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66Y1 -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66Y1
KR200491666Y1 KR2020180004059U KR20180004059U KR200491666Y1 KR 200491666 Y1 KR200491666 Y1 KR 200491666Y1 KR 2020180004059 U KR2020180004059 U KR 2020180004059U KR 20180004059 U KR20180004059 U KR 20180004059U KR 200491666 Y1 KR200491666 Y1 KR 200491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eating
support
assembly ji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31U (ko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주)리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젠아이 filed Critical (주)리젠아이
Priority to KR2020180004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6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4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cooperating with specially formed feature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cooperating with holes or rib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5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magnetic forces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모바일기기의 수리 시 분리된 배면케이스와 본체를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결합할 때, 모바일기기의 종류나 사이즈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하나의 조립 지그로 배면케이스, 양면테이프, 본체의 센터를 보다 쉽게 일치시켜 빠르고 정확하게 상호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는, 분리된 모바일기기의 배면케이스와 본체를 양면테이프로 부착하여 결합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기 배면케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자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배면케이스의 네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안착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1 고정유닛;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탈부착되되, 상기 양면테이프가 하면에 부착된 보호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핀을 구비한 지지편; 상기 베이스판에서 각 안착부재의 외측에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를 지나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네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2 고정유닛;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가압판과, 각 안착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구비되되 각각 안착부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전후진하여 위치 조절되는 압착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보호테이프 또는 본체의 상면을 눌러주는 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UNIVERSAL ASSEMBLY JIG FOR MOBIL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모바일기기의 수리 시 분리된 배면케이스와 본체를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결합할 때, 모바일기기의 종류나 사이즈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하나의 조립 지그로 배면케이스, 양면테이프, 본체의 센터를 보다 쉽게 일치시켜 빠르고 정확하게 상호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모바일기기는 소형화, 경량화 및 방수 기능 획득 등을 위해 일체형 배터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배면케이스를 탈부착할 수 없는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일체형 모바일기기는 부품의 수리 내지 교체가 필요한 경우, 본체에서 배면케이스를 강제로 뜯어내 분리한 후, 본체에 대한 수리 작업이 완료되면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분리된 배면케이스를 본체에 다시 재접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체형 모바일기기의 본체와 배면케이스의 접합에 사용되는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 제20-0414503호, 공개특허 제10-2008-0081885호, 공개특허 제10-2017-0034574호, 공개특허 제10-2017-0104719호 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바일기리를 고정하는 지그와, 지그의 모바일기기에 압력을 가하는 압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에서 대동소이하며,
이때 일체형 모바일기기의 재조립 작업에 있어, 모바일기기가 움직이지 않고 완전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이 이루어져야,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최초 생산된 제품의 스펙과 유사한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재조립 단계에서 배면케이스, 양면테이프, 본체의 센터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양면테이프가 배면케이스 및 본체의 각 접착 포인트에 정확하게 맞춰서 접착이 이루어지는 바, 이에 모바일기기의 각 모델별로 규격에 맞는 지그를 각각 구비해야 한다.
이때 모바일기기 제조사의 경우에는 각 생산 라인에 모델에 맞는 조립 지그를 위한 설비 투자비용에 부담이 없으나, A/S 센터 등과 같이 모바일기기의 수리 등을 위한 재조립 작업이 필요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각 모델별로 모바일기기 접착을 위한 지그를 개별 구비하는데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A/S 센터는 최근 출시된 주력 기종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기종의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모든 종류의 조립 지그를 구비해야 하는 바,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 개의 모든 A/S 센터마다 기종별 조립 지그를 구비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기술의 발전에 따른 신제품 출시로 인해 모바일기기의 사용 수명이 점차적으로 짧아지고 있고, 신제품 출시 간격 또한 1년에 한 번 꼴로 매우 짧기 때문에, 신제품 출시 때마다 모든 A/S 센터에 모델에 맞는 지그의 추가가 필요한 바, 지그 제작에 따른 비용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체형 모바일기기의 수리 후 재조립 작업에 필요한 조립 지그를 모델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 조립 작업을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기기의 기종이나 사이즈 등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범용적으로 수리 후 재조립 가능하게 하여, 조립 지그의 추가 제작 또는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조립 시 배면케이스와 양면테이프 및 본체의 센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일치시켜 모바일기기를 접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는,
분리된 모바일기기의 배면케이스와 본체를 양면테이프로 부착하여 결합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기 배면케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자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배면케이스의 네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안착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1 고정유닛;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탈부착되되, 상기 양면테이프가 하면에 부착된 보호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핀을 구비한 지지편;
상기 베이스판에서 각 안착부재의 외측에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를 지나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네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2 고정유닛;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가압판과, 각 안착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구비되되 각각 안착부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전후진하여 위치 조절되는 압착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보호테이프 또는 본체의 상면을 눌러주는 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서,
상기 제1 간격조절수단 및 제2 간격조절수단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 및 지지부재들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여 양방향 회전 시 안착부재들 및 지지부재들을 동일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서,
상기 스탬프는 자석의 인력 작용을 통해 각 압착블록의 이동 후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스탬프 압착 전 본체가 양면테이프에 접착되지 않도록 본체의 측면을 받쳐주는 탄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전후진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본체에 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에 전후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지지블록이 내외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전후진시키는 미세조절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는,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한 일체형 모바일기기의 수리 후 재조립 작업에 필요한 조립 지그를 모바일기기의 모델별 또는 사이즈별로 모두 개별 제작하여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아의 유니버설 조립 지그로 유사 모양 내지 크기를 갖는 모든 모바일기기를 범용적으로 고정 후 접착할 수 있어, 지그의 추가 등에 필요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접착 전의 배면케이스, 양면테이프, 본체의 센터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면 케이스에 접착된 양면테이프가 접착 전 본체의 잘못된 포인트에 가접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센터 맞춤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모바일기기에 따라 배면케이스와 본체의 상하단 길이가 서로 미세하게 상이할 때, 길이 오차를 보상하여 본체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센터 맞춤 및 압착 작업이 쉽고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조립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편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모바일기기의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를 양면테이프(T1)로 부착하여 결합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 크게 분리된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 양면테이프(T1)를 각각 정위치에 정렬하여 고정시키는 베이스판(10), 제1 고정유닛(20), 지지편(30), 제2 고정유닛(40)과, 센터 맞춤된 배면케이스(M1), 양면테이프(T1), 본체(M2)를 압착하여 접착시키는 스탬프(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은 작업대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의 각 테두리에 고정블록(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11)은 서로 대향하는 고정블록(11)들 사이에 후술하는 제1, 제2 간격조절수단의 각 구동축(24)(46) 양단이 공회전하도록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각 구동축(24)(46)은 일측 단부가 고정블록(1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위한 레버부(24c)(46c)가 구비되는데, 이때 각 구동축(24)(46)의 레버부(24c)(46c)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각 고정블록(11)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레버부가 하나씩 구비된다.
제1 구동축(24)과 제2 구동축(46)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구비된 것으로, 각 구동축(24)(46)의 각 나사부(24a, 46a)(24b, 46b)는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나사부(24a)(46a)가 오른 방향 나사산이면, 이에 대향하는 다른 나사부(24b)(46b)는 왼 방향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고정유닛(2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상기 배면케이스(M1)가 안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에 '+'자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배면케이스(M1)의 네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안착부재(21)와,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21)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재(21)는 베이스판(10)의 전후좌우(도면 상, 상하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전후진하는 안착블록(22)과, 상기 안착블록(22)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된 고정핀(23)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블록(22)은 내외측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22a)과 제2 관통공(22b)을 구비하며, 네 개의 안착블록(22)은 고정핀(23)의 내측에 위치한 상면 일부가 배면케이스(M1)의 각 테두리부를 받쳐서 안착부(12)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23)은 안착블록(22)의 전진 시 안착부(12)에 놓인 배면케이스(M1)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관통공(22a)에는 상기 제1 구동축(24)이 나사 결합되고 제2 관통공(22b)에는 상기 제2 구동축(46)이 나사 결합 없이 공회전하도록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제1, 제2 구동축(24)(46), 보다 엄밀하게는 각 나사부(24a, 46a)(24b)(46b)의 외경을 다르게 하고, 이에 맞게 제1, 제2 관통공(22a)(22b)의 내경을 다르게 할 수 있으나, 가공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 관통공(22a)(22b)이 동일 내경을 가지면서 제1, 제2 구동축(24)(46)의 외경을 제1, 제2 관통공(22a)(22b)의 내경보다 작게 하고, 나사 결합이 필요한 관통공에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 파이프(22c)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나사 파이프(22c)는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의 나사 방향과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블록(22)은 상기 고정핀(23)의 외측에 탈착홈을 구비하여, 지지편(30)의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30)은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21)들의 상면에 각각 탈부착되되, 상기 양면테이프(T1)가 하면에 부착된 보호테이프(T2)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핀(3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30)은 상면에 상기 지지핀(31)이 돌설되어 있으며, 이때 지지핀(31)의 위치나 개수는 모바일기기의 종류별 또는 사이즈별로 접착 포인트가 다르게 형성된 양면테이프(T1)의 보호테이프(T2) 사양에 따라 달라져, 재조립할 모바일기기에 따라 안착블록(22)의 탈착홈에 지지편(30)을 교체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편(30)의 상하 두께는 상기 고정핀(23)의 돌출 높이와 동일 또는 미세하게 두껍게 제작되어, 고정핀(23)에 의해 보호테이프(T2)의 장착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2 고정유닛(40)은 상기 베이스판(10)에서 각 안착부재(21)의 외측에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상기 안착부재(21)의 상부를 지나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M2)의 네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재(41)와,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41)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제2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전후진하는 이동블록(42)과, 상기 이동블록(42)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본체(M2)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하나 이상의 지지블록(43)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42)은 상기 안착블록(22)의 제1, 제2 관통공(22a)(22b)과 대응하는 제3, 제4 관통공(42a)(42b)을 구비하며, 제3 관통공(42a)에는 제1 구동축(24)이 나사 결합 없이 끼워져 결합되고, 제4 관통공(42b)에는 제2 구동축(46)이 나사 결합되며, 이때 나사 파이프(42d)의 선택적 사용은 안착블록(22)의 설명과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블록(42)은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42c)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43)이 제1 가이드홈(42c)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본체(M2)의 상하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블록(42)에 하나의 지지블록(43)이 구비되고, 본체(M2)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블록(42B)에 두 개의 지지블록(43)이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블록(43)은 상기 이동블록(42)의 전진 시 안착블록(22)의 상부를 통과하여 안착부(12)에 놓이는 본체(M2)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지지블록(43)은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스탬프(50) 압착 전 본체(M2)가 양면테이프(T1)에 접착되지 않도록 본체(M2)의 측면을 받쳐주는 탄지핀(44)을 포함한다.
상기 탄지핀(44)은 내측 선단부(44a)의 외경이 내측 끝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원추형 부재로써, 지지블록(43)의 인출공(43a)에서 내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인출공(43a)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탄지핀(44)에 외압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지핀(44)은 지지블록(43)의 내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모바일기기의 사이즈(사변의 길이)에 따라 각 이동블록(42)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블록(43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이동블록(42)에 구비된 두 개 이상의 지지블록(43A)은 제1 가이드홈(42c)을 따라 전후(도면 상,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모바일기기의 길이에 맞춰 지지블록(43)들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진다.
미설명 도면부호 45는 각 지지블록(43)을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레버로써, 제1 고정레버(45)를 풀면 지지블록(43)의 고정이 해제되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제1 고정레버(45)를 조이면 지지블록(43)이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간격조절수단 및 제2 간격조절수단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21)들 및 지지부재(41)들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여 양방향 회전 시 안착부재(21)들 및 지지부재(41)들을 동일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한다.
즉, 제1 간격조절수단의 제1 구동축(24)은 제1 나사부(24a)와 제2 나사부(24b)가 동일선 상에 배열된 안착블록(22)들의 제1 관통공(22a)에 나사 결합되며, 이때 제1 구동축(24)의 각 나사부(24a)(24b)는 동일선 상에 배열된 이동블록(42)들의 제3 관통공(42a)에 나사 결합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2 간격조절수단의 제2 구동축(46)은 제3 나사부(46a)와 제4 나사부(46b)가 동일선 상에 배열된 이동블록(42)들의 제4 관통공(42b)에 나사 결합되며, 이때 제2 구동축(46)의 각 나사부(46a)(46b)는 동일선 상에 배열된 안착블록(22)들의 제2 관통공(22b)에 나사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제2 구동축(24)(46)은 일측단이 고정블록(11)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레버부(24c)(46c)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24c)(46c)를 통한 각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구동축을 통해 이동하는 안착부재(21) 및 지지부재(4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접촉하는 배면케이스(M1) 및 본체(M2)의 외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에 상기 레버부(24c)(46c)에는 일정 이상의 회전력(속도)이 가해질 경우, 회전력을 정해진 압력으로 낮추어서 각 구동축이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 저감부재, 즉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구비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예방한다.
나아가 지지부재(41)들 중 어느 하나(특히 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41))는 이동블록(42)에 전후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도면 부호 미표기)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지지블록(43B)이 내외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동블록(42)의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43B)을 전후진시키는 미세조절봉(4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미세조절봉(47)은 지지블록(43)의 위치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탄지핀(44)의 돌출 위치를 달리하여, 해당 탄지핀(44)에 받쳐지는 본체(M2)의 위치(또는 높이)를 미세 조정한다.
즉, 본체(M2)를 안착시킨 후 미세조절봉(47)을 조여서 탄지핀(44)을 전진시키면 원추형 선단부(44a)에 접촉된 본체(M2)가 전진방향으로 밀려서 미세하게 전진(또는 상승)하고, 반대로 미세조절봉(47)을 풀어서 탄지핀(44)을 후진시키면 원추형 선단부(44a)에 접촉된 본체(M2)가 후진방향으로 밀려서 미세하게 후진(또는 하강)한다.
이는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의 접착 포인트가 동일한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라 배면케이스(M1)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측 너비가 동일한 반면에, 본체(M2)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측 너비가 미세하게 상이한 모델이 있어,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의 상하단을 일치시킬 경우 접착 포인트가 틀어져 정확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모바일기기 자체의 설계 구조, 또는 본체(M2)의 미세 가공 오차(특히 베젤부의 두께 편차)로 인해 중심선 기준 본체(M2)의 상단 길이와 본체(M2)의 하단 길이가 미세하게 다를 수 있어, 동시에 동일 거리만큼 이동하는 지지블록(43)만으로 상기한 길이 오차를 보정하지 못하므로, 상기 미세조절봉(47)을 이용하여 본체의 상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48은 지지블록(43)을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레버로써, 제2 고정레버(48)를 풀면 지지블록(43)의 고정이 해제되어 미세조절봉(47)으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제2 고정레버(48)를 조이면 지지블록(43)이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1, 제2 고정레버(45)(48) 및 미세조절봉(47)을 이용한 지지블록(43)들의 위치 조정 구조는 모바일기기의 종류나 사이즈에 따라 지지부재(41)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탬프(50)는 상기 안착부(12)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가압판(51)과, 각 안착부재(21)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압판(51)에 구비되되 각각 안착부재(21)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전후진하여 위치 조절되는 압착블록(52)을 구비하여, 상기 보호테이프(T2) 또는 본체(M2)의 상면을 눌러준다.
상기 가압판(51)은 안착부(12)를 덮을 수 있는 것으로, 하면에 '+'자형으로 연결된 안내부(51a)가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51a)에 4개의 압착블록(52)기 각각 슬라이딩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51)이 안착부(12)의 상부에서 승하강한다는 의미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스탬프(50)를 잡고 들거나 눌러서 승하강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모터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판에 가압판(51)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가압판(51)의 상면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스탬프(50)를 잡고 수동으로 압착을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압착블록(52)은 외측면이 모바일기기의 테두리에 상응하는 길이 및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간격 조정 시 다른 압착블록(52)들과 간섭되지 않게 내측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탬프(50)는 자석의 인력 작용을 통해 각 압착블록(52)의 이동 후 고정이 이루어진다.
자석의 인력 작용은 가압판(51)과 압착블록(52)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을 내장하여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가압판(51)이나 압착블록(52) 중 하나에 자석을 내장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과 부착 가능한 금속판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양면테이프(T1)가 접착되는 포인트가 모델별로 상이하므로, 제1, 제2 고정유닛(20)(40)과 달리 각 압착블록(52)은 서로 개별적으로 전후진하여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유니버설 조립 지그를 통한 모바일기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간격조절수단의 제1 레버부(24c)를 이용해 제1 구동축(2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안착부재(21)들의 간격을 적정 너비로 좁힌다.
배면케이스(M1)를 안착부(12)에 놓은 후, 다시 제1 구동축(24)을 이용해 안착부재(21)들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혀서 조절하면, 안착부재(21)들의 상면에 배면케이스(M1)가 안착되면서 각 고정핀(23)이 배면케이스(M1)의 상하좌우 측면에 접촉하여 배면케이스(M1)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해당 모델에 맞는 지지편(30)을 안착블록(22)의 탈착홈에 결합 후, 보호테이프(T2)의 탈착공을 지지편(30)의 지지핀(31)에 끼워서, 배면케이스(M1)의 센터에 맞춰 양면테이프(T1)가 놓이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양면테이프(T1)가 배면케이스(M1)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 양면테이프(T1)의 가접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호테이프(T2)의 안착 후 작업자가 압착블록(52)들을 배면케이스(M1)의 내부 면적에 맞춰 간격을 조절한 다음, 압착블록(52)들을 배면케이스(M1) 위의 안착부(12)에 끼워서 스탬프(50)를 누르면, 보호테이프(T2)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눌리면서 보호테이프(T2)의 하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T1)가 배면케이스(M1)에 접착된다.
이후 스탬프(50)를 다시 빼낸 후 보호테이프(T2)를 떼어내면, 양면테이프(T1)만이 배면케이스(M1)의 접착 포인트에 맞게 부착된 상태로 보호테이프(T2)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간격조절수단의 제2 레버부(46c)를 이용해 제2 구동축(4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부재(41)들의 간격을 적정 너비로 좁힌다.
여기서 지지부재(41)들의 적정 너비란 각 탄지핀(44)의 원추형 선단부(44a)가 배면케이스(M1)의 테두리부 상측에 위치하는 데까지 전진시키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때 모바일기기의 길이에 맞춰 지지블록(43)들의 간격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제1 고정레버(45)를 풀어서 지지블록(43)들의 위치 조정 후 제1 고정레버(45)를 다시 잠그면 된다.
이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본체(M2)를 안착부(12)에 놓으면 본체(M2)의 하면 테두리부를 상기 탄지핀(44)이 지지하여 본체(M2)의 하면과 배면케이스(M1)의 상면(즉 양면테이프(T1))은 서로 이격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본체(M2) 안착 후, 다시 제2 구동축(46)을 이용해 지지부재(41)들의 간격을 조절하면, 탄지핀(44) 위에 놓인 본체(M2)의 상하좌우 측면에 지지블록(43)의 내측면이 접촉하여 본체(M2)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안착된 본체(M2)는 전후좌우 위치가 배면케이스(M1)와 정확히 일치하여 양면테이프(T1)가 접착될 접착 포인트가 배면케이스(M1)와 맞춰지게 된다.
본체(M2)의 안착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압착블록(52)들을 본체(M2)의 상부 면적에 맞춰 간격을 조절한 후(대부분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가 일대일 대응하므로 압착블록(52)들의 추가 간격 조절이 필요하지 않음.), 압착블록(52)들을 배면케이스(M1) 위의 안착부(12)에 끼워서 스탬프(50)를 누르면, 탄지핀(44)들이 동시에 지지블록(43)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본체(M2)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눌려서, 배면케이스(M1)에 부착된 양면테이프(T1)에 본체(M2)가 접착되면서,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배면케이스(M1)와 본체(M2)의 구조 설계로 인해 본체(M2)의 일부 높이를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2 고정레버(48)를 풀고 상기 미세조절봉(47)을 이용해 본체(M2)가 양면테이프(T1)와 가접착되지 않게 높이를 미세 조정한 후 제2 고정레버(48)를 다시 잠그면, 스탬프(50)를 이용해 본체(M2)를 배면케이스(M1)에 접착시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안착부(12)의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기기의 모델별 또는 사이즈별로 조립 지그를 개별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조립 시 배면케이스(M1), 양면테이프(T1), 본체(M2)의 접착 포인트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센터 조정이 이루어져 조립 불량을 방지하면서 조립 작업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1 : 배면케이스 M2 : 본체
T1 : 양면테이프 T2 : 보호테이프
10 : 베이스판 11 : 고정블록
12 : 안착부
20 : 제1 고정유닛 21 : 안착부재
22 : 안착블록 23 : 고정핀
24 : 제1 구동축
30 : 지지편 31 : 지지핀
40 : 제2 고정유닛 41 : 지지부재
42 : 이동블록 43, 43A, 43B : 지지블록
44 : 탄지핀 45, 48 : 고정레버
46 : 제2 구동축 47 : 미세조절봉
50 : 스탬프 51 : 가압판
52 : 압착블록 53 : 손잡이

Claims (5)

  1. 분리된 모바일기기의 배면케이스와 본체를 양면테이프로 부착하여 결합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기 배면케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자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배면케이스의 네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안착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1 고정유닛;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탈부착되되, 상기 양면테이프가 하면에 부착된 보호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핀을 구비한 지지편;
    상기 베이스판에서 각 안착부재의 외측에 배열되어 구비되되 각각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를 지나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네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들을 동시에 전후진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제2 고정유닛;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가압판과, 각 안착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구비되되 각각 안착부재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전후진하여 위치 조절되는 압착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보호테이프 또는 본체의 상면을 눌러주는 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조절수단 및 제2 간격조절수단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안착부재들 및 지지부재들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여 양방향 회전 시 안착부재들 및 지지부재들을 동일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는 자석의 인력 작용을 통해 각 압착블록의 이동 후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스탬프 압착 전 본체가 양면테이프에 접착되지 않도록 본체의 측면을 받쳐주는 탄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전후진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본체에 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에 전후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지지블록이 내외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전후진시키는 미세조절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KR2020180004059U 2018-08-31 2018-08-31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KR200491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9U KR200491666Y1 (ko) 2018-08-31 2018-08-31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9U KR200491666Y1 (ko) 2018-08-31 2018-08-31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31U KR20200000531U (ko) 2020-03-10
KR200491666Y1 true KR200491666Y1 (ko) 2020-05-26

Family

ID=6976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59U KR200491666Y1 (ko) 2018-08-31 2018-08-31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63B1 (ko) * 2020-07-10 2021-03-04 주식회사 한테크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 및 상기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용 범용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7696B (zh) * 2022-06-23 2024-09-03 广东鸿源泵业有限公司 日化瓶塑料泵头装配检测插管一体化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03Y1 (ko) 2006-11-29 2007-12-17 주식회사 참테크 폴더형 휴대폰케이스의 양면테이프 취부용 지그장치
KR101549506B1 (ko)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200484620Y1 (ko) 2017-03-03 2017-09-29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0485135Y1 (ko) 2017-03-03 2017-12-28 임채열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472B1 (ko) * 2015-11-26 2017-07-20 메이드테크(주) 스마트폰용 멀티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03Y1 (ko) 2006-11-29 2007-12-17 주식회사 참테크 폴더형 휴대폰케이스의 양면테이프 취부용 지그장치
KR101549506B1 (ko)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200484620Y1 (ko) 2017-03-03 2017-09-29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KR200485135Y1 (ko) 2017-03-03 2017-12-28 임채열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63B1 (ko) * 2020-07-10 2021-03-04 주식회사 한테크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 및 상기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용 범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31U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66Y1 (ko)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설 조립 지그
KR101377015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센터링 장치
US20120134242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 bridge on a plate
WO2018121070A1 (zh) 曲面贴合装置
WO2015162407A3 (en) Aircraft airframe assembly
CN109623703B (zh) 柔性屏组装工装及组装方法
JP2013519533A (ja) 機械加工用の工具、およびかかる工具の切削インサートを配向するための方法
CN102991098B (zh) 中心定位夹持装置
CN110936131A (zh) 一种伺服电机用高效压键设备
US10717161B2 (en) Rotating axis supporting device
KR101826791B1 (ko) 기준홀 가공용 고정지그 어셈블리
CN210090923U (zh) 一种硒鼓装配机定位结构
CN211163767U (zh) 一种伺服电机用高效压键设备
CN107775398B (zh) 一种在卧式加工中心上加工行星架主体的夹具
KR20100079257A (ko) 펀칭금형의 펀칭위치 미세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CN104108487B (zh) 一种泡棉组装治具
CN203579258U (zh) 一种发动机机匣的安装夹具
CN110608219B (zh) 组装装置
CN107813167B (zh) 一种在卧式加工中心上加工行星架主体的工具
CN215036760U (zh) 一种高精度手动翻转定位工装
CN113400247B (zh) 电子设备的装配工装
KR101700674B1 (ko) 교체가 용이한 글라스 패드 결합장치
KR20160078732A (ko) 소형 터빈 축정렬 작업방법
CN215494430U (zh) 一种显示模组返修治具
CN105537855B (zh) 宝石轴承工件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