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483Y1 - 양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483Y1
KR200482483Y1 KR2020160006628U KR20160006628U KR200482483Y1 KR 200482483 Y1 KR200482483 Y1 KR 200482483Y1 KR 2020160006628 U KR2020160006628 U KR 2020160006628U KR 20160006628 U KR20160006628 U KR 20160006628U KR 200482483 Y1 KR200482483 Y1 KR 200482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gnet member
toilet lid
sea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찬
Original Assignee
안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찬 filed Critical 안종찬
Priority to KR2020160006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83Y1/ko
Priority to PCT/KR2017/002068 priority patent/WO2018092987A1/ko
Priority to US15/478,844 priority patent/US201801326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을 한 후 물을 내릴 때 발생된 오염물질에 의해 좌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는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되어, 변기뚜껑(30)을 닫으면 상기 돌출부(31)가 개구부(21)에 삽입되어 개구부(21)를 막게 된다.
따라서, 물을 내릴 때 비산되는 오염물질이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좌대(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변기{toilet bowl}
본 고안은 사용을 한 후 물을 내릴 때 발생된 오염물질에 의해 좌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화장실에 구비된 양변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뚜껑(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은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0)에 구비된 브라켓(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양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상기 용변부(11) 내부의 오염물질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비산되고, 이와 같이, 비산된 오염물질이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좌대(20)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양변기는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뚜껑(30)과 함께 좌대(20)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어야 함으로, 사용자의 손이 오염물질에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좌대(20)를 발로 밀어 열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좌대(20)를 열기가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신발에 묻은 흙 등에 의해 좌대(20)가 더욱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39117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을 한 후 물을 내릴 때 발생된 오염물질에 의해 좌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뚜껑(30)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에 구비되며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을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0)과, 상기 변기뚜껑(3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잡고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변기뚜껑(30)만을 열거나 상기 변기뚜껑(30)과 좌대(20)를 함께 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변기뚜껑(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42)와,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는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그리는 원형의 궤적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44)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반대가 되고, 상기 제3 자석부재(45)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에 부착되어 변기뚜껑(30)과 좌대(20)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제1 자석부재(43)와 제3 자석부재(45)의 반발력에 의해 변기뚜껑(30)이 상측으로 밀려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기뚜껑(3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2)에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오목부(32)를 개폐하는 커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는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되어, 변기뚜껑(30)을 닫으면 상기 돌출부(31)가 개구부(21)에 삽입되어 개구부(21)를 막게 된다.
따라서, 물을 내릴 때 비산되는 오염물질이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좌대(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양변기의 좌대와 변기뚜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좌대와 변기뚜껑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결합수단과 손잡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뚜껑(3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는 상기 변기뚜껑(30)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은 밀폐된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둘레부가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기뚜껑(3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닫으면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에 삽입되어, 개구부(21)의 내측 둘레부가 막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변기뚜껑(30)은 얇은 합성수지재질의 패널로 제작됨으로, 중앙부에 상기 돌출부(31)가 형성됨에 따라,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31)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목부(32)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에는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을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변기뚜껑(30)의 상측에는 상기 결합수단(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손잡이(5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변기뚜껑(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42)와,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장바(42)가 회동되면서 상기 자석부재가 원형의 궤적을 따라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는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그리는 원형의 궤적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매입고정된다.
즉, 상기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는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자석부재(44)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반대가 되고, 상기 제3 자석부재(45)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이 N극일 경우, 상기 제2 자석부재(44)의 상면은 S극이고, 상기 제3 자석부재(45)의 상면은 N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50)는 상기 회전축(41)의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잡고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41)과 연장바(42)가 회동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와 제3 자석부재(45)의 상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합수단(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전시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제2 자석부재(4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제1 자석부재(43)와 제2 자석부재(44)의 사이에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변기뚜껑(30)과 좌대(20)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상측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뚜껑(30)과 좌대(20)가 함께 상측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동시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3 자석부재(4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제1 자석부재(43)와 제3 자석부재(45)의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제3 자석부재(45)가 상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변기뚜껑(30) 전체가 상측으로 밀려나서,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상측으로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대(20)는 그대로 있고 변기뚜껑(30)만 상측으로 회동되어 열리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는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되어, 변기뚜껑(30)을 닫으면 상기 돌출부(31)가 개구부(21)에 삽입되어 개구부(21)를 막게 된다.
따라서, 물을 내릴 때 비산되는 오염물질이 상기 좌대(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좌대(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에는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을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변기뚜껑(30)의 상측에는 상기 결합수단(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손잡이(5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잡고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상측으로 당길 때, 좌대(20)와 변기뚜껑(30)이 한꺼번에 열리도록 하거나, 변기뚜껑(30)만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기뚜껑(30)을 열거나, 변기뚜껑(30)과 좌대(20)를 한꺼번에 열 때, 손에 오염물질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변기뚜껑(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42)와,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는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그리는 원형의 궤적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44)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반대가 되고, 상기 제3 자석부재(45)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에 부착되어 변기뚜껑(30)과 좌대(20)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제1 자석부재(43)와 제3 자석부재(45)의 반발력에 의해 변기뚜껑(30)이 상측으로 밀려나가게 됨으로, 상기 변기뚜껑(30)을 열 때, 변기뚜껑(30)이 손쉽게 열리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변기뚜껑(3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닫을 경우, 변기뚜껑(30)의 하측에 구비된 돌출부(31)가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에 삽입되어 돌출부(31)와 좌대(20)가 상호 결합됨으로, 사용자가 변기뚜껑(30)만을 열기 위해 변기뚜껑(30)을 상측으로 당기면, 좌대(20)가 함께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제3 자석부재(4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제1 자석부재(43)와 제3 자석부재(45)의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에 의해 상기 변기뚜껑(30)이 상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1)와 좌대(20)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상측으로 당기면, 변기뚜껑(30)만 상측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변기뚜껑(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42)와,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바(42)를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인 철재질 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3 자석부재(45)의 구조가 생략되어, 상기 연장바(42)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에 직접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4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오목부(32)에 별도의 커버(60)가 구비되어, 용변을 볼 때, 상기 오목부(32)에 간단한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60)는 후단부가 힌지(61)에 의해 상기 변기뚜껑(3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의 전단부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오목부(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6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오목부(32)에 수납된 소지품이 보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60)에는 잠금장치(62)와 보조손잡이(6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커버(60)를 닫으면 상기 잠금장치(62)에 의해 커버(6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사용자가 보조손잡이(63)를 조작하면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이 해제되어 커버(60)가 열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변을 볼 때 손에 들고 있는 소지품을 상기 오목부(32)에 수납한 후 커버(60)를 닫음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뚜껑(30)을 열 때, 오목부(32)에 수납된 소지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는 용변을 보는 사용자가 상기 오목부(32)에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변기본체 20. 좌대
30. 변기뚜껑 40. 결합수단
50. 손잡이 60. 커버

Claims (4)

  1.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뚜껑(30)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뚜껑(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좌대(20)의 개구부(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에 구비되며 상기 좌대(20)와 변기뚜껑(30)을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0)과,
    상기 변기뚜껑(3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잡고 상기 결합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변기뚜껑(30)만을 열거나 상기 변기뚜껑(30)과 좌대(20)를 함께 열 수 있도록 되며,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변기뚜껑(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42)와,
    상기 연장바(42)에 구비된 제1 자석부재(43)와,
    상기 좌대(20)에 구비된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자석부재(44,45)는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그리는 원형의 궤적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44)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반대가 되고,
    상기 제3 자석부재(45)는 상면의 자성이 상기 제1 자석부재(43)의 하측면의 자성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자석부재(43)가 상기 제2 자석부재(44)에 부착되어 변기뚜껑(30)과 좌대(20)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제1 자석부재(43)와 제3 자석부재(45)의 반발력에 의해 변기뚜껑(30)이 상측으로 밀려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뚜껑(3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2)에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오목부(32)를 개폐하는 커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KR2020160006628U 2016-11-15 2016-11-15 양변기 KR200482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28U KR200482483Y1 (ko) 2016-11-15 2016-11-15 양변기
PCT/KR2017/002068 WO2018092987A1 (ko) 2016-11-15 2017-02-24 양변기
US15/478,844 US20180132680A1 (en) 2016-11-15 2017-04-04 Toilet with contamination suppr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28U KR200482483Y1 (ko) 2016-11-15 2016-11-15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83Y1 true KR200482483Y1 (ko) 2017-01-31

Family

ID=5796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28U KR200482483Y1 (ko) 2016-11-15 2016-11-15 양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32680A1 (ko)
KR (1) KR200482483Y1 (ko)
WO (1) WO20180929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19B1 (ko) * 2019-01-21 2019-03-11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WO2021054699A1 (ko) * 2019-09-17 2021-03-25 윤범석 양변기 커버용 위생 손잡이
WO2021201313A1 (ko) * 2020-03-31 2021-10-07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700A (ja) * 1996-12-05 1998-06-16 Seki Trans Syst Kk 開閉用把手を取り付けた洋式便器
KR200439117Y1 (ko) 2006-12-29 2008-03-20 천영호 양변기 자동 커버장치
KR101258810B1 (ko) * 2013-02-22 2013-04-26 이상재 살균탈취제가 구비된 밀폐형 변기커버
KR20130114549A (ko) * 2012-04-09 2013-10-17 석동희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648A (ja) * 2001-09-28 2003-04-08 Toto Ltd トイレ装置
KR200442285Y1 (ko) * 2007-06-15 2008-10-27 이정부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110109357A (ko) * 2010-03-31 2011-10-06 안동영 변기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700A (ja) * 1996-12-05 1998-06-16 Seki Trans Syst Kk 開閉用把手を取り付けた洋式便器
KR200439117Y1 (ko) 2006-12-29 2008-03-20 천영호 양변기 자동 커버장치
KR20130114549A (ko) * 2012-04-09 2013-10-17 석동희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101258810B1 (ko) * 2013-02-22 2013-04-26 이상재 살균탈취제가 구비된 밀폐형 변기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19B1 (ko) * 2019-01-21 2019-03-11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WO2021054699A1 (ko) * 2019-09-17 2021-03-25 윤범석 양변기 커버용 위생 손잡이
WO2021201313A1 (ko) * 2020-03-31 2021-10-07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2680A1 (en) 2018-05-17
WO2018092987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483Y1 (ko) 양변기
US3415497A (en) Combined blender and spatula
WO2007087185A2 (en) Self closing container
DE60104945D1 (de) Deckelverriegelungsvorrichtung
KR101606817B1 (ko)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KR20090007308A (ko) 베어링과 회동부 사이에 자기 인력이 작용하는 좌변기
KR101957119B1 (ko)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KR101534273B1 (ko) 양베어링형 릴의 커버 착탈장치
JP3186169U (ja) バスボード
US20070241106A1 (en) Magnet embedded magnetic drain stopper
KR20160122416A (ko) 양변기의 변기 커버
US6145534A (en) Scald guard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JP2002325520A (ja) ペット用トイレ
DE602004030458D1 (de) Hahn mit hebelverriegelung
JP2015107304A (ja) 飲料容器
JP2009100815A (ja) 傘における下ロクロ固定構造
ES2326012B1 (es) Buzon para la introduccion de residuos en contenedores soterrados.
US20140013497A1 (en) Pliable Portable Toilet Seat Cover Device
KR101836087B1 (ko) 변기커버의 자동 닫힘장치
US20120198608A1 (en) Magnetic latch and handle for toilet seat
KR20150081770A (ko) 자력을 이용한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0236463Y1 (ko) 수세식 좌변기에 구비되는 이중 변좌
JP3210261U (ja) 仮設トイレ
JP2000218034A (ja) 黒板を含むゲ―ムを入れるための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