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80B1 -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80B1
KR102198180B1 KR1020190059599A KR20190059599A KR102198180B1 KR 102198180 B1 KR102198180 B1 KR 102198180B1 KR 1020190059599 A KR1020190059599 A KR 1020190059599A KR 20190059599 A KR20190059599 A KR 20190059599A KR 102198180 B1 KR102198180 B1 KR 10219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tage
panel
touch panel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056A (ko
Inventor
원재희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05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하부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스테이지; 상기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부와 비점착부가 번갈아가면서 구성된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 상기 스테이지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다이어프램의 비점착부에 배치되며, 상부패널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이드블록; 및 상기 스테이지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외기를 다이어프램으로 배기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켜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다이어프램에서 분리시키는 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A RUBBER CHUCK FOR THE TOUCH PANEL ATTACHMEN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합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터치 패널은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를 직접 터치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스위치패널로서, 적외선을 사용한 광학식과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인듐산화 주석(ITO) 막을 피복한 투명 도전막의 접점을 사용하는 투명전극방식, 스테인리스 강선을 투명 도전성 필름에 묻은 투명 도전성 필름방식,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방식, 패널에 닿은 손끝의 압력을 패널 주변에 배치한 압력센서에 대한 힘의 배분으로부터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들을 합착하는 공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광학용 투명접착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을 통해 합착하고 있다. 즉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사이에 광학용 투명접착필름을 구성하여 합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커버 글라스(Cover Glass)와 광학용 투명접착필름은 정전척(Electrostatic Chuck: ESC)을 통해 합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정전척은 (특허문헌 1)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정전척(ESC)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글라스와 하부기판을 수용하는 진공공간부가 구성된 진공 챔버의 상기 진공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글라스를 정전방식으로 이송하게 되며, 하부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지그와 진공공간부에서의 합착을 통해 커버 글라스와 하부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전척은 ±2500V 정도의 전기를 이용하고 있어 커버 글라스와 하부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공정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특성상 취급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의 작업성 측면에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31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하부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스테이지;
상기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부와 비점착부가 번갈아가면서 구성된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
상기 스테이지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다이어프램의 비점착부에 배치되며, 상부패널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이드블록; 및
상기 스테이지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외기를 다이어프램으로 배기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켜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다이어프램에서 분리시키는 유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커버 글라스(Cover Glass: CG)이고, 하부패널은 광학용 투명접착필름(OC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직사각형태의 다면체로 형성되고,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보다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와 상면을 덮도록 다이어프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고무재질을 통한 형태 제작시 금형의 조도 차이를 통해 점착부와 비점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다이어프램의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사각 틀 형태의 고정판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태의 스테이지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고정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점착부 내에 형성된 비점착영역;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측면에 유로와 연통하는 외기주입구멍이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점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부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를 사용하여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하는 정전척을 대신하여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하는데 용이하게 사용 가능함으로써, 합착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터치 패널의 합착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을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을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하부 챔버(2)에 두 개의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터치 패널을 합착하기 위한 본딩 머신(3)의 테이블(3a)에 4개의 하부 챔버(2)가 설치되고, 각각의 하부 챔버(2)에 두 개의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을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직사각형태의 다면체로 구성된 스테이지(10)의 상면에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20)이 설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20)의 내측으로 복수의 가이드블록(30)이 배열되며, 상기 스테이지(10)의 측면에 복수의 외기유입구멍(13)이 형성된 고무척(1)의 구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을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다이어프램(20)에 점착부(21)와 비점착부(22)가 번갈아가면서 배열 구성되고, 상기 비점착부(22)에 가이드블록(30)이 배치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1)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다이어프램(20)에 형성된 점착부(21)의 하부에 유로(40)가 배치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이하 '고무척')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딩 머신(3)의 테이블(3a)에 설치되는 하부 챔버(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하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은 예컨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글라스(Cover Glass: CG)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패널은 상기 커버 글라스를 다른 구성요소에 합착시키기 위한 광학용 투명접착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쉽게 설명 및 이해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것일 뿐 이외에 OLED 등과 같이,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로 변경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그리고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대신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고무척(1)은 하부 챔버(2)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스테이지(10), 상기 스테이지(10)의 상면(10a)에 예컨대, 부분 본딩되어 구성되며 스테이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패널이 점착되는 점착부(21)와 상기 하부패널이 점착되지 않는 비점착부(22)가 번갈아가면서 구성된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20) 및 상기 스테이지(10)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다이어프램(20)의 비점착부(22)에 배치되며 상부패널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20)보다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이드블록(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외기를 다이어프램(20)으로 배기하여 상기 다이어프램(20)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예컨대 상부에서의 프레스 방식 또는 상부척의 다이어프램으로 프레싱하는 방법 등을 통해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상기 다이어프램(20)에서 분리시키는 유로(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10)는 사각형태, 도면상 직사각형태의 다면체로 형성되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합착이 이루어지는 하부 챔버(2)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10)가 설치되는 하부 챔버(2)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으로서, 예컨대 스테이지(10)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2a)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a)에 복수의 스테이지(10)가 설치됨으로써,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합착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챔버(2)는 다이어프램(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스테이지(10)와 연결되는 다이어프램 컨트롤밸브(Diaphragm Control Valve)가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챔버(2)의 수용공간(2a)에 설치되는 스테이지(10)는 상면(10a)에 하부패널이 안착되는데, 상기 하부패널을 안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면(10a)보다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부(10b)를 상면(10a)에 형성하게 되며, 상기 안착부(10b)와 상면(10a)을 덮도록 다이어프램(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지(10)는 다이어프램(20)의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사각 틀 형태의 고정판(11)이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1)과 스테이지(10)의 고정에 통상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의 폭 방향 양측의 상부에 보조고정판(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10)의 상면(10a)과 안착부(10b)를 덮도록 예컨대, 스테이지(10)의 상면(10a)에 부분 본딩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성이 있는 점착부(21)와 점착성이 없는 비점착부(22)가 번갈아가면서 구성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20)은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금형을 통해 형태를 제작하게 되는데, 형태 제작시 상기 금형의 조도 차이를 통해 점착부(21)와 비점착부(2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부(21) 내에는 점착성이 없는 비점착영역(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점착부(21)의 면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즉 점착부(21)의 면적에 따라서는 하부패널의 분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점착부(21) 내에 비점착영역(2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점착부(22)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30) 역시 고무재질로 형성하게 되며, 예컨대 고무재질을 사각모양으로 형성하여 상부패널을 지지토록 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블록(30)은 스테이지(10)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되, 다이어프램(20)의 내측, 구체적으로 비점착부(22)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부패널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40)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외기가 유동하는 일종의 통로로서, 스테이지(10)의 상면(10a)까지 연결되어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주입된 외기를 다이어프램(20)으로 배기하여 상기 다이어프램(20)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다음 공정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점착부(2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테이지(10)는 유로(40)와 연통하는 외기주입구멍(13)이 측면에 배열 형성되어 각각의 유로(40)에 외기를 주입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기주입구멍(13)은 스테이지(10)의 전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주입노즐(14)을 통해 외기를 주입토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면(10a)에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주입된 외기를 배기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유로(40)는 각각의 점착부(2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외기주입구멍(13)을 통한 외기의 주입시 공압으로 상기 점착부(21)를 팽창시켜 일종의 에어 풍선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점착부(21)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유로(40)가 비점착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점착부(22)를 팽창시켜도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분리를 위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점착부(21)의 하부에 유로(40)가 배치된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하는 공정에 전기를 사용하는 정전척(Electrostatic Chuck: ESC) 대신 고무척(1)이 사용 가능함으로써, 공정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위험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합착 공정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고무척 2: 하부 챔버
2a: 수용공간 3: 본딩 머신
3a: 테이블 10: 스테이지
10a: 스테이지의 상면 10b: 안착부
11: 고정판 12: 보조고정판
13: 외기주입구멍 14: 주입노즐
20: 다이어프램 21: 점착부
22: 비점착부 23: 비점착영역
30: 가이드블록 40: 유로

Claims (7)

  1.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하부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스테이지와;
    상기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점착영역을 갖는 점착부와 비점착부가 번갈아가면서 구성된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과;
    상기 스테이지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다이어프램의 비점착부에 배치되며, 상부패널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스테이지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외기를 다이어프램으로 배기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켜 서로 합착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다이어프램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외기주입구멍을 갖는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테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 틀 형태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폭 방향 양측의 상부에 보조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직사각형태의 다면체로 형성되고, 하부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보다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와 상면을 덮도록 다이어프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9599A 2019-05-21 2019-05-21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KR10219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99A KR102198180B1 (ko) 2019-05-21 2019-05-21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99A KR102198180B1 (ko) 2019-05-21 2019-05-21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56A KR20200134056A (ko) 2020-12-01
KR102198180B1 true KR102198180B1 (ko) 2021-01-04

Family

ID=737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99A KR102198180B1 (ko) 2019-05-21 2019-05-21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54B1 (ko) * 2010-09-14 2011-04-15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 접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8522A1 (ja) * 2004-04-09 2005-10-20 Shin-Etsu Engineering Co., Ltd. 粘着チャック装置
KR101261491B1 (ko) * 2010-09-02 2013-05-1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KR101213199B1 (ko) 2012-04-24 2012-12-18 주식회사 아이.엠.텍 터치패널용 기판 진공 부착 시스템
KR20180053488A (ko) * 2016-11-11 2018-05-2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2076285B1 (ko) * 2017-06-08 2020-0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54B1 (ko) * 2010-09-14 2011-04-15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 접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56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6166B (zh) 层压设备及使用层压设备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10675849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111415592B (zh) 将柔性显示面板与盖板玻璃进行贴合的方法及显示装置
US2012010534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68403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window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644135B (zh) 真空吸附垫组装体、显示器层压装置及显示器层压方法
US879605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display panel
TWM521546U (zh) 貼合結構
US10627662B2 (en) Panel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090244024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38888B (zh) 貼合器件的真空貼合裝置
KR102198180B1 (ko) 터치 패널 합착용 고무척
KR101383281B1 (ko) 기판 분리 장치
KR102093991B1 (ko) 고무 탄성체 다이아프램 타입 정전척 및 그 제조방법
KR102240337B1 (ko) 하이브리드 압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US20200105569A1 (en) Methods for processing a substrate
KR101458473B1 (ko) 기판 분리 방법
JP2004341756A (ja) タッチパネル焼成用加圧装置
CN105578819B (zh) 盖板结构以及电子装置
JP6427940B2 (ja) 透明面材一体型フラット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面材一体型フラットパネル装置
KR102026441B1 (ko) 정전척 세정이 가능한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의 세정 방법
KR102217123B1 (ko) 터치 패널용 기판 본딩 머신
JP2002148607A (ja) フィルム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220041998A (ko) 윈도우 제조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윈도우 제조 방법
JP2011059267A (ja) 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