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운전자 단말로부터의 제 2 안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수신한 상기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출발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상기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로 도착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학버스에서 미하차 어린이가 없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통학버스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승/하차 사고와 차량 내부에 홀로 남겨 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은 운전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 데이터베이스(40), 네트워크(50), 및 중앙 서버(60)를 포함한다.
운전자 단말(10)은 통학버스(10)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단말이다.
운전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운전자 단말(10)은 통학버스(30)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정보 입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중앙 서버(60)에게 요청하여 다운로드받는다.
즉, 운전자 단말(10)은 통학버스(30)가 출발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온시켜서 제 1 안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중앙 서버(60)에게로 알린다. 그에 따라, 운전자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는 안전카드(금융권의 보안카드와 유사함)의 특정 숫자 또는 중앙 서버(60)에서 제공한 OTP(One-Time Password) 숫자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이미 안전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내의 해당 숫자가 가리키는 숫자(예컨대, 4자리의 숫자)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입력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내의 1번의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이면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의 1번에 기록된 4자리의 숫자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입력하면 된다. 상술한 안전카드는 필요에 따라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소정의 OTP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OTP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정해진 시간내에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운전자 단말(10)은 통학버스(30)의 운전이 종료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온시켜서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중앙 서버(60)에게로 알린다. 그에 따라, 운전자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는 안전카드(금융권의 보안카드와 유사함)의 특정 숫자 또는 중앙 서버(60)에서 제공한 OTP(One-Time Password) 숫자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이미 안전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내의 해당 숫자가 가리키는 숫자(예컨대, 4자리의 숫자)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입력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내의 2번의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이면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의 2번에 기록된 4자리의 숫자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입력하면 된다. 상술한 안전카드는 필요에 따라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소정의 OTP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OTP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정해진 시간내에 입력하면 된다.
관리자 단말(20)는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원장님 및 선생님의 단말이다.
관리자 단말(2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20)은 제 1 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서버(6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제 2 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서버(6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60)는 정상의 제 1 안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당시의 로그(log) 데이터를 출발정보로 저장하고 출발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 만약,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린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20)은 제 1 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서버(6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앙 서버(60)는 정상의 제 2 안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당시의 로그(log) 데이터를 도착정보로 저장하고 도착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 만약,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린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20)은 제 2 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서버(6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착여유시간은 정해진 도착시간 및 도착시간의 전후로 약간의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을 의미한다.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는 통학버스(3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는 도 2에서와 같이 운전석 옆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는 도 2에서와 같이 통학버스(30)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는 숫자 등을 키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도시 생략)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의 입력버튼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입력버튼이 될 수 있고,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의 입력버튼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입력버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는 가급적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입력이 없도록 하기 위해 운전석 옆의 상부 및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상부에 설치됨이 가장 좋을 듯 하다.
특히,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의 설치 위치를 통학버스(30)의 맨 뒤의 좌석 부근으로 한 이유는, 통학버스(30)의 운전을 종료한 후에 운전자가 승차해 있던 어린이들이 모두 하차하였는지를 직접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운전자가 천천히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까지 가면서 남아 있는 어린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남아 있는 어린이가 없으면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 제 2 안전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하차시 통학버스(30)내에 남아 있는 어린이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미하차 어린이의 발생을 제거하는데 포인트를 두고 있으므로, 상술한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 중에서 제 2 안전정보는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이고, 제 1 안전정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도 무방하다. 만약, 제 1 안전정보의 입력은 필요없고 제 2 안전정보만 입력하는 것이라면 제 1 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서버(60)로부터의 메시지는 필요없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40)는 통학버스(30)별 운행스케줄 정보(출발시간 정보 및 도착시간 정보 포함)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는 통학버스(30)별로 입력되는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가 로그데이터화되어 저장된다.
네트워크(5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5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중앙 서버(60)는 각종의 통학버스(30)의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로부터의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를 수신한다.
중앙 서버(60)는 수신한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한다.
중앙 서버(60)는 정상의 제 1 안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로그(log) 데이터화하여 출발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함과 더불어 출발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중앙 서버(60)는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중앙 서버(60)는 정상의 제 2 안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로그(log) 데이터화하여 도착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함과 더불어 도착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중앙 서버(60)는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도착여유시간은 정해진 도착시간 및 도착시간의 전후로 약간의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을 의미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의 입력버튼을 직접 조작하여 안전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비접촉으로 입력되게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10)에서의 제 1 안전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에게로 입력되고, 운전자 단말(10)에서의 제 2 안전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게로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가 단말(10)내의 키버튼을 조작하여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제 1 안전정보 및 제 2 안전정보가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게로 입력될 것이다. 비접촉식일 경우에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 입력버튼이 있을 필요가 없다. 비촉식일 경우에는 운전자 단말(10)의 키입력버튼을 이용할 것이다. 비접촉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운전자 단말(10) 및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와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도시 생략)이 내장될 것이다.
물론, 운전자가 맨 뒤의 좌석으로까지 이동하여 남아 있는 어린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제 2 안전정보를 직접 키입력하는 것이 미하차 어린이 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나, 비접촉식의 경우 운전자 단말(10)과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범위를 상당히 좁게 제한한다면 접촉식과 비접촉식의 차이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범위를 넓게 하면 운전자가 맨 뒤의 좌석까지 가지 않고서도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 단말(10)과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 및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4)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범위를 상당히 좁게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통학버스(30)가 출발해야 할 때이면(S10에서 "Yes") 운전자는 통학버스(30)가 출발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온시켜서 제 1 안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중앙 서버(60)에게로 알린다.
그에 따라, 중앙 서버(60)는 소정의 제 1 안전정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즉,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를 네트워크(50)를 통해 해당 운전자의 단말(1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는 안전카드(금융권의 보안카드와 유사함)의 특정 숫자 또는 중앙 서버(60)에서 결정한 OTP(One-Time Password) 숫자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안전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내의 해당 숫자가 가리키는 숫자(예컨대, 4자리의 숫자)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입력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내의 1번의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이면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의 1번에 기록된 4자리의 숫자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입력하면 된다.
한편, 제 1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소정의 OTP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OTP를 제 1 안전정보로서 정해진 시간내에 입력하면 된다.
만약, 운전자가 통학버스(30)의 출발전에 제 1 안전정보를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32)에 입력하게 되면(S12에서 "Yes") 제 1 안전정보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중앙 서버(60)에게로 전송된다. 중앙 서버(60)는 입력받은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한 후에, 정상이면 입력받은 로그데이터를 출발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함과 더불어 관리자 단말(20)에게로 출발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S14). 그에 따라, 관리자는 통학버스(30)의 출발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S12에서 "No") 중앙 서버(60)는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린다(S16). 그에 따라, 관리자는 통학버스(30)의 출발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여 처리할 것이다.
이후, 통학버스(30)가 출발하여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더 이상의 운전을 하지 않는 종료상태가 되면(S18),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나와 통학버스(30)의 맨 뒤의 좌석으로까지 이동하면서 좌우를 살펴 남아 있는 어린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남아 있는 어린이가 없다면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온시켜서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중앙 서버(60)에게로 알린다.
그에 따라, 중앙 서버(60)는 소정의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즉,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를 네트워크(50)를 통해 해당 운전자의 단말(1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는 안전카드(금융권의 보안카드와 유사함)의 특정 숫자 또는 중앙 서버(60)에서 결정한 OTP(One-Time Password) 숫자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안전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내의 해당 숫자가 가리키는 숫자(예컨대, 4자리의 숫자)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입력한다. 다시 말해서,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안전카드내의 2번의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이면 운전자는 소지하고 있는 안전카드의 2번에 기록된 4자리의 숫자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입력하면 된다.
한편, 제 2 안전정보 입력 메시지가 소정의 OTP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운전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6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OTP를 제 2 안전정보로서 정해진 시간내에 입력하면 된다.
만약, 운전자가 제 2 안전정보를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32)에 입력하게 되면(S20에서 "Yes") 제 2 안전정보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중앙 서버(60)에게로 전송된다. 중앙 서버(60)는 입력받은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한 후에 정상이면 그 당시의 로그데이터를 도착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함과 더불어 관리자 단말(20)에게로 도착정보를 푸쉬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S22). 그에 따라, 관리자는 통학버스(30)내에 남아 있는 어린이가 없음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S20에서 "No") 중앙 서버(60)는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20)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린다(S24). 그에 따라, 관리자는 운전자 등에게 연락하여 어린이 하차에 따른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통학버스(30)를 출발시킬 때 제 1 안전정보를 입력하고 통학버스(30)의 운전이 종료된 이후에는 제 2 안전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통학버스(30)에서의 안전문제중에서 어린이들이 버스안에서 내리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확인하지 않고 차문을 받아 버림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안전정보는 입력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운전자 단말 20 : 관리자 단말
30 : 통학버스 32 :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34 :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40 : 데이터베이스
50 : 네트워크 60 : 중앙 서버

Claims (10)

  1. 통학버스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제 1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전에 상기 제 1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1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상기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되고, 제 2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통학버스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입력버튼을 통해 키입력된 제 2 안전정보를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수신한 상기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출발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상기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로 도착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1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2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6. 통학버스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전에 운전자 단말로부터의 제 1 안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1 안전정보 입력기기;
    상기 통학버스의 맨 뒤의 좌석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통학버스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운전자 단말로부터의 제 2 안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중앙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제 2 안전정보 입력기기; 및
    수신한 상기 제 1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관리자 단말에게로 출발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상기 제 2 안전정보의 정상여부를 파악하고 정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로 도착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전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안전카드의 특정 숫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서 입력요구한 OTP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출발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1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통학버스의 도착여유시간이 경과하였음에 불구하고 상기 제 2 안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푸쉬메시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에게로 현재의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KR1020180108103A 2018-09-11 2018-09-11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KR20200029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03A KR20200029722A (ko) 2018-09-11 2018-09-11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03A KR20200029722A (ko) 2018-09-11 2018-09-11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22A true KR20200029722A (ko) 2020-03-19

Family

ID=6995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03A KR20200029722A (ko) 2018-09-11 2018-09-11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07B1 (ko) * 2020-11-04 2022-03-22 주식회사 로드위드 사물 인터넷과 머신 러닝 비지도 학습을 이용한 통학 차량 잠든 아이 확인 시스템의 불법 개조 방지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4-04-24 박정윤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20150140557A (ko) 2015-03-25 2015-12-16 전대연 유치원, 어린이집 스마트 안심 알림 시스템
KR20160106010A (ko) 2016-08-19 2016-09-09 전대연 스마트 승하차 확인앱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4-04-24 박정윤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20150140557A (ko) 2015-03-25 2015-12-16 전대연 유치원, 어린이집 스마트 안심 알림 시스템
KR20160106010A (ko) 2016-08-19 2016-09-09 전대연 스마트 승하차 확인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07B1 (ko) * 2020-11-04 2022-03-22 주식회사 로드위드 사물 인터넷과 머신 러닝 비지도 학습을 이용한 통학 차량 잠든 아이 확인 시스템의 불법 개조 방지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045B2 (en) Presence-based network authentication
CN103200305B (zh) 在便携式设备上提供信息访问的系统和方法
Hanif et al. Smart parking reservation system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SMS)
US9414234B2 (en) Personnel access system with verification features utiliz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related methods
KR100880889B1 (ko) 고객 맞춤식 위치추적 서비스
US8707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aware access control management
US8151319B2 (en) Authentication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N105966352B (zh) 一种远程控制方法及装置
US20210266698A1 (en) Devices for Use in Tracking User Locations During Group Travel
US2021010738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t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1657944A1 (en) Presence updat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contact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therefor
US201300159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uthorization
US20140094143A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itons
CN103493527B (zh) 具有使用近场通信(nfc)的验证特征的个人进入系统及其方法
CN101352027A (zh) 用于紧急情况下的无线通信的方法和系统
JP2006352461A (ja) 遠隔操作装置、サービスセンタ
KR20200029722A (ko)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CN104640112A (zh) 一种身份鉴权方法、装置及系统
US20190266878A1 (en) Vehicle-mounted device, notification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CN100486194C (zh) 具有认证的无线个人域网和相关方法
US20220044505A1 (en) Access control for emergency responders
JP5321536B2 (ja) 遠隔制御装置、サービスセンタ
JPWO2017038027A1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方法
CN114724278A (zh) 用于认证自动驾驶出租车的用户的系统和方法
US20240119371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