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721Y1 -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721Y1
KR200483721Y1 KR2020160000244U KR20160000244U KR200483721Y1 KR 200483721 Y1 KR200483721 Y1 KR 200483721Y1 KR 2020160000244 U KR2020160000244 U KR 2020160000244U KR 20160000244 U KR20160000244 U KR 20160000244U KR 200483721 Y1 KR200483721 Y1 KR 200483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ctuator
present
ra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2016000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2Wooden articles, e.g. logs, trunk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을 공급하기 위해 컨베이어로 패널이 진입하면 이 패널의 한쪽 테두리를 롤러로 밀어서 반대쪽의 기준 면과 맞닿게 한 상태로 패널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할 수 있게 밀대 수단을 더 구성함으로써, 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단계에서 조립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자동화할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처럼 컨베이어로 진입한 패널의 테두리를 밀어주는 롤러의 위치를 패널의 폭에 알맞게 폭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게 밀대 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밀대 수단이 랙의 맞물림과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패널의 폭에 알맞게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ERING WOODWORKING PANEL}
본 고안은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용 패널을 차례대로 이송하면서 그 한쪽 테두리를 밀대 수단으로 밀어서 기준면과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을 조립하거나 가공할 때 별도로 기준을 잡지 않더라도 패널을 바로 조립하거나 가공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여러 장의 패널을 하나로 조립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가구를 조립하는 장치에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가구를 조립하기 위해 미리 정한 길이와 폭으로 자른 패널을 자동 공급 장치(자동 피더기)를 통해 계속 공급하게 한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가구용 판재의 에지 면에 접착된 전사지의 표면에 유브이액(Ultra Violet Solution, 이하 'UV액'이라 한다 )을 코팅하여 전사지의 접착력 및 표면 보호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한 판재용 에지 밴더의 유브이액 코팅기에 관한 것이다. 판재용 에지 밴더(edge bander)는 판재의 에지 면(가장자리면)에 전사지를 접착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의장감을 높이는 판재 가공기의 일종이다. 전사지의 표면을 방치하면 습기나 열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는 박리되는 경향도 있기 때문에 전사지의 표면에 대한 보호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가구용 패널의 에지벤딩기 트리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구용 패널의 에지 밴딩기 트리밍 장치는 패널을 눌러 주는 회전 롤러가 설치된 회동 바와, 밴드를 잘라주기 위한 커터가 설치된 커터 지지 바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동 바와 커터 지지 바가 회동 브래킷에 각각 독립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밴드를 잘라 주는 커터의 높이를 조절해 주어도 패널을 눌러주는 회전 롤러의 장력이 변화되지 않게 되므로, 커터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별도로 회전 롤러의 장력을 조절해 주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여러 장으로 쌓인 패널을 위에서부터 한 장씩 공급 장치에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나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각 패널을 정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즉, 기존의 패널 공급 장치로 패널을 한 장씩 공급하다 보면, 패널이 컨베이어 위에서 미끄러지거나 공급 롤러가 균일하게 힘을 분배하지 못해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3) 이는 컨베이어 위에서 이송 중인 패널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렇게 기준을 벗어난 상태로 패널을 공급하면 조립 과정에서 조립 불량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4) 특히, 가구는 그 종류와 가구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자른 패널을 사용하므로, 여러 가지 크기의 패널에 대하여 기준 위치에 맞춰서 패널을 이송하는 데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
(5) 이에, 자동 패널 공급 장치 옆에서 작업자가 이처럼 이송하는 패널을 기준 위치에 맞춰 주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단순 작업의 반복으로 집중력이 떨어지면 제품 불량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6) 이처럼 작업자가 불량 여부를 판단하거나 옆에서 패널이 기준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기존 장치는 전자동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348781호 (등록일 : 2004.04.14)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06787호 (공개일 : 2008.12.09)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패널을 공급하기 위해 컨베이어로 패널이 진입하면 이 패널의 한쪽 테두리를 롤러로 밀어서 반대쪽의 기준 면과 맞닿게 한 상태로 패널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할 수 있게 밀대 수단을 더 구성함으로써, 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단계에서 조립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자동화할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처럼 컨베이어로 진입한 패널의 테두리를 밀어주는 롤러의 위치를 패널의 폭에 알맞게 폭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게 밀대 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밀대 수단이 랙의 맞물림과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패널의 폭에 알맞게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는, 여러 장의 패널을 쌓아놓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가공할 수 있게 컨베이어(C)를 통해 자동으로 공급하는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나씩 차례로 이송하는 패널(P)을 기준면(B)과 맞닿도록 밀어주는 밀대 수단(100)을 갖추되, 상기 밀대 수단(100)은, 패널(P)이 이송하는 방향과 엇갈리게 설치한 가이드(110); 상기 가이드(110)의 한쪽에 길이를 따라 형성한 제1랙(120); 상기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작동 블록(130); 한쪽에 상기 제1랙(120)과 맞물리는 제2랙(141)을 갖춰, 패널(P)의 폭(W)에 맞게 이 제2랙(141)이 상기 제1랙(120)과 맞물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1액추에이터(140); 및 여러 개의 롤러(151)를 갖추며, 상기 패널(P)의 한쪽 테두리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2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110)는 패널(P)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140)와 제2액추에이터(150)는 각각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는, 에지 밴더(Edge Bander)에 패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패널마다 한쪽 테두리를 밀어서 반대편과 맞닿게 하여 항상 정한 위치로 패널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한 패널은 조립과 같은 작업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패널 폭에 따라 밀대 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패널을 밀어주므로 패널의 크기와 상관없이 간단한 조절 작동을 통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공급 장치는 랙과 공압 실린더와 같이 통상의 기술을 조합하여 패널을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밀어주므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쉽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또한, 패널의 크기에 알맞게 폭 조절이 가능하므로 자동 공급 장치를 전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 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패널(P)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C)를 포함하고, 특히 이 컨베이어(C)로 진입한 패널(P)의 한쪽 테두리를 밀어줄 수 있도록 밀대 수단(100)을 더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밀대 수단(100)은, 컨베이어(C)로 진입한 패널(P)의 한쪽 테두리를 밀어 다른 한쪽 테두리가 컨베이어(C)에 형성한 기준면(B)과 맞닿은 상태로 이송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패널(P)의 위치에 대하여 별도의 보정을 하지 않고서도 바로 조립하거나 다른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P"는 가구를 제작하기 위한 패널로서 그 폭이 가구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공급하는 통상의 패널을, "C"는 자동 공급 장치의 일부로서 실제로 패널을 이송하는 통상의 컨베이어를, "B"는 컨베이어에 밀대 수단(100)과 반대되는 테두리 측에 장착하여 패널(P)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이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준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밀대 수단(100)은,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확대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가이드(110), 제1랙(120), 작동 블록(130), 제1액추에이터(140), 그리고 제2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이드(110)는, [도 1]·[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패널(P)이 이송하는 방향과 엇갈리게 설치한다. 여기서, 패널(P)은 [도 1]과 같이 컨베이어(C)의 길이 방향 즉, 도면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송한다. 이에, 가이드(110)는 도면에서 밑에서 위, 또는 반대로 위에서 아래로 장착하여 후술할 작동 블록(130)이 패널(P)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테두리 부분을 밀어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10)는 패널(P)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가이드(110)에 장착한 작동 블록(130)이 패널(P)을 밀어주기 위해 가장 짧은 거리에서 움직이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10)는 통상의 길이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안내 길이에 따른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LM 가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랙(12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110)에 장착한다. 제1랙(120)은 일종의 평기어로,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2랙(141)과 맞물려서 작동 블록(130)의 위치를 고정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랙(120)은 가이드(1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 블록(130)이 이 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제1랙(120)이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2랙(141)과 맞물려서 패널(P) 폭에 알맞게 폭 조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폭 조절은 후술한 제2랙(141)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작동 블록(13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작동 블록(130)에는 한쪽 면이,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110)의 측면과 마주 보게 연장한 제1지지판(131)을 구성한다. 제1지지판(131)은 후술할 제1액추에이터(1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랙(120)과 마주 보며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블록(130)에는,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1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제2지지판(132)을 구성한다. 제2지지판(12)은 후술할 제2액추에이터(15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 즉 폭 방향과 나란하게 구성하여, 여기에 설치하는 롤러(151)가 일정하게 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액추에이터(140)는,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다. 그리고, 이 제1액추에이터(140)는 상기 제1랙(120)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2랙(141)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140)는 작동 블록(13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판(131)에 장착하고, 제2랙(141)은 [도 5] 및 [도 8]과 같이 제1랙(120)과 마주 보며 맞물릴 수 있게 설치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액추에이터(140)는 상술한 작동 블록(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패널(P) 폭에 맞게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즉, [도 5]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140)가 제2랙(141)이 제1랙(120)과 맞물리지 않게 작동하면, 상기 작동 블록(130)은 가이드(110)의 길이를 따라 움직이면서 패널(P) 폭에 맞게 위치를 조절한다. 그 다음, [도 8]과 같이 제1액추에이터(141)가 제2랙(141)을 제1랙(120)과 맞물리게 하면, 작동 블록(130)은 그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140)는 제2랙(141)을 밀어 제1랙(120)과 맞물리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예시적으로 공압 실린더를 예로 들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42"는 제1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할 때 제2랙(141)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제2액추에이터(150)는,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다. 그리고, 이 제2액추에이터(150)에는 패널(P)의 테두리 부분을 밀어줄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롤러(151)를 갖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150)는 상술한 제2지지판(132)에 장착하고, 이때 상기 롤러(151)는 패널(P)의 한쪽 테두리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151)는 고무 등으로 제작하여 패널(P)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생기지 않게 하고, 탄성 스프링(151a) 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2액추에이터(150)는 상술한 제1액추에이터(140)를 통해 패널(P) 폭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작동한다. 즉, [도 1] 및 [도 7]과 같이 컨베이어(C) 위로 패널(P)을 올려 이송할 때까지는 제2액추에이터(15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어, 패널(P)이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해 오면, 제2액추에이터(150)가 [도 7]과 같이 작동하여 롤러(151)를 밀어줌에 따라 이 롤러(151)가 패널(P)의 테두리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150)는 롤러(151)를 동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예시적으로 공압 실린더를 예로 들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2"는 제2액추에이터(150)가 작동할 때 롤러(151)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슬라이딩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패널 폭에 알맞게 조절하여 그 한쪽 테두리를 밀어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패널이 기준 위치에 오게 하여 그 다음 공정에서 쉽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다음 공정으로 이어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자동 공급 장치로 가구를 제작하기 위해 패널을 공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으나, 특히 에지 밴더(Edge Bander)에 패널을 공급하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100 : 밀대 수단
110 : 가이드
120 : 제1랙
130 : 작동 블록
131 : 제1지지판
132 : 제2지지판
140 : 제1액추에이터
141 : 제2랙
150 : 제2액추에이터
151 : 롤러

Claims (4)

  1. 여러 장의 패널을 쌓아놓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가공할 수 있게 컨베이어(C)를 통해 자동으로 공급하는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나씩 차례로 이송하는 패널(P)을 기준면(B)과 맞닿도록 밀어주는 밀대 수단(100)을 갖추되, 상기 밀대 수단(100)은, 패널(P)이 이송하는 방향과 엇갈리게 설치한 가이드(110); 상기 가이드(110)의 한쪽에 길이를 따라 형성한 제1랙(120); 상기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작동 블록(130); 한쪽에 상기 제1랙(120)과 맞물리는 제2랙(141)을 갖춰, 패널(P)의 폭(W)에 맞게 제2랙(141)이 상기 제1랙(120)과 맞물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1액추에이터(140); 및 여러 개의 롤러(151)를 갖추며, 상기 패널(P)의 한쪽 테두리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블록(130)에 장착한 제2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110)는 패널(P)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140)와 제2액추에이터(150)는 각각 공압 실린더이며,
    상기 자동 공급 장치는, 에지 밴더(Edge Bander)에 패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0244U 2016-01-15 2016-01-15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KR200483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4U KR200483721Y1 (ko) 2016-01-15 2016-01-15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4U KR200483721Y1 (ko) 2016-01-15 2016-01-15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21Y1 true KR200483721Y1 (ko) 2017-06-16

Family

ID=5923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44U KR200483721Y1 (ko) 2016-01-15 2016-01-15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0761A (zh) * 2020-11-27 2021-04-30 重庆庭堡木业有限公司 一种具有连续自动输送木门的烘烤设备
CN113198990A (zh) * 2021-04-22 2021-08-03 河北新金钢铁有限公司 一种基于连铸机的输送辊道用限位装置
KR20230106760A (ko) 2022-01-06 2023-07-14 정용주 가구용 패널 가공방법과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패널 및, 가구용 패널에 의해 조립된 가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9A (ja) * 1993-07-15 1995-01-27 Teijin Ltd 物品送り出し装置
KR960013495U (ko) * 1994-10-04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후강판 적치기
KR20020014300A (ko) 2000-08-17 2002-02-25 정순착 식용 에탄올 증류 설비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정제어장치
KR20040015514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중앙 정렬 장치
KR20080106787A (ko) 2007-06-04 2008-12-09 옥낙령 가구용 판넬의 에지 벤딩기 트리밍 장치
KR200462965Y1 (ko) * 2011-04-28 2012-10-10 한상관 가구용 패널 전용 투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9A (ja) * 1993-07-15 1995-01-27 Teijin Ltd 物品送り出し装置
KR960013495U (ko) * 1994-10-04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후강판 적치기
KR20020014300A (ko) 2000-08-17 2002-02-25 정순착 식용 에탄올 증류 설비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정제어장치
KR20040015514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중앙 정렬 장치
KR20080106787A (ko) 2007-06-04 2008-12-09 옥낙령 가구용 판넬의 에지 벤딩기 트리밍 장치
KR200462965Y1 (ko) * 2011-04-28 2012-10-10 한상관 가구용 패널 전용 투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0761A (zh) * 2020-11-27 2021-04-30 重庆庭堡木业有限公司 一种具有连续自动输送木门的烘烤设备
CN113198990A (zh) * 2021-04-22 2021-08-03 河北新金钢铁有限公司 一种基于连铸机的输送辊道用限位装置
KR20230106760A (ko) 2022-01-06 2023-07-14 정용주 가구용 패널 가공방법과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패널 및, 가구용 패널에 의해 조립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721Y1 (ko)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JP4302706B2 (ja) 紙折装置
US8074977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lat parts and method
EP1640146A3 (fr) Dispositif d'assemblage d'éléments en plaque pour une machine de fabrication de boîtes
US10266360B2 (en) Conveyor device
KR20120034279A (ko)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이송장치
US9211755B2 (en) Printing table assembly, method for operating a printing table assembly
CN105253528A (zh) 数控纠偏输送带结构
EP1770031B1 (en) Assembly for conveying sheets on machines for working sheets, particularly glass sheets and the like
JPS5950576B2 (ja) 紙供給装置
ATE375948T1 (de) Transport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plattenförmige werkstücke
KR20160046768A (ko) 에지 밴딩기의 에지 밴드 커팅유닛
DE602006021518D1 (de) Blattausrichtungsvorrichtung
EP2853406A1 (en) Printing machine for plates
JP6069668B1 (ja) 溝加工装置
KR101403474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사행 보정제어장치
KR20090028837A (ko) 다이 절단 프레스의 공급 테이블상의 시트를 이송하는 보조구동 장치
KR20120108368A (ko) 형강 자동 절단 시스템
US11001465B2 (en) Device for the linear corrective transport of ribbon-shaped substrates
KR20190063399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가공 장치
KR101731868B1 (ko)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JPH08206917A (ja) Ncランニングソー装置
GB1205654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workpieces
KR20180001319A (ko) 홈 커팅 장치
KR20020052544A (ko) 블랭크 롤러 가이드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