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968B1 -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968B1
KR101261968B1 KR1020110147811A KR20110147811A KR101261968B1 KR 101261968 B1 KR101261968 B1 KR 101261968B1 KR 1020110147811 A KR1020110147811 A KR 1020110147811A KR 20110147811 A KR20110147811 A KR 20110147811A KR 101261968 B1 KR101261968 B1 KR 101261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bar
lever
circuit break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김근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68B1/ko
Priority to CN201210159162.0A priority patent/CN10318720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8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vertic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인터럽터와 상기 진공인터럽터를 개폐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차단기본체와, 상기 차단기본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차단기본체와 상기 이송장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샤트트의 회전위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는 인터록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인터록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에 구비되는 인터록레버와, 상기 인터록레버의 일 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와, 상기 인터록레버와 상기 인터록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바의 승강을 제한하는 래치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동작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APPARATUS}
본 발명은,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동작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위 브이아이라고 하는 진공차단부 또는 진공인터럽터(VACCUM INTERRUPTER)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 보호용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크래들에 대해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입출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중 상기 인입출형 진공차단기는 시험과 유지 보수에 편리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인입출형 진공차단기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 과전류계전기로 대표되는 제어장치 및 단자를 포함하는 차단기 본체와, 외부의 전원 및 부하 측과 접속가능하며 차단기 본체의 인입, 시험 또는 인출 위치에 따라 차단기 본체의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가능한 단자를 구비한 크래들(cradl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차단기 중 차단기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진공인터럽터의 투입상태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는, 도시 않은 크래들과, 복수의 진공인터럽터(20)를 구비하여 상기 크래들에 대해 접속 및 분리되게 이동하는 차단기본체(10)와, 상기 차단기본체(1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인,입출장치 또는 이송장치(30)(이하, '이송장치(30)'로 표기함)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에는 모선 및 부하와 연결되는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0)는, 상별 진공인터럽터(20)와, 상기 진공인터럽터(20)를 개폐(투입(close) 또는 차단(open))하는 개폐기구(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25)는 주지된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27)와, 복수의 링크(미도시), 스프링(미도시), 캠(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20)는, 진공용기(21)와, 상기 진공용기(21)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촉자(22)와, 상기 고정접촉자(22)에 접속 및 분리될 수 있게 상기 진공용기(21)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2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20)의 가동접촉자(23)들은 개폐기구(25)에 의해 동시에 해당 고정접촉자(22)에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25)는 투입위치 및 차단위치 간을 회전 가능한 구동샤프트(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22) 및 가동접촉자(2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크래들의 모선단자와 접속되는 모선접속부(28)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크래들의 부하단자와 접속되는 부하접속부(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차단기본체(10)를 상기 크래들에 접속되는 접속위치 또는 운전위치와, 상기 차단기본체(10)가 크래들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또는 시험위치간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30)는, 프레임(31)과, 상기 차단기본체(10)의 인입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이송스크류(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손잡이(33) 및 복수의 휠(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31)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41)의 일 단부(예를 들면 전방 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41)를 회전구동시키는 핸들(미도시)이 결합되는 핸들결합부(3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본체(10)와 상기 이송장치(30) 사이에는 상기 차단기본체(10)의 투입 및 차단과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30)를 구속 및 해제하는 인터록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장치(50)는, 상기 구동샤프트(27)에 마련되는 인터록레버(51)와, 상기 인터록레버(51)의 일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55)는 하강시 상기 차단기본체(10)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승시 상기 차단기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55)의 상단에는 상기 인터록레버(51)측으로 상향 연장 절곡된 플레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57)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인터록레버(51)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록레버(51)는 상기 구동샤프트(27)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7)의 투입위치(CLOSE) 회전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하여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5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록바(55)의 상승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51)는 상기 구동샤프트(27)의 차단위치(OPEN) 회전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57)로부터 이격되게 상향 회전됨으로써 상기 인터록바(55)가 상기 인터록레버(51)와 접촉되지 아니하고 상승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차단기에 있어서는, 인터록장치(50)의 인터록레버(51)가 인터록바(55)의 일 측에서 상기 인터록바(55)의 상승을 억제하는 억제위치(투입위치)와 상승을 허용하는 허용위치간(차단위치)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인터록레버(51)가 인터록바(55)의 일부(플레이트(57))와 접촉될 경우 인터록레버(51) 및/또는 인터록바(55)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인터록레버(51)의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게 되는 등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동작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진공인터럽터와, 상기 진공인터럽터를 개폐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차단기본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차단기본체와 상기 이송장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샤트트의 회전위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는 인터록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인터록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에 구비되는 인터록레버; 상기 인터록레버의 일 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 및 상기 인터록레버와 상기 인터록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바의 승강을 제한하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돌출되는 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에는 상기 핀의 일 부가 수용되는 핀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수용부는 상기 핀의 상대 이동 궤적에 대응되게 긴 길이를 가지는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긴 반경을 가지는 장축부와 상기 장축부에 비해 짧은 반경을 가지는 단축부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축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장축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본체의 투입위치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장축부가 상기 인터록바의 상측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는, 상기 인터록레버측으로 연장된 인터록플레이트와, 승강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인터록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인터록바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프레임, 상기 차단기본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 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인터록바의 하강시 상기 인터록바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억제되는 걸림턱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록레버와 인터록바 사이에 래치부재를 개재하여 래치부재에 의해 인터록바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록레버에 의한 부품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터록레버와 래치부재의 충격적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레버, 인터록바 및 래치부재 간의 충격적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충격적 접촉에 기인한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동작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차단기 중 차단기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진공인터럽터의 투입상태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2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차단기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5의 이송스크류 및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인터록바의 상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인터록레버가 구동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이송스크류의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회전억제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이송스크류의 핸들의 사시도,
도 13은 도 6의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14는 도 4의 래치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도 6의 인터록바의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6의 인터록바가이드의 사시도,
도 17은 도 4의 인터록레버의 차단위치의 측면도,
도 18은 도 4의 인터록레버의 투입위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는, 진공인터럽터(120)와, 상기 진공인터럽터(120)를 개폐하는 구동샤프트(126)를 구비한 차단기본체(110); 상기 차단기본체(11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30); 및 상기 차단기본체(110)와 상기 이송장치(13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회전위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130)를 잠금 및 해제하는 인터록장치(180)를 구비하되, 상기 인터록장치(180)는, 상기 구동샤프트(126)에 구비되는 인터록레버(181);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일 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191); 및 상기 인터록레버(181)와 상기 인터록바(19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회전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바(191)의 승강을 제한하는 래치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본체(110)는 전원의 각 상(예를 들면 3상)에 대응되게 복수의 진공인터럽터(120)(vacuum interrupte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3상 전원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3개의 진공인터럽터(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120)는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120)는, 진공용기(121)와, 상기 진공용기(121)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촉자(22) 및 상기 고정접촉자(22)와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상기 진공용기(121)에 상대 운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모선 및 부하에 연결되는 크래들(미도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은 모선 및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모선단자(미도시) 및 부하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후방영역에 크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상기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접속부(128) 및 부하접속부(129)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선접속부(128) 및 부하접속부(129)는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후방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선접속부(128) 및 부하접속부(129)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고정접촉자(122) 및 가동접촉자(123) 중 어느 하나는 모선접속부(128)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접속부(12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120)를 투입 또는 차단(트립)하는 개폐기구(1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25)는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120)의 각 가동접촉자(123)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구동샤프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126)는 상기 각 진공인터럽터(120)의 이격방향(예를 들면 도면상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하측에는 상기 차단기본체(11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30)는 상기 차단기본체(110)를 시험위치(분리위치)와 운전위치(접속위치) 간을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험위치는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모선접속부(128) 및 부하접속부(129)가 상기 크래들의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와 접속되지 아니하고 투입 및 차단 동작을 시험하는 위치이고, 상기 운전위치는 상기 모선접속부(128) 및 부하접속부(129)가 상기 모선단자 및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통전이 가능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30)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에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이송스크류(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1)에는 손잡이(133) 및 휠(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3)는 상기 프레임(131)의 전면부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135)은 상기 프레임(131)의 양 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131)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1)은 크래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1)은 통상 상기 크래들의 전방영역에 좌우 양 단부가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1)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41)를 회전시키는 핸들(160)이 삽입 결합되는 핸들삽입부(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봉형상의 바디(143)와, 상기 바디(143)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45)에는 암나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차단기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41)가 회전하면 상기 암나사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가 구비된 차단기본체(110)가 암나사부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바디(143)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41)가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146)는 예를 들면 육각단면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전방 단부에는 핸들(160)이 결합될 수 있게 핸들결합부(14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부(148)는 예를 들면, 사각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전방 단부영역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억제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41)가 불시에 회전되어 상기 차단기본체(1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억제부(146)가 삽입될 수 있게 회전억제부삽입공(157)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억제부(146)가 상기 회전억제부삽입공(157)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삽입공(157)은 육각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핸들결합부(14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53)은 상기 핸들결합부(148)의 삽입 시 상기 핸들결합부(148)의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핸들결합부(148)에 비해 확장된 크기(직경)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전면판(151) 및 후면판(15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155)에는 상기 회전억제부삽입공(1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51)에는 상기 관통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51)의 일 측에는 절곡부(156)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156)에는 후술할 슬라이더(170)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공(15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최초 결합시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억제부(146)가 상기 회전억제부삽입공(157)에 삽입되는 초기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41)는 상기 초기위치시 상기 회전억제부(146)이 회전억제부삽입공(157)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상기 초기위치(구속위치)로부터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후방영역으로 소정 거리 상대 이동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상기 핸들(16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회전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일 측(예를 들면 후방영역)에는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을 초기위치(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6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60)의 일 측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41)와 결합될 수 있게 이송스크류결합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전,후 이동시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는 슬라이더(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벽부(172) 및 저면부(173)를 구비한 대략 'U'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는 일 측벽부(17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된 연장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4)는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4)는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절곡부(15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4)에는 관통공(177)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전, 후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170)가 연동하여 전, 후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더(170)의 정지시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구속되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의 일 측에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인터록장치(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장치(180)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록장치(180)는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투입위치시 상기 슬라이더(170)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구속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141)가 구속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장치(180)는, 상기 구동샤프트(126)에 구비되는 인터록레버(181)와,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일 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191)와, 상기 인터록레버(181)와 상기 인터록바(19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회전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바(191)의 승강을 제한하는 래치부재(2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18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181)는 상기 구동샤프트(126)에 구비되어 각 진공인터럽터(120)의 가동접촉자(123)를 구동시키는 구동아암(127)들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181)는 예를 들면, 상기 구동샤프트(126)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레버(181)에는 슬롯(18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183)은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반경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183)은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단부로부터 상기 구동샤프트(126)를 향해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는 상기 차단기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록바(191)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봉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는 상기 슬라이더(170)의 두 측벽부(172)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단에는 상기 인터록레버(181)측으로 연장되게 절곡된 인터록플레이트(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인터록핀(197)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95)는, 예를 들면,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단에 접촉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196a), 상기 고정부(196a)의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연결부(196b), 및 상기 연결부(196b)에서 상기 인터록레버(181)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부(196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에는 상기 인터록바(19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인터록핀(19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인터록핀(197)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19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핀(197)과 접촉되는 걸림턱(17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록바(191)의 하강시 상기 슬라이더(170)의 전후방향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75)은 상기 슬라이더(170)의 양 측벽부(172)를 상측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하향 절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75)은 상기 슬라이더(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175)은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시험위치 및 운전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진공인터럽터(120)의 투입위치시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75)을 형성하는 측부(전방 측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차단위치시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동을 위해 상기 핸들(160)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160)에 의해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후방으로 가압 및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과 슬라이더(170)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턱(175)의 전방측부(176)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인터록핀(197)이 상기 걸림턱(175)의 전방측부(176), 즉 경사면(176)을 따라 상향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170)의 양 측벽부(172)의 상단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송스크류(141)는 회전억제부(146)가 회전억제부삽입공(157)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핸들결합부(148)가 상기 핸들(160)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160)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스크류(141)가 상기 핸들(16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91)의 일 측에는 상기 인터록바(191)의 승강을 안내하는 인터록바가이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가이드(210)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두 수직벽부(212)와, 두 수직벽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4)를 구비하여 대략 역 "U"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수직벽부(212)는 그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170)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내폭을 구비하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4)에는 상기 인터록바(191)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수용공(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가이드(210)의 두 수직벽부(212)에는 상기 인터록핀(197)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인터록핀수용공(2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70)의 후방이동시 걸림턱(175)의 경사면(176)에 의해 가압된 인터록핀(197)이 상승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록바(191)와 상기 인터록레버(181) 사이에는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래치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는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승을 억제하는 억제위치와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승을 허용하는 허용위치간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부재(220)는 상기 억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간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는,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21)와, 상기 바디(221)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회전축(22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의 바디(221)는, 예를 들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의 바디의 일 측에는 상기 인터록바(191)의 승강궤적에 배치되어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승을 억제하는 장축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221)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장축부(225)의 일 측에는 단축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축부(225)는 상기 회전축(223)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반경(R1)을 구비하며, 상기 단축부(226)는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R2)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는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투입위치시 상기 장축부(225)가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9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차단위치시 상기 단축부(226)가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9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투입위치시에는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승이 억제되고 상기 구동샤프트(126)의 차단위치시에는 상기 인터록바(191)가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부재(220)는 투입위치시 인터록바(191)의 상승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록바(191)에 의해 슬라이더(170)의 후방 이동 및 회전억제유닛(150)의 후방 이동이 억제되고, 이송스크류(141)는 회전억제유닛(150)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핸들(160)과 결합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바디(221)에는 상기 회전축(22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핀(22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27)은 상기 인터록레버(18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록레버(181)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부재(220)가 상기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인터록레버(181)가 설정된 위치보다 더 회전하게 되어도 상기 인터록레버(181)가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95)에 접촉됨이 없고 또 래치부재(220)는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설정된 위치보다 조금 더 회전하게 되므로 부품 간의 충격적 접촉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부품 간 충격적 접촉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 및 변형 발생이 억제되어 부품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차단기본체(110)가 시험위치 또는 운전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인터럽터(120)가 차단위치(open)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레버(18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바(191)로부터 이격되어 상향 회동된 해제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부재(2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부(225)가 상기 인터록바(191)의 인터록플레이트(19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서, 상기 인터록바(191)가 상기 래치부재(220)와 간섭됨이 없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진공인터럽터(120)가 차단위치(open)에 있으면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전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전방에 핸들(160)을 대고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억제유닛(15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170)의 걸림턱(175)의 경사진 전방측부(176)에 의해 상기 인터록바(191)의 인터록핀(197)이 가압되어 상승된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핸들결합부(148)는 핸들(16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1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 (141)의 정, 역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전방(예를 들면 시험위치) 또는 후방(예를 들면 운전위치)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으로부터 핸들(160)을 제거하면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은 도시 않은 스프링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록바(191)는 상기 슬라이더(170)가 초기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하측에 걸림턱(175)이 위치하게 되어 지지를 받지 못하므로 하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126)가 투입위치(close)로 회전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레버(181)가 하향 회전되고, 상기 인터록레버(181)에 연결핀(227)에 의해 연결된 상기 래치부재(220)가 구속위치 또는 잠금위치로 회전(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220)가 잠금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재(220)의 장축부(225)가 상기 인터록바(191)의 승강 궤적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부재(220)의 장축부(225)는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95)의 상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록바(191)의 상승(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160)의 선단부(이송스크류결합부(162)로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도 상기 걸림턱(175)이 상기 인터록바(191)의 인터록핀(197)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170)의 후방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억제유닛(150)의 후방 이동이 억제되고 상기 이송스크류(141)와 상기 핸들(160)이 결합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차단기본체 120 : 진공인터럽터
121 : 진공용기 122 : 고정접촉자
123 : 가동접촉자 125 : 개폐기구
126 : 구동샤프트 128 : 모선접속부
129 : 부하접속부 130 : 이송장치
131: 프레임 133 : 손잡이
135 : 휠 137 : 핸들삽입부
141 : 이송스크류 143 : 바디
145 : 수나사부 146 : 회전억제부
148 : 핸들결합부 150 : 회전억제유닛
156 : 절곡부 157 : 회전억제부삽입공
158 : 결합공 160 : 핸들
170 : 슬라이더 172 : 측벽부
173 : 저면부 175 : 걸림턱
176 : 경사면 180 : 인터록장치
181 : 인터록레버 183 : 슬롯
191 : 인터록바 195 : 인터록플레이트
196a : 고정부 196b : 연결부
196c : 연장부 197 : 인터록핀
210 : 인터록바가이드 212 : 수직벽부
214 : 연결부 215 : 인터록핀수용공
216 : 수용공 197 : 인터록핀
220 : 래치부재 221 : 바디
223 : 회전축 225 : 장축부
226 : 단축부 227 : 연결핀

Claims (10)

  1. 진공인터럽터와, 상기 진공인터럽터를 개폐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차단기본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차단기본체와 상기 이송장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위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는 인터록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인터록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에 구비되는 인터록레버;
    상기 인터록레버의 일 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인터록바; 및
    상기 인터록레버와 상기 인터록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바의 승강을 제한하는 래치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인터록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돌출되는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레버에는 상기 핀의 일 부가 수용되는 핀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수용부는 상기 핀의 상대 이동 궤적에 대응되게 긴 길이를 가지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긴 반경을 가지는 장축부와 상기 장축부에 비해 짧은 반경을 가지는 단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장축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본체의 투입위치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장축부가 상기 인터록바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바는, 상기 인터록레버측으로 연장된 인터록플레이트와, 승강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인터록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인터록바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프레임, 상기 차단기본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 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인터록바의 하강시 상기 인터록바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억제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20110147811A 2011-12-30 2011-12-30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1261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11A KR101261968B1 (ko) 2011-12-30 2011-12-30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CN201210159162.0A CN103187201B (zh) 2011-12-30 2012-05-21 具有互锁装置的真空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11A KR101261968B1 (ko) 2011-12-30 2011-12-30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968B1 true KR101261968B1 (ko) 2013-05-09

Family

ID=4866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811A KR101261968B1 (ko) 2011-12-30 2011-12-30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1968B1 (ko)
CN (1) CN10318720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686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KR101793549B1 (ko) * 2016-03-03 2017-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180001411U (ko) * 2016-11-03 2018-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9918C1 (ru) * 2015-01-28 2018-10-17 Абб Швайц Аг Узел механ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для разъединителя и заземляюще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US9685734B1 (en) * 2016-03-17 2017-06-20 Kussmaul Electronics Co., Inc. Automatic power line disconnect apparatus
KR102111463B1 (ko) * 2018-12-28 2020-05-15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
WO2022222033A1 (en) * 2021-04-20 2022-10-27 Abb Schweiz Ag Mechanical interlocking system and switchgear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538A (ja) 2009-05-21 2010-12-0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真空遮断器の引込/引出装置
KR101071097B1 (ko) 2010-01-19 2011-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119744B1 (ko) 2011-02-24 2012-03-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부재록킹유닛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3608A (ja) * 1986-10-20 1988-05-09 株式会社戸上電機製作所 配電盤のユニット挿脱装置
US6066814A (en) * 1999-02-18 2000-05-23 Eaton Corporation Interlock for switchgear
DE10153109C2 (de) * 2001-10-22 2003-08-14 Siemens Ag Traggestell fü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US6545234B1 (en) * 2001-12-18 2003-04-08 Abb Technology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interlock
KR100505052B1 (ko) * 2003-04-24 2005-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KR101052636B1 (ko)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101117975B1 (ko) * 2009-03-11 2012-03-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이송장치
KR101087511B1 (ko) * 2009-05-21 2011-1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036989B1 (ko) *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538A (ja) 2009-05-21 2010-12-0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真空遮断器の引込/引出装置
KR101071097B1 (ko) 2010-01-19 2011-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119744B1 (ko) 2011-02-24 2012-03-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부재록킹유닛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686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KR101668026B1 (ko) 2015-01-22 2016-10-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KR101793549B1 (ko) * 2016-03-03 2017-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180001411U (ko) * 2016-11-03 2018-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KR200486587Y1 (ko) * 2016-11-03 2018-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이송장치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7201B (zh) 2015-07-08
CN103187201A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968B1 (ko)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1052636B1 (ko)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EP2228812B1 (en) Withdrawable device of main circuit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02110545B (zh) 用于真空断路器的接地开关的联锁装置
EP1968091B1 (en) Automatic discharging apparatus for closing spring in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071097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191571B1 (ko) 기중 차단기
KR101667258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169342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170036935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JP4965359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0860529B1 (ko) 투입스프링 자동 석방장치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
KR200415177Y1 (ko) 고압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장치
CN104953496A (zh) 用于挡板的联锁系统
KR102507648B1 (ko)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조립체
CN115881488B (zh) 一种断路器
KR102281954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20230011703A (ko) 회로 차단기
KR102091531B1 (ko)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734046B1 (ko) 차단기
KR20120006241U (ko)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KR20110090124A (ko) 진공차단기 인출입 중 접지개폐기의 구동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