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49A -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 Google Patents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49A
KR20130114549A KR1020120046115A KR20120046115A KR20130114549A KR 20130114549 A KR20130114549 A KR 20130114549A KR 1020120046115 A KR1020120046115 A KR 1020120046115A KR 20120046115 A KR20120046115 A KR 20120046115A KR 20130114549 A KR20130114549 A KR 2013011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nel
scattering
discharge hole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동희
Original Assignee
석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희 filed Critical 석동희
Publication of KR201301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좌변기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대응하는 비산방지부를 시트커버의 저면에 형성하고, 시트커버가 시트패널의 상단에 포개져 덮일 때, 상기 비산방지부가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끼워지도록 하여, 물을 내릴 경우에 용변에서 대장균이 비산하더라도 배출공의 외부로 분출됨이 없이 비산방지부가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sanitation seat of a toilet bowl for bacterial shatterproof}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飛散)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좌변기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대응하는 비산방지부를 시트커버의 저면에 형성하고, 시트커버가 시트패널의 상단에 포개져 덮일 때, 상기 비산방지부가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끼워지도록 하여, 물을 내릴 경우에 용변에서 대장균이 비산하더라도 배출공의 외부로 분출됨이 없이 비산방지부가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변기로서 양변기라고도 한다. 이 좌변기는 종래 화장실 변기에 비하여 앉은 자세로 대, 소변을 볼 수 있기에 보다 편리하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지만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인의 삶에서는 보다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
그럼 그동안 많은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설명한다. 대변을 보기 위해서는 좌변기의 상단에 고정되는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일을 치르고, 자동이나 수동의 스위치에 의해서 물을 내려 대변을 정화조로 흘려 버리게 되는데, 이때 위생상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남자일 경우에는 직립자세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트를 상부로 올려 90도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용변을 보지 않고, 좌변기 위에 시트를 올려두고 커버만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변을 보기에, 시트에 소변이 묻어 더러운 얼룩이 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에 따라 위생에 문제가 발생된다.
전술된 문제점 중 더욱 큰 문제점이 전자인 대변을 볼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이다. 대변을 보고 나서 반드시 물을 내리게 되는데, 물이 그 저수조에서 떨어지며 낙차가 큰 물살을 일으키게 된다. 이 물살은 용변수 저장공간에 떨어지며 용변과의 마찰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용변에 존재하고 있던 대장균들이 화장실 내부를 떠 다니며 화장실 내를 더럽히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시트의 상단에 힌지 고정되는 커버를 덮어 대장균의 비산을 차단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도 완벽하지는 못하다. 즉, 좌변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시트패널은 그 지지다리를 통해서 일정한 틈이 벌어진다. 바로 이 간격을 통해서 대장균 등의 유해한 세균들이 화장실 내로 분출된다. 결국 커버를 덮어도 완벽한 대장균의 비산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대장균이 비산하게 되면, 시트패널의 배출공 상부로 올라오던 대장균이 커버에 의해서 화장실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는 하지만, 그 하단의 시트패널의 상부에 떨어져 사용자가 다음의 용변을 위해서 시트패널에 앉을 경우에 신체를 오염시킬 소지가 다분히 있다. 거주자가 다수라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져서 거주자 모두를 오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을 해야만 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이 많이 양산되지는 못했다.
단순하게 시트패널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 제 10-2009-122382호 "좌변기 시트용 위생 커버"로 출원된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9와 10에 도면에서처럼, 종래 발명의 시트용 위생 커버는 커버 본체(10)와, 제1가로접이선(20)과, 복수의 제2가로접이선(26)과, 제1세로접이선(30)과, 제2세로접이선(36)과,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본체(10)는 얇은 종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좌변기(2)의 시트(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좌변기(2)의 시트(6) 윗면을 감싸 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커버 본체(10)는 한쪽 또는 양쪽 면이 수지 코팅된 종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 본체(10)는 부직포, 천, 합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로접이선(20)은 상기 커버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의 중앙부 2개소에 가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1가로접이선(20)은 도 5의 (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본체(10)를 전후 부분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 부분을 저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아래쪽으로 꺾어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2가로접이선(26)은 상기 제1가로접이선(20)과 상기 커버 본체(10)의 전후 끝 부분 모서리와의 중간 부분 4개소에 가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가로접이선(26)은 도면에서와 같이, 제1가로접이선(20)을 기준으로 구획된 전후 부분을 한번 더 전후 부분으로 각각 구획한 상태에서 한번 더 구획된 전후 부분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한번 더 구획된 전후 부분을 윗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쪽으로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세로접이선(30)은 상기 커버 본체(10)의 후방 중앙에 세로로 1개소에 형성하여 설치되고, 제1세로접이선(30)은 상기 커버 본체(10)를 좌우 부분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부분의 저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아래쪽으로 꺾어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제2세로접이선(36)은 상기 제1세로접이선(30)과 커버 본체(10)의 후방 양측 모서리 사이 중간 부분에 형성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세로접이선(36)은 상기 제1세로접이선(30)을 기준으로 구획된 좌우 부분을 한번 더 좌우 부분으로 각각 구획한 상태에서 한번 더 구획된 좌우 부분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한번 더 구획된 좌우 부분을 윗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쪽으로 꺾어 접을 수 있도록 커버 본체(10)의 제1세로접이선(30)을 사이에 두고 세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고정부(40)는 상기 커버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커버 본체(10)를 상기 좌변기(2)의 시트(6) 윗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접힌 상태에서 커버 본체(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끼리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커버 본체(10)의 저면 일부에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커버 본체(10)에는 상기 제2가로접이선(26)과 제2세로접이선(36)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부분 모서리로부터 한쪽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커버 본체(10)의 저면 중 상기 제2가로접이선(26)과 제2세로접이선(36)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위치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접착물질은 접착력이 비교적 약하고 끈적거리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좌변기(2)의 시트(6)에 상기 커버 본체(10)를 접착하여 사용한 후 커버 본체(10)를 분리하기 용이하고 접착성분이 커버 본체(10)에 남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물질은 예를 들면, 접착식 메모지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접착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간단하게 접어서 보관을 하고 필요시에 시트(6)에 끼워 고정부(40)를 통해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이 종래의 발명은 시트(6)에 위생 커버를 씌워 좌변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대장균과 유해한 세균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차단하고자 하는 발명이지만, 어느 것 하나 종래 발생되어 온 문제점을 해결한 것은 아니다. 단지 시각적으로 깨끗한 커버를 이용하여 시트(6)를 덮어 사용한다는 점만 갖추고 있어서, 심적인 안심만 될 뿐이다.
이 위생커버를 씌우고 용변을 본 후, 좌변기의 물을 내리게 되면, 비산되는 대장균을 막을 수 없으면서도 오히려 대장균이 서식하기 더 좋은 환경을 가져다 준다. 단순하게 시각적으로 시트(6)에 덮인 위생 커버를 통해서 깨끗한 환경임을 인식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부직포나 지류로 제작된 이 위생 커버는 대장균이 서식할 수 보다 좋은 환경이 되기에 사실상 거주자의 위생에 더욱 해롭다.
본 발명은 모든 좌변기의 상단에 결합시켜 안락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청결한 위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좌변기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대응하는 비산방지부를 시트커버의 저면에 형성하고, 시트커버가 시트패널의 상단에 포개져 덮일 때, 상기 비산방지부가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끼워지도록 하여, 물을 내릴 경우에 용변에서 대장균이 비산하더라도 배출공의 외부로 분출됨이 없이 비산방지부가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는, 양변기(50)의 상단에 안착하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1)과, 배출공(11)의 주변에 형성되는 안착 지지패널부(13)로 이루어진 시트패널(10); 상기 시트패널(10)에 대응되어 시트패널(10)의 상부로 덮이되, 상기 배출공(11)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진 비산방지부(30)를 가진 시트커버(20);로 이루어진 좌변기시트(100)이다.
또한 본 발명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돌출되는 패널(37)이고 :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외형을 형성한 차단막(32)이며 :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은 배출공(11)의 두께에 비하여 0.5-2cm 길어서, 배출공(11)의 하단으로 비상방지부(30)의 끝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의 끝단은 그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꺽여진 곡선부(34)를 가져 배출공(11)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하고 : 시트패널(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15)를 형성하여, 시트패널(10)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며 : 시트커버(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시트커버(20)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에 따른, 시트패널(10)의 내부에는 열선(H)을 깔고 : 시트패널(10)의 저면에는, 좌변기 밀착패드(12)를 결합하며 : 시트커버(20)와 시트패널(10)은, 항균처리를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30)의 저부에는 고무 패킹을 접착시켜 밀폐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변 후 간단하게 시트커버를 접어 시트패널의 상단에 포개는 작동만으로 용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산하는 대장균을 차단할 수 있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고무패드를 통해서 좌변기의 상면에 시트패널이 밀착되고, 시트커버의 비산방지부가 시트패널의 배출공에 끼워져 완벽한 밀폐구조를 형성하여, 좌변기 내측의 오염물질이나 대장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좌변기 시트에 조금의 형상변경만을 가하여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변기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좌변기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 요부인 비산방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에 열선이 깔린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 위생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 발명의 위생커버가 좌변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손쉽게 장착되고 해체할 수 있는 좌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도 1 내지 8에서처럼, 양변기(50)의 상단에 안착하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1)과, 배출공(11)의 주변에 형성되는 안착 지지패널부(13)로 이루어진 시트패널(10)가 있고, 상기 시트패널(10)에 대응되어 시트패널(10)의 상부로 덮이되, 상기 배출공(11)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진 비산방지부(30)를 가진 시트커버(2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좌변기시트(100)가 된다.
즉, 본 발명은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좌변기시트(100)와 그 형태와 구성이 대다수가 동일하다. 배출공(11)을 가진 시트패널(10)과 시트패널(10)의 상부에 덮이는 시트커버(20)로 이루어진다. 시트패널(10)은 양변기(50)의 상부에 밀착되어 사용자가 양변기(50) 위에 안착시 엉덩이 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지지패널부(13)가 형성되고, 대변이나 소변을 통과시켜 양변기(50) 내측의 용변수 저장공간에 투입시키도록 하는 배출공(11)이 있다. 단지 본 발명은 상기 시트커버(20)의 중심부에서 돌출된 비산방지부(30)를 가진 것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 비산방지부(30)는 시트패널(10)의 배출공(11)을 막아준다.
기존에 사용되던 대다수의 좌변기시트(100)는 양변기(50)와 시트패널(10)의 사이 공간과 배출공(11)의 상단으로 대장균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시트커버(20)를 시트패널(10)의 상단에 덮어 포개면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는 있었지만, 배출공(11)으로 비산되던 대장균이 시트커버(20)에 막혀 다시 시트패널(10)의 상면에 그대로 내려앉아 문제를 초래하였다. 배출공(1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어쩔 수 없는 문제점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시트커버(20)를 시트패널(10)의 상면으로 닫게 되면, 시트커버(20)에서 돌출되는 비산방지부(30)가 시트패널(10)의 배출공(11)에 끼워져 대장균의 비산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보다 안전하고 깨끗한 좌변기시트(100)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돌출되는 패널(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외형을 형성한 차단막(3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산방지부(30)를 2가지 실시예로 제안한다. 도 1에는 제1실시예가 도 2에는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모두 배출공(11)으로 비산되는 대장균이나 유해 세균을 차단하기 위해서 배출공(11)을 차단하는 비산방지부(30)이다. 전자인 패널(37)은 배출공(11)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을 가진 패널(37)로서, 시트커버(20)를 시트패널(10)의 상부에 회동하여 포개게 되면 자연스럽게 비산방지부(30)인 패널(37)이 배출공(11)에 끼워지게 된다. 배출공(11)이 패널 비산방지부(30)에 막혀 대장균이나 유해 세균의 비산이 근원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반하여 후자는 시트패널(10)의 배출공(11)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차단막(32)이다. 배출공(11)의 내부면에 맞도록 돌출되는 차단막(32)은 시트커버(20)를 시트패널(10)의 상면에 포개어 덮을 때, 배출공(11)을 완벽하게 차단한다. 차단막의 내부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빈 공간(31)으로 존재하여, 제작시 발생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형태가 단순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차단막(32)의 저부에는 얇은 고무 패킹(도시하지 않음) 등을 접착시켜 밀폐성을 더욱 높일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은 배출공(11)의 두께에 비하여 0.5-2cm 길어서, 배출공(11)의 하단으로 비상방지부(30)의 끝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 형태는 도시된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시트패널(10)이나 그 내측의 배출공(11)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 두께만큼 비산방지부(30)인 차단막(32)이나 패널(37)이 돌출되면 배출공(11)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산방지부(30)는 상기 배출공(11)의 두께에 비하여 다소 큰 돌출 두께를 갖는다. 도 6에서 "t"라고 부호를 메긴 것 처럼 약간 돌출된 정도의 두께(t)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물을 내릴 때, 와류와 압력변화에 따라 용변에서 비산되는 대장균이나 유해 세균은 배출공(11)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꺼운 길이로 돌출된 비산방지부(30)에 의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사실 비산되어 화장실 내부를 전체적으로 오염시킬 수 있는 종래의 좌변기시트(100)는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했다.
화장실 내부에는 수건, 치솔, 치약, 비누 등의 세면도구는 물론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를 비치하고 있을 소지가 높은데, 이러한 일상에서 사용하고 인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사용되는 물건에 비산된 대장균이 묻게 되면 위생을 해치는 큰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의 끝단은 그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꺽여진 곡선부(34)를 가져 배출공(11)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한다. 이 실시예는 도4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비산방지부(30)가 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은 시트커버(20)에서 돌출되어 배출공(11)의 내주면에 끼워진다. 결국 배출공(11)으로 외부와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비산방지부(30)인 패널(37)이나 차단막(32)의 외주면은 배출공(11)의 내주면에 대응되거나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이어야 한다. 이때 시트커버(20)를 닫을 때, 비산방지부(30)인 패널(37)이나 차단막(32)의 외주면이 배출공(11)의 내주면에 걸려 완벽하게 시트커버(20)를 닫지 못할 경우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비산방지부(30)인 패널(37)의 외주면 끝단에 곡선부(33)를 형성한다. 부드럽게 라운드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넓이를 줄인 패널(37)이기에 배출공(11)의 내주면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제2실시예인 차단막(32)의 경우도 도시된 도 4에서처럼 그 끝단에 곡선부(33)를 형성하여 차단막(32)이 배출공(11)의 내주면에 잘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시트패널(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15)를 형성하여, 시트패널(10)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시트커버(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시트커버(20)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좌변기시트(100)를 형성하는 시트패널(10)과 시트커버(20)에 아주 작은 형태의 손잡이(15, 21)를 형성하는 것이다. 화장실 좌변기시트(100)의 사용자는, 특별한 경우 시트를 손으로 잡기 싫어서 발로 잡아 시트커버(20)를 열고 닫는 것이 비일비재하다. 모두 유해한 세균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서 손가락 끝단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15, 21)를 형성하여 시트커버(20)는 물론 시트패널(10)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7에서처럼, 시트패널(10)의 내부에는 열선(H)을 깔아 동절기의 추위 문제를 해결하였다. 시트패널(10)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패널부(13)의 내측에 열선(H)을 깔아 깔끔하고 안락한 용변의 시간을 갖도록 한 것이다.
겨울철의 경우 대부분의 화장실이 별도의 전열수단을 가지지 못한다. 겨울철 용변을 보는 시간이 번거로운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패널(10)의 내측에 열선(H)을 깔아 별도로 마련되는 스위치나 센서를 통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선(H)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패널(10)의 저면에는, 좌변기 밀착패드(12)를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변 후 물을 내리는 동안에 와류와 물살에 의해서 대장균이 비산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그런데 종래 대다수의 좌변기시트(100)는 시트패널(10)과 양변기(50) 상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다. 시트패널(10)을 양변기(50)의 상단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지지다리를 다수 개 가지고 있기에 지지다리 외측부분은 모두 간격으로 남는 것이다. 이 간격은 비록 시트커버(20)를 시트패널(10)의 상면에 덮은 후에도 대장균이 비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제거하였다. 시트패널(10)의 하단과 양변기(50)의 상단이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비산 될 수 있는 간격을 없앤 것이다. 시트패널(10)이 좌변기(50)의 상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트패널(10)의 저면에 밀착패드(12)를 부착한다. 미끄럼 방지는 물론 상기 간격을 제거하여 대장균의 비산을 차단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고무재질로 제작하여 상기한 목적을 완벽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시트커버(20)와 시트패널(10)은, 항균처리를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100)는 대장균의 비산을 차단하고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인 화장실 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의 좌변기시트(100)는 시트커버(20)는 물론 시트패널(10)의 표면에 항균처리를 하여, 위생상 발생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제거하였다. 항상 쾌적한 화장실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10; 시트패널 11; 배출공
20; 시트커버 30; 비산방지부
32; 차단막 37; 패널
H; 열선

Claims (11)

  1. 양변기(50)의 상단에 안착하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1)과,
    배출공(11)의 주변에 형성되는 안착 지지패널부(13)로 이루어진 시트패널(10);
    상기 시트패널(10)에 대응되어 시트패널(10)의 상부로 덮이되, 상기 배출공(11)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진 비산방지부(30)를 가진 시트커버(20);로 이루어진 좌변기시트(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돌출되는 패널(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비산방지부(30)는, 시트커버(20)의 하단으로 대응되는 배출공(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외형을 형성한 차단막(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은 배출공(11)의 두께에 비하여 0.5-2cm 길어서, 배출공(11)의 하단으로 비상방지부(30)의 끝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비산방지부(30)를 형성하는 패널(37)이나 차단막(32)의 끝단은 그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꺽여진 곡선부(34)를 가져 배출공(11)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시트패널(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15)를 형성하여, 시트패널(10)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시트커버(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되는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시트커버(20)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시트패널(10)의 내부에는 열선(H)을 깔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시트패널(10)의 저면에는, 좌변기 밀착패드(12)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시트커버(20)와 시트패널(10)은, 항균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30)의 저부에는 고무 패킹을 접착시켜 밀폐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1020120046115A 2012-04-09 2012-05-02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20130114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495 2012-04-09
KR20120036495 2012-04-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65U Division KR20140001717U (ko) 2014-02-04 2014-02-04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49A true KR20130114549A (ko) 2013-10-17

Family

ID=496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115A KR20130114549A (ko) 2012-04-09 2012-05-02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4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31Y1 (ko) * 2014-06-11 2015-06-04 석동희 좌변기 물내림에 의한 오물튀김을 방지하고 세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200482483Y1 (ko) * 2016-11-15 2017-01-31 안종찬 양변기
GB2552311A (en) * 2016-07-13 2018-01-24 Alexandru Marian Eduard A toilet seat assembly
WO2022220774A1 (en) * 2021-04-14 2022-10-20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oilet seat lid where contact of contaminants and/or water with toilet seat is prevented during flushing
KR102622893B1 (ko) * 2023-09-11 2024-01-08 최민욱 비말 차단용 변기 뚜껑
KR102639922B1 (ko) * 2023-06-05 2024-02-22 이종훈 좌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31Y1 (ko) * 2014-06-11 2015-06-04 석동희 좌변기 물내림에 의한 오물튀김을 방지하고 세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GB2552311A (en) * 2016-07-13 2018-01-24 Alexandru Marian Eduard A toilet seat assembly
KR200482483Y1 (ko) * 2016-11-15 2017-01-31 안종찬 양변기
WO2022220774A1 (en) * 2021-04-14 2022-10-20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oilet seat lid where contact of contaminants and/or water with toilet seat is prevented during flushing
KR102639922B1 (ko) * 2023-06-05 2024-02-22 이종훈 좌변기
KR102622893B1 (ko) * 2023-09-11 2024-01-08 최민욱 비말 차단용 변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549A (ko)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200477331Y1 (ko) 좌변기 물내림에 의한 오물튀김을 방지하고 세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US10337182B1 (en) Toilet splash guard systems
KR20140001717U (ko)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US6851131B1 (en) Portable toilet bowl cover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US20230146446A1 (en) Portable support cushion
KR20080113186A (ko) 휴대용 변기커버 세트.
US20120324639A1 (en) Toilet cleaning pad and splash guard
WO2020055276A1 (en) Toilet seat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JP2008229301A (ja) 流せる尿漏れ防止便器シート
KR101347922B1 (ko)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US20140000018A1 (en) T & J Design Toilet Seat Lifting Aid
KR101332524B1 (ko) 수평 차단형 위생 좌변기 시트
KR20190004040A (ko) 소변기용 잔뇨 흡수패드
US9609985B2 (en) Toilet bowl cover apparatus
JP3240908U (ja) 洋式トイレ飛散防止カーテン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US1069233A (en) Sanitary lavatory.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JP3160055U (ja) 吸盤固定式尿遮断具
JP3225361U (ja) 男性用導尿器
KR20120005582U (ko) 위생 변기 시트
JP3187503U (ja) 洋式便器用ハサミで切って使う排尿飛散防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