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68Y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68Y1
KR200486768Y1 KR2020160006073U KR20160006073U KR200486768Y1 KR 200486768 Y1 KR200486768 Y1 KR 200486768Y1 KR 2020160006073 U KR2020160006073 U KR 2020160006073U KR 20160006073 U KR20160006073 U KR 20160006073U KR 200486768 Y1 KR200486768 Y1 KR 200486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dhesive sheet
adhesive
bu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635U (ko
Inventor
사토시 시모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얄
Publication of KR20180000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성·편리성이 우수하고, 마루나 카펫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장의 점착 시트를 적층한 점착 시트 다발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용 돌기와,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의 비점착면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점착 시 트다발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을 갖는 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걸어멈춤되는 점착 시트 다발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키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device}
본 고안은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루나 카펫 등에 부착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마루·카펫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청소 용구가 개발·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마루닦이용으로 사용하는 청소봉의 끝에 풀이 부착된 페이퍼 타올을 붙이고 청소봉의 끝에 고무판을 장착한 청소 용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레스토랑 등의 점포, 호텔이나 여관 등의 숙박시설에서는 손님 접대뿐만 아니라 청결함도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점포나 숙박시설 등의 점내는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점포나 숙박시설에서는 정해진 시간대에 청소를 행할 뿐이고, 청소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는 먼지나 쓰레기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는, 종래의 청소 용구가 대형으로 상시 휴대하기가 어려운 것, 대형 청소 용구를 사용하면 눈에 띄기 때문에 특히 레스토랑 등의 식사를 하는 점포에서는 식사 중에 이러한 대형 청소 용구를 사용하는 것을 싫어하는 손님이 많은 것 등이 이유라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실용신안 1995-044162호 공보
본 고안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성·편리성이 우수하고, 마루나 카펫 등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는, 복수장의 점착 시트를 적층한 점착 시트 다발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용 돌기와,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의 비점착면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을 갖는 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걸어멈춤되는 점착 시트 다발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키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부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하다. 또한, 컴팩트하기 때문에 항상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바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휴대성이 우수하고 바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마루나 카펫 등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점착 시트 다발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을 가지므로,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이 마루나 카펫에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의 상기 본체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부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너무 딱딱하지 않고 너무 부드럽지 않아 적당히 휘어지기 때문에, 본체부에 장착되는 점착 시트를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충분히 눌러붙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마루나 카펫 등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상기 커버는,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의 점착면과의 대향면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에 점착 시트가 붙어 있으면 점착 시트를 커버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그 작업이 손님이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바로 사용할 수 없어 스트레스가 된다. 또한, 커버에 붙은 점착 시트는 파기되기 때문에 점착 시트도 낭비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에 점착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점착 시트가 커버에 부착되는 일이 없고 커버를 열었을 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에 붙은 점착 시트는 파기되는 일도 없어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도 낭비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상기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과,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되는 돌출편을 가지며, 관통공에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돌출편을 걸어멈춤용 돌기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고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이 본체부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이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는, 판형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을 갖는 바인더를 구비하고, 그 바인더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이 본체부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이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의 상기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그 돌기부를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판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이 본체부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이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관통공에 수용되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봉과, 상기 커버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봉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고 간이한 구조로 힌지 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상기 점착 시트는,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과, 상기 점착면으로부터 깨끗하게 벗겨지는 박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면에는 상기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점착 시트의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에 상기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를 가지므로,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 다발로부터 용이하게 벗길 수 있어 편리성이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성·편리성이 우수하고, 마루나 카펫 등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표면 및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 표면 및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커버 표면 및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판 표면 및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신축봉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 및 점착 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고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고정 기구(패스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에 설치된 고정 기구(패스너)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패스너)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도 1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커버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커버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판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판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신축봉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신축봉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는 통상적으로 닫힌 상태로 사용자에게 휴대된다. 사용시에는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점착 시트를 노출시켜 쓰레기나 먼지 등을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 용구는 본체부(1), 커버(2), 힌지 기구(3), 고정판(4)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는 복수장의 점착 시트를 적층한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이다. 본체부(1)는 점착 시트 다발을 올려놓는 베이스부(11)와, 점착 시트 다발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2개의 걸어멈춤용 돌기(12)와, 베이스부(11)에 설치되고 점착 시트 다발의 비점착면(이면)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점착 시트 다발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13)을 가진다.
여기서, 청소 용구는 적어도 본체부(1)의 베이스부(11)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가요성(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들 합성수지는 너무 딱딱하지 않고 너무 부드럽지 않아 적당히 휘어진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에 장착되는 점착 시트를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충분히 눌러붙일 수 있어, 마루나 카펫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는 베이스부(11)에 세워지고, 상단부(121)의 적어도 일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는 본체부(1)에 장착되는 점착 시트 다발을 덮는 부재로서, 이면(2R) 측에 점착 시트 다발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의 점착면과의 대향면인 커버(2)의 이면(2R)에는, 점착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복수개의 볼록부(22)가 커버(2)의 이면(2R)에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의 이면(2R)에 실시되는 요철 가공은 도 5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널링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커버(2)는 힌지 기구(3)에 의해 본체부(1)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접도록 하여 커버(2)로 본체부(1)를 덮음으로써 본체부(1)에 장착된 점착 시트 다발이 수용된다. 또한, 커버(2)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커버(2)의 표면(2S) 측에 인쇄에 의해 의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폴리아미드는 유연성이 양호하고 UV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아미드보다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UV 인쇄가 어렵다(전체 칠함의 실크 인쇄는 가능)는 특성을 가진다. 또,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약간 유연성이 떨어지지만 UV 인쇄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기구(3)는 본체부(1)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14)이 형성된 제1 수용부(31)와, 제1 수용부(31)의 관통공(314)에 수용되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봉(32)과, 커버(2)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신축봉(32)의 양단부(322A, 322B)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331A, 331B)이 형성된 제2 수용부(33)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1)는 본체부(1)의 단부를 따라 마련된 통형상체로서, 중앙에 신축봉(32)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31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용부(31)에는 본체부(1)에 세워져 있는 걸어멈춤용 돌기(12)로 향하여 연신하는 제1 연장편(311)과 제2 연장편(312)이 제1 수용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1 연장편(311)에는, 제1 수용부(31)의 반대측 단부를 따라 고정판(4)의 장홈(43)과 끼워맞춤되는 돌기부(3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장편(312)은 제1 연장편(311)과 본체부(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봉(32)은 각각 신축이 자유로운 2개의 스프링형 부재(321A, 321B)와, 스프링형 부재(321A, 321B) 각각의 일단에 설치된 기둥형 부재(322A, 322B)로 구성된다. 스프링형 부재(321A, 321B)는 복수회 절곡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판형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한다.
또한, 기둥형 부재(322A, 322B)의 선단은 제2 수용부(33)에 삽입되기 쉽도록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R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둥형 부재(322A, 322B)는 각각 그 일부에 평면(323A, 323B)을 가지며, 이 평면(323A, 323B)에 의해 커버(2)를 열었을 때에 커버(2)의 위치가 고정되고 열린 커버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신축봉(32)이 2개의 스프링형 부재(321A, 321B)로 구성되어 있지만, 스프링형 부재(321A, 321B)를 하나로 하고 그 양단에 기둥형 부재(322A, 322B)를 마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33)는 커버(2)의 일단측에 마련된 2개의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제2 수용부(33)를 구성하는 각 수용부에는 신축봉(32)의 양단부(322A, 322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331A, 33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은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로서,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2개의 관통공(41)과, 걸어멈춤용 돌기(12)에 형성된 홈(122)에 끼워맞춤되는 돌출편(42)을 가진다. 장홈(43)은, 2개의 관통공(41)을 연결하도록 하여 고정판(4)의 판형의 한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4)의 관통공(41)에 걸어멈춤용 돌기(12)를 삽입 통과시켜 고정판(4)의 돌출편(42)을 걸어멈춤용 돌기(12)에 형성된 홈(122)에 끼워맞춤과 아울러, 고정판(4)의 장홈(43)을 힌지 기구(3)를 구성하는 제1 수용부(31)의 돌기부(32)에 끼워맞춤으로써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1)에 고정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시트 다발(5)은 복수장의 점착 시트(51)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점착 시트(51)는,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52)(표면)과, 점착면(52)으로부터 깨끗하게 벗겨지는 박리면(53)(이면)으로 이루어지고, 점착면(52)에는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54)를 가지고 있다. 각 점착 시트(51)에는, 걸어멈춤용 돌기(1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55)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는, 복수장의 점착 시트(51)를 적층한 점착 시트 다발(5)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용 돌기(12)와, 점착 시트 다발(5)의 비점착면인 박리면(54)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점착 시트 다발(5)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13)을 갖는 판형의 본체부(1)와, 본체부(1)에 걸어멈춤되는 점착 시트 다발(5)을 덮는 커버(2)와, 커버(2)를 본체부(1)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키는 힌지 기구(3)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부(1)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하다. 또한, 컴팩트하기 때문에 항상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바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휴대성이 우수하고 바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마루나 카펫 등에 부착된 먼지, 쓰레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점착 시트 다발(5)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13)을 가지므로,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5)이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1)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부(1)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너무 딱딱하지 않고 너무 부드럽지 않아 적당히 휘어지기 때문에, 본체부(1)에 장착되는 점착 시트(51)를 마루나 카펫 등에 충분히 눌러붙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마루나 카펫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커버(2)는, 점착 시트(51)의 점착면(52)과의 대향면에 점착 시트(52)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커버(2)에 점착 시트(51)가 붙어 있으면 점착 시트(51)를 커버(2)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그 작업이 손님이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바로 사용할 수 없어 불만이 쌓인다. 또한, 커버(2)에 붙은 점착 시트(51)는 파기되기 때문에 점착 시트(51)도 낭비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2)에 점착 시트(51)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점착 시트(51)가 커버(2)에 부착되는 일이 없고 커버(2)를 열었을 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2)에 붙은 점착 시트(51)는 파기되는 일도 없어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51)도 낭비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의 상단부(121)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41)과, 걸어멈춤용 돌기(12)에 형성된 홈(122)에 끼워맞춤되는 돌출편(42)을 가지며, 관통공(41)에 걸어멈춤용 돌기(12)를 삽입 통과시켜 돌출편(42)을 걸어멈춤용 돌기(12)에 형성된 홈(122)에 끼워맞춤으로써 본체부(1)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5)을 고정하는 고정판(4)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5)이 마루나 카펫, 의류 등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힌지 기구(3)는, 본체부(1)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14)이 형성된 제1 수용부(31)와, 제1 수용부(31)의 관통공(314)에 수용되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봉(32)과, 커버(2)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신축봉(32)의 양단부(321A, 321B)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331)이 형성된 제2 수용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고 간이한 구조로 힌지 기구(3)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접이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51)는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52)과, 점착면(52)으로부터 깨끗하게 벗겨지는 (비점착면인) 박리면(53)으로 이루어지고, 점착면(52)에는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54)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점착 시트(51)의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52)에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54)를 가지므로, 사용 후의 점착 시트(51)를 점착 시트 다발(5)로부터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어 편리성이 우수하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도 10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고정 기구(바인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바인더)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바인더)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에 대해 설명하는데, 도 1~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판(4)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하고 있지만, 도 10~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바인더(6)(고정 기구)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하고 있다. 바인더(6)의 판형 본체(61)와, 본체(61)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6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6)의 일단측(61A)은 이(齒)형상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 완료된 점착 시트(51)를 점착 시트 다발(5)로부터 뽑아내거나(도 11 참조) 사용 완료된 점착 시트(51)를 절취선(C)으로 잘라낼(도 12 참조) 때에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본체(6)의 일단측(61A)의 이(齒)형상 가공은 없어도 되고,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체(6)의 타단측(61B)은 되접어 꺾음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에는 코일 스프링(62)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후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6)의 타단측(61B)의 되접어 꺾음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6S)에 코일 스프링(62)의 일단(62A)을 끼워넣고, 코일 스프링(62)의 타단(62B)을 본체부(1)의 후크부(14)에 장착함으로써 바인더(6)(고정 기구)가 본체부(1)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변형예 1에 관한 청소 용구는, 판형 본체(61) 및 본체(61)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62)을 갖는 바인더(6)를 구비하고, 그 바인더(6)에 의해 본체부(1)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5)을 고정하고 있다.
본 고안의 변형예 1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5)이 마루나 카펫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도 13의 (a)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고정 기구(패스너)의 이면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b)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점착 시트 다발의 고정 기구(패스너)의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에 설치된 고정 기구(패스너)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고정 기구(패스너)에 의해 점착 시트 다발을 본체부에 고정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에 대해 설명하는데, 도 1~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도 15에 도시된 예에서는,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의 상단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2H)을 마련하고, 패스너(7)(판형 부재)에 설치된 2개의 돌기부(71)를 걸어멈춤용 돌기(12)의 구멍(12H)에 끼워넣음(삽입함)으로써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변형예 2에 관한 청소 용구의 본체부(1)의 걸어멈춤용 돌기(12)의 상단부(121)에는 축방향으로 구멍(12H)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용 돌기(12)의 상단부(121)에 형성된 구멍(12H)에 삽입되는 돌기부(71)를 가지며, 그 돌기부(71)를 걸어멈춤용 돌기(12)의 상단부(121)에 형성된 구멍(12H)에 삽입함으로써 본체부(1)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5)을 고정하는 판형 부재(7)(패스너)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변형예 2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점착 시트 다발(5)을 본체부(1)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다발(5)이 본체부(1)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먼지, 쓰레기를 제거할 때에 점착 시트 다발(5)이 마루나 카펫에 남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성·편리성이 우수하고 마루나 카펫이나 의복 등에 부착된 먼지·쓰레기나 털(애완동물의 체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1 본체부
11 베이스부
12 걸어멈춤용 돌기
12H 구멍
121 상단부
122 홈
13 판형 스프링
14 후크부
2 커버
2S 표면
2R 이면
21 오목부
22 볼록부
3 힌지 기구
31 제1 수용부
311 제1 연장편
312 제2 연장편
313 돌기부
314 관통공
32 신축봉
321A, 321B 스프링형 부재
322A, 322B 기둥형 부재
323A, 323B 평면
33 제2 수용부
331A, 331B 수용공
4 고정판
41 관통공
42 돌출편
43 장홈
5 점착 시트 다발
51 점착 시트
52 점착면(표면)
53 박리면(이면)
54 비점착면
55 관통공
6 바인더
6S 간극
61 본체
61A 일단측
61B 타단측
62 코일 스프링
62A 일단
62B 타단
7 패스너
71 돌기부

Claims (8)

  1. 복수장의 점착 시트를 적층한 점착 시트 다발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용 돌기와,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의 비점착면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을 밀어올리기 위한 판형 스프링을 갖는 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걸어멈춤되는 점착 시트 다발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키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점착 시트 다발의 점착면과의 대향면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과,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되는 돌출편을 가지며, 관통공에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돌출편을 걸어멈춤용 돌기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고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판형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을 갖는 바인더를 구비하고, 그 바인더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그 돌기부를 상기 걸어멈춤용 돌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놓이는 점착 시트 다발을 고정하는 판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관통공에 수용되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봉과,
    상기 커버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봉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점착 풀이 도포된 점착면과, 상기 점착면으로부터 깨끗하게 벗겨지는 박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면에는, 상기 점착 풀이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KR2020160006073U 2016-08-23 2016-10-20 청소 용구 KR2004867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4077U JP3207276U (ja) 2016-08-23 2016-08-23 清掃用具
JPJP-U-2016-004077 201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35U KR20180000635U (ko) 2018-03-06
KR200486768Y1 true KR200486768Y1 (ko) 2018-06-27

Family

ID=5721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73U KR200486768Y1 (ko) 2016-08-23 2016-10-20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07276U (ko)
KR (1) KR20048676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62B2 (ja) 1991-09-12 2000-09-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キャナ内蔵印刷装置
JP3087998B2 (ja) 1996-08-09 2000-09-18 鹿島建設株式会社 吸収式冷温水発生機の制御システム
JP2000342511A (ja) 1999-06-03 2000-12-12 Yoko Endo 携帯用洋服のほこり取り
JP3104300U (ja) 2004-03-30 2004-09-16 公子 羽切 携帯用ゴミ取り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162U (ja) 1993-03-31 1995-11-07 茂 井澤 床拭き掃除棒
US6576323B2 (en) * 1998-03-11 2003-06-10 Procter & Gamble Fabric cleaning article with texturing and/or a tackiness agent
JP3083362U (ja) * 2001-07-12 2002-01-25 通子 斉藤 携帯粘着ゴミ取り具
JP3087998U (ja) * 2002-02-15 2002-08-23 株式会社旭東 ほこり取り具及び粘着シート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62B2 (ja) 1991-09-12 2000-09-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キャナ内蔵印刷装置
JP3087998B2 (ja) 1996-08-09 2000-09-18 鹿島建設株式会社 吸収式冷温水発生機の制御システム
JP2000342511A (ja) 1999-06-03 2000-12-12 Yoko Endo 携帯用洋服のほこり取り
JP3104300U (ja) 2004-03-30 2004-09-16 公子 羽切 携帯用ゴミ取り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35U (ko) 2018-03-06
JP3207276U (ja)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82875B2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JP4292105B2 (ja) 食品用皮むき器
CZ20031123A3 (cs) Lehce ovladatelný mop
JP2001087194A (ja) 表面処理具
TW200538079A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200486768Y1 (ko) 청소 용구
US20090260167A1 (en) Pick-up device
JP6765168B2 (ja) 清掃用具
JP2010268973A (ja) ハンディモップ
JP5442086B1 (ja) 貼付剤貼付用補助器具
KR20120004064U (ko) 스카치테이프 케이스
US8745808B2 (en) Applicator with individually flexible pad support fingers
KR20190091418A (ko) 청소 도구
JP2009227284A (ja) 名刺取出し用ケース
KR100643223B1 (ko) 평판키퍼
JP3235487U (ja) 清掃具
JPH10243904A (ja) モップ
TWI540027B (zh) 紙製夾具及拾物裝置
US7887112B1 (en) Food clip utensil
JP3161131U (ja) 歯ブラシ用ホルダー
JPH09140651A (ja) 掃除具
JP2005143616A (ja) 掃除具
US20210137344A1 (en) Dust pan with removable adhesive sheet
US20110232017A1 (en) Cleaning device
JPS6036214Y2 (ja) 柄付タワ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