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35Y1 -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135Y1
KR200485135Y1 KR2020170001007U KR20170001007U KR200485135Y1 KR 200485135 Y1 KR200485135 Y1 KR 200485135Y1 KR 2020170001007 U KR2020170001007 U KR 2020170001007U KR 20170001007 U KR20170001007 U KR 20170001007U KR 200485135 Y1 KR200485135 Y1 KR 200485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mobile device
rear cover
assembl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임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열 filed Critical 임채열
Priority to KR2020170001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커버가 안착되는 조립지그에 노출공이 형성된 탭지그를 구비하고, 이 노출공에 접착부재 및 모바일기기 바디를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스탬프지그로 가압력을 가해 고정함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 결합 시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MANUFACTURING JIG ASSEMBLY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커버가 안착되는 조립지그에 노출공이 형성된 탭지그를 구비하고, 이 노출공에 접착부재 및 모바일기기 바디를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스탬프지그로 가압력을 가해 고정함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 결합 시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피씨와 같은 모바일기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래에는 베터리 일체형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가 조립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신품 조립 또는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하여 분리한 경우의 재조립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48867호 『휴대폰 조립용 지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본체 고정돌기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지그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상부의 본체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본체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내부에 조립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다단을 이루며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매립된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 상부에 탈착 고정되고, 조립부품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간부가 지그 본체의 수용부에 대응되게 조립공간부가 상하로 다단을 이루어 타공되고, 상기 조립공간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 고정공이 구비되며, 상기 조립공간부 둘레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매립된 덮개로 구성된 휴대폰 조립용 지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하나의 지그 받침대에 다양한 형상의 본체 및 덮개를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나, 모바일기기를 조립함에 있어, 접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부재가 조립 시 움직일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에 차이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커버가 안착되는 조립지그에, 노출공이 형성된 탭지그를 구비하고, 이 노출공에 투입되는 스탬프지그를 구비함으로서 리어커버에 1차적으로 접착부재를 부착하여 스탬프지그로 가압하여 접착력을 확보하고, 2차적으로 모바일기기의 바디를 투입하여 스탬프지그로 가압함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접착결합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립지그에 가이드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에 접착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접착부재가 조립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지그와 탭지그에는 각각 정위치고정돌기와 정위치고정홈이 서로 대향되게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는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가 구비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조립지그;
상기 조립지그 상부에 결합되고, 모바일기기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된 탭지그;
상기 노출공에 투입되어 상기 리어커버에 부착되는 접착부재 또는 상기 노출공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 스탬프지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는
리어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조립지그와, 이 조립지그에 정위치결합되는 탭지그를 구비하고, 탭지그 중앙에 구비된 노출공을 통해 리어커버에 부착되는 접착부재 및 모바일기기 바디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서, 접착부재와 바디가 리어커버에 정위치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조립지그에는 접착부재가 고정되는 가이드핀을 더 구비함으로서, 접착부재가 가압 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리어커버에 정위치 부착될 수 있게 하며,
조립지그와 탭지그에 정위치고정돌기와 정위치고정홈을 더 구비하여 탭지그 또한 조립지그에 정위치고정함에 따라 조립공정 도중에 각각의 구성이 흔들리지 않아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가이드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방법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방법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분리방법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분리방법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M)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D)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지그(D10)와, 상기 조립지그(D10)에 탈착 결합되는 탭지그(D20) 및 상기 탭지그(D20)에 형성된 노출공(D21)에 투입되는 스탬프지그(D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조립지그(D10)는 모바일기기(M), 특히 조립을 위한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안착되는 안착면(D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지그(D10) 상부에 탭지그(D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D11)은 상기 조립지그(D10)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조립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리어커버(M1)가 흔들림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지그(D10)의 상부에는 탭지그(D20)가 체결되게 되는데, 이 탭지그(D20)는 중앙에 노출공(D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출공(D21)의 크기는 후술하는 스탬프지그(D3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출공(D21)의 크기는 조립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M)의 크기와도 동일하게 이루어져, 모바일기기(M), 특히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상기 노출공(D21)에 삽입되는 경우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안착면(D11)에 위치하는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정위치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탭지그(D20)를 조립지그(D10) 상부에 체결함에 있어, 상기 조립지그(D10)와 탭지그(D20)가 서로 정위치결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지그(D10)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정위치고정돌기(D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탭지그(D20)의 하면, 즉 상기 조립지그(D10)와 맞닿는 면에는 상기 정위치고정돌기(D13)에 대응하는 정위치고정홈(D23)이 형성되어 상기 탭지그(D20)를 조립지그(D10)에 안착시키면 자연스럽게 탭지그(D20)와 조립지그(D10)가 정위치 결합되어 상기 안착면(D11)과 노출공(D21)이 오차 없이 대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탭지그(D20)의 노출공(D21) 주변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투입될 수 있는 확장공(D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확장공(D211)의 크기 및 모양응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바디(M2)는 서로 접착부재(M3)를 통해 접착 및 밀봉되는 바, 리어커버(M1)를 안착면(D11)에 놓은 후 먼저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부착시켜 다음 공정에서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상기 접착부재(M3)의 다른 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삐뚤어지지 않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부재(M3)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지그(D10)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D14)이 구비되어, 리어커버(M1)를 안착부에 놓은 후, 상기 가이드핀(D14)에 접착부재(M3)를 결합시키면, 후술하는 스탭프지그에 의해 가압이 발생하여도, 상기 접착부재(M3)가 틀어지지 않고,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핀(D14)은 복수개의 제1 고정핀(D141)과 제2 고정핀(D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핀(D142)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D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립지그(D10) 내부로 함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1 고정핀(D141)은 상기 접착부재(M3)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고정핀(D142)은 상기 리어커버(M1)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고정핀(D142)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리어커버(M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핀(D142) 중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핀(D142)은 모바일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모바일기기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단자 위치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놓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착부재(M3)가 부착된 리어커버(M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부착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를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스탬프지그(D30)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탬프지그(D30)는 상기 노출공(D21)에 투입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 또는 접착부재(M3)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D31)와, 상기 가압부(D31) 상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핸들링 할 수 있는 손잡이부(D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부(D31)는 상기 노출공(D21)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D21)과 동일한 크기(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부착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접착부재(M3)가 부착된 리어커버(M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부착하는 경우, 상기 스탬프지그(D30)를 상기 노출공(D21) 상부에서 관통하여 작업자가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D31)가 상기 접착부재(M3) 또는 바디(M2)를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리어커버 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핀(D14)에 의해 상기 바디를 올려놓으면, 상기 바디와 리어커버는 상기 가이드핀(D14),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고정핀(D142)에 의하여 이격되도록 놓여지며, 이렇게 이격된 바디를 스탬프지그를 통해 가압하면, 상기 제2 고정핀(D142)이 함몰되어 바디와 접착부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리어커버를 흔들림없이 잡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바디 또한 정위치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탬프지그(D30), 노출공(D21) 및 안착면(D11)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구성품을 올려놓아도 흔들림없이 고정이 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정을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새로 조립 또는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분리한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M)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데,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안착단계(D100), 제1 고정단계(D200), 제1 결합단계(D300), 제1 부착단계(D400), 제2 결합단계(D500), 제2 고정단계(D600) 및 제2 부착단계(D700)로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안착단계(D100)는 모바일기기(M)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D)의 조립지그(D10)에 리어커버(M1)를 안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조립지그(D10)에 구비되는 안착면(D11)에 상기 리어커버(M1)를 올려놓는 단계를 말한다.
이렇게 리어커버(M1)가 놓여지면, 제1 고정단계(D200)를 통하여 상기 리어커버(M1)에 접착부재(M3)를 부착시키기 위한 사전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접착부재(M3)는 양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된 것으로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일면만 상기 접착성분을 보호하기 위해 가접된 비접착면(M31)을 벗긴 후, 이 부분이 상기 리어커버(M1)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조립지그(D10)에 올려놓게 된다.
또한 보다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M3)에는 가이드공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이 상기 조립부재에 구비되는 가이드핀(D14)에 체결됨에 따라 접착부재(M3)가 정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재(M3)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커팅이 이루어지며, 리어커버(M1)에 접합되지 않는 외각부분에 상기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접착부재(M3)를 올려놓은 후, 상기 조립지그(D10) 상부에 탭지그(D20)를 고정하는 제1 결합단계(D300)를 거치고, 이후 제1 부착단계(D400)를 통하여 상기 스탬프지그(D30)를 노출공(D21)을 통하여 하부방향(리어커버(M1)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착부재(M3)와 리어커버(M1)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접착부재(M3)가 리어커버(M1)에 부착이 완료되면, 다시 제2 결합단계(D500)를 거치게 되는데, 이 제2 결합단계(D500)는 먼저 결합된 스탬프지그(D30)와 탭지그(D20)를 제거하고, 리어커버(M1)에 부착된 접착부재(M3)의 반대쪽면의 비접착면(M31)을 제거하고, 탭지그(D20)를 다시 조립지그(D10)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렇게 탭지그(D20)가 결합되면, 노출공(D2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투입시키는 제2 고정단계(D600)를 통하여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정위치고정시킨 후, 제2 부착단계(D700)를 통해 스탬프지그(D30)를 노출공(D21)을 관통하여 다시 한번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D31)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가압함으로서, 모바일기기(M)와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출공(D21)에 구비되는 확장공(D211)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노출공(D21)에 삽입 또는 부착 완료된 모바일기기(M)를 노출공(D21)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손가락이 투입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0 및 도 11은 이러한 모바일기기(M) 조립공정에 있어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를 결합한 후, 압착 및 가열을 통해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가열장치(F)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장치(F)는 가열본체(F10)와, 모바일기기(M)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가열본체(F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압착지그(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열본체(F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설정부(F11)를 통하여 가열본체(F10)와 압착지그(F20) 사이에 구비되는 가열부(F13)를 예열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가열부(F13)를 잡아당겨 압착지그(F20)에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상기 압착지그(F20)의 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고, 다시 가열부(F13)를 밀어넣은 후 설정부(F11)를 통해 상기 압착지그(F20)를 하강시키면, 압착지그(F20)에 조립된 모바일기기(M)의 압착 및 가열이 완료되고, 이를 통하여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방수 및 방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조립공정은 모바일기기의 신품 조립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고장에 따른 수리를 위해 모바일기기를 분리한 경우에, 다시 재조립공정에 사용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장-수리에 따른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하기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분리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는 하우징(B10)과, 이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홀딩유닛(B20) 및 압착유닛(B30), 그리고 히팅부재(B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하우징(B10)은 모바일기기(M)가 놓여질 수 있는 안착부(B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B16)에 히팅부재(B14)가 구비되어 하우징(B10)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M)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B10)의 전면에는 제어부(B11)가 구비되어, 가열온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B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B10)에는 안착부(B16)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유닛(B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홀딩유닛(B20)은 상기 하우징(B10)의 일측에 제1 힌지결합부(B21)를 형성하여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유닛(B20)에는 모바일기기(M)의 측면을 고정하는 제1 홀더(B23)와 제2 홀더(B2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홀더(B23)에는 제1 고정볼트(B26)가 구비되어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제2 홀더(B24)로부터 제1 홀더(B23)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홀더(B23)는 제2 홀더(B24)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홀더(B23)와 제2 홀더(B2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안착공(B27)의 크기를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홀더(B23) 또는 제2 홀더(B24)에는 각각 복수개의 유격홈(B221)이 더 구비되어, 모바일기기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M)는 리어커버(M1) 부분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뒤집힌 상태로 안착부(B16)에 놓여진다.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홀딩유닛(B20)을 통해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면, 상기 하우징(B10)의 타측에 제2 힌지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압착유닛(B30)을 상기 제2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여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착유닛(B30)은 상기 하우징(B10)의 타측에 제2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힌지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압착유닛(B30)의 중앙에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착유닛(B30)에는 모바일기기(M)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안착공(B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착공(B34)에는 상기 제2 안착공(B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안착공(B34)의 주변에는 이동공(B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이동공(B341)에 제2 고정볼트(B36)가 구비되고, 제2 고정볼트(B36)가 상기 이동공(B341)을 관통하여 압착부재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B30)을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시킨 후 제2 고정볼트(B36)를 조정하여 상기 안착부(B16)재가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에 맞게 위치이동시킨 후 고정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착유닛(B30)은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주압착가이드(B30-1)와,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압착가이드(B3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보조압착가이드(B30-2)에 상기 압착부재(B33)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압착부재(B33)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압착가이드(B30-2)는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를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로 힌지운동 시킨 후, 상기 보조압착가이드(B30-2)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여 모바일기기에 맞게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후에 상기 압착부재(B33)를 상하로 이동하여 모바일기기에 상기 압착부재가 정위치 할 수 있도록 조정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압착부재는 흡착판(B331)과, 이 흡착판(B331)을 동작하는 흡착노브(B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흡착을 위하여 상기 압착유닛(B30)의 타측에는 핸들부재(B3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핸들부재(B37)는 상기 압착유닛(B30)을 상기 홀딩유닛(B20) 및 하우징(B10)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압착유닛(B30)의 압착부재가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하면, 상기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히팅부재(B14)를 동작하여 모바일기기(M)로 열을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열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 사이의 접착부재(M3)를 녹여 접착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앞서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는 방식의 역순으로, 먼저 상기 압착유닛(B30)을 들면 압착유닛(B30)에 구비되는 압착부재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게 되며, 이로서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리어커버(M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를 이용한 리어커버(M1) 분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각 단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각 단계는 밀착단계(B100), 고정단계(B200), 압착단계(B300), 가열단계(B400) 및 분리단계(B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밀착단계(B100)는 상기 모바일기기(M)를 히팅부재(B14)에 밀착되도록 안착부(B16)에 밀착시키는 단계로,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뒤집어서 모바일기기(M)를 안착부(B16)에 올려놓는 단계를 말한다.
그 후 상기 고정단계(B20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M)를 안착부(B16)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우징(B10)의 홀딩유닛(B20)을 힌지운동시키고, 제1 안착공(B27)에 모바일기기(M)가 꽉 끼워지도록 제1 홀더(B23)를 제1 고정볼트(B26)를 통해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렇게 안착부(B16)에 모바일기기(M)기가 고정되면, 다시 압착단계(B30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시키게 된다.
이 압착단계(B300)는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유닛(B3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유닛(B30)을 힌지운동하여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시키고, 압착유닛(B30)에 구비되는 압착부재를 모바일기기(M)에 맞게 위치를 조정한 후, 압착노브를 통해 압착판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다음 가열단계(B400)를 통해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바디(M2)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데, 그 전에 보다 작업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판이 리어커버(M1)를 정확하게 흡착하였는지 압착유닛(B30)을 살짝 들어올려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시 압착유닛(B30)이 리어커버(M1)를 완벽하게 흡착한 경우에, 상기 핸들부재(B37)를 통해 상기 압착유닛(B30)을 고정하고,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제어판을 동작하여, 하우징(B10)의 히팅부재(B14)가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히팅부재(B14)의 열이 완전히 전달 완료되면, 상기 핸들부재(B37)를 회전시켜, 리어커버(M1)가 모바일기기(M)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기 압착유닛(B30)을 점차적으로 들어올린 후, 분리가 완료되면 압착유닛(B30)을 회전시켜 리어커버(M1)를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B500)를 거치게 된다.
이렇게 분리단계(B500)가 완료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커버(M1)는 상기 압착유닛(B30)에 고정되게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는 안착부(B16)에 위치함으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이들을 각각 분리하여 부품교체 또는 고장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M : 모바일기기
M1 : 리어커버 M2 : 바디
M3 : 접착부재 M31 : 비접착면
D10 : 조립지그 D11 : 안착면
D13 : 정위치고정돌기 D14 : 가이드핀
D141 : 제1 고정핀 D142 : 제2 고정핀
D143 : 탄성부재
D20 : 탭지그 D21 : 노출공
D211 : 확장공 D23 : 정위치고정홈
D30 : 스탬프지그 D31 : 가압부
D33 : 손잡이부 D100 : 안착단계
D200 : 제1 고정단계 D300 : 제1 결합단계
D400 : 제1 부착단계 D500 : 제2 결합단계
D600 : 제2 고정단계 D700 : 제2 부착단계
F : 가열장치 F10 : 가열본체
F11 : 설정부 F13 : 가열부
F20 : 압착지그
B :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M : 모바일기기 M1 : 리어커버
M2 : 바디 M3 : 접착부재
M31 : 비접착면
B10 : 하우징 B11 : 제어부
B13 : 디스플레이부 B14 : 히팅부재
B16 : 안착부 B20 : 홀딩유닛
B21 : 제1 힌지결합부 B221 : 유격홈
B23 : 제1 홀더
B24 : 제2 홀더 B26 : 제1 고정볼트
B27 : 제1 안착공 B30 : 압착유닛
B30-1 : 주압착가이드 B30-2 : 보조압착가이드
B31 : 제2 힌지결합부 B33 : 압착부재
B331 : 흡착판 B332 : 흡착노브
B34 : 제2 안착공 B341 : 이동공
B36 : 제2 고정볼트 B37 : 핸들부재
B100 : 밀착단계 B200 : 고정단계
B300 : 압착단계 B400 : 가열단계
B500 : 분리단계

Claims (4)

  1.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구비되는 안착면(D11)이 형성된 조립지그(D10);
    상기 조립지그(D10) 상부에 결합되고, 모바일기기가 노출되는 노출공(D21)이 형성된 탭지그(D20);
    상기 노출공(D21)에 투입되어 상기 리어커버(M1)에 부착되는 접착부재(M3) 또는 상기 노출공(D21)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D31)가 형성된 스탬프지그(D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지그(D10)에는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가이드핀(D14)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핀(D14)은
    상기 접착부재(M3)가 고정되며 상기 안착면(D11)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 고정핀(D141)과, 상기 안착면(D11)에 놓여지는 리어커버(M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면(D11)의 테두리 부분에 상향돌출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 고정핀(D14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고정핀(D141)은
    상기 접착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제2 고정핀(D142)에는 탄성부재(D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리어커버(M1)에 모바일기기 바디를 올리면 상기 제2 고정핀(D142)에 의해 리어커버(M1)와 바디(M2)가 이격되고,
    상기 스탬프지그(D30)로 상기 바디(M2)를 가압하면, 상기 제2 고정핀(D142)이 함몰되어 바디(M2)가 리어커버(M1)에 밀착되되,
    상기 제2 고정핀(D142) 중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제2 고정핀(D142)는 모바일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D10)에는 복수개의 정위치고정돌기(D13)가 구비되고, 상기 탭지그(D20)에는 상기 정위치고정돌기(D13)가 내삽되는 정위치고정홈(D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지그(D20)의 노출공(D21) 주변에는 확장공(D211)이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4. 삭제
KR2020170001007U 2017-03-03 2017-03-03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KR200485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07U KR200485135Y1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07U KR200485135Y1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35Y1 true KR200485135Y1 (ko) 2017-12-28

Family

ID=6125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07U KR200485135Y1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1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95U (ko) * 2018-03-28 2019-10-08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200000531U (ko) * 2018-08-31 2020-03-10 (주)리젠아이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CN114643548A (zh) * 2020-12-18 2022-06-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装配治具和通用治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67B1 (ko) * 2011-10-26 2012-05-29 (주)신흥텔레콤 휴대폰 조립용 지그
KR101549506B1 (ko) *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101595338B1 (ko) * 2015-02-17 2016-03-31 (주)삼광윈테크 마그네틱을 이용한 휴대폰케이스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67B1 (ko) * 2011-10-26 2012-05-29 (주)신흥텔레콤 휴대폰 조립용 지그
KR101549506B1 (ko) *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101595338B1 (ko) * 2015-02-17 2016-03-31 (주)삼광윈테크 마그네틱을 이용한 휴대폰케이스 가공용 지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95U (ko) * 2018-03-28 2019-10-08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0496985Y1 (ko) * 2018-03-28 2023-06-28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200000531U (ko) * 2018-08-31 2020-03-10 (주)리젠아이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KR200491666Y1 (ko) 2018-08-31 2020-05-26 (주)리젠아이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CN114643548A (zh) * 2020-12-18 2022-06-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装配治具和通用治具
CN114643548B (zh) * 2020-12-18 2024-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装配治具和通用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20Y1 (ko)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0485135Y1 (ko)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US11186032B2 (en)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device
CN111697165B (zh) 贴合装置及贴合方法
KR101849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US8640759B2 (en) Mobile phone film positioner and a mobile phone film with positioning structure
JP2016509965A (ja) 段付きフランジを有する透明レンズを含むデバイスハウジングとその製造方法
WO2016184086A1 (zh) 保压夹具
KR102076285B1 (ko)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JP200810293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要素及び同要素の装着方法
US20110179621A1 (en) Fixture assembly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electronic device
JP2011095695A (ja) 圧着方法及び圧着治具
EP2540358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739062B (zh) 螢幕保護屏及其製作方法
KR20180073987A (ko)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642378A (zh) 吸附装置、贴合治具及贴合方法
KR200496985Y1 (ko)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EP2390403B1 (en) Method for mounting a panel of an appliance, especially of a domestic appliance
KR20210104323A (ko)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KR100906120B1 (ko) 휴대폰 키패드용 액추에이터 일체형 돔시트의 제조방법
KR20200045472A (ko) 감광 어셈블리, 이미징 모듈, 인텔리전트 단말 및 감광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과 몰드
TW201336686A (zh) 壓合裝置及壓合方法
CN109919115B (zh) 指纹模组工装
US201703001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backlight module
KR101732476B1 (ko)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