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08Y1 -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08Y1
KR200486208Y1 KR2020170006030U KR20170006030U KR200486208Y1 KR 200486208 Y1 KR200486208 Y1 KR 200486208Y1 KR 2020170006030 U KR2020170006030 U KR 2020170006030U KR 20170006030 U KR20170006030 U KR 20170006030U KR 200486208 Y1 KR200486208 Y1 KR 200486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door
door frame
auxiliary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주)라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운지 filed Critical (주)라운지
Priority to KR2020170006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는 부분적으로 열린 미닫이 또는 미서기문과 문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보조문틀; 상기 보조문틀 하부에 상기 보조문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보조문 절개부; 상기 보조문 절개부의 양 측면에 위치된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보조문 절개부와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회전축 부재; 상기 회전축 부재가 상기 회전축 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몸체 삽입부가 상부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문 절개부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된 보조문; 상기 회전축 부재가 삽입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부재를 고정시키되, 상기 보조문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회전축 부재 고정부; 상기 보조문에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문에 부착되되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된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삽입된 회전축 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를 덮는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Pet Door Insert}
본 고안은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미닫이문 또는 미서기문의 문틀 틈새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반려동물 출입용의 보조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많은 가정에서 개, 고양이를 비롯한 다양한 반려동물을 집에서 기르고 있다. 반려동물은 어린이에게 생명존중사상을 심어줄 수 있는 한편 정서함양에도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1인 가구가 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성인도 점차 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주거환경은 넓은 정원이나 마당이 딸린 개인주택보다는 고층건물로 이루어진 아파트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바, 야외의 정원이나 공원 등과 접근성이 좋지 않은 고층 아파트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에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다.
특히, 개와 고양이를 포함하여 많은 반려동물들은 스트레스 해소와 원활한 배변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산책을 시켜주거나 실내를 벗어나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공간 내에 풀어주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지만, 한국의 아파트 주거환경에서 이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 대안으로 아파트의 베란다를 반려동물의 놀이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예를 들어, 베란다의 일부 공간을 흙밭이나 풀밭으로 만들어 둔다면 실내 공간을 더럽히거나 어지럽히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려동물이 다소나마 자연의 느낌 속에서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어, 반려동물은 물론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베란다에 흙밭 대신에 적당한 매트 종류를 깔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 될 것이다.
다만, 반려동물이 베란다에 출입할 때마다 매번 사람이 문을 열어주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베란다와 거실/안방 사이에는 채광과 공간활용을 고려하여 큰 유리창이 구비된 미닫이문이나 미서기문(이하 ‘미닫이문 등’이라 지칭함)이 설치된다는 점을 활용함으로써, 미닫이문 등의 열린 틈새를 적절히 활용하여 반려동물 전용 출입문을 만드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전용 출입문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9031호(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반려동물 출입문은 기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문틀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폭을 제외하고는 기존 미닫이문과 동일한 높이 및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전용 출입문은 기존 미닫이문의 슬라이딩 이동용 홈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미닫이문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기존 미닫이문과 동일 또는 동등한 높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된 프레임을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미닫이문과 동등한 수준의 높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되어 부피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로는 택배배송이 곤란하여 값비싼 화물배송에 의존해야 하며, 설사 부품 상태로 배송한다고 하더라도 부품의 크기(예컨대 미닫이문의 높이와 동일한 프레임 수직부재의 길이)가 통상적으로 택배배송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여전히 배송에 어려움이 있고, 이는 해당 제품의 실 구매가격을 상승시켜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9031호(2004.08.26.공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실 또는 안방과 베란다와의 사이에 위치된 미닫이문 등의 일부 개방된 틈새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가공을 최소화하여 저비용으로 가공, 조립 및 생산될 수 있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서 배송시 취급이 편리하고 소비자가 설치할 때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형태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는, 부분적으로 열린 미닫이 또는 미서기문과 문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보조문틀; 상기 보조문틀 하부에 상기 보조문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보조문 절개부; 상기 보조문 절개부의 양 측면에 위치된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보조문 절개부와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회전축 부재; 상기 회전축 부재가 상기 회전축 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몸체 삽입부가 상부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문 절개부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된 보조문; 상기 회전축 부재가 삽입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부재를 고정시키되, 상기 보조문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회전축 부재 고정부; 상기 보조문에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문에 부착되되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된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 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부재가 삽입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를 폐쇄하되, 상기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 및 상기 회전축 단부 고정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사각 액자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문 절개부의 둘레 전체를 따라 상기 하부 문틀에 부착되는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문틀은 상부 문틀과 하부 문틀로 나누어지고, 상기 상부 문틀과 하부 문틀은 문틀 회전축 부재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문틀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 문틀은 하단 가운데 부분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절개된 결합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절개부 양측에 각각 측면하방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 문틀은 상단 가운데 부분에 상기 결합절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와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 상기 문틀 회전축 부재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 센서; 상기 보조문이 개방된 때에 상기 회전축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보조문의 개방 방향과 개방 각도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문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 이상으로 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외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보조문이 미리 설정된 제2 각도 이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내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송출하되, 상기 외측개방 알림신호와 상기 내측개방 알림신호에 대한 상기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송출하는 알림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 의하면, 거실이나 안방과 베란다 사이에 위치된 미닫이문 등을 사람이 매번 일일이 개방시켜주지 않더라도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베란다로 출입할 수 있어 번거로움을 덜면서도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출입중일 때를 제외하고는 미닫이문 등의 개방된 틈새를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문 조립체가 폐쇄하고 있게 되므로, 반려동물의 자유로운 출입을 보장하는 동시에 외부의 냉기 또는 열기가 실내로 과도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저렴한 소재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가공으로 조립 및 생산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얇고 가벼워서 배송시 또는 설치시 취급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보조문이 폐쇄된 때(A)와 개방된 때(B)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로서, 보조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서 보조문과 회전축 부재의 결합관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서 보조문틀 테두리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와 회전축 부재의 결합관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잠금장치의 일실시예로서, 개방상태(A)와 잠금상태(B)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개방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불럭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보조문이 폐쇄된 때(A)와 개방된 때(B)를 각각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로서, 보조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서 보조문과 회전축 부재의 결합관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서 보조문틀 테두리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와 회전축 부재의 결합관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잠금장치의 일실시예로서, 개방상태(A)와 잠금상태(B)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는, 아파트의 거실과 베란다 사이, 또는 안방과 베란다 사이에 기존에 이미 시공되어 있는 미닫이문 등을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된 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조문 조립체 전체적으로는 미닫이문 등이 개방되어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여 외부의 과도한 냉기나 열기 또는 바람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도 1(A) 참조)하는 한편, 하측에 구비된 보조문을 통하여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실내와 베란다 사이를 오가도록 할 수 있다(도 1(B) 참조).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는, 베란다와 미닫이문 등이 구비된 아파트 외에 정원이나 앞마당과 연결된 거실창에 미닫이문 등이 구비된 일반 주택에도 적용가능하고, 그 외의 경우라도 이와 유사하게 미닫이문 등에 의해 구분되는 두 공간 사이를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1000)는 크게 나누어 보조문틀(100)과 상기 보조문틀(100)의 하부에 형성된 보조문 절개부(150)에 상하회전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보조문(20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조문틀(100)은 부분적으로 열린 미닫이문 등과 문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보조문틀(100)은 상하로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맥스 판넬을 재단하여 제작될 수 있고 그 두께는 1T 내지 20T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조문틀(100)의 폭은 설치하고자 하는 보조문(2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보조문(200)의 크기는 주로 출입하게 될 반려동물의 크기 및 이동 속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동 속도가 빠른 반려동물을 위해 보조문(2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조금 더 여유있는 크기로 보조문(200)을 형성하는 것이 반려동물의 안전과 보조문 조립체(1000)의 손상방지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선택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문 조립체에서 상기 보조문틀(100)은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로 나누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은 문틀 회전축 부재(130)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문틀(100)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보조문 조립체(1000)의 배송시나 취급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문틀(110)은 하단 가운데 부분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절개된 결합절개부(111)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절개부(111) 양측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형태로 형성된 측면하방연장부(113)를 가진다.
상기 상부 문틀(110)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문틀(120)은 상단 가운데 부분에 상기 결합절개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2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문틀(110)의 결합절개부(111)와 상기 하부 문틀(120)의 결합돌출부(12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암수퍼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보조문틀(10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은 거의 빈틈없이 결합되어 단일 판재로 형성된 것과 거의 차이가 없는 보조문틀(100)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을 상호간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하는 문틀 회전축 부재(130)는 상부 문틀(110)의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113)와 하부 문틀(120)의 상기 결합돌출부(121)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는 상기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의 결합절개부(111)와 결합돌출부(121)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펼쳐진 보조문틀(100)의 형상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문틀 회전축 부재(130)를 상기 측면하방연장부(113), 상기 결합돌출부(121), 및 반대쪽 측면하방연장부(113)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문틀(110)의 측면하방연장부(113) 및 하부 문틀(120)의 결합돌출부(121)에서 이러한 결합에 적합한 위치에 미리 문틀 회전축 결합공(133)을 형성하고, 상부 문틀(110)의 문틀 회전축 결합공(133)과 하부 문틀(120)의 문틀 회전축 결합공(133)을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문틀 회전축 부재(1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방법은 보조문틀(100)이 접힌 형태가 되도록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문틀 회전축 부재(130)의 삽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조문틀(100)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문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보조문 절개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문틀(100)이 상부 문틀(110)과 하부 문틀(120)로 나누어 형성된 때에는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는 하부 문틀(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 내측에는 보조문(200)이 위치되며, 보조문(200)은 회전축 부재(29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문(200)의 상부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회전축 부재(290)가 보조문 절개부(150) 양 측면의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1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문(200)은 상기 회전축 부재(29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 내측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조문 절개부(150), 보조문(200) 및 회전축 부재(290)간의 결합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보조문(200)의 상부 일측에는 회전축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상기 회전축 부재(290)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는 회전축 부재(29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이는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의 내측 단면이 둥근 반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도 3 참조), 가공방법에 따라서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여하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상기 회전축 부재(290)를 삽입한 후에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외측에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부재(290)가 고정되는 한편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는 폐쇄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는 보조문(200)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230)가 보조문(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는 보조문(200)의 회전개폐시에 보조문(200)의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회전축 부재(290)의 수평이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 부재 고정부(200)는 보조문(200)의 개폐동작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는 그 형상, 치수 및 재질에 따라 회전축 부재(290)가 보조문(200)의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고무 재질로 형성하고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가 회전축 부재(290)를 조금 압박하도록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삽입한다면, 회전축 부재(290)는 보조문(20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아크릴 재질로 형성하되 회전축 부재(290)에 밀착되도록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압입한 경우에도 회전축 부재(290)는 보조문(20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아크릴 재질로 형성하되 회전축 부재(290)와의 사이에 여유가 있도록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삽입한다면 회전축 부재(290)는 보조문(20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이되 단지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될 것이다.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 단면의 단순 각재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회전축 부재(290)를 삽입하고, 선택적으로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삽입한 후에,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를 덮도록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230)를 보조문(200)의 상부 일측에 부착한다. 상기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230)는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보다 상하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보조문(200)에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조문(200)의 회전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230)의 외측면은 미관을 고려하여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곡선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보조문(200)을 보조문 절개부(150)에 위치시켜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의 양 측면에 위치된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16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와 연통되어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와 연결된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가 형성된다(도 2 및 도 4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는 보조문틀(100)의 전면을 향해서만 개방되고, 따라서 전면측에만 후술하는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가 부착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도 4 참조). 그러나 보조문틀(100)의 소재와 두께에 따라서는, 상기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160)를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형성하고, 전후면 양측에서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를 부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한 작업이 될 수도 있다.
보조문(200)에 결합된 회전축 부재(290)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각각 삽입하여 보조문(200)을 보조문 절개부(150)에 위치시키고, 선택적으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를 삽입한 후에,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된 회전축 부재(290)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덮는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를 덮는)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167)를 보조문 절개부(150)의 둘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부착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는 상기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상기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 내용이 대체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부재(290)가 삽입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는 상기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16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167)가 보다 용이하게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167)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문 절개부(150)의 둘레 전체를 따라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부착되며, 따라서 대략 사각 액자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167)는 회전축 부재(290)의 양단부가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단순히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 부근만을 덮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보조문(200)은 보조문틀(100)과 마찬가지로 포맥스 판재로 형성될 수 있고, 1T 내지 20T 두께의 포맥스 판재가 적당하다. 다만, 반려동물 출입시에 보조문(200)의 반대편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 바, 이를 감안하면 상기 보조문(2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문(200)은 예를 들어 아크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 판재의 두께는 포맥스보다 무거운 무게, 무게에 따른 반려동물의 충격량 등을 감안할 때 1T 내지 10T 범위가 적당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문 조립체(1000)는 미닫이문 등과 문틀에 다양한 부착수단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보조문 조립체(1000)의 파손시 교체의 필요성이나 보조문 조립체(1000)의 디자인을 바꿔보고자 할 경우 등을 감안하여 보조문 조립체(1000)를 용이하게 다시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감안할 때, 본 고안의 보조문 조립체(1000)는 양면 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미닫이문 등과 문틀에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문(200) 하측의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회전식 보조문 잠금장치(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문 잠금장치(300)는 도 5(A)와 같이 하향 회전된 때에는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보조문(200)을 개방하고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상기 보조문 잠금장치(300)가 도 5(B)와 같이 상향 회전되어 보조문(200) 하부와 맞물리게 된 때에는 보조문(200)의 개방이 방지되는데, 이는 반려동물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한편 바람 등 외력에 의해 불필요하게 보조문(20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보조문 잠금장치(300)의 전면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보조문 잠금장치(300)의 후면부 역시 전면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로써 보조문(200)을 양쪽에서 지지하여 개방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개방알림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개방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불럭도이다.
상기 보조문 조립체(1000)에는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축 센서(41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 센서(410)는 보조문(200)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290)의 회전방향과 기준각도(예를 들어, 보조문(200)이 폐쇄되어 수직상태일 때의 회전축 부재(290) 각도를 기준각도로 설정)로부터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회전축 부재(290)는 선택에 따라 보조문(2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또는 회전불가능하게 보조문(200)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회전축 부재(290)의 양단부는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또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 센서(4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 부재(290)가 보조문(200)에 대해서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보조문틀(100) 또는 하부 문틀(120)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축 센서(410)는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양단부 중 하나의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290)에서 측정된 회전축 부재(290)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에 관한 정보 또는 신호는 제어부(430)로 보내진다. 제어부(430)는 상기 보조문(200)이 개방된 때에 상기 회전축 센서(410)에서 발생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보조문(200)의 개방 방향과 개방 각도를 판단한다. 상기 보조문(200)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 이상으로 외측, 즉 베란다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외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여 알림송출부(450)로 전송한다. 상기 보조문(200)이 미리 설정된 제2 각도 이상으로 내측, 즉 실내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내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여 알림송출부(45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와 같게 설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측과 베란다측의 보조문(200) 양측 지면 높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반려동물이 통과하기 위한 일방향으로의 보조문(200) 개방각도는 타방향으로의 보조문(200) 개방각도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이다.
알림송출부(450)는 상기 제어부(430)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비프음 등의 청각적 신호 또는 LED 점등과 같은 시각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송출한다. 이때, 상기 외측개방 알림신호와 상기 내측개방 알림신호에 대한 상기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를 각각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가 보조문(200)이 외측으로 개방된 것인지 내측으로 개방된 것인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와 알림장치(450)는 모두 다 보조문 조립체(1000)의 어딘가에 부착될 수도 있고, 제어부(430)만 보조문 조립체(1000)에 위치되고 알림송출부(450)는 실내 어딘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알림송출부(450)가 제어부(430)와 이격되어 위치될 경우 알림송출부(450)와 제어부(430)간에는 신호 및/또는 전력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제어부(430)와 알림송출부(450) 모두가 실내 어딘가에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430)와 알림송출부(45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회전축 센서(410)에 제어부(430)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신호전송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상부 문틀(110) 및 하부 문틀(120)로 이루어지는 보조문틀(100)과 상기 하부 문틀(120)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열린 미닫이문 또는 미서기문과 문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하단 가운데 부분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절개된 결합절개부(11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절개부(111) 양측에 각각 측면하방연장부(113)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문틀(120)을 가공하고, 상단 가운데 부분에 상기 결합절개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21)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문틀(120)을 가공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하부 문틀(120)의 하부에 상기 하부 문틀을 관통하도록 보조문 절개부(150)를 형성한다(S120). 보조문 절개부(150)는 하부 문틀(120)의 좌우방향 가운데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좌우측 중 일측에 치우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문 조립체(1000)는 미닫이문 등의 개방된 틈새에 설치할 때에 보조문틀(100)의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미닫이문 등과 문틀의 면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보조문틀(100)의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가 문틀에 형성된 홈(미닫이문 등의 이동을 위해 문틀 상부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 또는 미닫이문 등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문틀 측면에 형성된 수납홈 등)에 삽입되어 보조문틀(100)의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 면이 문틀과 보다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하여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문틀의 홈 내측으로 삽입된 보조문틀(100)의 가장자리 일부 때문에, 가운데에 위치된 보조문(200)이 오히려 한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미리 보조문(200)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함으로써, 보조문 조립체(1000)의 설치완료 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문 절개부(150)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하부 문틀(120)에서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의 양 측면에 위치된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16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와 연통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형성한다(S130).
보조문 절개부(150) 및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가 구비된 하부 문틀(120) 및 상기 하부 문틀(1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문틀(110)의 형성 이후에 또는 이와 별개로,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보조문(200)을 형성한다(S140).
이어서 상기 보조문(2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 일측에, 회전축 부재(290)가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홈 형상으로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를 형성한다(S150).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상기 회전축 부재(290)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축 부재(290)가 삽입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 상기 보조문(200)의 전면 또는 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를 추가로 삽입하여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를 폐쇄시킨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 부재(290)는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S160).
상기 회전축 부재 고정부(220)와 상기 보조문(200)에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210)가 형성된 상기 전면 상부 일측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230)를 상기 보조문(200)에 부착한다(S170).
상기 보조문(200)을 상기 하부 문틀(120)의 상기 보조문 절개부(150)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양측 단부를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한다(S180).
상기 하부 문틀(120)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축 단부 고정부(165)를,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양측 단부가 삽입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를 덮도록 상기 하부 문틀(120)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 부재(290)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16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S190).
다음으로, 상기 보조문 조립체가 설치될 미닫이 또는 미서기문의 문틀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문틀(110)의 상단부를 일부 절단하여 제거한다(S200).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113)와 상기 결합돌출부(121)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문틀 회전축 부재(130)를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113) 및 상기 결합돌출부(121)에 삽입하여, 상기 상부 문틀(110)과 상기 하부 문틀(120)을 상기 문틀 회전축 부재(130)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보조문틀을 형성한다(S210).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1000)가 완성된다. 이어서 보조문 조립체(1000)의 설치에 필요한 양면테이프 부착 등의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0 : 보조문 조립체 100 : 보조문틀
110 : 상부 문틀 111 : 결합절개부
113 : 측면하방연장부 120 : 하부 문틀
121 : 결합돌출부 130 : 문틀 회전축 부재
133 : 문틀 회전축 결합공 150 : 보조문 절개부
160 :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 163 : 회전축 단부 삽입부
165 : 회전축 단부 고정부 167 :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
200 : 보조문 210 : 회전축 몸체 삽입부
220 : 회전축 부재 고정부 230 :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
290 : 회전축 부재 300 : 보조문 잠금장치
410 : 회전축 센서 430 : 제어부
450 : 알림송출부

Claims (3)

  1. 상부 문틀과 하부 문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열린 미닫이 또는 미서기문과 문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보조문틀;
    상기 하부 문틀 하부에 상기 하부 문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보조문 절개부;
    상기 보조문 절개부의 양 측면에 위치된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보조문 절개부와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회전축 부재;
    상기 회전축 부재가 상기 회전축 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몸체 삽입부가 상부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문 절개부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된 보조문;
    상기 회전축 부재가 삽입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부재를 고정시키되, 상기 보조문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회전축 부재 고정부;
    상기 보조문에서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문에 부착되되 상기 회전축 몸체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된 보조문 회전축 고정보강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 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 단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부재가 삽입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를 폐쇄하되, 상기 측면 보조문틀 테두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단부 삽입부 및 상기 회전축 단부 고정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사각 액자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문 절개부의 둘레 전체를 따라 상기 하부 문틀에 부착되는 회전축 단부 고정보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문틀과 하부 문틀은 문틀 회전축 부재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문틀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 문틀은 하단 가운데 부분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절개된 결합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절개부 양측에 각각 측면하방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 문틀은 상단 가운데 부분에 상기 결합절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와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양측 측면하방연장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 상기 문틀 회전축 부재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 센서;
    상기 보조문이 개방된 때에 상기 회전축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보조문의 개방 방향과 개방 각도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문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 이상으로 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외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보조문이 미리 설정된 제2 각도 이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개방된 때에는 내측개방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송출하되, 상기 외측개방 알림신호와 상기 내측개방 알림신호에 대한 상기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송출하는 알림송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KR2020170006030U 2017-11-24 2017-11-24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KR200486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30U KR200486208Y1 (ko) 2017-11-24 2017-11-24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30U KR200486208Y1 (ko) 2017-11-24 2017-11-24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08Y1 true KR200486208Y1 (ko) 2018-04-16

Family

ID=620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030U KR200486208Y1 (ko) 2017-11-24 2017-11-24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662B1 (ko) * 2019-08-23 2020-11-23 하나환경 수용함체를 이용한 가축 살처분 처리방법
KR102338623B1 (ko) 2021-03-17 2021-12-13 홍승표 문틀 설치형 반려동물 출입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645A (en) * 1973-09-12 1975-04-22 Robert C Porter Pet door device
JPH10280841A (ja) * 1997-04-03 1998-10-20 Nagasako:Kk 縦型ブラインド
JP2004239031A (ja) 2003-02-03 2004-08-26 Tsugio Inoue 襖、障子、引き戸用ペット出入り口
KR20070093334A (ko) * 2006-03-13 2007-09-18 디티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도어 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용 딜레이 장치, 딜레이 장치를 구비한 도어 클로저 및 딜레이 장치를 갖는 도어 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783650B1 (ko) * 2007-02-09 2007-12-07 이용호 도난기구 침투 방지를 위한 도어용 우유 투입구 개폐 장치
KR20140019568A (ko) * 2012-08-06 2014-02-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도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645A (en) * 1973-09-12 1975-04-22 Robert C Porter Pet door device
JPH10280841A (ja) * 1997-04-03 1998-10-20 Nagasako:Kk 縦型ブラインド
JP2004239031A (ja) 2003-02-03 2004-08-26 Tsugio Inoue 襖、障子、引き戸用ペット出入り口
KR20070093334A (ko) * 2006-03-13 2007-09-18 디티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도어 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용 딜레이 장치, 딜레이 장치를 구비한 도어 클로저 및 딜레이 장치를 갖는 도어 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783650B1 (ko) * 2007-02-09 2007-12-07 이용호 도난기구 침투 방지를 위한 도어용 우유 투입구 개폐 장치
KR20140019568A (ko) * 2012-08-06 2014-02-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도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662B1 (ko) * 2019-08-23 2020-11-23 하나환경 수용함체를 이용한 가축 살처분 처리방법
KR102338623B1 (ko) 2021-03-17 2021-12-13 홍승표 문틀 설치형 반려동물 출입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5019A1 (en) Door positioning system
KR200486208Y1 (ko) 반려동물 출입용 보조문 조립체
US7341020B2 (en) Animal housing structure and apparatus
US8069820B2 (en) Pet shelter construction
JP4837006B2 (ja) ペットのトイレ仕付け用サークル
US20060288644A1 (en) Automated shutter control
USD612717S1 (en) Security door brace
CA2165754A1 (en) Electro-mechanic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80087830A (ko) 반려동물 전용 출입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5346A (ko)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USD664717S1 (en) Barn-shaped cat house structure
KR20100072815A (ko) 방범 출입문
US2009018843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pet doors
JP2015113616A (ja) 住宅
JP3135222U (ja) ペット用ケージ
CA2103103C (en) Plastic sectional shelter
WO2022070984A1 (ja) 引戸装置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KR20170000995U (ko) 애완견용 하우스 조립체
KR20200060265A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JPH0617997Y2 (ja) 電動シヤツタ−の安全装置における送信器構造
JP3141059U (ja) ペット用自動ロック付きドア装置
CA2937661C (en) Mountable and ventilated doghouse
KR20160001510U (ko)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JP6479494B2 (ja) 猫用ケージ
CN219346882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