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63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1463B1 KR102111463B1 KR1020180172744A KR20180172744A KR102111463B1 KR 102111463 B1 KR102111463 B1 KR 102111463B1 KR 1020180172744 A KR1020180172744 A KR 1020180172744A KR 20180172744 A KR20180172744 A KR 20180172744A KR 102111463 B1 KR102111463 B1 KR 102111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interlock
- input
- lever
- la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1—Majority of parts mounted on central frame or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2003/3057—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provisions for avoiding idling, e.g. preventing release of stored energy when a breaker is closed, or when the springs are not fully charg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구부의 에너지 해제 기구가 구비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출시 자동으로 개폐기구부의 투입 스프링의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하는 해제 기구가 구비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폐기구부의 에너지 해제 기구가 구비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출시 자동으로 개폐기구부의 투입 스프링의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하는 해제 기구가 구비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는 전기 계통의 일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회로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및 전원측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차단기 중에서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로 진공 차단기 등이 사용된다.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고압용 회로 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과 함께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크래들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운전(Service) 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시험만 가능한 시험(Test) 위치가 있다.
회로 차단기에는 투입 동작 또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투입 스프링 및 트립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회로차단기는 운전중에 투입 스프링의 에너지가 충전된 상태에 있다. 즉, 사고전류 차단 후 재투입되는 상황을 대비하여 스프링에너지를 충전시켜 놓는다.
도 1 내지 도 3에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실(1)에 차단기 본체(2)가 인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디스커텍트(disconnect) 상태, 테스트(test) 상태, 운전(Service, Connected)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2)가 크래들(3)에 실린 상태에서 차단기실(1)의 내부에서 각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차단기 본체(2)에는 기구부 매커니즘(4)이 구비되어 접점부의 투입 및 차단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각 상태(디스커텍트 상태, 테스트 상태, 운전 상태)에서의 기구부 메커니즘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차단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대용량 회로차단기의 기구부 매커니즘은 투입스프링 작동을 위한 투입래치(13), 트립스프링 작동을 위한 트립래치(14),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파워샤프트(5), 드라이브 레버(6), 크랭크 샤프트(7), 동작레버(8), 인터록 로드(9), 인입/인출간 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포지션 인터록 장치(10), 인입/인출간 투입래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투입 인터록 장치(11), 인터록 동작 레일(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용량 회로차단기의 매커니즘 동작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초기 상태(디스커넥트 상태)에서는 투입스프링이 장전(충전)되지 않는다. 차단기 본체(2)가 도 2 및 도 5와 같이 테스트 상태에 진입하면 크랭크 샤프트(7)가 회전하면서 투입스프링은 장전된다. 이때, 크랭크 샤프트(7)는 투입래치(13)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회로차단기의 투입 준비 상태가 된다. 도 6과 같이, 투입래치(13)을 동작시키면(구속을 해제하면) 크랭크 샤프트(7)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동작레버(8)도 회전운동을 하여 투입 동작이 수행된다.
도 6와 같은 상태에서, 트립래치(14)를 동작시키면(구속을 해제하면) 다시 도 4와 같은 초기 위치로 기구부 매커니즘이 복귀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있어서 대용량 회로차단기가 특정된 3위치(점검(Disconnected) 위치, 준비(Test) 위치, 운전(Connected) 위치)에서만 투입/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포지션 인터록 장치(10)가 도 8과 같이 회로차단기 하단의 인터록 동작레일(12)과 연동되어 동작한다.
도 8와 같이 각 위치(점검(Disconnected), 준비(Test), 운전(Connected))에서는 포지션 인터록 장치(10)가 하강 동작하여 포지션 인터록 장치(10)와 연동된 인터록 로드(9)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터록 로드(9)에 연동된 투입 인터록 장치(11)도 하강하게 되어 투입래치(13)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포지션 인터록 장치(10)가 인터록 동작레일(12)을 타고 상승동작을 하게 되면, 투입래치(13)의 동작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차단기가 차단기실 내에서 정해진 각 위치에 놓여있을 경우에는 투입스프링이 충전(재충전)되어 투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중에는 투입 인터록 장치(11)로 인해 투입은 방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투입스프링이 충전된 상태로 인입/인출이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테스트 상태에서 수동으로 투입 버튼을 작용시켜 장전된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 한, 차단기는 투입스프링이 충전된 상태로 인출된다.
이러한 경우, 정비작업이나 조작실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출시 자동으로 개폐기구부의 투입 스프링의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하는 해제 기구가 구비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투입 작동을 위한 투입 래치와 트립 작동을 위한 트립 래치를 갖는 차단기 본체 및 상기 차단기 본체를 싣고 차단기실 내에서 인입출 동작을 수행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가 설정된 인터록 동작 레일; 및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의 상대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투입 래치 및 트립 래치를 동작시키는 인터록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록 부재는, 상기 투입 래치 및 트립 래치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에 접하는 인터록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부재는, 상기 인터록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부재를 하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부재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돌기부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일측에 상기 투입 래치에 접촉하는 제1 레버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일측에 상기 트립 래치에 접촉하는 제2 레버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투입 래치와 트립 래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상 상태에서 상기 투입 래치와 제1 레버 사이의 간격은 상기 트립 래치와 제2 레버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타측에 잠금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투입 래치에 결합되어 함께 동작하는 투입 돌기부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에는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높이 조절 블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에서 각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홈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점검 위치와 준비 위치 사이에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서 최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준비 위치와 운전 위치 사이에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1 볼록부보다는 낮고 상기 홈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차단기를 인출할 때 비 운전위치에서 자동으로 트립 동작과 투입 동작이 수행되어 투입스프링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시키므로 수동으로 투입 스프링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차단기 인출 후 재인입 시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투입 작동이 실행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 디스커넥트 상태, 테스트 상태, 커넥티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디스커넥트 상태, 테스트 상태, 커넥티드 상태에서의 기구부 메커니즘의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포지션 인터록 장치와 인터록 레일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도 9의 회로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전,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회로차단기는 준비(테스트) 상태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점검(디스커넥트) 위치와 준비(테스트) 위치 사이의 상태에서의 전,후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준비(테스트) 위치와 운전(커넥트) 위치 사이의 상태에서의 전,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인터록 부재와 인터록 동작 레일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적용되는 인터록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디스커넥트 상태, 테스트 상태, 커넥티드 상태에서의 기구부 메커니즘의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포지션 인터록 장치와 인터록 레일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도 9의 회로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전,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회로차단기는 준비(테스트) 상태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점검(디스커넥트) 위치와 준비(테스트) 위치 사이의 상태에서의 전,후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준비(테스트) 위치와 운전(커넥트) 위치 사이의 상태에서의 전,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인터록 부재와 인터록 동작 레일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 적용되는 인터록 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투입 작동을 위한 투입 래치(34)와 트립 작동을 위한 트립 래치(35)를 갖는 차단기 본체(25) 및 상기 차단기 본체(25)를 싣고 차단기실(20) 내에서 인입출 동작을 수행하는 크래들(30)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에 설치되고 점검 위치(71), 준비 위치(73), 운전 위치(75)가 설정된 인터록 동작 레일(70); 및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상대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점검 위치(71), 준비 위치(73), 운전 위치(75)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투입 래치(34) 및 트립 래치(35)를 동작시키는 인터록 부재(40,50);를 포함한다.
도 9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실(20)은 캐비넷과 같은 형태 또는 상자와 같은 형태로 마련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전면 도어와 측면판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실(20)에는 후면판에 터미널 부싱(21)이 각 상별로 설치된다. 터미널 부싱(21)은 각 상별로 상,하 터미널 부싱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된다. 즉, 상부 터미널은 전원에 연결되고 하부 터미널은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25)는 크래들(30)에 실려 차단기실(20)에 인입 또는 인출된다. 차단기 본체(25)는 크래들(30)에 의해 점검 위치(디스커넥트 상태), 준비 위지(테스트 상태), 운전 위치(커넥트 상태)로 인입, 인출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25)에는 각 상별로 주회로에 연결되어 회로를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부(26)가 마련된다. 회로 차단기 중에서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경우 차단부로 진공 차단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부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도록 한다.
차단부(26)는 각 상별로 마련된다. 차단부(26)에는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구비된다. 고압 회로에 적용되는 차단부(26)는 진공인터럽터가 적용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25)에는 기구부 메커니즘(31)이 마련된다. 기구부 메커니즘(31)은 회로를 투입 또는 차단하는 동력을 제공하며, 온 버튼(32)과 오프 버튼(33)이 외부에 노출된다. 사용자는 온 버튼(32)과 오프 버튼(33)을 작동하여 차단기를 투입하거나 차단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0에는 차단기의 개폐기구부의 전,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구부 메커니즘(31)의 외부판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기구부 메커니즘(31)에는 온 버튼(32)에 연결되는 투입 래치(34)와 오프 버튼(33)에 연결되는 트립 래치(35)가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 버튼(32)과 투입 래치(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오프 버튼(33)과 트립 래치(3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구부 메커니즘(31)에는 투입 스프링(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차징축(36)이 설치된다. 차징축(36)에 연동하여 구동 레버(37)가 마련된다.
한편, 투입 또는 트립을 위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크랭크 샤프트(38)가 마련된다. 크랭크 샤프트(38)에는 동작 레버(39)가 연결된다.
한편, 크래들(30)에는 인터록 동작 레일(70)이 작동할 수 있는 레일홈(60)이 형성된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은 크래들(30)에 형성된 레일홈(60)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기구부 메커니즘(31)의 장착 플레이트(29)의 배후면에 인터록 부재(40,50)가 마련된다. 인터록 부재(40,50)는 상측으로는 인터록 플레이트(40)가 구비되고, 하측으로는 인터록 로드(50)가 구비된다.
인터록 플레이트(40)는 테스트 위치에서 자동으로 투입 및 트립 기능이 작동하도록 하여 투입 스프링 또는 트립 스프링에 장전된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인터록 부재(40,50)는 상부의 인터록 플레이트(40)와 하부의 인터록 로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록 플레이트(40)와 인터록 로드(50)는 서로 나사 결합(52) 등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인터록 플레이트(4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홀(43)이 형성되어 장착 플레이트(29)의 돌기부(2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인터록 플레이트(40)는 돌기부(28)와 슬라이딩 홀(43) 사이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인터록 플레이트(40)에는 일측에 투입 래치(34)에 접촉하여 투입 래치(34)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1 레버(4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레버(41)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플레이트(40)에는 일측에 트립 래치(35)에 접촉하여 트립 래치(35)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2 레버(42)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레버(42)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버(41)와 제2 레버(42)는 인터록 플레이트(40)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레버(41)와 제2 레버(42)는 각각 인터록 플레이트(40)가 상승 운동할 때, 투입 래치(34) 또는 트립 래치(35)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버(41)와 제2 레버(42)의 단부(접촉부) 사이의 거리(L)는 투입 래치(34)와 트립 래치(35) 사이의 거리(H, 도 11 참조)보다 작게 형성된다. 정상 상태(각 래치 및 인터록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 즉 각 래치가 동작하지 않고 인터록 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 투입 래치(34)와 제1 레버(41) 사이의 간격은 트립 래치(35)와 제2 레버(42)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인터록 플레이트(40)가 상승 운동할 때, 제2 레버(42)가 트립 래치(35)에 먼저 접촉하고, 이후 제1 레버(41)가 투입 래치(34)에 접촉하게 된다.
인터록 플레이트(40)에는 타측에 잠금부(45)가 돌출 형성된다. 잠금부(45)는 투입 래치(34)에 결합되어 함께 동작하는 투입 돌기부(37)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인터록 로드(50)는 인터록 플레이트(4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인터록 로드(50)는 봉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는 접촉단부(51)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단부(51)는 포지션 인터록 동작 레일(70)에 접촉하여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위치에 따라 상승, 하강 운동을 한다. 접촉단부(51)의 움직임에 따라 인터록 부재(40,50)는 상승,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인터록 로드(50)에는 복귀 스프링(55)이 구비된다. 접촉단부(51)에서 상승 동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하방의 위치로 복귀하는데, 복귀 스프링(55)에 의해 상기 상승 및 하강 동작이 인터록 동작 레일(70)을 따라 신속하게 일어난다.
복귀 스프링(55)은 하단의 고정부(53)를 갖는다. 고정부(53)는 인터록 로드(5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55)의 상단은 기구부 메커니즘(31)의 하단 플레이트(27)에 설치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55)은 인터록 부재(40,50)가 상승, 하강 운동함에 따라 하단 플레이트(27)와 고정부(53) 사이에서 압축 및 인장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기로 한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이 마련된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은 차단기실(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30)의 이동에 따라, 인터록 부재(40,50)의 접촉단부(51)가 인터록 동작 레일(70)에 접하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에는 상부에 높이 조절 블록부(79)가 형성된다. 높이 조절 블록부(79)는 전후 방향으로 높이 차이가 형성되도록 계단 또는 다각형의 블록 형상을 갖는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높이 조절 블록부(79)에는 차단기 본체(25)의 점검 위치(71), 준비 위치(73), 운전 위치(75)에서 홈이 형성된다. 상기 3위치에서는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높이 조절 블록부(79)에는 점검 위치(71)와 준비 위치(73) 사이에 제1 볼록부(72)가 형성된다. 제1 볼록부(72)는 높이 조절 블록부(79)에서 최상의 높이로 형성된다. 제1 볼록부(72)에서는 인터록 부재(40,50)의 접촉단부(51)가 최대로 상승하여 제1 레버(41)가 투입 래치(34)를 작동시킨다.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높이 조절 블록부(79)에는 준비 위치(73)와 운전 위치(75) 사이에 제2 볼록부(74)가 형성된다. 제2 볼록부(74)는 높이 조절 블록부(79)에서 제1 볼록부(72) 다음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 제2 볼록부(74)의 높이는 점검 위치(71) 등의 3위치의 높이보다는 높고, 제1 볼록부(72)의 높이보다는 낮다. 제2 볼록부(74)에서는 인터록 부재(40,50)의 접촉단부(51)가 일정 정도 상승하여 제2 레버(42)가 트립 래치(35)를 작동시킨다. 제2 볼록부(74)에서는 제1 레버(41)가 투입 래치(34)를 작동시키지는 못한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인터록 부재(40,50)와 인터록 동작 레일(7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25)(및 크래들(30))의 위치가 각각 점검(Disconnected), 준비(Test) 및 운전(Connected) 위치에 있는 경우, 인터록 부재(40,50)(구체적으로는 인터록 로드의 접촉단부)는 각각 점검 위치(71), 준비 위치(73) 및 운전 위치(75)에 놓이게 된다.
이 위치(상태)에서는 인터록 부재(40,50)가 하강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1 레버(41)와 제2 레버(42)는 투입 래치(34) 및 트립 래치(35)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물론, 이때 사용자는 수동 조작에 의해 투입 또는 트립 작동이 가능하다.
도 14,15와 같이 차단기 본체(25)가 준비 위치(73)와 운전 위치(75) 사이의 구간을 이동시에는 높이 조절 블록부(79)에 의해 인터록 로드(50)가 상승하게 되어 인터록 플레이트(40)가 제2 볼록부(74)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자동으로 제2 레버(42)가 트립 래치(35)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투입(Close)상태에 되어있던 차단기가 차단(개방, Open)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하게 차단기 본체(25)를 인출할 수 있다. 설사, 사용자가 트립 작동을 안 시키더라도 자동으로 운전 위치(75)에서 준비 위치(73)로 이동시키는 동안 트립 동작이 수행되므로 차단기 본체(25)는 안전한 상태에서 인출된다.
한편, 이와 같이 차단기 본체(25)가 준비 위치(73)와 운전 위치(75) 사이의 구간을 이동시에는 투입 돌기부(37)가 잠금부(45)에 걸린 상태에 있으므로 투입 래치(34)가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즉, 이동간 투입 방지 기능이 수행된다.
도 12,13과 같이, 차단기 본체(25)가 점검 위치(71)와 준비 위치(73) 사이의 구간을 이동시에는 높이 조절 블록부(79)에 의해 인터록 로드(50)가 상승하게 되어 인터록 플레이트(40)가 제1 볼록부(72)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자동으로 제1 레버(41)가 투입 래치(34)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투입스프링에 (재)충전되어 있던 에너지가 방출되어 투입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하게 차단기 본체(25)를 인출할 수 있다. 설사, 사용자가 준비 위치(73)에서 투입 작동을 수동으로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준비 위치(73)에서 점검 위치(71)로 이동시키는 동안 투입 동작이 수행되므로 차단기 본체(25)는 안전한 상태에서 인출된다. 이때의 투입 동작은 운전 위치가 아니므로 차단기 접점부가 투입되지는 않고 투입스프링만 동작시키므로 투입스프링의 충전이 해제되는 기능만 수행된다. 물론, 이 경우 제2 레버(42)에 의해 트립 래치(35)도 작동하므로 트립 작동도 수행된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25)는 투입 스프링의 에너지가 방출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투입 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한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는 회로차단기의 최종 상태(Open, Spring Discharged)를 알 수 있게 되어 사용자 작업이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차단기를 인출할 때 비 운전위치에서 자동으로 트립 동작과 투입 동작이 수행되어 투입스프링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시키므로 수동으로 투입 스프링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차단기 인출 후 재인입 시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투입 작동이 실행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차단기실 21 터미널 부싱
25 차단기 본체 26 차단부
27 하단 플레이트 28 돌기부
29 장착 플레이트 30 크래들
31 기구부 메커니즘 32 온 버튼
33 오프 버튼 34 투입 래치
35 트립 래치 36 차징축
37 구동 레버 38 크랭크 샤프트
39 동작 레버 40 인터록 플레이트
41 제1 레버 42 제2 레버
43 슬라이딩 홀 50 인터록 로드
51 접촉단부 53 고정부
55 복귀 스프링 60 레일홈
70 인터록 동작 레일 71 점검 위치
72 제1 볼록부 73 준비 위치
74 제2 볼록부 75 운전 위치
79 높이 조절 블록부
25 차단기 본체 26 차단부
27 하단 플레이트 28 돌기부
29 장착 플레이트 30 크래들
31 기구부 메커니즘 32 온 버튼
33 오프 버튼 34 투입 래치
35 트립 래치 36 차징축
37 구동 레버 38 크랭크 샤프트
39 동작 레버 40 인터록 플레이트
41 제1 레버 42 제2 레버
43 슬라이딩 홀 50 인터록 로드
51 접촉단부 53 고정부
55 복귀 스프링 60 레일홈
70 인터록 동작 레일 71 점검 위치
72 제1 볼록부 73 준비 위치
74 제2 볼록부 75 운전 위치
79 높이 조절 블록부
Claims (15)
- 투입 작동을 위한 투입 래치와 트립 작동을 위한 트립 래치를 갖는 차단기 본체 및 상기 차단기 본체를 싣고 차단기실 내에서 인입출 동작을 수행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가 설정된 인터록 동작 레일; 및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의 상대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투입 래치 및 트립 래치를 동작시키는 인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에는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높이 조절 블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점검 위치와 준비 위치 사이에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서 최상의 높이로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부재는,
상기 투입 래치 및 트립 래치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인터록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인터록 동작 레일에 접하는 인터록 로드;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부재는,
상기 인터록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록 부재를 하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되는 회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부재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의 돌기부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일측에 상기 투입 래치에 접촉하는 제1 레버가 돌출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상기 일측에 상기 트립 래치에 접촉하는 제2 레버가 돌출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회로 차단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투입 래치와 트립 래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6항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투입 래치와 제1 레버 사이의 간격은 상기 트립 래치와 제2 레버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에는 타측에 잠금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투입 래치에 결합되어 함께 동작하는 투입 돌기부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회로 차단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점검 위치, 준비 위치, 운전 위치에서 각각 홈이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홈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회로 차단기.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블록부에는 상기 준비 위치와 운전 위치 사이에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1 볼록부보다는 낮고 상기 홈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2744A KR102111463B1 (ko) | 2018-12-28 | 2018-12-28 | 회로차단기 |
CN201910927432.XA CN111383864B (zh) | 2018-12-28 | 2019-09-27 | 断路器 |
US16/585,944 US11189994B2 (en) | 2018-12-28 | 2019-09-27 |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2744A KR102111463B1 (ko) | 2018-12-28 | 2018-12-28 | 회로차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1463B1 true KR102111463B1 (ko) | 2020-05-15 |
Family
ID=7067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2744A KR102111463B1 (ko) | 2018-12-28 | 2018-12-28 | 회로차단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189994B2 (ko) |
KR (1) | KR102111463B1 (ko) |
CN (1) | CN11138386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8693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에스일렉트릭 (주) | 회로 차단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2893A (ko) * | 2019-11-08 | 2022-07-04 |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 모터 제어 센터 회로 차단기 교체 키트 및 방법 |
CN114203478B (zh) * | 2021-11-24 | 2023-07-07 | 镇江市丹高电器有限公司 | 一种隔离开关和断路器的互锁结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5807A (ko) * | 2009-05-21 | 2010-12-0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
KR20110009725U (ko) * | 2010-04-07 | 2011-10-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진공차단기의 오토-디스차지 장치 |
KR20130096571A (ko) * | 2012-02-22 | 2013-08-30 | 기현정공 주식회사 |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64809B2 (en) * | 2008-07-29 | 2011-06-21 | General Electric Company | Cam operated spring discharge interlock mechanism |
KR101261968B1 (ko) * | 2011-12-30 | 2013-05-0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
KR101912449B1 (ko) * | 2018-07-06 | 2018-10-26 |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 원격 랙킹 시스템이 적용된 고압 배전반 |
-
2018
- 2018-12-28 KR KR1020180172744A patent/KR1021114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9-27 US US16/585,944 patent/US11189994B2/en active Active
- 2019-09-27 CN CN201910927432.XA patent/CN11138386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5807A (ko) * | 2009-05-21 | 2010-12-0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
KR20110009725U (ko) * | 2010-04-07 | 2011-10-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진공차단기의 오토-디스차지 장치 |
KR20130096571A (ko) * | 2012-02-22 | 2013-08-30 | 기현정공 주식회사 |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8693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에스일렉트릭 (주) | 회로 차단기 |
KR20230011703A (ko) * | 2021-07-14 | 2023-01-25 | 엘에스일렉트릭(주) | 회로 차단기 |
KR102595091B1 (ko) * | 2021-07-14 | 2023-10-30 | 엘에스일렉트릭(주) | 회로 차단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189994B2 (en) | 2021-11-30 |
CN111383864A (zh) | 2020-07-07 |
CN111383864B (zh) | 2022-04-01 |
US20200212659A1 (en) | 2020-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1463B1 (ko) | 회로차단기 | |
KR101087511B1 (ko) |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 |
TWI469176B (zh) | Lead-out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 |
US6689968B2 (en) | Circuit breaker with capacitor discharge system | |
US10153625B2 (en) |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close during insertion or withdraw on circuit breaker in switch board | |
US10580597B2 (en) | High current,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with dual slider bar actuator assembly | |
KR101071097B1 (ko) |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
CN103578817A (zh) | 隔离开关与断路器的联锁装置 | |
US9338904B2 (en) | Motor control center units including auxiliary power interlock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 |
EP4109486A1 (en) | Safety device and three-pole base | |
CN219017483U (zh) | 一种上隔离下断路器的联锁装置 | |
KR102595091B1 (ko) | 회로 차단기 | |
CA2648621A1 (en) | Operating handle lock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2350307B1 (ko) | 직류 차단기의 트립 장치 | |
US98185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arcing between a circuit breaker line terminal and a panel board terminal | |
CN111863517A (zh) | 一种新型直流高速断路器 | |
KR101793549B1 (ko) |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
CN204651233U (zh) | 一种防误操作隔离开关 | |
CN212542321U (zh) | 一种机车直流高速断路器的回路装置 | |
KR102453179B1 (ko) | 모터 보호용 차단기 | |
CN110165596B (zh) |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 |
CN213753517U (zh) | 一种高压柜隔离装置 | |
CN210925924U (zh) | 一种用于断路器的联锁保护机构及断路器 | |
KR20240152657A (ko) | 충격 완화 장치를 갖는 차단기 | |
CN111697475A (zh) | 一种高压柜的防误操作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