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611A - 조립식 로프장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로프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611A
KR20020020611A KR1020000054348A KR20000054348A KR20020020611A KR 20020020611 A KR20020020611 A KR 20020020611A KR 1020000054348 A KR1020000054348 A KR 1020000054348A KR 20000054348 A KR20000054348 A KR 20000054348A KR 20020020611 A KR20020020611 A KR 2002002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ope
handle
hook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961B1 (ko
Inventor
이상조
Original Assignee
이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조 filed Critical 이상조
Priority to KR10-2000-005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9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조립식 로프장대(1)는, 끝에 갈고리(2)가 달려있는 가느다란 로프(7)에, 파이프 형태의 짧은 폴대를 여러개 한줄로 끼운 후, 마지막의 손잡이 폴대(6)를 잡고서, 끝에 남은 잔여로프를 양팔을 벌리듯이 힘껏 로프를 당겨 주면 순식간에 일직선 형태의 기다란 대나무장대 처럼 형성된다.(도면제2도)
물에 빠지거나, 겨울철 얼음이 함몰, 좁고 깊은 구덩이 등에 추락시, 빠진 지점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서도, 누구나 신속히 구조할 수 있으며, 제2의 희생자 발생을 완전히 없애주는, 가볍고 간편한 인명구조용 휴대용품으로,
각 폴대의 손잡이 겸 발걸이용 걸이체(17)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위층에서 아래층으로의 이동, 탈출이 가능하고,
접근 불가능 화재 중심부의 해체, 분산제거가 용이하여 조기진화가 가능하며,
익사자 수색, 강과 바다의 환경 오염물, 폐그물망, 등을 잠수요원 없이도, 수거 제거할 수 있는 등등, 용도가 다양하면서도, 휴대, 이동, 보관, 취급, 관리가 간편한 현대가정, 공공장소 및 빌딩, 호텔과 소방서의 필수장비임.

Description

조립식 로프장대{Folding Pole}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인명구조용 조립식 로프장대로서, 강이나 하천, 못 등지에서 물에 빠지거나, 겨울철 얼음이 함몰하여 빠지거나, 깊은 구덩이 등에 빠졌을 때. 구조자가 직접 빠진 지점까지 들어가지 않고, 본 발명품인 조립식 로프장대만으로 바깥에서 용이하게 구조 요청자를 구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간단하게 소형가방이나 쇼핑봉투 등에 들어가도록 된 가벼운 휴대용품으로 되었으며,
물이 불어난 계곡이나 하천의 건너편과 손쉽게 연결 하고져 할 때, 위기에 처한 지점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수초이내에 조립하여 만들어진, 로프장대를 구조요청자의 몸에 연결시켜 구출함으로써 귀중한 인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 할 수 있으며, 주위의 구조자나 구조대원의 무리한 구조활동으로, 제2의 희생자가 발생함을 근원적으로 막아줌으로써, 희생자 없이 인명을 조속 구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조립식 로프장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로프장대의 타측 끝단부에 소정형태의 특수갈고리를 연결 부착시는, 강바닥 등에 갈아 앉은 환경 오염물 등의 수거나 익사자의 수색등을 특수잠수요원이 아니드라도 물에 들어갈 필요없이, 강변이나 강뚝의 가장자리에서 남녀노소 누구든지, 여러사람이 한꺼번에, 동시에 일렬로, 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서서, 여러개의 본 발명품으로써, 각자가 지정된 목표지점을 향해 로프장대의 갈고리부분을 수중 바닥까지 침하시킨후 장대를 잡아끌어 당겨만 줌으로써, 바닥의 침전폐기물이 갈고리에 걸려서 끌려 나오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정의 작업임무를 수행완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품이며,
견고성과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변경제작 사용시는, 고층건물 등에서의 화재발생 등 위기탈출 때, 고가 사다리차의 지연도착시, 본 발명품으로 아래층까지의 탈출이동이 가능하여 귀중한 생명을 조기에 구출 할수도 있고,
산업폐기물 등의 집단야적장 화재시는 중심부분의 진화가 어려워서, 일부분이나마 완전 연소되기를 며칠씩이라도 기다리는 형편이지만, 본 발명품으로는 굳이 폭발, 붕괴 등 위험 부담을 안고 가까이 접근 할 필요도 없이, 멀리서 본 조립식 로프장대를 일직선으로 펼친 후, 화재 중심부분을 갈고리에 걸어 당겨줌으로써, 해체, 분산 등이 용이하여 조기 진화를 획기적으로 이룰 수 있는 상비용품인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인명구조용 조립식 로프장대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가느다란 로프에, 파이프 형태의 구멍이 뚫린, 동일한 굵기의 폴(Pole)대를 소정의 길이 만큼 짧게 제작하여, 이렇게 제작된 폴대를 용도에 따라 적당한 갯수를 로프에 한줄로 꿰어 연결하며,
맨 처음에 끼운 최초폴대가 로프의 타측 끝단부를 통과 이탈되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하여 걸림이 되도록 한 후, 맨 마지막으로 로프에 끼워진 손잡이 폴대를 잡고서 이 폴대의 구멍을 관통해 나온 로프의 일측 끝단부를 잡아 두 팔을 벌리듯이 힘껏, 팽팽하게 당기게 되면, 로프의 유연성이 폴대의 강직성에 의해, 중간에 끼워진 모든 중간폴대들이 로프에 나란히 한줄로 꿰어져 연결되게 되며, 소정길이의 폴대들을 거의 일직선에 가깝게 순간적으로 빳빳하게 기다란 대나무 장대처럼 연결시켜 주어서, 강이나 못 등지에서 물에 빠진 구조 요청자를 향해 쭈욱-뻗혀진 로프장대를 직접적으로 손에 닿게하여, 잡아 당겨줌으로써 간단하게 귀중한 생명을 구출할 수 있도록 발명된 인명구조 용품인 것이다.
종전에는 특별한 기술이 없이, 구조자가 인구에 있는 나무막대기나, 아무렇게나 버려진 보통 나이론줄 등을 주워 구조요청자에게 던져주기도 하였으나, 별다른 소용이 없었으며, 급하게는 제3의 구조자를 부르거나, 기다란 장대나 긴 로프를 구하려고, 인근 마을까지 가야 하지만 시간이 급하여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급한 나머지 구조자가 무리하게 직접 물에 뛰어 들어가 구출하지만, 이것 또한 무모하기 그지없어서 궁극적으로는 제2의 희생자가 발생하는 경우를 너무나 많이 보아 왔든 것이다.
그리고 제3의 구조자가 필요한 장비를 갖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모든 상황이 끝나버린 후의 일이 되어, 모든 것이 허사가 되고 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강바닥 등에 가라앉은 환경오염물, 폐기물 등의 수거나, 익사자의 수색 등에는, 특수한 자격을 갖춘, 소수의 잠수요원들 만이 주어진 임무에 임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소수인원으로 임무를 수행 완료하려면 수많은 날짜와 시간이 필요 하여서, 소요되는 비용이 엄청나게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품인 조립식 로프장대로서는, 로프의 타측 끝단부 매듭에 소정 형태의 특수갈고리를 조립 연결할 경우, 강변이나 못뚝의 가장자리에서 물에 들어가지 않고, 보통의 작업자 여러사람이 물에서 한줄로 횡대로 서서, 본 발명품을 여러개 펼쳐, 한꺼번에 각각의 작업자가 원하는 목표지점에 갈고리를 물속에 집어넣어, 작업자 앞으로 서서히 직선으로 끌어당김으로 해서, 물속 바닥에 갈아앉은 모든 끌려올 수 있는 물체를 갈고리에 걸어 물밖으로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바둑판 모양으로 질서정연하고 일정하게, 정해진 작업구간을 최단시간내에 완벽히 수색하거나 수거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이 갑작스럽게 불어난 계곡이나 하천에서, 건너편과 연결코져 할 때는, 밧줄 끝을 연결한 총탄을 발사하든지, 특수요원이 위험을 무릅쓰고 구명줄을 별도로 몸에 묶고 나서, 손수 계곡을 가로질러 건너 가야하는 위험한 상황이 전부였었다, 그러나 본 발명품을 사용하게 되면, 이런 위험들은 완전 해소가 되는 것이며, 본 발명품을 견고성과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변경 제작할 경우에는, 고층건물 등에서의 화재 발생등 위기 탈출시, 고가 사다리차의 지연도착시, 본 로프장대의 타측끝단부에 조립부착된 갈고리를, 윗층 베란다의 난간대나, 고정된 샤시틀에 걸어둔 후, 지상으로 늘어 뜨려진 로프장대에 매달려서, 각각의 중간폴대에 돌출형성된 손잡이겸 발걸이용 걸이체를 이용하여, 아래층까지의 탈출, 이동이 가능하여 귀중한 생명을 조기에 위기로부터 구출할 수도 있고,
화재 발생시에 화재중심부가 아닌 외부화재는, 소방펌프 물로서 더 이상의 화재 확산방지가 되지만, 내부 심층 화재부분은 현재로서는 속수무책이며, 기껏해야 소방서에 비축된 5m전후정도의 긴 나무로 된 외갈고리를 갖고서 외벽부분이나 바깥쪽 소진된 부분 등을 뜯어내는데 불과하며, 그나마 불길이 거세지거나, 붕괴 위험시는 접근보다도 현장 탈출을 먼저하여야 하는 형편이지만, 본 발명품으로는 아무리 먼곳의 화재 중심부라도 가까이 가지 않고서 멀리서, 조립식 로프장대를 일직선으로 펼친후, 화재중심부분의 해당 물체를 걸어 당겨줌으로써, 산업폐기물, 특히 타이어 등 인화성, 유독성 물질의 집단 야적장 화재시는 중심부분의 해체, 분산 및 발화물체 제거가 용이하여, 위험부담없이 신속하게 집중적인 중심부진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조기진화에 아주 효과적인 발명품인 것이다.
본 발명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파이프(Pipe)형태의 구멍이 뚫린, 동일한 굵기와 소정의 길이로 된 폴(Pole)대를 가느다란 로프(rope)에, 용도에 따라 적당한 수량의 폴대를 한줄로 꿰어 연결하되, 맨 먼저 끼운 최초폴대가 로프의 타측 끝단부를 통과, 이탈하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하여 걸림이 되도록 하며, 이 매듭에는 소정형태의 갈고리를 연결부착할 수 있게끔 끝을 둥글게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마감을 하여준다.
갈고리(2)는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배를 멈추어 서게하는 기구인 전형적인 닻(anchor)형태로서, 닻의 자루가 되는 부분인 닻채(shank)에 해당하는 갈고리채 (21)가 있고, 닻에 달린 갈고리와 같은 갈고리 가지(arms of an anchor)(22)가 활모양으로 휘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그 맨 끝에는 새의 주둥이 형상을 한 부리 (bill)(23)가 짧게 갈고리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갈고리채(21)는 외부 표면이 나선형으로 되어있어, 갈고리채삽입관 (24)에 나선형으로 돌려 끼워져서 일체로 형성되게 되어있다.
갈고리채삽입관은 내부가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경은 갈고리채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있어, 완전히 조립되게 돌려 끼워지게 되면, 여하한 경우의 외부 압력에도 잘 빠지지 않게 되고, 완전히 끼워진 갈고리채에는, 도면 제1도 에서와 같이,또다시 갈고리채와 갈고리채삽입관을 동시 관통시키는, 또다른 나선형의 핀(pin) 구멍이 뚫려져 있어, 이곳에 핀(pin)(25)이 나선형으로 또다시 조여져 꽂혀짐으로써 이중잠금 장치가 되어,인위적인 분해에 의해서만 이탈 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갈고리채와 갈고리채삽입관이 분리 되어 있는 것은 여러 종류의 변형된 갈고리를 필요한 용도에 따라 교환,부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갈고리채삽입관(24)의 끝단에는 바늘귀 모양의 일정크기의 구멍을 둥글게 형성한 갈고리구멍이 있어, 로프의 타측 끝단부 매듭과 서로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이 구멍에 로프를 끼우고 빼내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이렇게 갈고리 구멍에 끼워져 매듭이 형성된 로프는, 외부의 여하한 당김에 대해서도 그 매듭이 풀리거나 분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로프의 매듭은 제작할 때 처음부터 갈고리구멍에 끼워진후 도면 제3도(가)와 같이 더 이상 풀려질수 없도록 완전히 매듭을 일체로 엮어서 완성시켜 주거나, 또는 도면 제3도 (나)에서와 같이 특수한 조임조리게(26)로써, 교체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로프의 매듭은, 역(逆)으로 볼 경우, 용도에 따른 길이 만큼 로프를 먼저 절단 후 처음부터 매듭에 고리를 형성시켜 제작하면, 별도의 조임조리개가 필요없이, 로프의 매듭을 완전 고정화 시켜 둘 수 있으되, 장기 사용시 로프의 중간이 절단 될 때, 교체 등이 곤란하다.
맨 먼저 끼워진 최초폴대의 상단부와 로프의 매듭중간에는, 소정형태의 뚜껑이 최초폴대의 상단부에 덮어씌우듯 끼워져 있어서, 로프의 매듭이 폴대의 중간구멍으로 당겨져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뚜껑으로 인한 걸림유지가 지속되도록 하는것이다.
뚜껑은 문구용품인 딱풀의 뚜껑(cap)형태로서, 경금속 철재나 강화 프라스틱으로 제작하며, 최초풀대의 상단부에 모자를 덮어쓰듯이 꽉 끼이도록 덮어 씌워 줌으로써 상단부를 보호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로프에 끼워진 폴대는, 필요한 용도에 따라 그 숫자를 별도로 정하여 조립되어 있으며, 폴대의 단위 길이에 끼워진 총 숫자를 모두 합하면, 본 발명품인 조립식 로프장대의 총길이가 결정되므로, 그 길이는 필요한 용도에 따라 조정하여 여러종류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맨 마지막으로 끼워지는 손잡이 폴대에는, 상단부가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회전판이 끼워져 완전히 조여져서, 손잡이폴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이 회전판은 본 조립식 로프 장대가, 최종 조립 완료된 후에라도 로프 자체가 늘어나거나, 사용자의 느슨한 조립으로 인한, 중간 꺽임 현상이 발생할 경우, 회전판을 손잡이폴대에서 나선형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이완되게 풀어 줌으로서, 아래위 폴대 각각이 서로서로 밀리게 되어, 일직선으로의 경직성이 더욱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손잡이폴대의 관통구멍으로 통과한 로프는, 조립식로프장대의 총 길이보다 더 길게 잔여길이를 일정, 유지하여야 하며, 이것은 조립사용시 한줄로 긴 장대모양으로 곧게 형성된 일직선 형태의 폴대를, 사용완료후에는 그냥 그 상태로 보관 및 관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조임고정된 로프의 조임을 풀어준후 느슨하게 풀어진 폴대 자체를, 지그재그로 꺾어서 접어 보관해야 함에 따라, 폴대와 폴대사이의 꺾임부분에, 중간노출되는 로프의 길이와 손잡이 폴대에서 조임고정때 소요되는 로프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는 조금더 길게 잔여분을 필요로 한다.
잔여길이는 각각의 폴대의 종류와 폴대의 숫자에 따라, 꺾임부분이 많거나 혹은 작을수도 있어 그 용도에 맞게 길이를 정하면 되는 것이다,
실시 예에 의하면, 손잡이 폴대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로프의 잔여부분에는 손잡이폴대의 하단부에 끝마무리 매듭이나 고정장치가 되지 않을 경우, 로프에 끼워진 모든폴대가 기다란 장대모양으로 일직선으로 경직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흐느적거리거나, 중간 곳곳에 꺾임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본래의 조립식 로프장대의 특성을 상실하게 되며, 소정의 일직선 길이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로프장대가 일직선이 되도록 팽팽하게 잡아당겨졌을 때, 팽팽하게 당겨진 그 상태에서 손잡이 폴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낮은걸림凹(요)부의 외부방향으로, 로프를 직각으로 꺾어 끼워넣어 일차적인 걸림을 이루도록 하며, 이렇게 하므로서 로프의 방향은 손잡이폴대 하단부의 내부구멍에서 낮은걸림凹(요)부에 끼워져 꺾인후, 폴대의 표면 외부로 나와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대향하게 된다.
이렇게 낮은걸림凹(요)부에 일차적인 걸림이된 로프는, 낮은걸림凹(요)부에서 손잡이폴대의 길이방향으로, 표면에 로프굵기의 반경만큼 홈(groove)이 파여져 있고, 이 홈에는 원뿔형 돌기가 내표면에 1개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 직경의 반정도로 파뭍혀 계속 끼워지게 된후, 이 홈의 끝에 소정의 형태로 돌출형성된,2차 걸림방향전환이 되는 제1반전부에 걸리게 되며, 여기서 로프는 제1반전부를 감싸고 직각방향으로 꺾여 방향이 전환되고, 계속하여 손잡이폴대의 표면중간을 반쯤 휘감아 제1반전부와 동일한 위치의 반대방향에서 동일한 형태로 돌출형성된 제2반전부에서 다시한번 걸림이 형성되도록 한후,
홈에 반정도 끼워진 로프와 손잡이폴대의 외표면을 일체로하여, 같은 방향으로 한꺼번에 서너번 이상을 힘껏 칭칭 감아주되, 손잡이폴대의 하단부 방향으로 스프링을 감듯이, 가능한한 교차되지 않게 팽팽하게 당겨, 서너번이상 감아 줌으로써, 폴대표면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너번이상 감겨진 로프의 압력에 의한 눌려짐과 원뿔형 돌기와의 걸림에의한 마찰 및 로프끼리의 교차함으로 생기는 대각방향 마찰로 인해, 마찰계수가 최고조에 달해 걸림이 유지되게 되며, 조립식로프장대의 형상은 거의 일직선에 가깝게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팽팽하게 감아준 로프의 잔여부분을 깊은 걸림凹(요)부에 끼워넣되, 손잡이폴대의 하단부 양쪽에, 대향되게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깊은걸림凹 (요)부의 양쪽을 凹(요)부 입구에서 내측바닥 끝까지 한꺼번에 끼워 당겨줌으로써, 그 조임이 극에 달하게 되어 로프는 최종적으로 완전히 고정유지 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금속제 매듭장치나, 고정시키는 기구를 추가로 사용하였을 때, 전체 무게에서 늘어나는 추가중량을 완전 배제시켜, 최대한 가볍게 하기 위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낮은걸림凹(요)부의 직경은 로프굵기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하여야 하며, 이렇게 해야만, 로프가 凹(요)부에 빠듯하게 끼워져서 쉬이 빠지지 않고 걸림이 가능하며,
깊은걸림凹(요)부의 직경은 손잡이 폴대의 내부관통구멍의 직경과 동일하게 하여줌으로써 폴대의 하단부 구멍에서 볼 경우, 로프의 굵기가 구멍에 꽉찬 듯이 보이지만 실제는 로프자체의 꼬임에 대한 신축성으로 인해 팽팽하게 담겨질 경우, 그 직경이 일반적으로 로프의 경우 20%이상 줄어들고, 꼬여지면서 가늘어지게 되어, 이렇게 줄어듬으로써 생긴 틈바구니와, 원래 폴대구멍과의 직경이 차이나는 자리에 완전히 당겨서 감겨진 로프의 잔여분이, 깊은걸림凹(요)부의 내측바닥으로 새롭게 옆으로 비집고 들어와, 꽉 조이게 되도록 팽팽하게 당겨지게 됨으로써, 그 마찰계수는 최고조에 달하게되어 그 조임상태가 완전고정이 되며, 조립식 로프장대의 특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깊은걸림凹(요)부에 마지막 걸림이 되고 남는 잔여로프의 길이는 더 이상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립후 시용시 지장이 없을 만큼 짧게 하여야 하며, 본 발명품의 제작시 총길이가 결정되게 된다.
또한 잔여로프의 끝단부는 손잡이폴대의 구멍보다 크게 끝마무리매듭(16)이 형성 고정화 되어있다. 끝마무리 매듭은, 가벼운 경금속이나 프라스틱등의 간단한 조임집게로써 고정매듭을 형성토록하며, 이렇게하면 로프끝단부의 꼬임 타래가 계속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된 조립식 로프장대를 분리,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끝마무리 매듭이 된 로프를 손으로 잡고, 로프가 최종적으로 끼워진 순서의 역순으로 풀어줌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로프의 조임이 해제되고, 당김이 느슨하게 되어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분해 후 보관의 원할을 위해서는 손잡이폴대를 끝마무리 매듭까지 역으로 당기면서, 순차적으로 앞선폴대를 당겨주면서, 지그재그로 접어주면, 간단하고 용이하게 적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각의 폴대의 종류로는, 로프에 맨 먼저 끼워지는 최초폴대(4)와, 맨 마지막에 끼워지는 손잡이폴대(6) 및, 이들 두 폴대 사이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중간폴대(5)로 나누어지는데, 중간폴대의 숫자에 따라 조립식 로프장대의 총길이가 결정되며, 용도에 따라 길게 또는 짧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폴대의 형상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별되는데, 로프에 끼울때는 필히 상단부 부터 끼워야만 된다.
상단부의 모양은 로프가 팽팽하게 당겨질 때, 먼저 끼워진 폴대의 하단부와의 연결접착을 보다 완벽하게 하기위해, 도면 제1도의(8),(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부에 소정형태의 철부(凸部)삽입체를 돌출 형성하도록 하며, 먼저 끼워진 폴대의 하단부에는 동일형태의 요부(凹部)를 형성하도록 하여, 두개의 폴대가 연결 접착시 완벽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그 규모나 형태가 완전 일치하여야만 된다.
이렇게 형성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결합된 상,하 두 개의 폴대는, 로프의 당겨짐이 더 이상 당겨지지 않을 만큼 완벽하고 팽팽하게 당겨져서, 그 조임상태가 완전히 고정되었다고 하드라도, 로프자체가 제조 생산될 때 꼬임에 의한 신축성으로 인해, 자연적인 신장상태가 되어서, 두 폴대 사이에 꺾임현상이 나타나게 되어,로프장대의 특성이 상실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폴대의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결국에는 일직선 형태의 로프장대가 아닌 활모양으로 아래로 휘어지는 로프장대가 될 것이며, 이렇게 되면 원하는 목표지점에 로프장대의 갈고리를 신속히 던져 넣기가 무척 힘이 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실시예의 결과로는 완전일치하는 凹(요)부와 凸(철)부 삽입체는, 추호의 틈새도 없이 서로 맞 끼워져, 맞물림이 고정화되기 때문에, 서로가 버팀과 걸림현상을 동시에 나타내게 되어, 외부의 상당한 힘이 가해져도 그 꺾임현상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단부에는 凸부 삽입체, 하단부에는 凹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반대로 하여, 하단부에 凸부 삽입체, 상단부에 凹부를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들 두가지 형태를 한 개의 조립식로프장대로 제작할 때는 절대로 혼용하여서는 안된다.
최초폴대의 상단부와 맨 마지막 손잡이폴대의 하단부에는, 凸부삽입체와 凹 부 형태가 필요없기 때문에 그냥 파이프가 절단된 그대로의 모양을 하면된다.
깊은걸림凹부(15)와 낮은걸림凹부(11), 제1,제2반전부(13),(14), 및 그 사이에 길고 얕게 파여져 형성된 홈(12)등은 모두 2군데씩, 각각 동일한 위치의 반대편에서, 동일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것은 시간이 촉박한 상황하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걸림유지 시키기 위하여, 어느 방향에서라도 손쉽고 가까운 쪽부터 먼저 걸림이 될 수 있도록 해주어, 편리를 추구하기 위한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품인 조립식로프장대(1)는, 손잡이폴대(6)가 가장길고, 중간폴대(5)를 지나 최초폴대(4)까지 그 길이가 각 폴대마다 점차 짧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최초폴대가 전체폴대중 가장 길이가 짧은 편에 속한다.
이것은 실시 예 결과, 손잡이폴대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각 폴대의 무게와 로프의 중량이 함께 실려서 점점 더 무겁게 작용함을 알수 있었다.
손잡이폴대의 굵기는, 사용시 손으로 잡는 감각이 가장 적당한 굵기로 하며, 전체 중량을 최대한 가볍게 하기위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각각의 다른 종류의 폴대들은 보다 가늘게, 또는 최초폴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가늘게하여 제작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체 폴대의 중간 관통구멍의 직경은 동일하여야 한다.
모든폴대는 손으로 잡을 때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소정형태의 빨래판표면과 같은 미끄럼 방지 형상을 하였으며, 손잡이 폴대로부터 일정 길이에 해당하는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각각의 폴대에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자체길이의 3분의 2정도되는 위치에, 도면제1도,제2도에서와 같이 소정크기의형의 손잡이겸 발걸이용 걸이체(17)를 조립 삽입하여 끼우거나, 또는 일체로 돌출형성 하게 되는데,형의 꺾임부분인 모서리각에는 대각선 바깥방향으로 원뿔형태의 소정의 돌기를 비스듬히 일체로 돌출형성 시켜서형이 되게 함으로써 필요시 발길이로도 미끄러짐이 없게 사용되도록 한다.
걸이체(17)는 원뿔형 돌기가 형성된 면을 폴대의 상단부 방향으로 하여 폴대의 상단 부분에서부터 끼워넣되, 폴대 중간에 형성된 윗턱(18)과 아랫턱(19) 사이에 끼워져야하며, 윗턱은 대나무의 중간 마디 모양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직경은 걸이체의 삽입구멍보다 약간 크도록 하여야 하며, 인위적으로 압력을 가할 경우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만 쉽게 빠지거나 이탈됨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걸이체(17)의 돌출 형성위치가 폴대 자체 길이의 3분의 2위치라야 함은, 사용후 보관시 지그재그로 꺾어서 접어 보관하므로, 걸이체가 상,하로 분산되게 되고, 걸이체는 폴대를 중심으로, 또한, 폴대는 로프를 중심으로 각각 서로서로가 임의 회전하기 때문에, 걸이체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도 그다지 부피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중앙부위에만 돌출 형성할 경우 중간부분만 불록하게 되어 그 부피가 배이상 커져서, 보관상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립식로프장대(1)의 갈고리(2)는 주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강화프라스틱등 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고, 대상물이 걸린후 당김에 대해 잘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기위해 구조적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폴대 자체는 가늘고 길며, 여러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첫째는 가벼워야 되고, 그 다음에 내구성, 내열성, 강직성, 내마모성 등이 각각의 용도에 따라 구별되게 된다.
가벼워야 되는 측면은, 휴대용으로 하여 항상 주위에 갖고 있도록 하여야만 위기상황에서 즉시 사용이 가능토록 함이며, 순간대처 능력 발휘시 중량에 대한 부담을 최대한 가볍게 해주기 위함이다.
폴대의 재질은 프라스틱이나 가벼운 경금속, 목재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물에 잘뜨고, 비중이 낮은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세라믹 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지만, 구조적으로 강직성이 약하여, 가늘고 긴 폴대로서는 잘 부러지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은 폴대의 구멍 내측벽과 외부표면을 후포지(厚布紙)로 강력접착 시킬 경우, 즉 : 2개의 직경이 다른 원형의 후포지 모형틀을 서로 삽입후 끼워진 사이에 발포를 하여, 소정형태의 폴대를 일체로 형성시키면, 폴대의 안팎이 모두 후포지로 강력접착되고 둘러쌓이게 되어, 그 강도가 엄청나게 놓아져 잘 부러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후포지는 발포성형 하기전에 필히 방수처리 된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수중 침하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굳이 물에 뜰 필요없이 각종프라스틱이나 경금속으로도 제작할 수 있지만,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강도가 강해진 만큼 무게가 무거워짐을 고려하여야 하고, 화재 진화용으로는 내열성을 고려하여, 갈고리에서부터 일정수량의 폴대는, 특수한 내열성 강화 프라스틱이나 특수금속으로 제작하여, 높은 온도와 열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는 재질이라야 한다.
가느다란 로프(7)는 보통끈(string) 보다는 굵고, 로프(rope)보다는 가는 코드(cord)정도의 굵기로 하며, 가능한 늘어나는 신축성(Tension)이 적을수록 좋으며, 필히 방수나 방염처리 된 것을 용도에 맞게 사용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일반로프 대신 와이어 로프(wire rope)(71)를 사용코져 할 경우, 와이어는 신축성이 없고, 내열성이 강하여, 특히 화재 진화용으로는 적당하며, 전체 무게를 감안하여, 굵기는 보다 가늘어야만 되고, 탄력성 또한 강하지 않고 유연해야만, 분해보관시 지그재그 꺾임이 수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면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고정유지판(板)(61)과 "T" 형스크류핸들(91)이 필요하며, 로프(7)를 사용할 때의 손잡이폴대의 걸림, 감김, 조임등의 모든 장치가 고정유지판과 "T" 형스크류핸들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유지판은 손잡이폴대의 중간에 끼워지게 되는데, 손잡이폴대의 상단부에 회전판(10)이 끼워지기전에, 버팀기둥(62)이 아래로 길게 돌출 형성된 부분쪽부터 먼저 끼워지게 되어, 손잡이폴대 중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버팀기둥고정턱(62a)에 걸려 끼워지게 됨으로써, 임의회전을 방지 할 수 있어 고정화 되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상단부에는 회전판이 끼워져서 완전히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와이어는 손잡이폴대 하단부의 凹(요)부에 당겨져서 끼워진후, 고정유지판의 쇄기홈(64)에 끼워지고, 다시 폴대를 휘돌아 반대편 쇄기홈에 끼워진후, 손잡이폴대 하단부의 凹(요)부에 다시 끼워져서,이러한 순서로 끼워진후에 와이어가 풀리지않겠금 고정유지 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한손으로 "T"형스크류핸들(91)을 손잡이폴대 하단부로부터 끼워 넣는다.
"T"형스크류핸들은 도면 제9도에서와 같이 고무관(65)과 함께 손잡이폴대의 하단부에서부터 끼워져 "T"형 손잡이를 돌려가며 서서히 조여주게 된다.
손잡이폴대 하단부의 凹(요)부 밑바닥을 지나, 고정유지판의 쇄기홈으로 여러번 엮어져서 끼워진 와이어는, 손잡이폴대의 하단부 직경 보다 고정유지판의 직경이 훨씬 크기 때문에, 고정유지판의 직경만큼 폴대 하단부의 凹(요)부 밑바닥에서부터 "∨"자 형상으로 약간 벌어진 상태가 되어,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것을 고무관이 끼워진 "T"형스크류핸들이 서서히 끼워져 조여짐으로 인해, 그 조임이 더욱강하게 나타나게 되며,고무관의 신축성과 탄력성,접착성에 의해, 와이어의 미끌림이 현저히 감소되어 고정 유지 되게 되는 것이다.
고무관은 "T"형스크류핸들의 앞쪽에 항상 끼워져 있게 된다, "T"형스크류핸들이 손잡이폴대의 하단부에서부터 끼워져 조여지게 될 때, 고무관은 와이어를 계속 감싸 안으면서 앞으로 밀려 나가면서 조여주게 된다, 그래서 "T"형스크류핸들은 회전 하면서 조여지지만 고무관은 회전하지 않고 그냥 밀려 나가기만 하면서 조여주기 때문에, 서로 맞닿아서 밀리는 고무관 내부에는 마모가 발생하므로, 중간에 구멍 뚫린 납짝한 와샤(63)를 2개 정도 끼워 줌으로써 고무관의 마모를 최대한 방지 할 수 있다.
고정유지판(61)의 크기는 직경 7∼8cm 전후로 원형 또는 각(角)이 형성 되어 있으며, 그 두께가 1∼2cm 전후의 납짝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테두리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새부리 형태의 여러개의 쇄기홈이 소정크기로, 경사지고, 날카롭게, 깊이파여져 있으며, 좌우에 예리한 칼날모양이 마주보며 안으로 점점 좁게 휘어져 있어, 끝에 가서는 두 칼날이 만나 일체가 된다. 이렇게 되면 두 칼날이 "V"자 형태가 된다.
이 칼날이 형성된 쇄기홈에 힘차게 당겨진 와이어(wire)가 꽉 끼여져 조이게되면, 와이어 자체도 "ㄴ"자 형태와 비슷하게 칼날에 꺾임이 되어, 실시예의 결과 상당한 걸림유지가 되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걸림유지를 보다 더 확실히 하기위해, 잔여 와이어의 일정길이에 납땜을 물방울 크기만큼 한 방울씩을, 여러군데에 고착시켜주게 되면, 각각 다른 색깔의 페인트가 도색된, 여러개의 납땜방울들이, 각각의 쇄기홈에 끼워지는 와이어의 걸림위치 전후에 형성되어 있어서 보다 확실한 걸림유지가 된다.
이 납땜방울의 크기는 폴대의 중간구멍 직경보다 커서는 안된다.
도면 제8도,제9도에 도시된 각각의 테두리 쇄기홈(61)들은 모두 동일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가 끼워지는 순서는 정해진 것이 없이 편리한 쪽부터 먼저 끼워 나가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고정유지판과 손잡이폴대는 한꺼번에 묶여지고 일체가 되며, 날카로운 "V"형 칼날사이에 끼이고, 꺾여지면서 여러번에 걸쳐, 걸림과 조임이 되고, 탄성이 억제되도록 눌려진 와이어는, 여하한 힘이 가해져도 완벽한 걸림유지가 되기 때문에, 기다란 장대로서의 특성을 완전히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유지판을, 와이어가 아닌 일반로프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고정유지판에 형성된 칼날 형태의 쇄기홈에 의해, 몇차례 사용되지 않은 일반로프가 중간 절단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절대 혼용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완전히 고정유지된 후에 남는 와이어의 잔여 길이는 불필요 함으로 취급관리상 편리를 위해 "T"형스크류핸들의 손잡이에 해당하는 "T"형 양쪽에 도끼 칼날형태로 파여진 틈새로(도면제9도 참조) 편리한 쪽부터 끼워서 당겨주면 사용시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지판과 "T"형스크류핸들의 재질은, 와이어가 앞,뒷면과 상,하로 감기는 특성 및 쇄기홈의 칼날마모 방지를 위해, 앞,뒷면이 쉽게 보이는 투명한 초강화 프라스틱이 가장 적당하며, 주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칼날마모 방지를위해 구조적 강도가 높은 재질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제1도 (가)는 본 발명의 조립 전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입체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립 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조립 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에 있어서, 로프의 타측 끝단부에 처음부터 매듭지어져서 연결 부착된 갈고리채삽입관(24)의 조립전 입체 사시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에 있어서, 로프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고리 매듭을 조립 형성시키는 조임조리게의 분리입체 사시도.
제5도 (가)는 두 개의 갈고리의 조립 전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나)는 제5도 (가)의 조립 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 (가)는 세 개의 갈고리의 조립 전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나)는 제6도 (가)의 조립 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 (가)는 1개의 갈고리 가지의 조립 후 모형을 나타낸 측면도.
(나)는 두 개의 갈고리 가지의 조립 후 모형을 나타낸 측면도.
(다)는 세 개의 갈고리 가지의 조립 후 모형을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의 손잡이 폴대에 고정유지판과 "T"형스크류핸들의 조립전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9도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의 손잡이폴대와 고정유지판에 와이어가 감긴후 "T" 형 스크류핸들이 삽입되어 나사로 조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나)는 (가)의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로프장대 2 : 갈고리 3 : 뚜껑
4 : 최초폴대 5 : 중간폴대 6 : 손잡이폴대
7 : 로프 8 : 상단부 9 : 하단부
10 : 회전판 11 : 낮은걸림 凹(요)부 12 : 홈
13,14 : 제1,제2 반전부 15 : 깊은걸림 凹(요)부 16 : 끝마무리 매듭
17 : 손잡이(발걸이)걸이체 18 : 윗턱 19 : 아랫턱
21 : 갈고리채 22 : 갈고리 가지 23 : 부리(bill)
24 : 갈고리채 삽입관 25 : 핀(pin) 26 : 조임조리게
61 : 고정유지판 62 : 버팀기둥 62a : 버팀기둥고정턱
63 : 와샤 64 : 쇄기홈 65 : 고무관
71 : 와이어(wire) 로프 91 : "T" 형 스크류핸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면과 특수한 성질, 용도, 등등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과제란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가급적 중복서술을 피하도록 하고, 가능한 한도 내에서 구성요소와 작동방법 등만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되, 중요부분에 대해서는 재 강조하는 방향으로 하겠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조립전 사용상태가 입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로프장대(1)의 조립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립식 로프장대(1)는 로프(7)와 회전판(10)이 끼워져 있는 손잡이폴대(6), 중간폴대(5), 최초폴대(4) 및 갈고리(2), 그리고 최초풀대(4)와 갈고리(2)사이에 끼워진 갈고리채삽입관(24)과 로프(7) 대신 와이어(71)를 사용시 구비되는, 고무관 (65)이 끼워진 "T"형스크류핸들(91)로 구성 되어있다.
폴대는 파이프 형태로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문구용품인 딱풀의 캡(cap)형태인 뚜껑(3)도 윗부분 중앙에 로프(7)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구명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으로 로프(7)의 일측 끝단부를 향해 순서대로 끼워 넣어주는데, 맨 먼저 뚜껑(3)의 표면쪽 구멍으로부터 끼워준후 그 다음에 최초폴대(4)를 끼워주며, 이때 뚜껑(3)이 최초폴대(4)의 상단부에 모자를 깊이 눌러 씌우듯이 잘 빠지지 않겠금 완전히 밀착되게 꽉 끼워 넣어 주어야 한다.
모든 폴대는 상단부(8)와 하단부(9)로 구별하게 되어 있는데, 필히 로프(7)에 끼워 넣을 때는 상단부(8)부터 끼워 넣어야 하며 상단부(8)관통로를 통과한 로프(7)의 일측끝단부가 하단부(9)관통로를 통해 탈출된 후, 다음 폴대를 또 다시 상기 순서대로 상단부(8)부터 끼워서 하단부(9)로 나오게 하여 로프(7)에 한줄로 차례대로 꿰어 연결하도록 하며,
최초폴대(4)의 상단부에 꽉 끼워진 뚜껑(3)에는, 로프(7)가 타측 끝단부를 통과, 이탈되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하여 주는데, 이 매듭은 갈고리채삽입관(24)의 아랫쪽 구멍에, 로프(7)를 끼운체로 매듭을 형성해야 되기 때문에, 로프(7)의 타측 끝단부를 원형으로 하여, 갈고리채삽입관(24)의 구멍에 끼울수 있겠금, 둥글게 고리를 형성하여야 한다.
로프(7)의 타측 끝단부는 생산제작시 소정길이로 절단후, 처음부터 원형고리를 형성시켜서 매듭을 만들어 튼튼하게 풀리지 않겠금 제작하여야 하며, 또는 도면제4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한 조임조리게(26)로서 나중에 원형고리 매듭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
갈고리채삽입관(24)에 원형고리 매듭이 만들어지고 나면, 갈고리채(21)를 갈고리채삽입관에 나선형으로 끼워 넣어주며, 꽉 끼워진 후에는 도면 제1도,제2도에서와 같이, 중간 정도의 위치에 나선형으로 뚤려진 핀(pin)구멍을 정확하게 맞춘후, 여기에 또다시 수나사 핀(pin)(25)이 꽂혀서 단단하게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갈고리채삽입관의 구멍에 끼워진 로프(7)의 타측 끝단부가 매듭을 형성하고, 뚜껑(3)이 덮어 씌워져 밀착되게 끼워진 최초폴대(4)가 상단부 부터 끼워지게 되면, 그 다음에는 중간폴대(5)를 끼우게 된다.
최초폴대(4)와 손잡이폴대(6)는 각각 1개씩이지만 중간폴대(5)는 용도에 따라 그 숫자가 별도로 정해져 있으며, 폴대 각각의 길이도 각각 다르게 제작되어 있다.
각각의 길이가 다른 중간폴대(5)는 그 중에서 가장 짧은 것부터 차츰차츰 긴것 순으로 상단부(8)부터 끼워 넣어주면 되고, 중간폴대(5)를 다 끼운후에는 맨 마지막으로 손잡이폴대(6)를 끼워넣어 주며,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9)를 통과하여 나온 잔여로프의 일측 끝단부에는, 손잡이폴대(6)의 관통구멍보다, 크고 가벼운 경금속이나 프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조임집게로서 끝마무리 매듭(16)이 형성고정화 되어 있어야 하며, 손잡이폴대(6)의 관통구멍으로 로프(7)가 역진할 경우, 순서대로 끼워진 폴대가 역순으로 빠져서 이탈, 분해됨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품인 조립식로프장대(1)의 1차적인 구성 조립은 완성되었으며,
그 작동방법은, 손잡이폴대(6)를 한손으로 잡고, 이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나온 로프(7)를 다른 한손으로 잡아서, 양손을 힘차게 벌리면서 로프(7)를 잡은손을 힘껏당겨, 로프(7)가 최대한도로 더 이상 당겨질 수 없을 만큼 팽팽하게 당긴후, 로프장대가 일직선으로 곧게 뻗었는지를 확인하면서, 힘껏당겨진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함과 동시에, 손잡이폴대(6)의 낮은걸림 凹(요)부(11)에 로프(7)를 꽉 끼이도록 눌러 넣은후 이 낮은걸림 凹(요)부(11)와 연결되게 로프(7)의 반경 만큼 길게 파여진, 홈(12)을 따라 로프(7)를 반 정도 파뭍히게 계속 끼운후, 홈(12)의 끝에 돌출형성된 제1반전부(13)를 감싸고 방향을 직각으로 꺾어, 제2반전부(14)까지 손잡이폴대(6)를 반바퀴 감싸고 휘돌아 반쯤 감긴 상태에서, 계속동일 방향으로 제2반전부(14)에 걸림이 되게 걸어준후,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 방향으로 깊은걸림 凹(요)부(15)에 깊게 파여진 내측 바닥부분까지, 홈(12)에 반쯤 끼워진 로프(7)와, 손잡이폴대(6)를 일체로 하여, 한꺼번에 칭칭감아 묶듯이 서너번 이상 감아주되, 가능한한 휘감은 로프(7)끼리 서로 꼬이지 않게 감아준후, 휘감고 남은 잔여 로프를,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 양쪽에 동일 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깊은걸림 凹(요)부(15)중에서 가깝고 편리한 쪽의 凹(요)부 입구에서부터 먼저 걸고, 또 다른 한쪽의 凹(요)부 입구와 동시에 걸은후, 이 두 개의 깊은걸림 凹(요)부(15)에 깊게 파여진 내측바닥면까지 한꺼번에 끼워 힘껏 잡아당겨주게 되면, 손잡이폴대(6)의 관통구멍에 먼저 끼워져 있는 로프(7) 옆으로 잔여로프가 새롭게 비집고 들어와 서로가 꽉 조이게 된다.
이런 상황하에서의 로프(7)는, 첫째, 낮은걸림 凹(요)부(11)에 걸리고, 다음은 홈(12)에 끼이면서, 내표면 돌기에 걸리고, 또한 손잡이폴대(6)와 함께 서너번이상 칭칭 감기면서, 마지막에는 비좁은 구멍통로에서, 두 개의 로프가 서로서로 꽉 끼이고 조이게 되어, 더 이상 풀려질 수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진 조립식로프장대(1)의 형태는 지속적으로 유지, 고정화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한 후 계속 사용하게 되면서, 차츰차츰 로프(7)가 느슨해지게 되면, 손잡이폴대(6) 위에 끼워져 있는 회전판(10)을 서서히 돌려 가면서 풀어주게 되면, 조립식로프장대(1)의 형태 유지를 지속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하여 사용된 조립식로프장대(1)를 분리,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 끝단부에 끝마무리 매듭(16)이 된 로프(7)를 손으로 잡고, 로프(7)가 최종적으로 끼워진 순서의 역순으로 풀어줌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로프(7)의 조임이 해제되고, 당김이 느슨하게 되어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분해후 보관의 원할을 위해서는, 손잡이폴대(6)를 로프(7)의 일측 끝단부의 끝마무리 매듭(16)까지 역으로 당기면서, 순차적으로 앞선 폴대를 당겨주면서 지그재그로 접어주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립식로프장대(1)에 일반로프(7)대신, 와이어 로프(wire rope)(71)로써 제작코져 할 경우에는, 모든 구성이나 작동방법이 동일하며, 다만 손잡이폴대 (6)에 형성된 각종장치들이 전혀 필요없는 반면, 이 모든 장치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고정유지판(61)과 "T"형스크류핸들(91)에 의해 걸림과 조임, 고정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와이어(wire)(71)가 최종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손잡이폴대(6)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다같이 수나사(male screw) 형태로 되어 있는 바, 상단부 쪽에는 도면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나듯이, 중심에 폴대 직경보다 약간 크게 구멍이 뚤려저 있는 고정유지판(61)이 먼저 끼워지게 되는데,폴대 중간에 돌출 형성 되어 있는 버팀기둥고정턱(62a)에 버팀기둥(62)이 완전히 끼이도록 한후에, 회전판(10)을 꽂아서 나사 끝까지 완전히 조여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만, 와이어(71)가 느슨하게 될 경우, 조금씩 역으로 풀어 주게되면, 조립식로프장대(1)의 형태 유지를 지속적으로 빳빳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회전판(10)은 평상시에도 항상 꽉 끼여저 있어야만 한다.
하단부 쪽에도 수나사(male screw) 형태로 되어 있는데,동일 형태의 암나사 (female screw) 형태가 "T"형스크류핸들(91)에 형성되어 있어서, 이 두개가 끼워지게 되면, 조금도 흔들림이 없이 완벽하게 끼워지게 되어있다.
그리고 "T"형스크류핸들(91) 앞쪽에는, 도면 제8도, 제9도 에서와 같이 고무관(65)이 항상 끼워져 있으며, 이 고무관(65)은 와이어(71)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풀어질려고 하는 탄성을 억제하며,와이어를 감싸안고 조여주기 때문에, 탄력성이 강하고, 잘 찢어지지 않으며, 내구성이 강한 생고무 종류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T"형스크류핸들(91)은 조여질 때 나선형을 따라 회전하지만,고무관(65)은 그냥 그대로 계속 밀리면서 와이어(71)를 조여주기 때문에, 회전 마찰이 일어나는 고무의 접촉 부분에 대한 손상을 줄여주기 위해, 중간에 와샤(63)를 2개 이상 끼워넣어서 사용함이 효과적이다.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를 통과한 와이어(71)는, 힘껏 당겨져서 깊은걸림凹(요)부(15)에 끼워지게 된 후, 고정유지판(61)의 쇄기홈(64)에 꽉 끼이고 꺽여져서, 반대편에 있는 동일 형태의 쇄기홈에 다시 꽉 끼이고 꺾여진 후, 다시 손잡이폴대 (6) 하단부의 깊은걸림凹(요)부(15)에 다시 끼워 지면서. 동일 방향의 또다른 깊은걸림凹(요)부에 동시에 끼워져서. 내측 바닥 끝까지 힘껏 당겨져서 끼워진후, 다시 고정유지판(61)의 나머지 쇄기홈(64)에 꽉 끼이고 꺽여져서, 맞은편 쇄기홈에 또다시 끼이고 꺽여진후, 이 상태에서 "T"형스크류핸들(91)이 손잡이폴대(6)의 하단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서서히 나선형을 따라 조여 줌으로써, 고무관(65)에 끼여진 와이어(71)는 탄성이 완전히 제거되어, 조립식로프장대(1)는 그 형태를 지속 유지 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유지 시킨 후의 잔여 와이어는 "T"형스크류핸들의 손잡이인 "T"형 양쪽에 파여진 틈새로 끼워서 당겨주면 된다.
이렇게 조립하여 사용된 후, 분해할 때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워진 순서의 역순으로 하면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폴대의 숫자를 4개만을 사용하였으나, 필요용도에 따라 그 총 길이를, 10m, 20m이상 및 50m이상 100m이상까지도 마음대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갈고리(2)도, 도면에서는 한 개만을 사용하였으나, 도면 제5도와 제6도에서와 같이, 2개,3개 이상도 특수하게 필요할 경우, 별도 제작 할수도 있고, 갈고리가지(22) 또한 도면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1개형(제7도(가)), 2개형(제7도 (나)), 3개형(제7도(다)), 4개형(제1도), 5개 이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2반전부(13)(14)를 연결시켜 일체로 돌출형성 제작할 수도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편리하게 변형 사용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로프장대(1)에 의하면, 로프(7)만으로는 강직성이 없으며, 장대만으로는 휴대, 이동, 보관 등이 불편하고, 항상 소유 등이 곤란하지만, 이 두가지를 혼용한, 본 발명품인 조립식로프장대(1)로는 장소, 시간, 이동, 휴대, 보관, 관리 등등이 아주 간편하고, 용이하며, 응급상황 발생시의 순간대처 능력이 거의 완벽에 가까울 만큼 훌륭한 발명품으로써, 신속 정확한인명구조, 제2의 희생자 발생방지, 환경오염의 억제, 제거 및 방지, 익사사건 발생시의 신속처리, 갑자기 물이 불어난 계곡이나 하천의 건너편과 신속하고 안전하게 연결코져 할때, 화재발생 중심지점의 조기진화 및 접근 진화시 붕괴, 폭발등으로 인한 위기 발생가능성 배제, 인근바다의 폐그물망 수거, 등등 그 용도가 무궁무진하고, 그 사용방법 또한 간편하고, 신속하며, 이동시 항상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용도로써 유용하며, 소방서에서는 필수장비로, 공공장소 및 빌딩, 아파트, 호텔 뿐만 아니라, 야외 물놀이, 계곡 피서, 낚시, 등등 현대인의 가정생활 에서는 가장 필수적인 상비용품이 되는 획기적인 발명품인 것이다.

Claims (5)

  1. 갈고리(2)가 갈고리채삽입관(24) 상단에 나선형으로 끼워져있고, 그 하단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로프가 끼워져 매듭이 되어 있으며, 이 로프에는 파이프 형태의 구멍뚤린 짧은 폴대가 여러개 끼워져 있는 로프장대(1)에 있어서, 손잡이폴대(6)의 상단에는 표면이 수나사 형태로 되어있어, 회전판(10)이 나선형으로 돌려 끼워져 있으며, 하단부에는 로프(7)의 걸림과 고정유지를 시킬수 있는 장치가 되어있는 것과, 와이어(71)를 고정유지판(61)과 "T"형스크류핸들(91)로써, 걸림과 고정유지를 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각각 별도로 형성된 조립식로프장대(1).
  2. 제1항에 있어서.
    로프(7)의 걸림과 고정유지를 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폴대(6) 하단부에는, 소정형태의 깊은걸림 凹부(15)와, 낮은걸림 凹부(11) 및 돌출형성된 제1,제2반전부 (13),(14)와의 사이에, 내측표면에 원뿔형의 돌기를 1개이상 형성시킨 홈(12)이, 소정형태로 파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로프장대(1).
  3.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71)의 걸림과 고정유지를 시키기 위해, 손잡이폴대(6) 상단부의 회전판(10) 아래에, 버팀기둥(62)이 돌출 형성된 고정유지판(61)이, 손잡이폴대(6) 중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버팀기둥고정턱(62a)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고정유지판(61)의 테두리둘레에는 소정형태의 쇄기홈(64)이 한 개 또는 두 개이상 형성되어 있어,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유색납땜방울이 고착된 와이어(71)가 쉽게 끼워지게 되어있고, 손잡이폴대(6) 하단부에는 표면이 수나사 형태로 되어있고, 한 개 이상의 깊은걸림凹부(15)가 나선형이 형성된 위치까지 파여져 있으며, 상기 나선형태와 일치되게 내면에 암나사 형태가 형성된 "T"형스크류핸들(91)이 끼워져서 조여지게 되는데, "T"형스크류핸들(91)의 "T"형손잡이 앞쪽에는, 고무관(65)이 끼워져서, 와이어(71)의 조임과 고정유지를 시킬수 있는 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로프장대(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형태의 길이와 굵기를 갖인 여러개의 짧은 폴대 각각에는, 표면에 미끄럼 방지형상이 되어 있고, 상단부(8)와 하단부(9)에는 소정형태의 철(凸)부삽입체(8)와 동일형태의 요(凹)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끄럼방지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겸 발걸이용의 걸이체(17)가형으로 1개이상 조립,삽입 또는 일체로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로프장대(1).
  5. 상기 조립식로프장대(1)에 있어서, 뚜껑(3)이 덮어씌우듯 끼워져 있는 최초풀대(4)와 손잡이폴대(6)에 끼워진 로프(7)의, 중간에 끼워지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중간폴대(5)와, 하나 또는 둘이상의 각각의 변형된 갈고리(2), 1개형(제1도), 2개형(제5도), 3개형(제6도) 및 하나 또는 둘이상의 각각의 변형된 갈고리가지(22),1개형(제7도(가)), 2개형(제7도(나)), 3개형(제7도(다)), 4개형(제1도) 등을 각각 형성하여, 그 각각의 갈고리(2)와 갈고리가지(22)의 모양이 갖는 용도에 따라 독립적으로 사용, 또는 혼용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로프장대(1).
KR10-2000-0054348A 2000-09-08 2000-09-08 조립식 로프장대 KR10040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348A KR100403961B1 (ko) 2000-09-08 2000-09-08 조립식 로프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348A KR100403961B1 (ko) 2000-09-08 2000-09-08 조립식 로프장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611A true KR20020020611A (ko) 2002-03-15
KR100403961B1 KR100403961B1 (ko) 2003-11-01

Family

ID=1968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348A KR100403961B1 (ko) 2000-09-08 2000-09-08 조립식 로프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33Y1 (ko) * 2017-04-19 2017-08-25 김대기 스탠천 조립체
CN112224341A (zh) * 2020-09-30 2021-01-1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水下机器人用可折叠回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253B1 (ko) 2012-12-12 2013-06-12 대한민국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US10722010B2 (en) 2018-07-30 2020-07-28 Douglas J. D'Jay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able length weighted trekking po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33Y1 (ko) * 2017-04-19 2017-08-25 김대기 스탠천 조립체
CN112224341A (zh) * 2020-09-30 2021-01-1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水下机器人用可折叠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961B1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5034A (en) Rope ladder
US10099071B2 (en) Multipurpose device for use with a rope
US3275205A (en) Strap for rescue, carrying, and emergency use
US7285032B2 (en) Flying disk rescue device
US5752731A (en) Victim snare pole
US6659823B1 (en) Safety throw rope dispenser
US20080254693A1 (en) Rescue line device
KR20020020611A (ko) 조립식 로프장대
CN112368205B (zh) 用于水上救援的马蹄形救生圈及相关的救援绳索组件
US6679743B1 (en) Safety throw
JP2007525359A (ja) 急速な流水での改良された救命用具
KR20110043155A (ko) 수상 인명구조용 신장식 갈고리
CA2371878A1 (en) Rescue apparatus
Budworth The knot book
CN101649719B (zh) 绳环梯
KR200335117Y1 (ko) 구명기구
KR200227781Y1 (ko) 인명 구조장치
KR20210019162A (ko) 수상 인명 구조봉
CN219904698U (zh) 一种伸缩救生杆
JPS6021099Y2 (ja) 緊急用ロ−プ付ステツキ
CN209885057U (zh) 一种用于城中村消防改造提升的逃生爬梯手持安全挂钩
CN2687007Y (zh) 抛绳式救生圈
CN211568258U (zh) 易于串接的救援绳
KR100416848B1 (ko) 인명 구조장치
CN214963759U (zh) 一种救援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