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726B1 - 용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26B1
KR101567726B1 KR1020140111537A KR20140111537A KR101567726B1 KR 101567726 B1 KR101567726 B1 KR 101567726B1 KR 1020140111537 A KR1020140111537 A KR 1020140111537A KR 20140111537 A KR20140111537 A KR 20140111537A KR 101567726 B1 KR101567726 B1 KR 10156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oller
paper
driving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바이텍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텍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바이텍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1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하 이송롤러를 필요에 따라 서로 접촉 또는 분리시킬 수 있어서 용지와 같은 피이송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장비의 이송장치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 하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하부롤러; 상기 제2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롤러; 상기 제1 및 제2 상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접속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의하면, 구동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상부롤러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하부롤러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용지와 같은 피이송물을 간편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이후 구동레버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피이송물이 상부 및 하부롤러 사이에 협지되어 이송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피이송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장비의 이송장치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포장기, 프린터, 플로터 및 스티커 제조장치 등과 같은 장비의 용지 이송장치로 적용할 경우 용지의 초기 셋팅, 용지의 교체, 용지의 제거 등과 같은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지 이송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하 이송롤러를 필요에 따라 서로 접촉 또는 분리시킬 수 있어서 용지와 같은 피이송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장비의 이송장치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기, 프린터, 플로터 및 스티커 제조장치 등과 같이 용지가 이송되면서 포장, 인쇄, 컷팅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지 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이송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21985호(등록일자:2004. 02.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이송롤러로 이루어진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421985호는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급지대(1)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와, 이 픽업롤러(2)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용지이송경로(P)에서 이송시키기 위하여 서로 일정압력으로 가압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20)에 구성되어 이 제 2 이송롤러(20)를 선택적으로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제 1 중송방지수단(30)과,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1 이송롤러(10)로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 1 기어 트레인(40)과 ,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2 이송롤러(20)로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 2 기어 트레인(50)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이송롤러(10,20)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위치에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이송롤러(10)는 용지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1 이송롤러축(11)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롤러축(11)의 단부에는 제 1 이송롤러기어(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이송롤러(20)는 용지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제 2 이송롤러축(21)상에 제 1 중송방지수단(30)의 개재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송롤러축(21)의 단부에는 제 2 이송롤러기어(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421985호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로 진입하는 용지를 마찰력에 의해 이송하는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는 있어서 프린터와 같은 장치의 낱장 공급용 용지 이송장치로는 활용할 수 있지만, 롤 형태로 감김된 용지를 연속적으로 이송하기에는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421985호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가 서로 면접촉되어 상하로 벌어질 수 없는 구조이므로 초기 셋팅작업시에 용지롤로부터 인출된 용지의 선단 부분을 진입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중에서 어느 한 쪽의 이송롤러를 분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 중이나 공정의 변경으로 용지롤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 사이에 끼워진 기존의 용지를 제거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종래 용지 이송장치는 롤 형태로 감김된 용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의 포장기, 프린터, 플로터 및 스티커 제조장치 등과 같은 장비에서 용지 이송장치로 적용할 경우 용지의 초기 셋팅, 용지의 교체, 용지의 제거 등과 같은 작업의 시행시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불가능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용지 이송장치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10)(20)와 제 3 및 제 4 이송롤러(60)(70)가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장비의 내부구조가 복잡해지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지의 이송기능 외에는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하 이송롤러를 필요에 따라 서로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용 용지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이송롤러가 유기적으로 결합, 구성되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지의 설치, 교체 및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송기능과 함께 절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 하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하부롤러; 상기 제2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롤러; 상기 제1 및 제2 상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접속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는 판형몸체에 경사지게 형성된 승강용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승강용경사부를 타고 이동되는 구동용경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구동플레이트, 상기 구동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인가하는 승강캠부재, 및 상기 승강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플레이트가 좌우이동되는 횡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좌우이동공과,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가 상하이동되는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상하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플레이트는 판형몸체에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캠구동홀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캠부재는 상기 구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캠축에 상기 캠구동홀에 삽입되는 승강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롤러구동모터,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롤러축에 접속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상부롤러 사이로 이동하는 용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상부용지안내판과,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하부용지안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복귀용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제1 하부롤러 및 제1 상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용지를 컷팅하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구성되는 컷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컷팅장치는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터설치부가 형성된 복수의 커터설치부재; 상기 커터설치부재의 커터설치부에 설치되는 커터; 상기 커터설치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를 컷팅위치 또는 비컷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커터설치부재를 회동시키는 커터캠부재; 및 상기 커터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커터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캠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커터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커터커버부재를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터설치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터커버부재는 상기 커터캠부재에 삽입되는 캠삽입공이 형성된 힌지부, 상기 커터설치부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부, 상기 힌지부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삽입공은 편심지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회동 각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힌지축에 밀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절개부에 설치되는 탄성압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제2 하부롤러는 상기 제1 하부롤러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의하면, 구동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상부롤러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하부롤러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용지와 같은 피이송물을 간편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이후 구동레버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피이송물이 상부 및 하부롤러 사이에 협지되어 이송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피이송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장비의 이송장치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포장기, 프린터, 플로터 및 스티커 제조장치 등과 같은 장비의 용지 이송장치로 적용할 경우 용지의 초기 셋팅, 용지의 교체, 용지의 제거 등과 같은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의하면, 커터구동레버를 정역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커터가 컷팅 지점 또는 비컷팅 지점으로 이동되는 컷팅장치가 구비되어 피이송물의 이송기능과 함께 절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다양한 장치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용지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2a는 정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2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5a는 정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구비된 컷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a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2a는 정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2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2a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제1 하부롤러(41), 제1 상부롤러(42), 제2 하부롤러(43), 제2 상부롤러(44),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 및 승강구동부재(47)가 구비된 것으로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이송롤러를 필요에 따라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종이가 롤 형태로 감김된 용지롤이 설치되는 프린터나 플로터, 또는 포장지가 롤 형태로 감김된 용지롤이 설치되는 포장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티커를 제조하는 스티커 제조장치에 적용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하부롤러(41)는 용지가 진입되는 부분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롤러장치로서, 롤러축(411)과 이 롤러축(411)에 결합되는 롤러몸체(412)로 이루어지고, 롤러축(411)의 일단에 후술되는 롤러구동수단(48)의 종동풀리(483)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상부롤러(42)는 용지가 진입되는 하측 부분에 위치한 제1 하부롤러(41)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롤러장치로서, 롤러축(421)과 이 롤러축(421)에 결합되는 롤러몸체(422)로 이루어져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하부롤러(43)는 제1 하부롤러(41)로부터 이격되는 용지의 배출측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롤러장치로서, 롤러축(431)과 이 롤러축(431)에 결합되는 롤러몸체(432)로 이루어지고, 롤러축(431)의 일단에 후술되는 롤러구동수단(48)의 종동풀리(48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하부롤러(43)는 제1 하부롤러(41)의 외경보다 외경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하부롤러(43)의 외경이 제1 하부롤러(41)보다 크게 형성되면 제2 하부롤러(43)의 1회전당 용지의 이송거리가 제1 하부롤러(41)의 1회전당 이송거리보다 크므로 용지의 이동시에 팽팽하게 장력이 걸린 상태로 이동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제2 상부롤러(44)는 제2 하부롤러(43)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롤러장치로서, 롤러축(441)과 이 롤러축(441)에 결합되는 롤러몸체(442)로 이루어져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도록 양쪽에 배치되는 판상부재로서,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형몸체(451)의 양쪽에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의 설치를 위한 축공(452)이 천공되어 있고, 하단 양쪽에는 후술되는 구동플레이트(471)의 구동용경사부(471b)와 접촉되는 승강용경사부(45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는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도록 양쪽에 배치되는 판상부재로서, 중앙에 요홈부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형몸체(461)의 하부 양쪽에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의 설치를 위한 축공(46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는 구동플레이트(471)가 좌우이동되는 횡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좌우이동공(463)과,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가 상하이동되는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상하이동공(46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의 양쪽에 배치된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는 막대판 형태의 상부용지안내판(45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의 양쪽에 배치된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는 막대판 형태의 하부용지안내판(46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용지안내판(45a) 과 하부용지안내판(46a)은 용지가 이동되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와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 사이로 이동하는 용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승강구동부재(47)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를 승강시켜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가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로부터 이격 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구동플레이트(471), 승강캠부재(472), 및 구동레버(473)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플레이트(471)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판상몸체가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의 좌우이동공(463)에 볼트를 매개로 좌우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판형몸체 중앙에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캠구동홀(471a)이 형성되어 있고, 판상몸체의 상부 양쪽에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의 승강용경사부(453)와 접촉되어 상승력을 인가하는 구동용경사부(471b)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캠부재(472)는 구동플레이트(471)에 승강력을 인가하는 부재로서, 구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캠축(472a)의 양쪽에 캠구동홀(471a)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승강캠(472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레버(473)는 승강캠부재(472)를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로서, 캠축(472a)의 단부에 결합되는 레버접속부재(473a)와 이 레버접속부재(473a)에 결합되는 핸들(47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구동플레이트(471)의 작동에 따라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구동레버(473)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를 하방으로 원위치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용탄성부재(474)가 구성되어 있다.
복귀용탄성부재(474)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의 상부용지안내판(45a)에 체결되는 스프링삽입볼트(474a), 이 스프링삽입볼트(474a)에 삽입되어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47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귀용탄성부재(474)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를 하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접속된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와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4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구동수단(48)은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롤러구동모터(481), 이 롤러구동모터(481)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482),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의 롤러축에 접속되는 종동풀리(483), 구동풀리(482)와 종동풀리(483)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48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구동수단(48)은 벨트(484)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롤러(485)가 구비되어 있고, 제2 하부롤러(43)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롤러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엔코터플레이트(486a) 및 광센서(486b)로 구비한 엔코터(486)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의 미설명부호 487은 롤러구동수단(48)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되는 구동수단커버플레이트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5a는 정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컷팅장치의 일부분을 분리 도시한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구비된 컷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커터커버부재(496)가 열림 된 상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5a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제1 하부롤러(41), 제1 상부롤러(42), 제2 하부롤러(43), 제2 상부롤러(44),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 승강구동부재(47), 및 롤러구동수단(48)이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용지가 이송되는 설비의 이송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용지에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컷팅장치(49)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컷팅장치(49)가 구비된 용지 이송장치(4')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티커 제조장치에 채용할 경우 스티커절단 기능과 이송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제2 용지이송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서 제1 하부롤러(41), 제1 상부롤러(42), 제2 하부롤러(43), 제2 상부롤러(44),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46), 승강구동부재(47), 및 롤러구동수단(48)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것과 동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컷팅장치(49)는 제1 하부롤러(41) 및 제1 상부롤러(42) 사이를 통과한 용지를 컷팅하기 위해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에 설치되는 것으로, 힌지축(491), 커터설치부재(492), 커터(493), 커터캠부재(494), 커터구동부재(495), 및 커터커버부재(496)가 구비되어 있다.
힌지축(491)은 복수의 커터설치부재(49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으로서 양쪽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커터설치부재(492)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91)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힌지축(491)이 삽입되는 힌지공(492c)이 관통된 접속부(492a)와, 커터가 설치되는 커터설치부(492b)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부(492a)는 후술되는 탄성압박부재(497)가 삽입되도록 힌지공(492c)에 절개부(492g)가 형성되어 있고, 커터설치부(492b)는 커터커버부재(496)의 힌지부(496a)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양쪽 안착면(492e) 사이에 돌출되는 것으로 슬릿 형태의 커터삽입홀(49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설치부재(492)의 절개부(492g)에는 탄성압박부재(497)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압박부재(497)는 후술되는 커터커버부재(496)의 힌지부(496a)와 접촉되는 한 쌍의 힌지접촉돌부(497a)와, 이 힌지접촉돌부(497a) 사이에 호 형상으로 만곡된 연결탄성부(497b)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압박부재(497)는 커터커버부재(496)의 힌지부(496a) 회동 각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힌지축(491)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커터(493)는 커터설치부재(492)의 커터설치부(492b)에 형성된 커터삽입홈(492d)에 삽입되는 삼각 형상의 금속 커터로 구성되어 있다.
커터캠부재(494)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493)를 컷팅 위치 또는 비컷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커터가 설치된 커터설치부재(492)를 회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 축몸체(494a)에 양쪽 단부를 제외한 전 길이 범위에 걸쳐 편심지게 캠부(49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캠부재(494)의 캠부(494b)는 커터설치부재(492)의 캠홀(492f,도7 참조)에 삽입되고 그 양쪽 단부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에 설치된다.
커터구동레버(495)는 커터캠부재(494)를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로서, 커터캠부재(49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레버접속부재(495a)와 이 레버접속부재(495a)에 결합되는 핸들(495b)로 구성되어 있다.
커터커버부재(496)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493)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터캠부재(49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커터캠부재(494)에 삽입되는 캠삽입공(496b)이 형성된 힌지부(496a), 커터설치부(492b) 사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커버부(496c), 힌지부(496a)와 커버부(496c)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96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부(496c)는 커터설치부(49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내면 모서리에 고정돌기(496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496a)에 형성되는 캠삽입공(496b)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캠부재(494)가 편심지게 설치되도록 한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96a)는 커터커버부재(496)의 닫힘상태(힌지부(496a)가 안착면(492e) 밀착된 상태)에서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t2) 부분이 탄성압박부재(497)와 접촉되고, 커터커버부재(496)의 개방상태에서는 두께가 얇은 부분(t1) 부분이 탄성압박부재(497)와 접촉되도록 캠삽입공(496b)이 편심지게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캠삽입공(496b)이 편심지게 형성됨에 따라 커터커버부재(49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힌지부(496a)의 두꺼운 부분(t2)이 탄성압박부재(497)의 힌지접촉돌부(497a)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게 되므로 힌지축(491)의 표면을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커터설치부재(492)를 움직임 없이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커터설치부재(492)가 힌지축(491)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커터(493)가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하게 되므로 용지의 절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커버부재(49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시키게 되면 힌지부(496a)의 얇은 부분(t1)이 탄성압박부재(497)와 접촉되면서 힌지접촉돌부(497a)에 인가되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커터설치부재(492)와 힌지축(491)의 고정관계가 헐거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설치부재(492)와 힌지축(491)의 고정관계가 헐거워지게 되면 커터설치부재(492)의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되므로 사용자가 커터설치부재(492)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하방에 위치하던 커터(493) 또한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용지의 컷팅이 불가능한 비컷팅 위치로 이동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커터설치부재(492)를 회동시켜 용지의 절단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가 스티커 제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9를 참조하여 스티커 제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티커 제조장치는 본체(9)에 스티커용지롤(r1), 부착코팅지롤(r2), 제거이형지롤(r3), 제거코팅지롤(r4), 제1 완성롤(r5) 및 제2 완성롤(r6)과 같이 용지가 감김된 다수의 롤과, 코팅지부착 및 이송을 위한 제1 용지이송장치(4), 이미지절개모듈(5), 스티커절단 및 이송을 위한 제2 용지이송장치(4'), 및 복수의 안내롤러(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스티커용지롤(r1)에는 도5의 확대부 A1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형지(s1)에 스티커용 이미지(캐릭터, 도안, 문자 등)가 인쇄된 인쇄지(s2)가 부착된 메인용지(s1 및 s2가 부착된 상태의 용지)가 권취되어 코팅지부착 및 이송을 위한 제1 용지이송장치(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적용함)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부착코팅지롤(r2)에는 도9의 확대부 A2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형지(s3)에 코팅필름(s4)이 부착된 코팅지(s3 및 s4가 부착된 상태의 용지)가 권취되어 코팅지부착 및 이송을 위한 제1 용지이송장치(4)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9의 확대부 A2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팅지 중에서 제2 이형지(s3)는 분리된 후 제거이형지롤(r3)에 감김되어 제거되고 도9의 확대부 A3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필름(r4)만이 인쇄지(s2) 표면에 코팅된다.
이후, 코팅필름(r4)이 부착된 작업용지(s1,s2 및 s4가 부착된 상태의 용지)는 이미지절개모듈(5)를 통과하면서 스티커용 이미지 부분(e)이 절개되고, 연이어 스티커용 이미지(e)를 제외한 인쇄지(s2) 및 코팅필름(s4)은 제거코팅지롤(r4)에 감김되며, 잔류하는 부분은 스티커절단 및 이송을 위한 제2 용지이송장치(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적용함)를 통과하면서 칼날에 의해 절단되어 제1 및 제2 완성롤(r5,r6)로 나누어져 감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스티커 제조장치의 제1 용지이송장치로 적용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지이송장치로 적용한 예를 기준으로 간략하게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메인용지와 코팅필름을 끌어당겨 메인용지(s1 및 s2가 부착된 상태의 용지)에 코팅필름(s4)을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티커용지롤(r1)로부터 인출되는 메인용지(s1 및 s2가 부착된 상태의 용지)와 부착코팅지롤(r2)로부터 인출된 코팅필름(s4)의 최선단을 서로 가접합하여 제1 용지이송장치(4)의 제1 하부롤러(41) 및 제1 상부롤러(42) 사이와 제2 하부롤러(43) 및 제2 상부롤러(44)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구동레버(473)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승강캠(472b)의 캠작용에 의해 구동플레이트(471)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플레이트(471)의 구동용경사부(471b)가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의 승강용경사부(453)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이에 결합된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 또한 상승되는 것이므로 제1 하부롤러(41) 및 제1 상부롤러(42) 사이와 제2 하부롤러(43) 및 제2 상부롤러(4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됨에 따라 메인용지와 코팅필름을 틈새 내부로 진입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레버(47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술한 승강캠(472b)의 작용에 의해 구동플레이트(471)의 구동용경사부(471b)가 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용지안내판(45a)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용탄성부재(474)의 스프링(474b)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5)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46)에 접속된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 또한 하강되어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와 서로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롤러구동모터(481)가 작동되면 롤러구동모터(481)의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풀리(482)와 벨트(484)를 매개로 접속된 종동풀리(483)가 회전되고 이에 제1 및 제2 하부롤러(41,43)가 회전하게 되므로 코팅필름을 메인용지의 상면에 부착하면서 이송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4')는 전술한 스티커 제조장치의 스티커절단 및 이송을 위한 제2 용지이송장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및 제2 상부롤러(42,44)의 상승 및 하강동작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와 동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컷팅장치(49)에 의한 스티커절단 과정에 대하여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구동레버(495)가 오른쪽 방향에 위치할 경우 커터캠부재(494)의 캠부(494b)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커터설치부재(492)가 힌지축(49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커터(493)가 용지의 컷팅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하부롤러(41) 및 제1 상부롤러(42) 사이로 용지가 진입된 후 제2 하부롤러(43) 및 제2 상부롤러(44)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면 그 중앙에 하방 돌출되어 있는 커터(493)에 의해 컷팅작용이 수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터(493)를 용지의 컷팅이 불가능한 비컷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커터구동레버(495)를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커터캠부재(494)가 회전되어 캠부(494b)가 상방을 향하도록 이동되므로 이 캠부(494b)에 접속된 커터설치부재(492)가 힌지축(49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운동 되면서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커터(493)는 용지를 절단할 수 없는 비컷팅 지점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터구동레버(495)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용지의 컷팅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4':용지 이송장치 41:제1 하부롤러
42:제1 상부롤러 43:제2 하부롤러
44:제2 상부롤러 45: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46: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47:승강구동부재
471:구동플레이트 472:승강캠부재
473:구동레버 48:롤러구동수단
481:롤러구동모터 482:구동풀리
483:종동풀리 484:벨트
485:텐션롤러 486:엔코더
49:컷팅장치 491:힌지축
492:커터설치부재 493:커터
494:커터캠부재 495:커터구동부재
496:커터커버부재

Claims (10)

  1.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 하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롤러;
    상기 제1 하부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하부롤러;
    상기 제2 하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롤러;
    상기 제1 및 제2 상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접속되는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접속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는 판형몸체에 경사지게 형성된 승강용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승강용경사부를 타고 이동되는 구동용경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구동플레이트, 상기 구동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인가하는 승강캠부재, 및 상기 승강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플레이트가 좌우이동되는 횡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좌우이동공과,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가 상하이동되는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상하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플레이트는 판형몸체에 종방향 장공 형태로 천공된 캠구동홀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캠부재는 상기 구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캠축에 상기 캠구동홀에 삽입되는 승강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롤러구동모터,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의 롤러축에 접속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상부롤러 사이로 이동하는 용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상부용지안내판과, 상기 하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하부용지안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복귀용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롤러 및 제1 상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용지를 컷팅하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구성되는 컷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장치는,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터설치부가 형성된 복수의 커터설치부재;
    상기 커터설치부재의 커터설치부에 설치되는 커터;
    상기 커터설치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롤러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를 컷팅위치 또는 비컷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커터설치부재를 회동시키는 커터캠부재; 및
    상기 커터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커터구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캠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커터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커터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설치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터커버부재는 상기 커터캠부재에 삽입되는 캠삽입공이 형성된 힌지부, 상기 커터설치부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부, 상기 힌지부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삽입공은 편심지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회동 각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힌지축에 밀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절개부에 설치되는 탄성압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롤러는 상기 제1 하부롤러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KR1020140111537A 2014-08-26 2014-08-26 용지 이송장치 KR10156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37A KR101567726B1 (ko) 2014-08-26 2014-08-26 용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37A KR101567726B1 (ko) 2014-08-26 2014-08-26 용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26B1 true KR101567726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37A KR101567726B1 (ko) 2014-08-26 2014-08-26 용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68B1 (ko) * 2018-12-17 2019-07-11 (주)진코퍼레이션 자동 라벨 부착 장치의 피딩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029A (ja) 2009-02-27 2010-09-16 Hyun Tae Kim 曲げることが容易な不織布パッドの製造装置、その製造装置を用いた不織布パッド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不織布パ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029A (ja) 2009-02-27 2010-09-16 Hyun Tae Kim 曲げることが容易な不織布パッドの製造装置、その製造装置を用いた不織布パッド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不織布パ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68B1 (ko) * 2018-12-17 2019-07-11 (주)진코퍼레이션 자동 라벨 부착 장치의 피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1992B2 (ja) シート処理装置
US8919232B2 (en)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409732B2 (en) Sheet-like object transporting device and ink-jet printer
US7942406B2 (en) Roll feeder
WO2010021024A1 (ja) 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9102140A (ja) テープ処理装置およびそのテープ送り制御方法
KR101567726B1 (ko) 용지 이송장치
KR20190016248A (ko) 카톤 인쇄 장치
JP2006240856A (ja) 画像形成装置
JP6156839B2 (ja) 帯掛け包装装置
JP4473610B2 (ja) 印字用紙用カッター装置
JP5270929B2 (ja) ワークの搬送装置
JP5617124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メディアの搬送方法
JP4889236B2 (ja) 剥離装置
JP6070806B2 (ja) 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
JP5831618B2 (ja) 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9018357A (ja) シート類穿孔装置
JP2004269177A (ja) シート状ワークの印刷部におけるフィーダコンベヤユニット
JP5663991B2 (ja) 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
JP3853486B2 (ja) 用紙搬送装置
JP5315786B2 (ja) テープ送り装置およびテープ処理装置
JP2019202467A (ja)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19127366A (ja) 画像形成装置
JP6442698B2 (ja) 連続用紙処理装置及び連続用紙処理方法
JP2008230185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