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531B1 -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31B1
KR102091531B1 KR1020160085646A KR20160085646A KR102091531B1 KR 102091531 B1 KR102091531 B1 KR 102091531B1 KR 1020160085646 A KR1020160085646 A KR 1020160085646A KR 20160085646 A KR20160085646 A KR 20160085646A KR 102091531 B1 KR102091531 B1 KR 10209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rail
inner rail
circuit breaker
out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486A (ko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8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2Actuators 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터록 작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유닛은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에 연동되어 후퇴동작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함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밀려 올려진 인터록 핀을 지지하며 이동되는 인터록 이너레일; 및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을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circuit braker)는 선로 상에서 정상 전류의 개폐 및 사고 전류 발생시 계전기 등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전기 기기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aker, VCB)가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출입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는 시스템 운전자의 착오로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시도되는 경우에 인출입이 불가하게 하고, 차단기가 트립(Trip)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공차단기는 투입상태에서 표시부를 통해 시스템 운전자에게 인출입이 불가하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차단기본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기본체를 록킹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록 장치는 차단기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이를 록킹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 사이의 마찰, 특히 인터록을 구성하는 부품의 하중 등에 의해 인터록 작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845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터록 작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유닛은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에 연동되어 후퇴동작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함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밀려 올려진 인터록 핀을 지지하며 이동되는 인터록 이너레일; 및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을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바닥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2돌출구조물 또는 제2부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구조물은 둥근머리 볼트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며 후퇴동작이 제한되되,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밀어내며 배출하는 구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은 상기 구속홈 및 상기 수용홈에 위치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에 밀어 올려 놓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 제공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1돌출구조물 또는 제1부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바닥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2돌출구조물 또는 제2부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또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어 다른 한 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보조 부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차단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제한되고, 회로차단기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로차단기의 운전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터록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찰 등을 최소화하여 작동 및 복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인입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차단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인출입유닛에 설치된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인터록 아웃레일이 후퇴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정단면도.
도 12는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된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 해제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될 때의 인터록 레버 및 인터록 바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 인출입유닛(120) 및 가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유닛(120)은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조작되며, 회전동작을 통해 차단기본체(110)를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스크류(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상태로 후술할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22)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22)는 전단에 후술할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는 연결단(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123)은 후술할 차단플레이트(2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차단플레이트(210)가 후퇴되는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는 차단기본체(110)에 구비되는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가동접촉자(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가 연결된 상태가 차단기의 투입상태이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회로가 끊어진 상태가 차단기의 트립상태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전진 배치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출된 상태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후퇴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플레이트(210), 인터록 아웃레일(220), 인터록 이너레일(230), 인터록 바(240), 지지브라켓(250), 복귀 스프링(260), 인터록 레버(270), 인터록 암(280) 및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을 덮도록 구비되되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시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밀려서 후퇴되어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이 차단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은 이송스크류(122)의 전단에 형성되며,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플레이트(210)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단(123)은 관통할 수 있고 인출입핸들(130)은 관통할 수 없는 관통구멍(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입핸들(130)은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켜서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210)가 충분한 거리만큼 후퇴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인출입핸들(130)이 결속되지 않게 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122)에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출입유닛(120)에는 차단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차단플레이트(2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단플레이트(210)의 거동시 함께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전단에 차단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며,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동작에 대해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상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구속홈(2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홈(224)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부에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홈(224)은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 및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에 각각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에는 구속홈(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4)에는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하고,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경사부(224S)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4S)는 차단플레이트(21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224S)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후술할 인터록 핀(242)을 밀어내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홈(224)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홈(23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 각각에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는 경우에 구속홈(224)에 수용된 인터록 핀(242)은 경사부(224S)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승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으로부터 배출되어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은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에 위치된 인터록 핀(242)를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밀어올려 놓을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밀려 올려진 상태에서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d2)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록 핀(242)이 인터록 이너레일(23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과는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마찰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234)은 구속홈(224)과 같이 경사부(224S)를 구비하지 않고 전단과 후단이 모두 수직하게 형성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구조적으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저감부재에 의해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찰저감부재는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구조물(2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에는 제1돌출구조물(2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돌출구조물(236)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1돌출구조물(236)은 관통홈(226)을 통과하여 차단기본체(110)의 바닥면(114)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바닥면(114)에 대해 일정한 간격(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접촉이 최소화되며 슬라이딩이동하게 되어 마찰이 감소되고,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돌출구조물(236)은 다양한 형태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돌출구조물(236)은 일례로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는 둥근머리 볼트일 수 있고, 볼트의 머리부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관통홈(226)을 관통하여 바닥면(114)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마찰저감부재는 볼트와 같은 제1돌출구조물(236) 외에도 제1부싱부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부싱부재는 마찰이 적아 윤활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는 예컨대 테프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에 형성되는 관통홈(226)은 인터록 이너레일(23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적 강도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더 크게 형성되거나, 다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인터록 바(240)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향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이다. 또한, 인터록 바(240)의 일측에는 프레임(112)에 구비되는 회로차단기의 조작 기구부에 연결되며 조작을 구속하기 위한 결속부재 연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바(240)는 하단부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는 경우에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가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몸체에 걸리게 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지 못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에는 봉 형태의 인터록 핀(242)이 구비될 수 있다.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구속홈(224)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수용홈(234)에 수용될 수 있고,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에 의해 올려져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핀(242)은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를 수월하게 타고 올라갈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50)은 인터록 바(240) 및 인터록 핀(242)이 조립된 조립체를 차단기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을 덮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250)에는 인터록 바(240)가 관통 삽입될 수 있고, 내부에 인터록 핀(242)을 수용하되 양측면에는 인터록 핀(242)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승강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브라켓(250)은 인터록 바(240)가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형태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브라켓(250)과 인터록 바(240) 사이에는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2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260)은 인터록 바(240)가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인터록 핀(242)이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에 수용되도록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복귀 스프링(260)은 일단이 인터록 핀(242)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250)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록 레버(270)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연결되며, 인터록 바(240)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단기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112)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바(240)가 하강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인터록 레버(270)는 후술할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를 구속하는 구속력을 인터록 바(24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270)를 통해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를 서로 지지시키는 구조는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보다 강성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인터록 레버(270)는 일단이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측이 인터록 바(240)에 결합되어 인터록 암(280)의 거동되는 궤적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직접 인터록 암(280)이 접촉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이 측방으로 지지되는 구조 없이 자유단 형태가 되게 되므로, 인터록 암(280) 방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몸체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비뚤어지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터록 암(280)은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인터록 레버(270)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어 인터록 바(240)가 상승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일단이 구동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터록 바(240)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 가능한 구조는 인터록 바(240)에 상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인터록 암(280)이 높은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차단기의 투입상태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일치되고 이러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는 하강 배치된 상태가 된다.
또한,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직립하게 배치된다.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려고 하면, 인터록 암(280)에 의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인터록 핀(242)에 걸려서 후퇴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이 불가하게 된다.
한편, 차단기의 트립상태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일방으로 회전되어 인터록 암(280)의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인터록 바(240)는 상승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210)에 결합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하게 된다.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될 때,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는 인터록 핀(242)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승 가능한 상태인 인터록 바(240)는 상승되게 된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될 때,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마찰저감부재, 즉 제1돌출구조물(236)에 의해 바닥면(114)에 지지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너록 이너레일(230)은 이동과정에서 서로 접촉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더욱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를 통해, 인출입핸들(130)은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게 되고, 시스템 운전자는 인출입핸들(130)을 사용하여 이송스크류(122)를 회전시켜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는 동안, 인출입핸들(130)이 이송스크류(122)에 결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된 경우에,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에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조립된 레일 조립체의 상단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연속된 모서리 또는 면이 조성된다.
이때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의해 밀려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과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록 이너레일(22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지지되므로 인터록 바(240)의 하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제한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없게 되므로, 차단기를 투입시킬 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차단기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이 완료된 경우,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을 해제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탄성부재(212)에 의해 다시 전진 배치되게 된다.
이때,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에 형성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서로 일치되게 되고, 이로 인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가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 배치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단기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저감부재(236)는 제1돌출구조물을 포함하여, 인터록 이너레일(230)을 바닥면(114)에 지지하여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이너레일(220), 인터록 아웃레일(230)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에는 마찰저감부재로 제2돌출구조물(22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돌출구조물은 차단기본체의 바닥면(114)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돌출구조물(228)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바닥면(114)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여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구조물(228)은 볼트 등의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외에도 마찰저항이 적은 제2부싱부재 등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찰저감부재는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제공되어 다른 한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3돌출구조물이 볼트와 같은 구조물로 제공될 경우, 인터록 이너레일(230)에 설치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지지되며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설치되어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회로차단기 110: 차단기본체
112: 프레임 120: 인출입유닛
122: 이송스크류 123: 연결단
130: 인출입핸들 200: 인출입 인터록 장치
210: 차단플레이트 212: 탄성부재
220: 인터록 아웃레일 222: 연결부
224: 구속홈 224S: 경사부
226: 관통홈 230: 인터록 이너레일
234: 수용홈 236: 제1돌출구조물
240: 인터록 바 242: 인터록 핀
250: 지지브라켓 252: 가이드홈
260: 복귀 스프링 270: 인터록 레버
280: 인터록 암

Claims (6)

  1.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유닛은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에 연동되어 후퇴동작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함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밀려 올려진 인터록 핀을 지지하며 이동되는 인터록 이너레일; 및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을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바닥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2돌출구조물 또는 제2부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구조물은 둥근머리 볼트로 제공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며 후퇴동작이 제한되되,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밀어내며 배출하는 구속홈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은 상기 구속홈 및 상기 수용홈에 위치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에 밀어 올려 놓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 제공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1돌출구조물 또는 제1부싱부재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또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어 다른 한 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0160085646A 2016-07-06 2016-07-06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09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ko) 2016-07-06 2016-07-06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ko) 2016-07-06 2016-07-06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6A KR20180005486A (ko) 2018-01-16
KR102091531B1 true KR102091531B1 (ko) 2020-03-20

Family

ID=610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ko) 2016-07-06 2016-07-06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36B1 (ko)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267A (ja) * 1996-09-17 1998-04-10 Fujitsu Ltd 電子装置
KR101783216B1 (ko) 2013-01-02 2017-09-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36B1 (ko)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6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5676B2 (ja) 回路遮断器の台車引込及び引出防止装置
JP2730890B2 (ja) 主および補助回路を有する電気的遮断器の引入れおよび引出し機構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261968B1 (ko)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131791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US20130171847A1 (en) Leakage protection socket with integrated baffle locking mechanism
US4112269A (en) Drawout switchgear with levering-in mechanism
EP2405545A1 (en) Shutter device and switchgear apparatus using such shutter device
JPS62141906A (ja) 開閉装置キュービクル
KR101667258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JP2009022543A (ja) 多段式キャビネット
KR102091531B1 (ko)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191571B1 (ko) 기중 차단기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07293427B (zh) 一种接地开关与前后门的联锁装置
KR200476959Y1 (ko)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JP5538651B2 (ja) 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CN110120640B (zh) 防跌落装置、抽屉和开关设备
KR102602302B1 (ko)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KR20220068702A (ko)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조립체
CN210898253U (zh) 一种抽屉联锁结构
JP3961047B2 (ja) 多段引出し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同時引出し防止兼電気施解錠装置
CN210404526U (zh) 一种用于将塑壳断路器和抽屉单元联锁的机械联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