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868B1 -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 Google Patents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868B1
KR101731868B1 KR1020150055041A KR20150055041A KR101731868B1 KR 101731868 B1 KR101731868 B1 KR 101731868B1 KR 1020150055041 A KR1020150055041 A KR 1020150055041A KR 20150055041 A KR20150055041 A KR 20150055041A KR 101731868 B1 KR101731868 B1 KR 10173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discharge unit
length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946A (ko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신한포장(주)
김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포장(주), 김태욱 filed Critical 신한포장(주)
Priority to KR102015005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23/00
    • B31B19/60
    • B31B2201/95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합지장치에 원지를 공급함에 있어,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원지의 길이 또는 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원지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합지장치에 원지를 공급함에 있어,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원지의 길이 또는 폭에 맞게 조절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는, 원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지 배출부, 상기 원지 배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원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지 배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가 원지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원지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BASE PAPER FEEDING MACHINE FOR LA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 박스는 골판지의 표면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을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이 인쇄된 인쇄지를 골판지의 표면에 접착하여 골판지 박스가 제조된다.
종래 상기와 같이 골판지의 표면에 각종 그림과 상호 등이 인쇄된 인쇄지를 접착하기 위한 골판지 박스 합지기는 골판지 급지기로부터 골판지를 공급받아 골판지와 인쇄지를 합지한다.
상기 골판지 급지기는 상기 골판지를 합지장치에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되는 골판지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지는 골판지 박스 합지기와 골판지 급지기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다음 컨베이어밸트의 안내를 받아 합지장치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와 지지부는 상기 골판지 박스 합지기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골판지를 골판지 박스 합지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골판지 급지기는 컨베이어와 지지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원지의 길이 또는 폭에 맞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 골판지 급지기 전체가 이동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불필요하게 향상되고,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25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지장치에 원지를 공급함에 있어,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원지의 길이 또는 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원지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는, 원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지 배출부, 상기 원지 배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원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지 배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가 원지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지 배출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자리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를 배출시키는 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배출부와 마주하며, 양측에는 상기 설치부와 교차하는 이동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원지 배출부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동부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가 원지 배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원지가 원지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처짐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는, 동력부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원지를 합지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지수용공간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절함에 있어, 조절부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만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며, 그 만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에 동력전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에 동력전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100)는 원지 배출부(110), 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원지 배출부(110)는 원지(190)를 외부, 즉 합지장치의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다시 설치부(111), 회전축(112), 롤러(113), 밸트(11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 원지(190)는 원지 이송부(200)를 통해 합지장치(미도시)의 합지롤러(미도시)로 이송되어 인쇄지와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며,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11)는 상기 원지 이송부(2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후술되는 회전축(112,124,17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는 원지(19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12)은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12)은 양측이 상기 설치부(111)에 관통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13)는 상기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롤러(113)가 장착된 회전축(112)은 두 개 이상이 상기 설치부(111)의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회전축(112)에 장착된 롤러(113)와 다른 회전축(112)에 장착된 롤러(113)는 대칭되는 형태가 되며, 이와 같이 대칭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롤러(113) 외면에 하나의 밸트(1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2)은 모터(18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에는 스프로켓(1121)이 장착되며 하나의 체인(115)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 중 어느 하나에는 또 다른 스프로켓(112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로켓(1122)과 모터(180)의 모터축은 하나의 체인(116)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모터(18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2)이 설치부(111)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밸트(114)는 롤러(113)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원지(190)를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밸트(114)의 표면에는 거칠면이 형성되어 상기 원지(190)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트(114)의 상부에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의 사이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안내부(160')가 위치되어, 상기 원지(190)는 상기 밸트(114)와 배출안내부(16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다.
즉, 상기 원지(190)는 밸트(114)와 배출안내부(160)의 사이에 접촉되면서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됨에 따라 밸트(114)의 회전력 및 그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형태로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원지 배출부(110)에는 보조 원지 배출부(1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 원지 배출부(170)는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함께 원지(190)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다시 회전축(171), 롤러(172), 밸트(173)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74)은 상기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회전축(112)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회전축(112)과 보조 원지 배출부(170)의 회전축(171)은 서로 수평을 이룬다.
상기 보조 원지 배출부(170)의 회전축(171)은 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111)에 관통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72)는 상기 보조 원지 배출부(170)의 회전축(171)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롤러(172)가 장착된 회전축(171)은 두 개 이상의 상기 설치부(11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회전축(171)에 장착된 롤러(172)와 다른 회전축(171)에 장착된 롤러(172)는 대칭되는 형태가 되며, 이와 같이 대칭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롤러(172) 외면에 하나의 밸트(17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71)은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회전축(11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회전축(171)에는 스프로켓(1711)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171)의 스프로켓(1711)은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스프로켓(1121)에 연결된 체인(115)과 연결된다.
즉,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스프로켓(1121)과 보조 원지 배출부(170)의 스프로켓(1711)은 상기 체인(11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모터(18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축(112,171)이 설치부(111)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밸트(114,173)는 롤러(113,172,)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원지(190)를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보조 원지 배출부(170)를 조합설치함에 따라 원지(190)와의 접촉면적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원지(190)를 원지 이송부(200)에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원지(19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S)의 길이가 원지(190)의 길이와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베이스(121), 지지부(122), 체인(123), 회전축(124), 피니언(125), 동력부(126)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21)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마주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211), 상기 수직바(1211)의 상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바(1212)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211)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S)에 위치되면서 상기 설치부(111)와 교차되는 이동부(1213)가 수평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1211)의 하부에는 베이스(121)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W)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122)는 다시 브라켓(1221)과 지지판(122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221)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21)의 수평바(1212)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221) 중 원지 배출부(110)와 마주하는 면은 상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형태가 된다.
상기 지지판(1222)은 상기 원지(19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후면이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상기 브라켓(1221)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게 되며, 후면에는 상기 브라켓(1221)의 측면과 볼팅 결합되는 사각형 판 형상의 결합편(12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222)은 상기 브라켓(1221)을 통해 베이스(121)의 수평바(1212)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190)는 상기 원지 배출부(110)와 지지판(1222)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지지판(1222)의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걸쳐지고, 타측은 상기 원지 배출부(110)의 밸트(114)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지 배출부(110)를 작동시키면 상기 원지(190)는 상기 밸트(114)를 통해 원지 이송부(200)로 배출된다.
상기 체인(123)은 후술되는 피니언(125)과 함께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자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1213)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1)는 상기 체인(123) 대신 랙(rack)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24)은 피니언(12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바아(Bar) 형태이다.
상기 회전축(124)은 설치부(111)의 사이에 위치되고, 그 양측은 상기 설치부(1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4)의 양측은 상기 설치부(111)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동력부(126)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회전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125)은 상기 이동부(1213)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2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수용공간(S)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123)과 맞물린다.
상기 동력부(126)는 상기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설치부(11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동력부(126)는 원형 핸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동력부(126)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수용공간(S)의 길이가 원지(190)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부(1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24)과 피니언(125)이 함께 회전되고, 피니언(125)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인(123)이 피니언(125)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121)가 원지 배출부(110)와 가까워지게 되어 수용공간의 길이가 짧아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동력부(126)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24)과 피니언(125)이 함께 회전되고, 피니언(125)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인(123)이 피니언(125)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121)가 원지 배출부(110)와 멀어지게 되어 수용공간(S)의 길이가 길어진다.
즉, 상기 동력부(126)를 통해 베이스(121)를 이동시켜 수용공간(S)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원지(190)를 합지장치에 공급하여 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절부(120)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21)만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만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설치부(111) 중 수용공간에 위치된 면에는 상기 이동부(1213)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부(1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11)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1213)가 이동될 경우 상기 이동부(1213)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121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이동안내부(150)는 상기 이동부(1213)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상부에 위치된 이동안내부(150)는 이동부(1213)의 상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부(1213)가 이동될 경우 마찰력의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121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상 설명한 원지 배출부(110)와 조절부(120)의 사이, 즉 수용공간(S)에는 상기 원지(19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1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처짐방지부(140)는 수직바(141)와 수평바(142)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조합연결하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바(142)의 상부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안내부(14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144)의 사이에는 롤러(143)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143)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원지(190)의 저면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원지 배출부(110)를 통해 이동되는 원지(190)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19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이즈가 크거나 또는 무게가 무거운 원지(190)도 처지지 않고 원지 배출부(110)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동력부(1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30)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공지의 AC모터 또는 DC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터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24) 중 설치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스프로켓(1241)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켓(1241)과 동력전달부(130)의 모터축은 하나의 체인(131)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축(124)이 상기 동력전달부(130)의 모터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절부(120)가 원지 배출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S)의 폭 또는 길이를 원지(190)의 폭 또는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원지 급지기 110 : 원지 배출부
111 : 설치부 1211,141 : 수직바
1212,142 : 수평바 112,124,171 : 회전축
1121,1122,1241,1711 : 스프로켓 113,143,172 : 롤러
114,173 : 밸트 120 : 조절부
121 : 베이스 1211,141 : 수직바
1213 : 이동부 122 : 지지부
1221 : 브라켓 1222 : 지지판
1223 : 결합편 115,116,123,127,131 : 체인
125 : 피니언 126 : 동력부
130 : 동력전달부 140 : 처짐방지부
150 : 이동안내부 160 : 배출안내부
170 : 보조 원지 배출부 180 : 모터
190 : 원지 200 : 원지 이송부

Claims (6)

  1. 원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지 배출부; 및
    상기 원지 배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원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지 배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가 원지의 길이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지 배출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자리 회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지를 배출시키는 밸트;를 포함하여 상기 원지가 안치된 밸트를 작동시켜 상기 원지를 배출시키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지 배출부와 마주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한 쌍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상기 설치부를 기준으로 동력부에 의해 출몰하는 이동부가 양측에서 수평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원지 배출부와 마주하며, 상기 원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동부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설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가 원지 배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조절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5. 제1항에서,
    상기 원지 배출부와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원지가 원지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처짐방지부
    를 포함하는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6. 제1항에서,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이동안내부
    를 포함하는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KR1020150055041A 2015-04-20 2015-04-20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KR10173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41A KR101731868B1 (ko) 2015-04-20 2015-04-20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41A KR101731868B1 (ko) 2015-04-20 2015-04-20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946A KR20160124946A (ko) 2016-10-31
KR101731868B1 true KR101731868B1 (ko) 2017-05-08

Family

ID=5744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41A KR101731868B1 (ko) 2015-04-20 2015-04-20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1624A (ja) 2014-08-18 2016-03-31 株式会社石川製作所 給紙補助ロー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1624A (ja) 2014-08-18 2016-03-31 株式会社石川製作所 給紙補助ロー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946A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80159A (ja) 板紙類供給装置
JP2005527382A (ja) エンボス装置
JP2006111280A (ja) 包装袋の供給用コンベア
KR101731868B1 (ko)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KR101714449B1 (ko)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KR101625533B1 (ko)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장치 및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KR200483721Y1 (ko)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KR20190016248A (ko) 카톤 인쇄 장치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KR101507905B1 (ko)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CN103722779A (zh) 一种自动压痕机
US10611592B1 (en) Automatic media loader for feeder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10213311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GB253865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blank
KR101928180B1 (ko)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699482B1 (ko) 카톤 인쇄 장치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KR20180001319A (ko) 홈 커팅 장치
KR101403475B1 (ko) 원단의 사행방지장치
KR101388038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180282B1 (ko) 용기용 필름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