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33Y1 - 스탠천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탠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33Y1
KR200484333Y1 KR2020170001980U KR20170001980U KR200484333Y1 KR 200484333 Y1 KR200484333 Y1 KR 200484333Y1 KR 2020170001980 U KR2020170001980 U KR 2020170001980U KR 20170001980 U KR20170001980 U KR 20170001980U KR 200484333 Y1 KR200484333 Y1 KR 200484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coupled
bottom plate
lifting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기
Original Assignee
김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기 filed Critical 김대기
Priority to KR202017000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B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봉 형상의 지주;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단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가이드관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가이드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너트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압단으로 구성되는 승강브라켓;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승강은 불가하고 자전만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에 결합되는 승강볼트;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탠천 조립체 {Stanchion Assembly}
본 고안은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스탠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클램핑 방식으로 바닥판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스탠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천(Stanchion) 조립체는 공사 기간 중 고소 작업이나 개구부 부근 등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손잡이용 지주 구조를 갖는다.
선박의 메인 데크 상에 스탠천 조립체를 설치하게 되면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 데크에 컨테이너를 저장할 때에는 스탠천 조립체를 제거하면 저장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탠천 조립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탠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탠천 조립체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구비된 안착판(12)이 바닥판(G)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안착판(12)을 덮도록 바닥판(G) 상에 용접되는 하부고정판(20)과, 상기 하부고정판(20) 상에 용접되는 상부지지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외측면에는 안전와이어(W)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와이어걸이(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탠천 조립체를 바닥판(G) 상에 설치하면, 다수 개의 안전와이어(W)를 수평으로 배열할 수 있는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구성되는 스탠천 조립체를 바닥판(G)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부고정판(20)과 상부지지판(30)을 용접해야 하는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하부고정판(20)을 바닥판(G)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바닥판(G)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탠천 조립체를 철거할 때에도 많은 시간과 장비가 요구되므로 작업성이 불량하다는 단점도 있다.
KR 20-2014-0006054 U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닥판 상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설치 및 탈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봉 형상의 지주;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단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가이드관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가이드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너트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압단으로 구성되는 승강브라켓;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승강은 불가하고 자전만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에 결합되는 승강볼트;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걸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볼트는, 상기 수나사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하측 내벽에는, 상기 돌출단은 통과할 수 있되 상기 수나사부는 통과할 수 없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마련되며,
상기 단턱을 통과한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은 가운데 부위가 오목하도록 만곡된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걸이는,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된 절곡앵글과, 하단이 상기 절곡앵글 중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에 삽입되는 삽입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절곡앵글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바닥판 상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설치 및 탈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클램핑 방식으로 바닥판에 결합되므로 바닥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탠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공사 기간 중 고소 작업이나 개구부 부근 등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판(G)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안전장비의 일종으로서, 용접과정 없이도 바닥판(G)에 결합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바닥판(G)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봉 형상의 지주(100)와,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2)이 구비되는 가이드관(210)과 상기 가이드관(210)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바닥판(G)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단(2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가이드관(210)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210)에 삽입되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310)와 상기 너트부(31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슬릿(212)을 통해 상기 가이드관(210)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너트부(31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닥판(G)의 상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압단(320)으로 구성되는 승강브라켓(300)과, 상기 너트부(31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10)와 상기 수나사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210)의 상단에 안착되는 헤드부(420)로 구성되어 승강은 불가하고 자전만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210)에 결합되는 승강볼트(400)와,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걸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100)와 고정브라켓(200)과 승강브라켓(300)과 승강볼트(400)는,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파단되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금속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220)을 바닥판(G)의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승강브라켓(300)을 하강시켜 승강브라켓(300)의 가압단(320)이 바닥판(G)의 상면에 압착되면, 지지단(220)과 가압단(320)이 바닥판(G)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바, 고정브라켓(200)에 고정결합된 지주(10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브라켓(300)은 승강볼트(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승강볼트(400)의 회전에 따라 승강브라켓(300)이 승강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별도의 용접공정에 의해 바닥판(G)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판(G)을 움켜쥐는 지지단(220)과 가압단(320)에 의해 바닥판(G)에 장착되는바,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승강볼트(40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를 바닥판(G)에 결합 및 탈거시킬 수 있으므로, 스탠천 조립체 활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클램핑 방식으로 바닥판(G)에 결합되는바, 바닥판(G)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G) 손상 최소화 및 재사용이 가능해지면, 안전와이어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와이어걸이(700)는 다수 개의 안전와이어가 수평으로 걸쳐지는 구성요소로서, 안전와이어의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와이어걸이(700)는,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주(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된 절곡앵글(710)과, 하단이 상기 절곡앵글(710) 중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에 삽입되는 삽입브라켓(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절곡앵글(710)의 내측에 안전와이어를 위치시킨 후, 삽입브라켓(720)의 하단을 절곡앵글(710) 상하측(더 명확하게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에 삽입시킴으로써, 안전와이어를 매우 간편하게 와이어걸이(700)에 거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브라켓(720)이 상단폭과 하단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삽입브라켓(720)의 하단을 절곡앵글(710)에 삽입시켰을 때 삽입브라켓(720) 전체가 절곡앵글(710)을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브라켓(720) 상단은 상기 절곡앵글(710)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폭을 갖도록 즉, 상광하협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브라켓(720)이 형성되면, 삽입브라켓(720)의 하단이 절곡앵글(710)의 수평연장부를 관통하였을 때 삽입브라켓(720)의 상단은 절곡앵글(710)의 수평연장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브라켓(720)이 절곡앵글(7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삽입브라켓(720)이 절곡앵글(710)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브라켓(20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탠천 조립체는 승강볼트(40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는지에 따라 승강브라켓(300)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바닥판(G)에 결합 또는 탈거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승강볼트(400)는 수나사부(410)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41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210)의 하측 내벽에는 상기 돌출단(430)은 통과할 수 있되 상기 수나사부(410)는 통과할 수 없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21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턱(214)을 통과한 돌출단(430)의 끝단에는 고정링(500)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링(500)은 돌출단(430)이 형성된 지점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제작되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500)이 돌출단(4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볼트(400)는 승강은 불가하고 자전만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승강브라켓(300)의 너트부(310)는 승강볼트(400)의 수나사부(410)에 나사결합되고 가압단(320)은 슬릿(212)의 길이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볼트(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승강브라켓(300)은 하강하게 된다.
승강브라켓(300)의 하강이 진행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320)의 저면이 바닥판(G)의 상면에 압착되면, 상기 바닥판(G)은 지지단(220)과 가압단(320) 사이에 압착 고정되는바, 지주(100)는 바닥판(G)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승강볼트(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브라켓(300)은 슬릿(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브라켓(300)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가이드관(210)으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310)가 가이드관(210) 내부에 삽입된 이후 상기 슬릿(212)의 상측 입구단에 별도의 고정편(60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승강브라켓(300)이 가이드관(210)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아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닥판(G)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단(220)은 가압단(320)이 바닥판(G)의 상면에 압착되는 힘의 반력에 바닥판(G)의 저면에 압착되는데, 상기 지지단(220)이 보다 견고하게 바닥판(G) 저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단(220)의 상면에는 지지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30)은 지지단(220)에 비해 바닥판(G)의 저면과 접촉되는 면적의 크기가 증가되는바, 지지판(230)이 구비되는 경우 지지단(220)과 바닥판(G)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30)은 가운데 부위가 오목하도록 만곡된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판(230)이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지지판(230)이 바닥판(G)의 저면에 압착될 때 상기 지지판(230)은 바닥판(G)의 저면에 맞춰 평평하게 펴지는바, 상기 지지판(230)에는 원상태 즉, 가운데 부위가 오목하게 만곡된 상태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복원탄성력이 발생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30)이 바닥판(G)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압착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승강브라켓(300)이나 지지단(220)이 상하로 약간 흔들리더라도 지지단(220)과 가압단(320)은 바닥판(G)을 안정적으로 움켜쥐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23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바닥판(G)의 저면에 압착될 때 파단될 우려가 있고, 상기 지지판(23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복원탄성력이 매우 낮아지므로, 상기 지지판(230)의 두께는 지지판(230)의 면적 및 재질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G : 바닥판 100 : 지주
200 : 고정브라켓 210 : 가이드관
212 : 슬릿 214 :단턱
220 : 지지단 230 : 지지판
300 : 승강브라켓 310 : 너트부
320 : 가압단 400 : 승강볼트
410 : 수나사부 420 : 헤드부
430 : 돌출단 500 : 고정링
600 : 고정편 700 : 와이어걸이
710 : 절곡앵글 720 : 삽입브라켓

Claims (4)

  1.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봉 형상의 지주(100);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2)이 구비되는 가이드관(210)과, 상기 가이드관(210)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바닥판(G)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단(2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200);
    상기 가이드관(210)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210)에 삽입되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310)와, 상기 너트부(31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슬릿(212)을 통해 상기 가이드관(210)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너트부(31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닥판(G)의 상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압단(320)으로 구성되는 승강브라켓(300);
    상기 너트부(31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10)와, 상기 수나사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210)의 상단에 안착되는 헤드부(420)로 구성되어, 승강은 불가하고 자전만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관(210)에 결합되는 승강볼트(400);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걸이(700);를 포함하는 스탠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걸이(700)는,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주(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된 절곡앵글(710)과, 하단이 상기 절곡앵글(710) 중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에 삽입되는 삽입브라켓(7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브라켓(720)의 상단은 상기 절곡앵글(710)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천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980U 2017-04-19 2017-04-19 스탠천 조립체 KR200484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80U KR200484333Y1 (ko) 2017-04-19 2017-04-19 스탠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80U KR200484333Y1 (ko) 2017-04-19 2017-04-19 스탠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33Y1 true KR200484333Y1 (ko) 2017-08-25

Family

ID=6062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80U KR200484333Y1 (ko) 2017-04-19 2017-04-19 스탠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3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611A (ko) * 2000-09-08 2002-03-15 이상조 조립식 로프장대
KR20080008509A (ko) * 2006-07-20 2008-01-2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의 볼트 및 와셔 어셈블리
KR20140006054U (ko) 2013-05-23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탠천장치
KR101531328B1 (ko) * 2013-12-26 2015-06-24 하은정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611A (ko) * 2000-09-08 2002-03-15 이상조 조립식 로프장대
KR20080008509A (ko) * 2006-07-20 2008-01-2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의 볼트 및 와셔 어셈블리
KR20140006054U (ko) 2013-05-23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탠천장치
KR101531328B1 (ko) * 2013-12-26 2015-06-24 하은정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33Y1 (ko) 스탠천 조립체
KR101386278B1 (ko) 그레이팅 스토퍼
JP4457146B2 (ja) コアドリル装置のベース取付け構造
KR20160000331U (ko) 고정블럭 클램프장치용 클램핑볼트 조립체
KR20170011274A (ko) 비계베이스
US6098749A (en) Work holder
JP2007135805A (ja) 構造物のステップボルト取り付け構造
KR20210100062A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102640124B1 (ko) 족장 피스
JP2007138413A (ja) 振止め具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486118Y1 (ko) 비계 장치의 코너 구조물
JP2010060086A (ja) 配線・配管材保持具
JP6663726B2 (ja)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US1736506A (en) Battery-cell extractor
US3429538A (en) Lamp bracket assembly
US1395308A (en) Staging-support
KR102108728B1 (ko)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JP7098807B1 (ja) 足場用ジャッキ固定具
JP5616727B2 (ja) 手摺装着装置
KR200305893Y1 (ko) 선박건조용 가설발판 설치대
KR101357004B1 (ko)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JP2586917Y2 (ja) 仮設通路の安全索用支柱
US3417586A (en) Combination leveler-bender
JP5647706B2 (ja) 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KR200473406Y1 (ko) 부탄가스 용기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