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19A - 홈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홈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19A
KR20180001319A KR1020160080297A KR20160080297A KR20180001319A KR 20180001319 A KR20180001319 A KR 20180001319A KR 1020160080297 A KR1020160080297 A KR 1020160080297A KR 20160080297 A KR20160080297 A KR 20160080297A KR 20180001319 A KR20180001319 A KR 2018000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workpiece
groove
belt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이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경 filed Critical 이윤경
Priority to KR102016008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19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26D3/065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형상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 커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피가공물이 벨트 부재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중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제외한 나머지 피가공물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벽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밀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턱 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벽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최하부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 커팅 장치{GROOV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홈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판지 등을 접거나 절곡할 수 있도록 판지 등에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는 홈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커팅 장치는 판지 등의 피가공물에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V자 홈을 따라서 피가공물을 접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홈 커팅 장치로서는 하기 특허 제10-15149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판지공급장치부(100)에서 공급되는 판지(10)가 차례로 이송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310)에 감합벨트(320)를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드럼(310)이 회전하게 되면 드럼(3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절삭커팅장치부의 커터(510)를 판지(10)가 지나가게 되면서 V자 모양의 홈이 판지(10)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두껍거나 딱딱한 판지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판지(10)가 감합벨트(320)에 의해 원통형 드럼(310)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야 하는데 판지(10)의 두께가 두껍거나 딱딱한 경우에는 원통형 드럼(310)에 밀착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판지에 대해서는 V자 홈을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판지(10)를 드럼(310)에 밀착시키는 감합벨트(320)의 텐션이 일정하지 않거나 약한 경우에 판지(10)가 드럼(310)에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판지(10)가 커터(510)를 지나게 되면 움직이거나 흔들림으로써 완벽하게 직선형의 V자 홈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송되는 각각의 판지(10)가 감합벨트(320)에 의해 드럼(310)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다음에 커터를 지나가야 하므로 고속으로 V자 홈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감합벨트는 자체적으로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합벨트의 폭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소형의 판지의 경우에는 상기 종래기술로 홈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149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와 크기 및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판지에 적용될 수 있고, 고속으로 판지에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신뢰성 있게 홈을 형성할 수 있는 홈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홈 커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커팅 장치는, 판 형상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 커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피가공물이 벨트 부재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중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제외한 나머지 피가공물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벽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밀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턱 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벽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최하부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 부재는 높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홈 형성 부재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턱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 부재와 상기 홈 형성 부재는 각각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벽 부재는 상기 벽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이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크고, 최하부의 피가공물과 그 위의 피가공물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되도록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홈 형성 부재는, 상기 홈 형성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턱 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이송 턱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가공물의 길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피가공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칸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과 그 바로 위의 피가공물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홈 형성 부재는 브이-홈 절단기(V-groove cutte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벨트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방 풀리와 후방 풀리 사이에 상기 벨트 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홈 형성 부재는 홈 형성 부재의 최하단부가 상기 이송 턱 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와 크기 및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판지에 V자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상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판지들을 아래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V자형 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속으로 판지에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모든 판지들에 대해 일정한 형상으로 V자형 홈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 벽 부재(20), 이송 턱 부재(30), 홈 형성 부재(40), 양 측면벽(50), 및 프레임(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는 전방 풀리(12), 후방 풀리(13), 및 전, 후방 풀리(12, 13)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 부재(11)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고, 전방 풀리(12) 또는 후방 풀리(13)의 축(S)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장치(모터, 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가 구동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 상에 놓여 있는 피가공물(2)이 이송되는 방향(A)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풀리는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벽(50)에 전, 후방 풀리(12, 13)의 축(S)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양 측면벽(5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위로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0)의 위로 연장된 부분은 벨트 부재(11) 상에 놓여진 피가공물을 가이드 하여 피가공물이 벨트 부재(11)의 양 측면을 통해 벨트 부재(11) 상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이 양 측면벽(50)이 연장된 부분에 벽 부재(20)나 홈 형성 부재(3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피가공물(2)은 판지나 판재와 같은 소정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물건이 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판 형상의 피가공물(21, 22, 23, …)이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에 적층되어 놓여지게 된다.
상기 벨트 부재(11) 상에서 피가공물(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벨트 부재(11)의 하부에 전방 풀리(12)와 후방 풀리(13) 사이에서 상기 벨트 부재(11)의 하면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4)는 벨트 부재(11)와 거의 동일한 폭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소정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부재(11)의 하부에서 전방 풀리(12)와 후방 풀리(13) 사이에 상기 벨트 부재(11)의 하면부를 받치는 복수의 롤러(R)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롤러(R)의 회전축이 상기 양 측면벽(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벨트 부재(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벨트 부재(11)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벽 부재(20)는 컨베이어 벨트(10) 구동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상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중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을 제외한 나머지 피가공물(22, 23, …)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d2)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벽 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부재(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양 측면벽(50)에 설치될 수 있다. 벽 부재(20)와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11) 및 벨트 부재(11) 상에 놓여져 있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1)은 이 간격을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지만 나머지 적층되어 있는 피가공물들(22, 23, …)은 벽 부재(20)에 막혀서 더 이상 컨베이어 벨트(10)에서 이송되지 못한다. 한편, 최하부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1)이 이 간격(d2)을 통과하면 그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던 피가공물(22)이 이제는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이 벽 부재(2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가 계속 구동되면 밑에 배치된 피가공물부터 차례대로 이 벽 부재(20)와 벨트 부재(11)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 이송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벽 부재(20)는 상하(y축 방향)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벽 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피가공물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종래기술에서 적용되기 어려웠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피가공물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이송 턱 부재(3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구동시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 상에 적층되어 있는 피가공물들 중에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1) 즉, 벨트 부재(11)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는 피가공물(21)을 밀어 내는 부재로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y축 방향)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부재(1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턱 부재(30)는 벨트 부재(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모양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 부재(11)의 상면에는 이송 턱 부재(3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홈이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서 그 홈에 이송 턱 부재(30)의 하부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턱 부재(30)는 컨베이어 벨트(10) 상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과의 접촉에 의해 받는 부하에 의해 형태가 틀어지거나 왜곡 되지 않도록 탄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포멕스(foamex)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턱 부재(30)가 포멕스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경우 설령 홈 형성 부재(40)의 절단날이 컨에비어 벨트 이송 과정에서 이송 턱 부재(30)와 접촉한다고 하더라도 칼날이나 이송 턱 부재(30)가 손상되지 않는다. 만약, 이송 턱 부재(30)가 벨트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최하부 피가공물의 두께와 같거나 그 보다 크게 되면 상기 홈 형성 부재(40)의 절단날에 의해 이송 턱 부재(30)가 절단될 위험이 있고, 특히 이송 턱 부재(30)의 돌출되는 높이가 최하부 피가공물(21)의 두께보다 크면 최하부 피가공물(21) 뿐만 아니라 그 위의 피가공물(22)까지도 밀게 되어서 피가공물(22)이 벽 부재(20)와 이송 턱 부재(30) 사이에 끼어서 이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턱 부재(3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이송 턱 부재(30)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 턱 부재(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복수 개의 이송 턱 부재(30)는 복수 개의 이송 턱 부재(30)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피가공물의 길이 보다 길게 설치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송 턱 부재(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2개의 이송 턱 부재(30) 사이의 간격이 피가공물의 길이 보다 훨씬 더 길게(예를 들어, 피가공물 길이의 2배 정도로)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 구동시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1 피가공물(21)이 제1 이송 턱 부재(30)에 의해 밀려서 벽 부재(20)를 통과한 후에 그 위에 위치하는 제2 피가공물(22)이 밑으로 떨어져서 벨트 부재(11) 상에서 자리를 잡은 다음에 제2 이송 턱 부재(30)가 제2 피가공물(22)을 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홈 형성 부재(4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2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벽 부재(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d2)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최하부의 피가공물(21)에 홈을 형성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형성 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이-홈 절단기(V-groove cutter)로서, 벽 부재(20)를 통과한 피가공물이 벨트 부재(11)에 따라 계속 이송되어 브이-홈 절단기(40)를 지나게 되면 절단기 하부에 배치된 절단날(41)에 의해 피가공물의 상면부에 홈이 형성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형성 부재(40)는 양 측면벽(50)을 가로질러서 양 측면벽(50)에 설치되는 프레임(6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프레임(60)과 홈 형성 부재(40) 사이에 소정의 장착 플레이트(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61)는 상기 프레임(6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홈 형성 부재(40)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 부재(61)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피가공물에 홈 형성 부재(40)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피가공물에 형성되는 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에는 복수 개의 홈 형성 부재(40)가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복수 개의 홈 형성 부재(40)는 각각 별도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복수 개의 홈 형성 부재(40)는 프레임(60)에 배치되는 폭 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홈 형성 부재(4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각각의 장착 플레이트(61)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장착 플레이트(61)에 설치되는 홈 형성 부재(40)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형성 부재(40)는 홈 형성 부재(40)의 최하단부 즉, 절단날(41)의 첨단이 상기 이송 턱 부재(3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절단날(41)에 의해 이송 턱 부재(30)가 절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21, 22, 23, …)과 벽 부재(20)와 홈 형성 부재(40)와 이송 턱 부재(30)의 높이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부재(20)와 상기 벨트 부재(11)의 상면 사이의 이격된 간격(d2)은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의 두께(d31)보다 크고,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의 두께(d31)와 그 위의 피가공물(22)의 두께의 합(d31+d32)보다 작으며, 상기 홈 형성 부재(4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의 상면 사이의 간격(d1)은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의 두께(d31)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이송 턱 부재(30)의 높이(d4)는 최하부의 피가공물(21)의 두께(d31) 및 홈 형성 부재(40)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간격(d1)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커팅 장치(1)의 작동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 상면에 다수의 피가공물(21, 22, 23, …)이 적층되어 있고 피가공물의 후방에 벽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를 A방향으로 구동하면, 벨트 부재(11)가 회전하여 이송 턱 부재(30)가 최하부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1)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하부에 위치하는 첫 번째 피가공물(21)은 벽 부재(20)와 벨트 부재(11) 상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d2)을 통과하여 벽 부재(20)의 후방으로 이송 된다. 이때 나머지 피가공물들은 벽 부재(20)에 막혀서 일단 벨트 부재(11) 상에서 정지되어 있다. 벽 부재(20)의 후방으로 이송되는 첫 번째 피가공물(21)은 벽 부재(2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는 홈 형성 부재(40)를 지나가게 되고 홈 형성 부재(40)의 하부에 있는 절단날(41)에 의해 절단되어 상면에 V자형 홈이 형성된다. 이 V자형 홈이 형성된 첫 번째 피가공물(21)은 벨트 부재(11) 상에서 더욱 더 진행하여 별도의 저장용기 등으로 보내어 진다. 한편, 첫 번째 피가공물(21)이 벽 부재(2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두 번째 피가공물(22)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져서 벨트 부재(11) 상에 놓여지게 되고 이제는 두 번째 피가공물(22)이 최하부에 위치하는 피가공물이 된다. 컨베이어 벨트(10)는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송 턱 부재(30)가 최하부에 위치하는 두 번째 피가공물(22)을 가압하면 두 번째 피가공물(22)도 첫 번째 피가공물(21)과 마찬가지로 벽 부재(20) 및 홈 형성 부재(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 번째 피가공물(22)의 상면부에도 동일하게 V자형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부재(11) 상면에 적층되어 있는 모든 피가공물들에 대해 신속하게 V자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제어 장치 및 피가공물 각각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최하부에 위치되는 피가공물의 두께에 맞게 실시간으로 벽 부재(20)와 홈 형성 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피가공물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피가공물에 맞게 V자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1: 홈 커팅 장치 2: 피가공물(판지)
10: 컨베이어 벨트 20: 벽 부재
30: 이송 턱 부재 40: 홈 형성 부재
50: 측면벽 60: 프레임

Claims (11)

  1. 판 형상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 커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피가공물이 벨트 부재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중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제외한 나머지 피가공물의 이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벽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최하부의 피가공물을 밀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턱 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벽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최하부의 피가공물에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는 높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 부재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턱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와 상기 홈 형성 부재는 각각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벽 부재는 상기 벽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이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크고, 최하부의 피가공물과 그 위의 피가공물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되도록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홈 형성 부재는, 상기 홈 형성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턱 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이송 턱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가공물의 길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피가공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칸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부재의 상면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최하부의 피가공물과 그 바로 위의 피가공물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 부재는 브이-홈 절단기(V-groove cut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방 풀리와 후방 풀리 사이에 상기 벨트 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 부재는 홈 형성 부재의 최하단부가 상기 이송 턱 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커팅 장치.
KR1020160080297A 2016-06-27 2016-06-27 홈 커팅 장치 KR20180001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7A KR20180001319A (ko) 2016-06-27 2016-06-27 홈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7A KR20180001319A (ko) 2016-06-27 2016-06-27 홈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19A true KR20180001319A (ko) 2018-01-04

Family

ID=6099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97A KR20180001319A (ko) 2016-06-27 2016-06-27 홈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6186A (zh) * 2021-06-21 2021-08-20 王树明 一种创可贴及其加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6186A (zh) * 2021-06-21 2021-08-20 王树明 一种创可贴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921B2 (en)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50148210A1 (en) Assembly for custom box blank preparation and method
KR101735062B1 (ko) 컨베이어 장치
JP5895310B2 (ja) 包装材製造機械内における扁平な基材の移送装置
JP2006111280A (ja) 包装袋の供給用コンベア
KR20180001319A (ko) 홈 커팅 장치
KR101822956B1 (ko) 배추 절단장치
EP3277490B1 (en) Cutting station for a tire building machine
JP2019116382A (ja) 物品離間搬送方法と物品離間搬送装置
US20090243208A1 (en) Auxiliary drive device for the conveying of sheetson a feed table of a cutting press
KR101566881B1 (ko) 라벨 공급장치
US20060237892A1 (en) Conveying device for feeding printed products to a processing unit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CN212101264U (zh) 一种灰板纸开槽机的叠料装置
US10611592B1 (en) Automatic media loader for feeder
JP4041469B2 (ja) 特に印刷機において実質的にシート状のエレメント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JP7360711B2 (ja) 分離供給装置
JP7082455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50036969A (ko) 판지 접이용 절곡홈 절삭장치
KR101567726B1 (ko) 용지 이송장치
JP6559962B2 (ja) 姿勢転換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る箱詰め装置
JPH04173624A (ja) 材料給送装置
JP7288350B2 (ja) 繰出装置
KR101731868B1 (ko) 합지장치용 원지 급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