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23A -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23A
KR20210104323A KR1020200018915A KR20200018915A KR20210104323A KR 20210104323 A KR20210104323 A KR 20210104323A KR 1020200018915 A KR1020200018915 A KR 1020200018915A KR 20200018915 A KR20200018915 A KR 20200018915A KR 20210104323 A KR20210104323 A KR 2021010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nclined support
universal jig
close contac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주)리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젠아이 filed Critical (주)리젠아이
Priority to KR102020001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323A/ko
Publication of KR202101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본체에 경사지지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안착될 때, 경사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경사지지부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압 시에도 경사지지부가 변형되어 모바일기기의 테두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UNIVERSAL JIG FOR MOBILE DEVICE AND ASSEMBLY DEVICE USING THIS}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본체에 경사지지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안착될 때, 경사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경사지지부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압 시에도 경사지지부가 변형되어 모바일기기의 테두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피씨와 같은 모바일기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래에는 베터리 일체형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가 조립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신품 조립 또는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하여 분리한 경우의 재조립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48867호 『휴대폰 조립용 지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본체 고정돌기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지그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상부의 본체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본체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내부에 조립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다단을 이루며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매립된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 상부에 탈착 고정되고, 조립부품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간부가 지그 본체의 수용부에 대응되게 조립공간부가 상하로 다단을 이루어 타공되고, 상기 조립공간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 고정공이 구비되며, 상기 조립공간부 둘레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매립된 덮개로 구성된 휴대폰 조립용 지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휴대폰 모델의 변경이 있는 경우, 조립용 지그의 본체 및 덮개의 크기, 모양을 변경해야 함에 따라, 모델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지그의 종류도 많아질 수 밖에 없으며, 하나의 지그를 제작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 증가의 우려가 있고,
동일한 모델이라 하더라도 제조 및 조립상의 오차에 대응하지 못하여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는 접착테이프,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게 되며, 특히 이 접착부재는 테두리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및 경사지지부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경사지지부에 밀착되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서 크기 차이에 대응하여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밀착부재를 더 구비하여 모바일기기의 부품부착부, 즉 카메라, 지문인식센서 등의 위치에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를 구비한 조립장치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상관 없이 조립이 가능한 조립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는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압착시키기 위한 유니버셜 지그에 있어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경사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를 구비한 조립장치는
유니버셜 지그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안착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니버셜 지그에 안착된 모바일기기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는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이를 지지하는 지그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경사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가 연성재질로 구성하여 가압이 이루어질 때 상기 경사지지부가 변형되어 모바일기기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경사지지부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기종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테두리가 경사지지부의 위치만 변경되어 밀착됨에 따라 지그를 교체할 필요 없어 작업 효율성, 범용성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센서와 같은 부품부착부에 밀착될 수 있는 밀착부재를 더 구비하여, 바디와 리어커버를 가압할 때 테두리부분과 함께 부품부착부에도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유니버셜 지그를 구비한 조립장치를 통하여 보다 손쉽게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가압하여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에 구비되는 밀착부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에 구비되는 밀착부재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를 구비한 조립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J)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40)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J)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상기 유니버셜 지그(J)를 구비한 조립장치(4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근래에는 배터리 일체형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방수기능을 포함함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결합함에 있어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특수한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조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접착부재(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말함.)는 모바일기기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더 나아가 카메라, 센서 등과 같이 리어커버로 노출되는 부품부착부의 테두리 부분에도 구비되게 되며, 상기 바디와 리어커버를 완벽하게 접착시키기 위하여 이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부분, 즉 테두리와 부품부착부 주위를 가압하여 조립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립공정을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유니버셜 지그(J)에 관한 것으로서, 가장 큰 특징으로는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기종별로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먼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J)는 본체(10)와, 경사지지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도1과 같이 사각의 형상을 갖으며 중앙에 중공부(17)가 형성된 부재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는 사각의 형상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상기 본체(10)는 4개의 모서리가 사각의 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본체(10)의 하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의 상면은 본체(10)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지지부(2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경사지지부(2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본체(10)는 모바일기기를 올려놓은 후, 별도의 가압수단(43)에 의해 가압되는 모바일기기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력을 확보하고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두텁부(1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두텁부(11)는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제조 편의성, 즉 한번에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경사지지부(20)와는 다른 경질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접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와 두텁부(11)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력 확보 및 형상유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기 두덥부에는 경질재질의 심재가 더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심재에 의해 본 발명의 유니버셜 지그(J)가 조립장치(40)의 안착부(411)에 안착된 후, 가압수단(43)에 의해 가압력을 받을 때 유니버셜 지그(J)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의 정확한 위치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텁부(11)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부(13)는 유니버셜 지그(J)를 조립장치(40)의 안착부(411)에 안착시킬 때, 상기 안착부(411)의 테두리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그를 보다 손쉽게 안착부(41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본체(10) 후면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끼움홈(15)이 더 구비되어, 안착부(411)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워져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두텁부(11), 플랜지부(13) 및 후술하는 경사지지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본체(10)와 두텁부(11) 및 플랜지부(13)는 물리적인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기능적 특징에 의해 구분한 것이다.
다시,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지지부(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경사지지부(20)는 상기 본체(10) 외측에서 상기 중공부(17)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본체(10)를 형성하는 4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구비되어 총 4개의 경사지지부(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각각의 경사지지부(20)는 모두 측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경사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지지부(20)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와 밀착되는 면이 곡선형의 만곡부(21)로 이루어져 모바일기기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경사지지부(20) 또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체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재질 즉 탄성력 있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내열성을 함께 확보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지지부(20)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상기 경사지지부(20)에 올려놓은 후, 가압수단(43)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면, 상기 경사지지부(20)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모바일기기 테두리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바일기기는 기종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제조되고, 종래에는 기종에 맞는 지그를 제작 및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경사지지부(20)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경사지지부(20)에 밀착되는 위치의 변화만 있을 뿐 동일한 원리로 모바일기기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일 예로, 모바일기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경사지지부(20) 중 두께가 얇은 부분에 가깝게 모바일기기가 안착될 것이고, 모바일기기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경사지지부(20) 중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치우쳐 모바일기기가 안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3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3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모바일기기의 후면에는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부품부착부가 형성되게 되고 이 부품부착부 테두리에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조립을 위해 테두리를 가압할 때 이를 함께 가압하여 바디와 리어커버를 완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밀착부재(30)의 구성을 도입하고 있다.
먼저, 제1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재(30)는 상기 중공부(17)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공부(17)에 구비되는 판재로, 그 높이는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가장 외측 두께의 높이보다는 낮고,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가장 내측 두께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가장 외측 높이보다 낮은 이유는, 만약 상기 경사지지부(20)의 외측 높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경사지지부(20)에 밀착되는 것을 간섭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부품부착부는 리어커버보다 더 돌출되어 제작되기 때문이며,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가장 내측 높이보다 높은 이유는, 만약 경사지지부(20)의 가장 내측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면, 상기 부품부착부를 밀착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지지부(20)의 가장 외측 높이보다 2~3mm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경사지지부(20)를 연질재질의 실리콘으로 구성하고 있는 바, 상기 밀착부재(30)가 상기 경사지지부(20)보다 더 연질의 성질을 갖지 않게 되면, 밀착부재(30)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경사지지부(20)에 밀착되는 것을 간섭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통하여 가압 시에 상기 밀착부재(30)가 경사지지부(20)보다 더 쉽게 압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먼저,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재(30)에 복수의 홈부(31)를 구비하여 밀착부재(30) 전체의 밀도를 감소시켜 경사지지부(20)보다 더 쉽게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 복수의 홈부(31)는 상기 밀착부재(30)의 후면에 형성되어 리어커버에 밀착되는 면에 홈부(3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는데,
제2실시예는 상기 중공부(17)에 위치하는 지지패드(37)와, 상기 리어커버에 밀착되는 밀착패드(33)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지만, 상기 제2실시예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더욱 손쉽게 밀착패드(33)가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에 밀착상태를 유지한 채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33)의 높이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지그(J)가 구비된 조립장치(40)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에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수단(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41)은 외면에 제어부(413)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수단(43)의 동작, 가압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접착부재의 접착력 강화를 위해 가해지는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가열수단의 온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1)의 상면에는 안착부(4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411)에 상기 유니버셜 지그(J)를 안착시킨 후 모바일기기를 유니버셜 지그(J)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수단(43)은 상기 하우징(41)의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착부(411)에 상부에 위치하되 하강하여 상기 모바일기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열수단은 열풍, 열선 등을 이용하여 가압되는 모바일기기에 열을 가하여 접착부재의 온도를 높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조립장치(40)에 유니버셜 지그(J)를 구비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기기를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J : 유니버셜 지그
10 : 본체 11 : 두텁부
13 : 플랜지부 15 : 끼움홈
17 : 중공부 20 : 경사지지부
21 : 만곡부 30 : 밀착부재
31 : 홈부 33 : 밀착패드
35 : 탄성부재 37 : 지지패드
40 : 조립장치 41 : 하우징
411 : 안착부 413 : 제어부
43 : 가압수단

Claims (4)

  1.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압착시키기 위한 유니버셜 지그에 있어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경사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형성되는 부품부착부가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후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경사지지부에 밀착될 때 상기 밀착부재가 부품부착부와 밀착상태를 유지하며 압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형성되는 부품부착부가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밀착부재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가 경사지지부에 밀착될 때 상기 밀착부재가 부품부착부와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4. 청구항 1의 유니버셜 지그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안착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니버셜 지그에 안착된 모바일기기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를 구비한 조립장치.
KR1020200018915A 2020-02-17 2020-02-17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KR20210104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15A KR20210104323A (ko) 2020-02-17 2020-02-17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15A KR20210104323A (ko) 2020-02-17 2020-02-17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23A true KR20210104323A (ko) 2021-08-25

Family

ID=7749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15A KR20210104323A (ko) 2020-02-17 2020-02-17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3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98U (ko) * 2021-12-03 2023-06-12 (주)리젠아이 모바일기기 조립용 압착장치
WO2024039070A1 (ko) * 2022-08-16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98U (ko) * 2021-12-03 2023-06-12 (주)리젠아이 모바일기기 조립용 압착장치
WO2024039070A1 (ko) * 2022-08-16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8329A1 (zh) 曲面屏贴合装置
CN108016655B (zh) 一种手机盖板贴合模具及其工艺
US7736459B2 (en) Compression bonding device and a mounting method
KR20210104323A (ko) 모바일기기 수리용 유니버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조립장치
TWI393951B (zh) 具面板定位功效之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WO2016184086A1 (zh) 保压夹具
JP2007227622A (ja) 実装方法
JP2007214434A (ja) 圧着装置
JP2009116670A (ja) Rfidタグ製造方法およびrfidタグ
KR200485135Y1 (ko) 모바일기기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US10439666B2 (en) Electronic apparatus
WO2021184332A1 (zh) 模具、显示装置的制备方法
EP3076447B1 (en) Integrated compliant boundary for piezoelectric bimorph actuator
US20100122898A1 (en) Key base and key seat
KR20200045472A (ko) 감광 어셈블리, 이미징 모듈, 인텔리전트 단말 및 감광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과 몰드
KR102211081B1 (ko) 패드 프린팅 장치 및 방법
CN210132453U (zh) 一种贴合治具及贴合设备
JP6159269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US90604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window mounting on an electronic device
US20130068393A1 (en) Laminating equipment for touch panel
KR20170104719A (ko)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CN211279740U (zh) 一种辅助贴膜工具
CN220053187U (zh) 丝印底座及支撑平台
TWI835393B (zh) 膠帶貼附裝置、樹脂成形系統、膠帶貼附方法以及樹脂成形品的製造方法
CN218020241U (zh) 一种组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