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817B1 -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 Google Patents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817B1
KR101606817B1 KR1020140067408A KR20140067408A KR101606817B1 KR 101606817 B1 KR101606817 B1 KR 101606817B1 KR 1020140067408 A KR1020140067408 A KR 1020140067408A KR 20140067408 A KR20140067408 A KR 20140067408A KR 101606817 B1 KR101606817 B1 KR 10160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force
opening
magnetic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652A (ko
Inventor
장문섭
손무현
김두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06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8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45Tools for positioning or removing cove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유닛은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에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자력변환부와, 자력변환부에 결합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위해 자력변환부를 동작시키는 자력조작부 및 자력변환부 또는 자력조작부에 구비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결정하는 변환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맨홀의 속뚜껑은 상술한 개폐유닛 및 개폐유닛이 구비되어 자성체 중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LOCKING UNIT AND INSIDE COVER OF MANHOLE}
본 발명은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바디부의 재질적 특성 및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송전선로는 환경 및 미관 등의 영향으로 지중화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맨홀의 증가도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맨홀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의 맨홀프레임은 주철로 되어있고 겉 뚜껑 또한 주철을 사용하여 이탈방지 형으로 제작되나 잠금장치는 따로 장착하고 있지 않다. 또한, 맨홀의 속뚜껑은 얇은 철판 재질로 제작되고, 간단한 잠금장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맨홀 속뚜껑의 재질 및 잠금장치에 대한 문제가 현장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9731호(2011. 04. 11. 등록, 발명의 명칭 : 맨홀의 속 뚜껑)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바디부의 재질적 특성 및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은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에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자력변환부; 상기 자력변환부에 결합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위해 상기 자력변환부를 동작시키는 자력조작부; 및 상기 자력변환부 또는 상기 자력조작부에 구비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결정하는 변환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변환부는, 자력을 가지고 상기 자력조작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틱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인가 또는 차단되는 변환블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블럭부는, 상기 마그네틱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블럭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를 중심으로 상기 자화블럭부를 구획하고,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 차폐블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확인부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마그네틱부에 구비되는 제1확인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확인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변환블럭부에 구비되는 제2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조작부는, 상기 자력변환부의 동작을 위해 상기 자력변환부에 결합되는 조작블럭부; 및 상기 자력변환부의 일측에서 상기 조작블럭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조작부는, 상기 조작블럭부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확인부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블럭부에 구비되는 제1확인부; 및 상기 조작블럭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확인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조작커버부에 구비되는 제2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은 상술한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 중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상기 자력조작부에 대응하여 조작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작홀부에는, 마감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조작홀부를 개폐하는 마감캡부; 상기 마감캡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조작홀부에서 이격 형성되는 지지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상기 개폐유닛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맨홀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바디부와 상기 개폐판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기밀링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는,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기체 중 수분의 흡착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은 맨홀바디부의 재질적 특성 및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조작부의 무리한 동작을 방지하며, 개폐유닛 또는 속뚜껑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동작에서 자력의 차단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맨홀바디부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마그네틱부의 회전에서 자력변환부 도는 자력조작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블럭부의 회전을 간편하게 하고, 탈부착에 따라 속뚜껑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폐쇄할 때, 자력조작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환확인부의 걸림 상태에 따라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유닛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이물질이 개폐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홀부의 개폐 동작에서 마감캡부가 이탈 또는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캡부를 통한 지지홀부의 폐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의 개폐 동작에서 속뚜껑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개폐유닛의 설치 개소를 감소시키며, 속뚜껑의 개폐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의 파지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바디부와 개폐판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맨홀바디부와 속뚜껑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에서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에서 마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에서 개폐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에서 개폐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에서 개폐유닛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에서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에서 마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출입구는 맨홀바디부(10)와, 겉뚜껑(20)과, 속뚜껑(30)을 포함한다.
맨홀바디부(10)는 맨홀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로써, 중공의 원형 프레임 또는 중공의 다각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맨홀바디부(10)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재질로써, 주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바디부(10)에는 겉뚜껑(20)과 속뚜껑(30)이 각각 안착 지지되도록 내주면에는 개폐턱부(11)와 안착부(1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겉뚜껑(20)은 중공의 맨홀바디부(10)의 외측을 폐쇄하도록 맨홀바디부(10)의 안착부(13)에 안착 지지된다. 겉뚜껑(20)은 주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겉뚜껑(20)은 무게와 강도를 통해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안정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속뚜껑(30)은 중공의 맨홀바디부(10)의 내측을 폐쇄하도록 맨홀바디부(10)의 개폐턱부(11)에 안착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30)은 맨홀바디부(10)의 재질적 특성 및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개폐판부(31)와, 개폐유닛(50)을 포함한다.
개폐판부(31)는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개폐한다. 개폐판부(31)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개폐판부(31)는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기체 중 수분의 흡착도가 가장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개폐판부(31)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스터카보네이트(Polyestercarbonate), 폴리에터설폰(Polyestersulfone), 글라스화이버(Glassfiber)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판부(31)의 재질을 한정함으로써, 개폐판부(31)는 경량화를 통해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뒤틀림 등의 외형 변화를 억제 또는 방지하며, 부식에 따른 천공을 방지하고, 맨홀바디부(10)와의 고착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판부(31)에는 개폐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판부(31)는 개폐유닛(50)을 통해 맨홀바디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폐판부(31)에는 개폐유닛(50)이 안착 고정되는 개폐바디(311)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바디(311)는 맨홀바디부(10) 측이 개구되어 개폐유닛(50)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맨홀바디부(10)와 개폐유닛(5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부(31)에는 개폐유닛(50)의 자력조작부(53)에 대응하여 조작홀부(3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조작홀부(313)에 자력조작부(53)의 조작레버부(537)를 삽탈함으로써, 개폐유닛(50)을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조작홀부(313)에는 마감부(33)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감부(33)는 마감캡부(331)와, 탄성지지부(333)와, 지지돌부(335)와, 지지홀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캡부(331)는 조작홀부(313)를 개폐한다. 마감캡부(331)는 조작홀부(313)에 끼움 결합되고, 가장자리에는 조작홀부(313)를 감싸는 날개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33)는 마감캡부(331)에서 연장 형성된다. 탄성지지부(33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지지돌부(335)는 탄성지지부(333)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돌부(335)에는 확장부(336)가 구비되어 지지홀부(337)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고, 확장부(336)를 통해 지지돌부(335)가 지지홀부(33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홀부(337)는 지지돌부(335)와 끼움 결합되도록 조작홀부(313)에서 이격 형성된다. 지지홀부(337)는 개폐판부(31)에 관통 형성되어 지지돌부(33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폐판부(31)에는 걸림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35)는 개폐유닛(5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맨홀바디부(10)에 걸림 결합된다. 걸림부(35)는 맨홀바디부(10)의 개폐턱부(11)에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개폐판부(31)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돌부(351)와, 개폐턱부(11)가 삽입 지지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돌부(351)에서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부(31)에는 손잡이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37)는 개폐유닛(50)을 통해 잠금 해제된 개폐판부(31)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부(37)는 개폐판부(31)에 구비되어 파지를 위한 파지공간(372)이 형성되는 파지바디(371)와, 파지공간(372)을 일부 폐쇄하는 파지턱(373)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턱(373)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걸림으로써, 개폐판부(31)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맨홀바디부(10)와 개폐판부(31)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기밀링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기밀링부(40)의 결합을 위해 개폐판부(31)의 가장자리에는 기밀리브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밀링부(40)에는 기밀리브부(41)가 끼움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기밀홈부(4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밀링부(40)에는 맨홀바디부(10)에 접촉되는 기밀돌부(45)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판부(31)와 맨홀바디부(1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폐판부(31)의 가장자리에 기밀홈부(43)가 함몰 형성되는 경우, 기밀링부(40)에는 기밀리브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밀링부(40)는 맨홀바디부(10)에 안착되고, 맨홀바디부(10)와 개폐판부(31)의 결합에 따라 맨홀바디부(10)와 개폐판부(31)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서 개폐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서 개폐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서 개폐유닛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유닛(50)은 속뚜껑(30)에 구비되어 자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맨홀바디부(10)와 같은 자성체에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자력변환부(51)와, 자력조작부(53)와, 변환확인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변환부(51)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에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한다. 여기서, 자성체는 맨홀바디부(10)로 구성될 수 있다. 자력변환부(51)는 마그네틱부(511)와, 변환블럭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틱부(511)는 자력을 가지고 자력조작부(53)에 결합된다. 마그네틱부(511)는 네오디움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부(511)에는 자력조작부(53)와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부(512)는 자력조작부(53)의 조작블럭부(531)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532)와 결합되고, 마그네틱부(511)는 조작블럭부(531)의 동작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변환블럭부(513)는 마그네틱부(5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인가 또는 차단된다. 변환블럭부(513)에는 마그네틱부(51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변환홀부(514)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블럭부(513)에 삽입된 마그네틱부(5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그네틱부(511)가 변환홀부(5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그네틱부(511)에는 스냅링(50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부(511)에는 스냅링(501)의 결합을 위해 지지슬릿부(50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변환블럭부(513)는 자화블럭부(515)와, 차폐블럭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자화블럭부(515)는 마그네틱부(51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마그네틱부(511)의 자력에 의해 자화된다. 자화블럭부(515)는 마그네틱부(511)를 중심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마그네틱부(51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자력이 인가 또는 차단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차폐블럭부(517)는 마그네틱부(511)를 중심으로 자화블럭부(515)를 구획하고, 마그네틱부(511)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다. 차폐블럭부(517)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자화블럭부(515) 사이에 삽입 적층되고, 마그네틱부(511)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자화되지 않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자력조작부(53)는 자력변환부(51)에 결합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위해 자력변환부(51)를 동작시킨다. 자력조작부(53)는 조작블럭부(531)와, 조작커버부(535)를 포함하고, 조작레버부(5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블럭부(531)는 자력변환부(51)의 동작을 위해 자력변환부(51)에 결합된다. 조작블럭부(531)에는 마그네틱부(511)와의 결합을 위한 제2체결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부(532)는 자력변환부(51)의 마그네틱부(511)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512)와 결합되고, 조작블럭부(531)는 외력에 의해 마그네틱부(5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블럭부(531)에는 조작레버부(537)와의 결합을 위한 제1탈착부(53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탈착부(534)는 조작홀부(313)를 통해 노출되고, 조작레버부(537)에 구비되는 제2탈착부(538)와 결합된다. 조작블럭부(531)는 조작레버부(537)의 움직임에 따라 마그네틱부(5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커버부(535)는 자력변환부(51)의 일측에서 조작블럭부(5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커버부(535)에는 조작블럭부(53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커버홀부(536)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커버부(535)에 삽입된 조작블럭부(5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조작블럭부(531)가 커버홀부(5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블럭부(531)에는 스냅링(50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작블럭부(531)에는 스냅링(501)의 결합을 위한 지지슬릿부(50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조작커버부(535)에는 변환블럭부(513)가 일부 삽입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조작커버부(535)와 변환블럭부(513)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자력변환부(51)와 자력조작부(53) 사이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조작레버부(537)는 조작블럭부(531)에 결합된다. 조작레버부(537)에는 조작블럭부(531)와의 결합을 위한 제2탈착부(538)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탈착부(538)는 조작블럭부(531)에 구비되는 제1탈착부(534)와 결합되고, 조작레버부(537)는 조작블럭부(531)를 회전시켜 마그네틱부(51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변환확인부(55)는 자력변환부(51) 또는 자력조작부(53)에 구비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결정한다. 변환확인부(55)는 마그네틱부(511) 또는 조작블럭부(531)의 회전에 따라 상호 걸림 결합되어 마그네틱부(511) 또는 조작블럭부(531)의 회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변환확인부(55)는 제1확인부(551)와, 제2확인부(552)를 포함한다.
먼저, 변환확인부(55)가 자력변환부(51)에 구비되는 경우, 제1확인부(551)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마그네틱부(511)에 구비되고, 제2확인부(552)는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제1확인부(551)와 걸림 결합되도록 변환블럭부(513)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확인부(551)는 마그네틱부(511)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2확인부(552)는 변환블럭부(513)에서 변환홀부(514)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제2확인부(552)는 변환홀부(514)에 삽탈 가능하게 돌출된다. 이때, 제2확인부(552)의 설치를 위해 변환블럭부(513)에는 변환홀부(514)와 연통되는 체결공(55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제2확인부(552)는 볼플런저로 구성되고, 체결공(554)에 나사 결합되어 볼이 삽탈 가능하게 변환홀부(514)에 돌출될 수 있다.
제2확인부(552)는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에 따라 변환홀부(514)에서 삽입되었다가 제1확인부(551)와 일치되면 돌출됨으로써, 제2확인부(552)는 제1확인부(551)에 삽입 지지된다.
마그네틱부(511)의 극성을 감안하여 제1확인부(551)와 제2확인부(552)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변환확인부(55)가 자력조작부(53)에 구비되는 경우, 제1확인부(551)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조작블럭부(531)에 구비되고, 제2확인부(552)는 조작블럭부(531)의 회전에 따라 제1확인부(551)와 걸림 결합되도록 조작커버부(535)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확인부(551)는 조작블럭부(531)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2확인부(552)는 조작커버부(535)에서 커버홀부(536)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제2확인부(552)는 커버홀부(536)에 삽탈 가능하게 돌출된다. 이때, 제2확인부(552)의 설치를 위해 변환블럭부(513)에는 변환홀부(514)와 연통되는 체결공(55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제2확인부(552)는 볼플런저로 구성되고, 체결공(554)에 나사 결합되어 볼이 삽탈 가능하게 커버홀부(536)에 돌출될 수 있다.
제2확인부(552)는 조작블럭부(531)의 회전에 따라 커버홀부(536)에서 삽입되었다가 제1확인부(551)와 일치되면 돌출됨으로써, 제2확인부(552)는 제1확인부(551)에 삽입 지지된다.
마그네틱부(511)의 극성을 감안하여 제1확인부(551)와 제2확인부(552)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속뚜껑 설치 동작과 개폐유닛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걸림부(35)를 개폐턱부(11)에 걸림 결합한 다음, 개폐판부(31)로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폐쇄함으로써, 맨홀바디부(10)의 개폐턱부(11)에 속뚜껑(30)의 개폐판부(31)가 안착된다. 그러면, 개폐유닛(50)은 맨홀바디부(10)의 내측면 또는 개폐턱부(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걸림부(35)는 개폐턱부(11)에 걸림 결합된다.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폐쇄하는 동작에서 개폐유닛(50)의 자력변환부(51)에는 자력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여 자력에 의해 맨홀바디부(10)와 개폐판부(31)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레버부(537)를 조작홀부(313)에 삽입하여 제1탈착부(534)와 제2탈착부(538)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레버부(537)를 90도 회전시키면 커버홀부(536)에서 조작블럭부(531)가 90도 회전됨은 물론 변환홀부(514)에서 마그네틱부(511)가 90도 회전된다. 이때, 제2확인부(552)는 제1확인부(551)에 삽입 지지되어 있다가 조작블럭부(531) 또는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에 따라 제1확인부(551)에서 이탈된 다음, 회전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확인부(551)에 삽입 지지된다.
이때, 제2확인부(552)가 제1확인부(551)에 삽입 지지되는 동작이 조작레버부(53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개폐 여부를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마그네틱부(511)에 의해 자력변환부(51)에는 마그네틱부(511)의 자력이 인가되고, 자력변환부(51)의 자력이 맨홀바디부(10)에 작용하여 개폐판부(31)를 맨홀바디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조작레버부(537)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설명의 역동작으로 조작블럭부(531)와 마그네틱부(511)가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이때, 자력변환부(51)에서 자력이 차단되어 개폐판부(31)를 맨홀바디부(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자력변환부(51)의 자력 인가 상태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블럭부(517)와 수직인 방향으로 마그네틱부(511)의 극성이 배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511)의 자력이 자력변환부(51)에 전달되어 자력변환부(51)에 자력이 인가된다.
또한, 자력변환부(51)의 자력 차단 상태를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부(511)를 90도 회전시켜 차폐블럭부(517)와 수평인 방향으로 마그네틱부(511)의 극성이 배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511)의 자력이 자력변환부(51)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자력변환부(51)에 자력이 차단된다.
상술한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에 따르면, 맨홀바디부(10)의 재질적 특성 및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자력조작부(53)의 무리한 동작을 방지하며, 개폐유닛(50) 또는 속뚜껑(3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에 따라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동작에서 자력의 차단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맨홀바디부(10)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마그네틱부(511)의 회전에서 자력변환부(51) 도는 자력조작부(5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블럭부(531)의 회전을 간편하게 하고, 탈부착에 따라 속뚜껑(3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중공의 맨홀바디부(10)를 폐쇄할 때, 자력조작부(53)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환확인부(55)의 걸림 상태에 따라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유닛(50)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이물질이 개폐유닛(5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홀부(337)의 개폐 동작에서 마감캡부(331)가 이탈 또는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캡부(331)를 통한 지지홀부(337)의 폐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속뚜껑(30)의 개폐 동작에서 속뚜껑(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개폐유닛(50)의 설치 개소를 감소시키며, 속뚜껑(30)의 개폐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속뚜껑(30)의 파지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맨홀바디부(10)와 개폐판부(3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맨홀바디부(10)와 속뚜껑(3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맨홀바디부 11: 개폐턱부 13: 안착부
20: 겉뚜껑 30: 속뚜껑 31: 개폐판부
311: 개폐바디 313: 조작홀부 33: 마감부
331: 마감캡부 333: 탄성지지부 335: 지지돌부
336: 확장부 337: 지지홀부 35: 걸림부
351: 연장돌부 353: 걸림돌부 37: 손잡이부
371: 파지바디 372: 파지공간 373: 파지턱
40: 기밀링부 41: 기밀리브부 43: 기밀홈부
45: 기밀돌부 50: 개폐유닛 501: 스냅링
503: 지지슬릿부 51: 자력변환부 511: 마그네틱부
512: 제1체결부 513: 변화블럭부 514: 변환홀부
515: 자화블럭부 517: 차폐블럭부 53: 자력조작부
531: 조작블럭부 532: 제2체결부 534: 제1탈착부
535: 조작커버부 536: 커버홀부 537: 조작레버부
538: 제2탈착부 55: 변환확인부 551: 제1확인부
552: 제2확인부 554: 체결공

Claims (14)

  1.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에 자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자력변환부; 상기 자력변환부에 결합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위해 상기 자력변환부를 동작시키는 자력조작부; 및 상기 자력변환부 또는 상기 자력조작부에 구비되어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를 결정하는 변환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변환부는, 자력을 가지고 상기 자력조작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틱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인가 또는 차단되는 변환블럭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확인부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마그네틱부에 구비되는 제1확인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확인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변환블럭부에 구비되는 제2확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조작부는, 상기 자력변환부의 동작을 위해 상기 자력변환부에 결합되는 조작블럭부; 및 상기 자력변환부의 일측에서 상기 조작블럭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부는, 상기 조작블럭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블럭부와 결합되는 제1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블럭부는, 상기 마그네틱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블럭부는,
    상기 마그네틱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블럭부; 및
    상기 마그네틱부를 중심으로 상기 자화블럭부를 구획하고,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 차폐블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조작부는,
    상기 조작블럭부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확인부는,
    자력의 인가 또는 차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블럭부에 구비되는 제1확인부; 및
    상기 조작블럭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확인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조작커버부에 구비되는 제2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유닛.
  8. 제1항에 기재된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 중 중공의 맨홀바디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상기 자력조작부에 대응하여 조작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작홀부에는, 마감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조작홀부를 개폐하는 마감캡부;
    상기 마감캡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조작홀부에서 이격 형성되는 지지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상기 개폐유닛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맨홀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바디부와 상기 개폐판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기밀링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스터카보네이트(Polyestercarbonate), 폴리에터설폰(Polyestersulfone), 글라스화이버(Glassfiber)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속뚜껑.
KR1020140067408A 2014-06-03 2014-06-03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KR101606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08A KR101606817B1 (ko) 2014-06-03 2014-06-03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08A KR101606817B1 (ko) 2014-06-03 2014-06-03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652A KR20150139652A (ko) 2015-12-14
KR101606817B1 true KR101606817B1 (ko) 2016-03-29

Family

ID=5502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408A KR101606817B1 (ko) 2014-06-03 2014-06-03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11B1 (ko) 2020-06-10 2021-02-23 한정욱 속뚜껑이 구비된 맨홀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6119A (zh) * 2016-09-29 2017-08-01 广州迩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窨井用的防护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995945B1 (ko) * 2019-01-15 2019-07-03 (주)유비커머스 개폐가 용이한 맨홀뚜껑
KR102122848B1 (ko) * 2020-01-02 2020-06-15 주식회사 조은세상 Pe 브라켓과 bmc 맨홀뚜껑을 결합한 일체형 오수, 우수 맨홀세트
KR102187299B1 (ko) * 2020-06-04 2020-12-04 김수겸 개폐장치가 구비된 맨홀 철개
KR102211473B1 (ko) * 2020-06-08 2021-02-03 (주)한국주조 맨홀겉뚜껑 및 방수속뚜껑의 체결기능을 갖는 기능성 맨홀받침
KR200497164Y1 (ko) * 2022-12-06 2023-08-14 오소정 맨홀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용 중간 덮개 잠금장치
KR102609292B1 (ko) * 2023-04-12 2023-12-04 (주)한국주조 맨홀용 역류방지 안전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309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의 속뚜껑 잠금장치
KR200216358Y1 (ko) * 2000-10-06 2001-03-15 황의철 잠금수단을 구비한 맨홀의 속뚜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309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의 속뚜껑 잠금장치
KR200216358Y1 (ko) * 2000-10-06 2001-03-15 황의철 잠금수단을 구비한 맨홀의 속뚜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11B1 (ko) 2020-06-10 2021-02-23 한정욱 속뚜껑이 구비된 맨홀뚜껑
WO2021251706A1 (ko) * 2020-06-10 2021-12-16 한정욱 속뚜껑이 구비된 맨홀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652A (ko) 201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17B1 (ko)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US20200337483A1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101825386B1 (ko) 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US10267073B2 (en) Washing machine device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4928557B2 (ja) 磁化される蓋の把持部材
KR20180060029A (ko) 하이브리드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적용한 투광성 비상탈출도어
KR101555866B1 (ko) 도난 방지용 배수집수구의 잠금장치
US10265233B2 (en) Incubator
US10227798B2 (en) Tailgate handle
JP5047017B2 (ja) バルブ開閉器
US20210207736A1 (en) Valve lockout device
KR20110125361A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427515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ATE491109T1 (de) Hahn mit hebelverriegelung
JP3199609U (ja) ドアノブカバー
JP2009503287A (ja) 窓固定の手段と方法
EP3708887B1 (en) Motorized valve assembly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US20240067417A1 (en) Drinking vessel with magnetic closure mechanism and latching closure mechanism
JP4272509B2 (ja) 弁操作部材用ロック装置
KR101635586B1 (ko) 환기구용 쇄정장치
JP2010007234A (ja) 開閉状態選択型窓構造における駆動制御機構の入力用ハンドル装置
JP3162724U (ja) 共同溝のグレーチング蓋旋錠装置
JP2017114513A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