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42Y1 - 간이 가방 - Google Patents

간이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42Y1
KR200485342Y1 KR2020170002080U KR20170002080U KR200485342Y1 KR 200485342 Y1 KR200485342 Y1 KR 200485342Y1 KR 2020170002080 U KR2020170002080 U KR 2020170002080U KR 20170002080 U KR20170002080 U KR 20170002080U KR 200485342 Y1 KR200485342 Y1 KR 200485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portions
surface portion
main body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관
Original Assignee
권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관 filed Critical 권영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gusseted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부에 물건을 수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간이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상대적으로 물건의 하중에 적게 영향을 받는 좌우측면부에 형성하고, 접착부의 접착력을 견고하게 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해 본체가 뜯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면부, 전면부와 후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단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3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가 중첩되는 부위가 압착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형성되는 간이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가방{SIMPLE BAG}
본 고안은 수용부에 물건을 수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간이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상대적으로 물건의 하중에 적게 영향을 받는 좌우측면부에 형성하고, 접착부의 접착력을 견고하게 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해 본체가 뜯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면부, 전면부와 후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단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3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가 중첩되는 부위가 압착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형성되는 간이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백이라 불리는 간이 가방은, 종이 재질로 제작된 간이 가방, 종이의 겉면에 합성수지로 코팅된 재질로 제작된 간이 가방,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으로 제작된 간이 가방 등,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들 가운데 종이 재질의 쇼핑백은 일반 접착제로 각 면부를 본딩 접착하여 제작됨에 따라, 재질 및 접착의 특성 상 강도가 매우 약하여 파손되기 쉽고, 물에 젖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합성수지로 된 쇼핑백은, 합성수지를 한 겹으로 하여 형성한 것과 서로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를 합지하여 두 겹으로 형성한 것이 있는데, 한 겹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종이 재질에 비해 그 강도가 크게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두 겹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쇼핑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로 된 쇼핑백은, 양면테이프를 각 면부의 접착 부위에 붙여, 면부들이 상호 접착되도록 하여 제작되는데, 종이 재질보다 그 강도가 강하기는 하나, 제작이 불편하고, 접착 부위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쇼핑백을 제조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쇼핑백의 측면부와 저면부의 접착 부위를 열처리하여 접착하고 있으나, 두 겹의 합성수지로 된 쇼핑백은 내피와 외피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접착 부위에 열을 가하더라도 접착되지 않아, 제조공정의 자동화가 어려워 제작이 불편하다.
이로 인해 수작업으로 접착부위에 양면테이프를 붙여 각 면부를 접착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비싸며, 양면테이프 자체가 강력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착부위의 강도가 취약하여 쇼핑백이 뜯어지거나 터지는 등, 물건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쇼핑백을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쇼핑백들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것이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으로 제조되는 쇼핑백이 있다.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은, 재질 특성 상 종이나 합성수지보다 강도가 매우 강하고, 수분 등에 취약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다량의 쇼핑백을 생산하는데 공정이 많고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부직포나 펠트지 등을 이용한 쇼핑백은, 실로 재봉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9736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을 디귿자형으로 형성하는 전후면 부직포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전후면 부직포의 양측면을 좌우측면 부직포로 커버한 후, 이 좌우측면 부칙포를 전후면 부직포의 양측 테두리에 결합부재로 재봉하여,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를 제작한 후,
상기 전후면 부직포 각각의 상단 중앙에 반으로 접은 띠 형상의 손잡이를 결합하여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쇼핑백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일체로 된 전후면 부직포를 디귿자형으로 접은 후, 반으로 접은 전후면 부직포의 양측에 좌우측면 부직포를 댄 상태에서, 이 부위를 테두리 결합부재로 감싼 상태에서 재봉하여, 이들의 결합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쇼핑백 및 이를 위한 재봉 방법은, 일체로 된 전후면 부직포 양측에 좌우측면 부직포를 덧댄 상태에서 테두리 결합부재를 추가 덧댄 후 재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봉 공정이 복잡하고 소요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며,
특히 재봉실로 인해, 전후면 부직포와 좌우측면 부직포가 연결된 재봉 부위가 찢어지기 쉬운 구조여서, 사용되는 소재의 특성에 비해 사용기한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이 가방의 본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상대적으로 물건의 하중에 적게 영향을 받는 좌우측면부에 형성하고, 접착부의 접착력을 견고하게 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해 본체가 뜯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단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 제2 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부에 제3 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측면부가 중첩되는 연결 부위를 압착을 통해 결합하여, 본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형성되도록 한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제1 내지 제3 측면부의 접착 형태를 수직, 수평,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접착력을 보강하고, 특히 물건의 하중이나 부피가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접착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원단을, 저면부의 각 꼭짓점에서 외측 사선방향으로 재단하여, 제1, 제2 측면부에 하단 사선부를 형성하고, 제3 측면부의 좌우 측단에 상기 하단 사선부와 대응하는 측단 사선부를 형성하여, 제1, 제2 측면부의 측단들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직 접착부와, 하단 사선부와 접힌 상태의 측단 사선부와 제3 측면부가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사선 접착부 및 제1, 제2 측면부와 제3 측면부의 상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평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사선 접착부의 강도 보강 및 이를 이용해 본체를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단 사선부의 끝단이 내측으로 접히면서 다른 면부들과 중첩된 상태로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사선 접착부를 포함하는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 상단의 강도 보강 및 원단의 끝단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을 내측으로 접어서,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된 절첩부가 구비되어 있는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은,
저면부, 전면부와 후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단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3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가 중첩되는 부위가 압착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저면부의 각 꼭짓점에서, 외측 사선방향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각 하단 사선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 사선부와 대응하는 측단 사선부를 갖는 접힘부가 상기 제3 측면부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단과,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직 접착부와,
상기 하단 사선부와, 상기 제3 측면부로 접혀진 상태의 상기 측단 사선부와, 상기 제3 측면부가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사선 접착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의 상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평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에서,
상기 사선 접착부는, 상기 하단 사선부의 끝단이 내측으로 접히면서 다른 면부들과 중첩된 상태로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의, 각 상단을 내측으로 접어서,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된 절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은, 간이 가방의 본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상대적으로 물건의 하중에 적게 영향을 받는 좌우측면부에 형성하고, 접착부의 접착력을 견고하게 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해 본체가 뜯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측면부의 접착 형태를 수직, 수평,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접착력을 보강하고, 특히 물건의 하중이나 부피가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접착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본체를 쉽게 접어서 보관 가능함과 동시에, 접힘 구조로 인해 파손되기 쉬운 사선 접착부의 강도를 추가적으로 보강함과 아울러, 원단의 끝단 마감 처리를 깔끔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 샘플 내부를 촬영한 사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전면부(13)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우상측 및 우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들인 도 1, 본 고안의 원단을 접착 전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인 도 2 및 본 고안에 따른 샘플 내부를 촬영한 사진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은 크게,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0S)를 구비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F)을 이용해 제작되는 것으로,
저면부(11), 전면부(13)와 후면부(15),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F)을 상부가 개구된 박스 모양으로 접어서 형성된다.
이러한 원단(F)은 겉면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원단(F)은,
사각 형상의 저면부(11),
상기 저면부(11)의 사변 중, 서로 대향하는 전후 측변에서 각각 전, 후방으로 연장 연결된 전면부(13)와 후면부(15),
상기 전면부(13)와 후면부(15)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측면부(14)와 제2 측면부(16),
그리고 상기 저면부(11)의 사변 중, 서로 대향하는 좌우 측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3 측면부(12)를 갖도록 재단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저면부(11), 전, 후면부(13)(15), 측면부(12, 15, 16)들이 일체로 형성된 원단(F)을, 저면부(11)를 기준으로 박스 모양으로 접으면,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가 전, 후면부(13)(15)의 양측을 커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가 중첩된 부위를 압착을 통해 결합하면, 본체(10)의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분리된 면부를 연결하는 접착부위는, 상대적으로 물건의 하중 영향을 덜 받으면서 물건의 부피에 따라 가변 가능한 형태의 좌, 우측면부(18) 상에 위치하게 되고,
특히 종래기술과 같은 재봉 형태가 아닌, 압착을 통해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가 접착됨에 따라 보다 강한 접착력을 기반으로 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착이란,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F)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열접착, 고주파 융착, 초음파 접합 등이 있다(생산성과 단가경쟁력, 부직포 소재 등 합성수지 소재의 접합특성을 고려하여 초음파 접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압착의 하위 개념으로 부착, 접착, 융착, 접합, 접착을 혼용하여 사용하며, 모두 재봉 방식의 결합과 구별되는 용어이다).
이때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 즉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가 모두 중첩되는 좌, 우측면부(17)(18)의 하부를 수직, 수평, 사선 방향으로 접착시켜, 접착부의 중첩 및 형태를 이용해 접착력을 더욱 강하게 보강하여 본체(10)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원단(F)은, 상기 저면부(11)의 각 꼭짓점에서, 외측 사선방향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의 각 하단 사선부(14A)(16A)가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와 대응하는 측단 사선부(12a)를 갖는 접힘부(12A)가 상기 제3 측면부(12)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제3 측면부(12)의 접힘부(12A)는 특히 전·후면부(13,15)와 저면부(11)의 각 경계선 상의의 접이선과 일직선 상의 접이선이 아니라 내측으로 더 들어 가 어긋난 접이선(12f)(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접히게 되어,
도 3의 도면 대용 사진에서와 같이 우측면부(18)(또는 좌측면부(17))의 제3측면부(12)와 전면부(13)(또는 후면부(15)) 사이에는 여유부(18s)가 형성되어 가방을 납작하게 접은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측면부(17,18)와 전·후면부(13,15) 사이에 제3측면부(12) 단부가 끼여서 두터워 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단 사선부(14A)(16A)와 측단 사선부(12a)를 갖도록,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를 재단하고,
양측 측단 사선부(12a)를 제3 측면부(12)의 외측(즉 제3 측면부(12)의 겉면)으로 접어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제1, 제2 측면부(14)(16)를 접어서 중첩시키고,
각 측면부(12, 15, 16)들이 중첩된 부위를 그 형태에 맞게 압착하게 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에는 각각,
상기 제1 측면부(14)의 측단과, 상기 제2 측면부(16)의 측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직 접착부(19a)와,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와, 상기 제3 측면부(12)로 접혀진 상태의 상기 측단 사선부(12a)와, 상기 제3 측면부(12)가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사선 접착부(19b)와,
상기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와, 상기 제3 측면부(12)의 상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평 접착부(19c)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직 접착부(19a), 사선 접착부(19b), 수평 접착부(19c)가 유사 '大'자 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측면부(12, 15, 16)가 서로 견고하게 중첩된 상태에서 접착되도록 하며, 접힘부(12A)를 이용한 두께 보강, 사선 접착부(19b)와 수평 접착부(19c)를 통한 접힘부(12A)의 고정 및 3 중 접착에 따른 접착력 보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A]의 상측 일점쇄선 원 내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평면도와 같이, 상기 수직 접착부(19a)는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의 각 중첩부(14W,16W))를 초음파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접합부(W)를 형성함에 있어, 내측에 위치한 중첩부 중 하나, 특히 제1 측면부(14)의 중첩부(14W)는 제2 측면부(16)의 중첩부(16W)와 겹치는 부분 외에 접합되지 않는 날개부(14w)를 가져 외부에서 관찰할 경우 수직 접착부(19a)의 폭을 최소화하여 깔끔함을 유지하면서도 ,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며 생산성 형상에 일조하도록 하는 방안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접착부(19a, 19b, 19c)들,
특히 수직 접착부(19a)와 양 사선 접착부(19b)는, 좌, 우측면부(17, 18)의 접힘선 기능을 하게 되어, 종이나 합성수지와 다른 원단(F) 소재의 본체(10)를 보다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접착부(19c)는, 중첩된 제3 측면부(12)와 측단 사선부(12a)의 상단을 접착시켜 상호 분리된 형태의 끝단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선 접착부(19b)는,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의 끝단(14a)(16a)이 내측으로 접히면서 다른 면부들과 중첩된 상태로 압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사선 접착부(19b)의 두께 보강 및 측면부(12, 15, 16)들의 접착이 4 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하단 사선부(14A)(16A)의 끝단(14a)(16a)을 내측으로 접어서 사선 접착부(19b)를 압착하면, 본체(10) 외면에 노출되는 하단 사선부(14A)(16A)의 끝단(14a)(16a)을 자연스럽고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면부(13), 상기 후면부(15), 상기 좌측면부(17), 상기 우측면부(18)의, 각 상단을 내측으로 접어서,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상단 접착부(12a)로 형성되는 절첩부(10A)가 구비된다.
이러한 절첩부(10A)는, 본체(10)의 끝단부를 마감 처리함과 동시에, 두께 보강을 통해 본체(10)의 상단이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19a, 19b, 19c)들은, 각각 중첩되는 면부의 개수나 중첩되는 면적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평 접착부(19c)와 상단 접착부(12a)는 1열로 형성하고, 상기 사선 접착부(19b)는 2열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 접착부(19a)는 3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본체(10)를 사용자가 잡고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간이 가방에 마련된 손잡이와 이의 연결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소재의 통일 및 자동화된 압착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손잡이(20)를,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부직포나 펠트지와 같은 원단을 반원형의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형성하고,
손잡이(20)의 양 끝단을 상기 절첩부(10A) 중앙에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중첩한 상태에서,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되는 손잡이 접착부(21)를 형성하여,
본체(10)와 손잡이(2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접착부(21)는, 손잡이(20)와 절첩부(10A)가 중첩되는 면적 내에서 압착된, 'ㅁ'자 형 테두리 접착부와, 테두리 접착부 내에서 사선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압착된 'X' 자형 접착부로 구성하여, 본체(10)와 손잡이(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본 고안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좌, 우측면부(17)(18), 보다 엄밀하게는 좌, 우측면부(17)(18)에서 각 접착부(19a, 19b, 19c)가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본체(10)를 접어서 보관할 때 이를 보조하는 접이부재(30)를 더 포함한다.
도 4의 [A] 우측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부재(30)는 하나의 회전축(31)을 공유하여 내,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이판(32)과 제2 접이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 접이판(32)(33)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접이판(32)이 N극의 자석이면, 제2 접이판(33)은 S극의 자석이 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제2 접이판(32)(33)이, 흡사 경첩 구조의 형태로 회전축(31)에 축 결합되면,
제1, 제2 접이판(32)(33)의 양면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제2 접이판(32)(33)들이 회전축(31)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으로 인해 접이판(32)(33)들이 밀착하여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이부재(30)를 좌, 우측면부(17)(18)의 접착부 교차점에 구비하게 되면, 본체(10)를 접을 때 좌, 우측면부(17)(18)의 접힘 방향에 상관없이 제1, 제2 측면부(14)(16)가 접이부재(30)에 의해 고정되면서 전면부(13)와 후면부(15)를 밀착시켜 간이 가방의 보관이 편리해질 수 있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면부(17)(18)가 수용부(10S) 내측으로 접히도록(즉 제1, 제2 측면부(14)(16)가 전, 후면부(13)(15) 안쪽으로 접히도록) 본체(10)를 접게 되면, 좌측 단면도(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 접이판(32)(33)과 회전축(31)의 두께를 과장하여 두껍게 도시하였음.)와 같이, 제1, 제2 접이판(32)(33)이 회전축(31)을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여 자성을 통해 부착되어, 좌, 우측면부(17)(18)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면부(17)(18)가 수용부(10S) 외측으로 접히도록(즉 제1, 제2 측면부(14)(16)가 전, 후면부(13)(15) 밖으로 접히도록) 본체(10)를 접게 되면, 우측 단면도(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 접이판(32)(33)과 회전축(31)의 두께를 과장하여 두껍게 도시하였음.)와 같이, 제1, 제2 접이판(32)(33)이 회전축(31)을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면서 자성을 통해 제1, 제2 측면부(14)(16)를 눌러, 좌, 우측면부(17)(18)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간이 가방을 접은 상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으면서 내, 외측으로 회동하는 접이판(32)(33)들로 이루어진 접이부재(30)를 구비하게 되면, 수용부(10S)의 물건 부피에 따라 좌, 우측면부(17)(18)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어, 물건을 고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부재(30)는, 리벳이나 암수 결합부재 또는 압착이나 본딩 접착 등을 통해, 각 접이판(32)(33)이 좌, 우측면부(17)(18)에 결합되며, 수직 접착선(19a)을 따라 복수개의 접이부재(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손잡이(20)가 구비된 본체(10)를 대표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손잡이(20)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간이 가방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 원단
10 : 본체 10S : 수용부
10A : 절첩부 10a : 상단 접착부
11 : 저면부 12 : 제3 측면부
12A : 접힘부 12a : 측단 사선부
13 : 전면부 14 : 제1 측면부
15 : 후면부 16 : 제2 측면부
14A, 16A : 하단 사선부 14a, 16a : 하단 사선부의 끝단
17 : 좌측면부 18 : 우측면부
19a : 수직 접착부 19b : 사선 접착부
19c : 수평 접착부 20 : 손잡이
21 : 손잡이 접착부 30 : 접이부재
31 : 회전축 32, 33 : 접이판

Claims (4)

  1. 저면부(11), 전면부(13)와 후면부(15),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F)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0S)가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단(F)은,
    상기 전면부(13)와 상기 후면부(15)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측면부(14)와 제2 측면부(16),
    그리고 상기 저면부(11)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3 측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와 상기 제3 측면부(12)가 중첩되는 부위가 압착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F)은, 상기 저면부(11)의 각 꼭짓점에서, 외측 사선방향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의 각 하단 사선부(14A)(16A)가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와 대응하는 측단 사선부(12a)를 갖는 접힘부(12A)가 상기 제3 측면부(12)의 좌우측으로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고,
    양측 측단 사선부(12a)를 제3 측면부(12)의 외측으로 접어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제1, 제2 측면부(14)(16)를 접어서 중첩시키고,
    각 측면부(12, 15, 16)들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상기 본체(10)의 좌측면부(17)와 우측면부(18)에는 각각,
    상기 제1 측면부(14)의 측단과, 상기 제2 측면부(16)의 측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직 접착부(19a)와,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와, 상기 제3 측면부(12)로 접혀진 상태의 상기 측단 사선부(12a)와, 상기 제3 측면부(12)가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사선 접착부(19b)와,
    상기 제1 측면부(14)와, 상기 제2 측면부(16)와, 상기 제3 측면부(12)의 상단이 중첩된 부위를 압착한 수평 접착부(19c)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접착부(19a), 사선 접착부(19b), 수평 접착부(19c)가 유사 '大'자 형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사선 접착부(19b)는, 상기 하단 사선부(14A)(16A)의 끝단이 내측으로 접히면서 다른 면부들과 중첩된 상태로 압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측면부(12)의 접힘부(12A)는, 전·후면부(15)(13,15)와 저면부(11)의 각 경계선 상의 접이선과 일직선 상의 접이선이 아닌 내측으로 더 들어가 어긋난 접이선(12f)을 기준으로 접히게 되어,
    우측면부(18)의 제3 측면부(12)와 전면부(13) 사이 및 좌측면부(17)의 제3 측면부(12)와, 전면부(13) 또는 후면부(15) 사이에는, 여유부(18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접착부(19a)는 제1 측면부(14)와 제2 측면부(16)의 각 중첩부(14W,16W))를 접합하여 접합부(W)를 형성함에 있어,
    내측에 위치한 제1 측면부(14)의 중첩부(14W)는 제2 측면부(16)의 중첩부(16W)와 겹치는 부분 외에 접합되지 않는 날개부(14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좌, 우측면부(17)(18)에서 각 접착부(19a, 19b, 19c)가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본체(10)를 접어서 보관할 때 이를 보조하는 접이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부재(30)는 하나의 회전축(31)을 공유하여 내,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이판(32)과 제2 접이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 접이판(32)(33)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가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면부(13), 상기 후면부(15), 상기 좌측면부(17), 상기 우측면부(18)의, 각 상단을 내측으로 접어서, 중첩된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된 절첩부(10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가방.
KR2020170002080U 2016-08-24 2017-04-25 간이 가방 KR2004853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33 2016-08-24
KR20160004933 2016-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42Y1 true KR200485342Y1 (ko) 2017-12-27

Family

ID=6125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80U KR200485342Y1 (ko) 2016-08-24 2017-04-25 간이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1480A1 (en) * 2019-08-04 2021-02-04 New York Packaging Ii Reusable bag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20210120926A1 (en) * 2019-10-29 2021-04-29 New York Packaging Ii Collapsible reusable bag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296A (ja) * 1997-01-10 1998-07-28 Sanai Pack Kk 簡易手下げ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3065443U (ja) * 1999-07-02 2000-02-02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296A (ja) * 1997-01-10 1998-07-28 Sanai Pack Kk 簡易手下げ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3065443U (ja) * 1999-07-02 2000-02-02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包装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1480A1 (en) * 2019-08-04 2021-02-04 New York Packaging Ii Reusable bag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20210120926A1 (en) * 2019-10-29 2021-04-29 New York Packaging Ii Collapsible reusable bag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43784U (zh) 一种行李箱物品
US20110163100A1 (en) Package
KR200485342Y1 (ko) 간이 가방
WO2017008599A1 (zh) 一种无纺布立体袋及加工方法
JP5241206B2 (ja) 包装用袋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199105U (zh) 折叠式快递盒
CA3051190A1 (en) Reinforcing member for a bag
CN212878055U (zh) 一种pvc手提袋
JPH0345607Y2 (ko)
CN210300225U (zh) 皮篮
CN208499279U (zh) 一种包装盒
JP3099848U (ja) 年金書類収納体
JPS6230973Y2 (ko)
JPH074637Y2 (ja) 放射線遮蔽用マット構造物
JPH024901Y2 (ko)
CN209455191U (zh) 内接合边可防水的纸杯以及用以制成该纸杯的杯身的纸材
JP6683764B2 (ja) ランドセル
KR20170003251U (ko) 휴대용 백
JPH08266Y2 (ja) 手提袋
JP2002002730A (ja) 収納袋
JPS637058Y2 (ko)
JP3062314U (ja) 包装用袋
JPH0523053Y2 (ko)
JP3074333U (ja) 封筒袋
KR20140004557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