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87Y1 -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87Y1
KR200486587Y1 KR2020160006419U KR20160006419U KR200486587Y1 KR 200486587 Y1 KR200486587 Y1 KR 200486587Y1 KR 2020160006419 U KR2020160006419 U KR 2020160006419U KR 20160006419 U KR20160006419 U KR 20160006419U KR 200486587 Y1 KR200486587 Y1 KR 200486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vacuum circuit
girder
slider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11U (ko
Inventor
김성태
양홍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8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Abstract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접속할 때의 위치인 운전위치와, 크래들로부터 분리될 때의 위치인 시험위치 사이에서 진공 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는 조작핸들에 의해 진공 차단기를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으로, 거더와, 대차부와, 슬라이더, 및 스토퍼를 포함한다. 거더는 조작핸들과 연결되며, 크래들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대차부는 진공 차단기가 안착되며, 조작핸들에 의해 거더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는 거더의 전방에 배치되며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대차부가 이동함에 따라 대차부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레일부를 구비한다. 스토퍼는 거더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거더의 일면에 장착되고, 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안내한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 FOR VACC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접속할 때의 위치인 운전위치와, 크래들로부터 분리될 때의 위치인 시험위치 사이에서 진공 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 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진공 차단기는 고정형 진공 차단기와 인출형 진공 차단기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형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만으로 구성되어 배전반 판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인출형 진공 차단기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Cradle)이라는 외함이 구비되어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형 진공 차단기는 유지 보수를 위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를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고 유지 보수의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크래들로부터 진공 차단기를 분리하여 유지 보수가 가능한 인출형 진공 차단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가 크래들의 시험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가 크래들의 운전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조작핸들이 비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1)는 배전반(2) 내에 설치된 크래들(20)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10)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거더(girder, 11)와, 대차부(12)를 포함한다.
대차부(12)는 크래들(20)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거더(1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대차부(12)와 거더(11) 사이에는, 대차부(12)와 거더(11)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송 스크류(13)의 양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차단기(10)는 조작핸들(30)을 이용하여 대차부(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핸들(30)을 거더(11)에 대고 밀면 조작핸들(30)이 이송 스크류(13)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30)을 이용하여 이송 스크류(1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대차부(12)가 거더(11)로부터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대차부(12)에 안착된 진공 차단기(10)는 크래들(2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진공 차단기(10)는 대차부(12)를 따라서 크래들(20)에 접속할 때의 위치인 운전위치와, 크래들(20)로부터 분리될 때의 위치인 시험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시험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의 모선접속부 및 부하접속부가 크래들(20)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와 접속되지 아니하고 투입 및 차단 동작을 시험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운전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의 모선접속부 및 부하접속부가 크래들(20)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통전이 가능한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진공 차단기(10)가 운전위치 또는 테스트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투입되면, 진공 차단기(10)에는 고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10)가 투입된 상태에서 진공 차단기(10)의 인/입출을 시도하게 되면, 불완전 접촉에 의한 아크를 유발하여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차부(12)의 상부에는 진공 차단기(10)의 투입(ON) 및 차단(OFF)과 연동하여 이송장치의 이동을 구속 및 해제하는 인터록 어셈블리(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록 어셈블리(40)는 하강시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승시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어셈블리(40)는 진공 차단기(10)의 투입(ON)시 하향 회동하는 샤프트 레버(13)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록 어셈블리(40)의 일단부가 샤프트 레버(13)와 접촉되어 상승하는 것이 저지되며, 진공 차단기(10)는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가 차단(OFF)된 경우, 샤프트 레버(13)는 상향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인터록 어셈블리(40)는 샤프트 레버(13)와 접촉되지 않아 상승할 수 있게 되며, 진공 차단기(10)는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인터록 어셈블리(40)는 일반적으로 진공 차단기(10)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어, 진공 차단기(10)의 왼쪽 부분만 인터록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30)을 인터록 어셈블리(40)에 삽입시킬 때 과도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조작핸들(30)과 연결된 인터록 어셈블리(40)의 부품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면, 인터록 어셈블리(40)의 부품이 변형될 우려가 있고, 심지어는 인터록이 해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125812 (2010.12.01 공개)
본 고안의 과제는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진공 차단기의 투입시 인터록 어셈블리의 인터록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는 조작핸들에 의해 진공 차단기를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크래들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거더; 상기 진공 차단기가 안착되며,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상기 거더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대차부; 상기 거더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조작핸들의 일단에 걸리며 눌림 이동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대차부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거더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더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프레임이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눌림 이동시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과도한 하중이 작용시 상기 프레임의 기울어짐 변형을 차단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거더의 전방에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가 설치됨에 따라, 조작핸들에 과도한 하중을 주어 슬라이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에 의해 인터록 어셈블리의 인터록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진공 차단기의 투입시 인터록이 해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가 크래들의 시험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가 크래들의 운전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조작핸들이 비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 있어서, 인터록 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100)는 조작핸들(30)에 의해 진공 차단기(10)를 크래들(2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으로, 거더(110)와, 대차부(120)와, 슬라이더(130), 및 스토퍼(140)를 포함한다.
거더(110)는 조작핸들(30)과 연결되며, 크래들(2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거더(110)는 크래들(20)의 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더(110)의 양측에는 고정 핀(111)이 형성되고, 크래들(20)의 입구측 내면에는 고정 핀(111)이 삽입되는 삽입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더(110)의 고정 핀(111)이 크래들(20)의 삽입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거더(110)는 크래들(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더(110)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더(1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112)이 설치될 수 있다.
대차부(120)는 상부에 진공 차단기(10)가 안착되며, 조작핸들(30)에 의해 거더(11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차부(120)는 거더(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대차부(1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대차부(120)에 안착된 진공 차단기(10) 또한 크래들(2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되어, 진공 차단기(10)는 시험위치와 운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시험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의 모선접속부 및 부하접속부가 크래들(20)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와 접속되지 아니하고 투입 및 차단 동작을 시험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운전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의 모선접속부 및 부하접속부가 크래들(20)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통전이 가능한 위치를 의미한다.
대차부(120)는 바닥판(121)과, 바닥판(121)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후술되는 레일부(132)가 삽입되는 도어(122a)가 형성된 벽면(122)과, 벽면(122)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설치된 구동바퀴(123)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대차부(120)와 거더(110)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스크류(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이송 스크류(13)의 전방에 조작핸들(30)이 장착되어 있어, 조작핸들(30)을 좌우로 회동시키게 되면 이송 스크류(13)에 의해 대차부(120)가 거더(1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130)는 프레임(131)과, 레일부(132)를 구비한다.
프레임(131)은 거더(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조작핸들(30)이 삽입되는 삽입 홀(131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31)은 거더(110)의 전방측 벽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132)는 프레임(131)의 일측에 연결되고, 대차부(120)가 이동함에 따라 대차부(12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된다. 여기서, 레일부(132)는 도어(1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차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1)이 크래들(20)에 고정된 거더(11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조작핸들(30)에 의해 대차부(120)가 거더(1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프레임(131)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31)과 연결된 레일부(132) 또한 이동하지 않게 되고, 레일부(132)의 하부에 배치된 대차부(1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레일부(132)는 대차부(12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한편, 레일부(132)의 상부에는 진공 차단기(10)를 시험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시험위치 결정 홈(132a)과, 진공 차단기(10)를 운전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운전위치 결정 홈(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험위치 결정 홈(132a)과, 운전위치 결정 홈(132b)은 레일부(132)의 양 측벽부를 상측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하향 절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거더(1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거더(110)의 일면에 장착되고, 슬라이더(130)와 접촉하여 슬라이더(130)의 정지위치를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40)는 거더(110)와 슬라이더(130) 사이에서, 삽입 홀(131a)의 우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스토퍼(140)에 의해 슬라이더(130)의 정지위치가 정해짐에 따라, 조작핸들(30)에 과도한 하중을 주어 슬라이더(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 인터록 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100)는 레일부(132)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레일부(132)가 이동함에 따라 시험위치 결정 홈(132a)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13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인터록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록 어셈블리(150)는 진공 차단기(10)의 투입시 대차부(120)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으로, 인터록 핀(151)과, 인터록 봉(152)과, 인터록 플레이트(153)를 포함한다.
인터록 핀(151)은 레일부(132)의 상부에 접촉되며, 레일부(132)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인터록 봉(152)은 인터록 핀(15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인터록 플레이트(153)는 인터록 봉(15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터록 핀(151)이 시험위치 결정 홈(132a)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132b)에 삽입시 진공 차단기(10) 일부와 접촉되어 대차부(120)의 이동을 구속한다.
즉,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더(130) 상부에 배치된 인터록 핀(151)이 시험위치 결정 홈(132a)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132b)에 삽입되고, 인터록 플레이트(153)가 진공 차단기(10)의 일부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대차부(120)는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대차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진공 차단기(10)가 투입되면, 진공 차단기(10)를 더 이상 이동시킬 수 없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터록 플레이트(153)는 도 4에 도시된 진공 차단기(10)의 샤프트 레버(13)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 레버(13)는 진공 차단기(10)의 진공 인터럽터(미도시)를 개폐하는 구동 샤프트(14)의 회전위치와 연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샤프트 레버(13)의 구동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인터록 어셈블리(150)는 가이드 부재(160)에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0)는 레일부(132)의 상측 일부를 덮는 덮개부(161)와, 덮개부(161)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을 구비한 지지부재(162)와, 지지부재(162)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차부(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록 어셈블리(150)는 가이드 부재(160)의 장홀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차부(120)의 이동시 인터록 핀(151)은 지지부재(162)의 장홀 내에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터록 어셈블리(150)는 삽입 홀(131a)을 중심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핸들(30)을 슬라이더(130)에 삽입시킬 때 과도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슬라이더(130)의 프레임(131)이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면, 인터록 어셈블리(150)가 시험위치 결정 홈(132a)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132b)으로부터 이탈하여 인터록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삽입 홀(131a)을 중심으로 우측에 스토퍼(140)를 장착하게 되면, 슬라이더(130)가 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므로 인터록을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30)는 스토퍼(140)와 마주보는 면에 스토퍼(1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40)는 도 조작핸들(30)에 과도한 하중을 주어 슬라이더(130)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이동할 경우에만 삽입 홈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조작핸들(30)에 의해 슬라이더(130)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때에는 슬라이더(130)와 스토퍼(140)는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30)에 과도한 하중을 주어 슬라이더(130)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이동할 경우에는 슬라이더(130)의 삽입 홈부(미도시)에 스토퍼(140)가 삽입되므로, 슬라이더(130)와 스토퍼(140)는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100)는 거더(110)의 전방에 슬라이더(130)의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140)가 설치됨에 따라, 조작핸들(30)에 과도한 하중을 주어 슬라이더(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140)에 의해 인터록 어셈블리(150)의 인터록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진공 차단기(10)의 투입시 인터록이 해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거더
120.. 대차부
130.. 슬라이더
140.. 스토퍼
150.. 인터록 어셈블리
160.. 가이드 부재

Claims (8)

  1. 조작핸들에 의해 진공 차단기를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크래들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거더;
    상기 진공 차단기가 안착되며,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상기 거더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대차부;
    상기 거더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조작핸들의 일단에 걸리며 눌림 이동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대차부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거더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더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프레임이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눌림 이동시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과도한 하중이 작용시 상기 프레임의 기울어짐 변형을 차단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는 상기 진공 차단기를 시험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시험위치 결정 홈과, 상기 진공 차단기를 운전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운전위치 결정 홈이 형성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시험위치 결정 홈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인터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상측 일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을 구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차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장홀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접촉되며, 상기 레일부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인터록 핀과,
    상기 인터록 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인터록 봉과,
    상기 인터록 봉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터록 핀이 시험위치 결정 홈 또는 운전위치 결정 홈에 삽입시 상기 진공 차단기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인터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는 도어가 형성된 벽면과, 상기 벽면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설치된 구동바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이 설치된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8. 삭제
KR2020160006419U 2016-11-03 2016-11-03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KR200486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19U KR200486587Y1 (ko) 2016-11-03 2016-11-03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19U KR200486587Y1 (ko) 2016-11-03 2016-11-03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1U KR20180001411U (ko) 2018-05-11
KR200486587Y1 true KR200486587Y1 (ko) 2018-06-07

Family

ID=6216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19U KR200486587Y1 (ko) 2016-11-03 2016-11-03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842B1 (ko) * 2020-07-16 2022-07-06 네오피스 주식회사 고전압 차단기 인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99A (ja) * 2003-01-22 2004-08-12 Terasaki Electric Co Ltd 引出型回路遮断器
KR101261968B1 (ko) * 2011-12-30 2013-05-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63A (ko) * 2006-05-30 2007-11-28 김용학 수납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101158604B1 (ko) 2009-05-21 2012-06-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99A (ja) * 2003-01-22 2004-08-12 Terasaki Electric Co Ltd 引出型回路遮断器
KR101261968B1 (ko) * 2011-12-30 2013-05-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1U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051B2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EP2228812B1 (en) Withdrawable device of main circuit for vacuum circuit breaker
EP2228878B1 (en) Circuit breake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of circuit breaker
KR101078955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261968B1 (ko)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CN103889875A (zh) 电梯
KR200486587Y1 (ko)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KR101733705B1 (ko) 진공 차단기 인입출 안전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KR200441146Y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1702587B1 (ko)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JP2004173432A (ja) 引出形遮断器とその引き出し方法
KR20160063560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0934822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401663Y1 (ko) 진공차단기의 록킹장치
KR101701816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JP2008125151A (ja) 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CN214477047U (zh) 固体绝缘开关用操作装置及固体绝缘开关
EP3576235B1 (en) Function unit interlock mechanism
JP5594837B2 (ja) 引出し型切替開閉器
KR20170003175U (ko) 진공 차단기
JP4586638B2 (ja) 移動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110090124A (ko) 진공차단기 인출입 중 접지개폐기의 구동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