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285B1 -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85B1
KR102076285B1 KR1020180065415A KR20180065415A KR102076285B1 KR 102076285 B1 KR102076285 B1 KR 102076285B1 KR 1020180065415 A KR1020180065415 A KR 1020180065415A KR 20180065415 A KR20180065415 A KR 20180065415A KR 102076285 B1 KR102076285 B1 KR 10207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lane
window substrate
pressing pad
pad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302A (ko
Inventor
한관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3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302A/ko
Priority to PCT/KR2019/00672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35812A1/ko
Priority to CN201980005279.3A priority patent/CN11126369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엣지형 디스플레이 윈도우 기판의 사방에 위치한 코너부까지도 원활하게 라미네이팅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부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LAMINATION METHOD CAPABLE OF CORNER DISPLAY OF WINDOW SUBSTRATE AND LAMINATIO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윈도우 기판의 라미네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엣지형 디스플레이 윈도우 기판의 사방에 위치한 엣지부를 비롯하여 코너부까지도 원활하게 라미네이팅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부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기판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백플레인)을 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윈도우 기판과 백플레인 사이에 OCA를 도포한 상태에서 롤러나 스퀴즈로 밀면서 가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윈도우 기판의 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을 이루는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엣지형 디스플레이 윈도우 기판의 경우 사방에 위치하는 코너부에서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라미네이션하는 것은 현존하는 기술로는 극히 어려운 공정이었다.
만일 윈도우 기판의 사방에 위치한 코너부와 엣지부까지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면 윈도우 면상에서 BM(Black Matrix)이 보는 이의 눈에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부위에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제품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공정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20702호(2016.02.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엣지형 디스플레이 윈도우 기판의 사방에 위치한 엣지부를 비롯하여 코너부까지도 원활하게 라미네이팅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부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은, 본체를 중심으로 사방 둘레를 따라 엣지부 및 코너부를 갖는 엣지형 윈도우 기판과 백플레인을 라미네이션하는 라미네이션 방법으로서, 백플레인을 준비하되, 윈도우 기판의 본체 후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사각 본체부와, 상기 사각 본체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여 접착되도록 한 복수의 날개부로 이루어진 전개도 형태의 것으로 준비하는 단계;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 전면에 OCA를 도포하여 OCA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하여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을 밀접하게 가압착하여 윈도우 기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백플레인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가압착된 백플레인을 상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본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에도 사각 본체부와 같이 영상 출력 및 터치기능 구현을 위하여 배선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은 상기 OCA층 전면에 OCA 보호필름을 입힌 상태에서 롤러를 서로 직교하는 X방향과 Y방향으로 순차 이동시키면서 가압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재질의 상부 압착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시 롤러에 의해 가압한 후 상기 상부 압착패드로 백플레인을 재차 가압하여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 날개부를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가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에는 상면 장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시 백플레인을 흡착하여 가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에는 상면 장착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공기챔버가 더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 팽압에 의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 후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OCA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션 장치는, 본체를 중심으로 사방 둘레를 따라 엣지부 및 코너부를 갖는 엣지형 윈도우기판과 백플레인을 라미네이션하기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로서, 백플레인이 가압착되는 상면 장착부를 구비하고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하여 OCA층이 전면에 형성된 상태의 백플레인을 본압착시키는 탄성 재질의 하부 압착패드; 상기 하부 압착패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그; 윈도우 기판의 본체 후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사각 본체부와, 상기 사각 본체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여 접착되도록 한 복수의 날개부로 이루어진 전개도 형태의 배선처리된 백플레인을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가압하여 가압착시켜주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루빙에 의해 백플레인을 가압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는 상면 장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 흡입홀을 구비하여 상면 장착부에 가압착되는 백플레인을 흡착하여 가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는 상면 장착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챔버를 더 구비하여,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 팽압에 의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 후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윈도우 기판의 전면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상부 압착패드와 상기 상부 압착패드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는,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시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백플레인을 재차 가압하여 상기 백플레인 날개부가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 압착패드에 가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 및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진공펌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 내에는 상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투명 재질인 상기 하부 압착패드 및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를 투과하여 OCA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는 엣지형 디스플레이 윈도우 기판의 사방에 위치한 엣지부를 비롯하여 코너부까지도 원활하게 라미네이팅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부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a 및 도 2b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사용되는 라미네이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장치에서 하부 압착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사용되는 라미네이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장치에서 하부 압착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백플레인(back plane)을 완성된 형태로 준비하지 않고 윈도우 기판의 본체(W1) 후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사각 본체부(B1)와, 상기 사각 본체부(B1)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W2) 및 코너부(W3)에 대응하여 접착되도록 한 복수의 날개부(B2)로 이루어진 전개도 형태의 것으로 준비하며, 이같은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에서 사각 본체부(B1)뿐만 아니라 날개부(B2)까지도 배선처리하여 준비한다. 이같은 핵심구성을 통해 본체(W1)를 중심으로 사방 둘레에 엣지부(W2) 및 코너부(W3)를 갖는 사각의 엣지형 윈도우 기판에 대하여 엣지부(W2) 및 코너부(W3)까지 빠짐없이 백플레인을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W3)까지 영상 출력 및 터치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배선처리된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만을 사용한다고 하여 그동안 난해한 것으로 여겨졌던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W2) 및 코너부(W3)에 대한 백플레인의 접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를 위한 세부적인 구성들도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 미 라미네이션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진공챔버, 진공챔버 내부에 설치된 하부 압착패드(110), 하부 지그(120), 상부 압착패드(140), 상부 지그(130), 가압부재, 자외선 조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진공챔버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션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이 가압착되는 상면 장착부를 구비하고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하여 OCA층이 전면에 형성된 상태의 백플레인을 본압착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는 백플레인과 직접 대면하기 때문에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그와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 장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 흡입홀(111)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면 장착부에 가압착되는 백플레인을 흡착하여 가압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는 상면 장착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챔버(113)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도 13과 같이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 팽압에 의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 후면에 버블의 발생 없이 치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120)는 하부 압착패드(11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지그(12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압착패드(110)와 함께 연통된 형태의 공기 흡입홀(111)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압착패드(110)의 공기챔버(113)로 연결되는 공기 주입홀(112)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의 흡입 및 주입을 위해 미도시된 별도의 진공펌프가 구비되어 공기 흡입홀(111)과 공기 주입홀(112)에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대해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을 루빙(rubbing)의 형태로 가압하여 가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X방향 롤러와, Y방향 롤러로 이루어지며,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백플레인의 사각 본체부(B1)를 하부 압착패드(110)에 가압착하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하지만 X방향 롤러와, Y방향 롤러를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 곡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백플레인의 날개부(B2)까지도 가압착할 수 있다.
상부 압착패드(140)는 기본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상측에서 윈도우 기판의 전면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압착패드(14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시 롤러에 의해 일차 가압된 상태에서 백플레인을 재차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부 압착패드(140)를 백플레인의 가압착에 사용하게 되면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 날개부(B2)를 모으면서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밀접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와 코너부에 대응하는 완전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압착패드(140)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는 세부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 압착패드(140)에도 하부 압착패드(110)와 마찬가지로 공기 흡입홀(111)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부 압착패드(140)에도 공기 흡입홀(111)이 형성된 구성에 따르면 윈도우 기판을 흡착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백플레인의 본압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130)는 상부 압착패드(140)를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 지그(130)의 승강동작은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150)를 설치하여 수행한다. 단, 백플레인의 본압착을 위해 액추에이터(150)로 상부 지그(130)를 승강시킬 것인지 하부 지그(120)를 승강시킬 것인지는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재는 상기 진공펌프 내에서 상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투명 재질인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 및 하부 지그(120), 상기 상부 압착패드(140) 및 상부 지그(130)를 투과하여 OCA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재를 사용하여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OCA층에 대한 경화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버블 발생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진공챔버 내에서 본압착과 함께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압착패드(110) 및 하부 지그(120), 상기 상부 압착패드(140) 및 상부 지그(130)가 모두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계속해서 전술된 라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라미네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백플레인을 준비하는 단계가 진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의 본체 후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사각 본체부(B1)와, 상기 사각 본체부(B1)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여 접착되도록 한 복수의 날개부(B2)로 이루어진 전개도 형태의 것으로 준비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인의 날개부(B2)에도 사각 본체부(B1)와 같이 영상 출력 및 터치기능 구현을 위하여 배선처리한다.
이후,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 전면에 OCA를 도포하여 OCA층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OCA층 전면에는 OCA 보호필름(OCA P/f)을 입혀서 이어지는 루빙작업에 대비한다.
이후,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대하여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을 밀접하게 가압착하여 윈도우 기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백플레인으로 성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도 7과 같이 롤러에 의해 OCA층 전면에 OCA 보호필름이 입혀진 상태의 백플레인을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루빙하면서 가압하여 가압착시켜준다. 이때 롤러는 도 8과 도 9와 같이 서로 직교방향으로 이동하는 X방향 롤러와 Y방향 롤러를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백플레인이 롤러에 의해 루빙되어 일차 가압된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상부 압착패드(140)를 하부 압착패드(110)측으로 하강시켜 백플레인을 재차 가압하여 준다. 이처럼 윈도우 기판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재질의 상부 압착패드(140)를 백플레인의 가압착에 사용하게 되면 전개도 형태의 백플레인 날개부(B2)의 단부들을 코너부에 모으면서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에 밀접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와 코너부에 대응하는 완전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11과 같이 하부 압착패드(110)에 구비된 공기 흡입홀(111)을 통해 상면 장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가압착된 백플레인을 흡착하여 가압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같은 진공압에 의한 흡착은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부 지그(130) 및 상부 압착패드(140)를 하강시켜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하부 압착패드(110)의 공기 주입홀(112)을 통해 공기챔버(113)를 팽창시켜주면 하부 압착패드(110)의 상면 장착부 팽압에 의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 후면에 버블의 발생 없이 치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압착을 진행하는 중에 자외선 조사부재에 의해 OCA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로써 OCA층에 대한 경화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버블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위 단계들을 거쳐 라미네이션 공정이 완료되면 도 15와 같이 상부 압착패드(140) 및 상부 지그(130)를 들어 올려 제품을 하부 압착패드(110)로부터 분리시켜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하부 압착패드 120 : 하부 지그
130 : 상부 지그 140 : 상부 압착패드

Claims (14)

  1. 본체를 중심으로 사방 둘레를 따라 엣지부 및 코너부를 갖는 엣지형 윈도우기판과 백플레인을 라미네이션하기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로서,
    백플레인이 가압착되는 상면 장착부를 구비하고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하여 OCA층이 전면에 형성된 상태의 백플레인을 본압착시키는 탄성 재질의 하부 압착패드;
    상기 하부 압착패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그;
    윈도우 기판의 본체 후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사각 본체부와, 상기 사각 본체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여 접착되도록 한 복수의 날개부로 이루어진 전개도 형태의 배선처리된 백플레인을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가압하여 가압착시켜주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윈도우 기판의 전면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상부 압착패드와 상기 상부 압착패드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루빙에 의해 백플레인을 가압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압착패드는 상면 장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 흡입홀을 구비하여 상면 장착부에 가압착되는 백플레인을 흡착하여 가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압착패드는 상면 장착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챔버를 더 구비하여, 윈도우 기판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 팽압에 의해 백플레인을 윈도우 기판 후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는, 상기 하부 압착패드의 상면 장착부에 대한 백플레인의 가압착시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백플레인을 재차 가압하여 상기 백플레인 날개부가 윈도우 기판의 엣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 압착패드에 가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압착패드 및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진공펌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 내에는 상기 윈도우 기판 후면에 대한 백플레인의 본압착시 투명 재질인 상기 하부 압착패드 및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압착패드 및 상부 지그를 투과하여 OCA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KR1020180065415A 2017-06-08 2018-06-07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KR10207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721 WO2019235812A1 (ko) 2017-06-08 2019-06-04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CN201980005279.3A CN111263699A (zh) 2017-06-08 2019-06-04 使四周具有角部的四周边缘型窗口基板的角部可显示的层压方法及用于该方法的层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805 2017-06-08
KR20170071805 2017-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302A KR20180134302A (ko) 2018-12-18
KR102076285B1 true KR102076285B1 (ko) 2020-02-11

Family

ID=6495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415A KR102076285B1 (ko) 2017-06-08 2018-06-07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6285B1 (ko)
CN (1) CN111263699A (ko)
WO (1) WO2019235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85B1 (ko) * 2017-06-08 2020-0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KR102551786B1 (ko) * 2019-01-11 2023-07-05 주식회사 톱텍 곡면형 라미네이트 가압유닛
KR102140700B1 (ko) * 2019-01-28 2020-08-03 주식회사 휴먼인 커브드패널용 필름 합착장치
KR102198180B1 (ko) * 2019-05-21 2021-01-04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KR102198179B1 (ko) * 2019-05-21 2021-01-04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기판 진공 합착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용 기판 진공 합착 방법
KR102217123B1 (ko) * 2019-05-21 2021-02-18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기판 본딩 머신
KR102181430B1 (ko) * 2019-08-29 2020-11-23 (주)에스티아이 합착 동시 경화 시스템 및 합착 동시 경화 방법
KR102237967B1 (ko) * 2019-10-10 2021-04-08 (주)에스티아이 진공 흡착 패드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17B1 (ko) * 2016-11-24 2017-02-16 주식회사 오디아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KR101737355B1 (ko) * 2016-02-16 2017-05-18 안성룡 플렉서블 패널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9736B2 (ja) * 2007-09-04 2013-09-25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貼付装置
KR101619784B1 (ko) * 2014-02-28 2016-05-12 안성룡 플렉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
CN203854295U (zh) * 2014-05-05 2014-10-01 深圳市联合瑞泰科技有限公司 可挠式显示器件曲面3d贴合系统
KR101677014B1 (ko) 2014-08-14 2016-11-17 안성룡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1746650B1 (ko) * 2014-09-02 2017-06-1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CN104570419B (zh) * 2014-12-26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吸附式载台及其吸附方法
KR102345440B1 (ko) * 2015-02-13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
KR20160102767A (ko) * 2015-02-23 2016-08-31 안성룡 플렉시블 패널 곡면 합착 방법
KR20180034737A (ko) * 2016-09-26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529080B1 (ko) * 2016-10-05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N107016936B (zh) * 2017-04-25 2019-05-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面板曲面贴合的装置及方法
KR102076285B1 (ko) * 2017-06-08 2020-0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CN107498842A (zh) * 2017-08-16 2017-1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贴合装置及贴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55B1 (ko) * 2016-02-16 2017-05-18 안성룡 플렉서블 패널 부착장치
KR101706617B1 (ko) * 2016-11-24 2017-02-16 주식회사 오디아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5812A1 (ko) 2019-12-12
CN111263699A (zh) 2020-06-09
KR20180134302A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285B1 (ko)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CN107934018B (zh) 贴膜方法和贴膜设备
KR101849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101260297B1 (ko)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KR101471705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TWI538812B (zh) Panel attachment method and panel attachment
JP5654155B1 (ja) ワーク貼り合わせ装置
CN112248607A (zh) 一种贴合装置及贴合方法
JP2012058417A (ja) タッチパネル付き3d表示パネル装置の組立システム
KR20100024581A (ko) 평판패널 부착 장치 및 방법
US1039932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550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20190070660A (ko) Oca 스크레치 발생률을 줄인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CN113547831A (zh) 光学胶贴合方法、显示屏及其制备方法
JP2014031270A (ja) シート貼付方法及びシート貼付装置
JP3671422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547899B1 (ko) 터치 패널용 기판 합지시스템 및 그 방법
TWM420151U (en) Structure improvement of panel laminating device
KR102392014B1 (ko) 윈도우 합착 시스템 및 방법
JP3967310B2 (ja) 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1005011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102181430B1 (ko) 합착 동시 경화 시스템 및 합착 동시 경화 방법
CN212460240U (zh) 一种贴附装置
KR100484022B1 (ko)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및제조장치
KR20190053642A (ko) 감압을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