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56Y1 - 권선형 변압기 - Google Patents

권선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56Y1
KR200482356Y1 KR2020150007452U KR20150007452U KR200482356Y1 KR 200482356 Y1 KR200482356 Y1 KR 200482356Y1 KR 2020150007452 U KR2020150007452 U KR 2020150007452U KR 20150007452 U KR20150007452 U KR 20150007452U KR 200482356 Y1 KR200482356 Y1 KR 200482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ore
core body
magnetic flux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전자
Priority to KR2020150007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선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가 구비되는 코어 바디;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1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는 1차 권선부;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2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2차 권선부; 및 상기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를 차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를 연결하는 코어 커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권선형 변압기{COIL WINDING TYPE TRANSFORMER}
본 고안은 권선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란, 전자기적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교류의 전압값이나 전류값을 변화시키는 전력 기기이다.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권선형 변압기에서는, 코어(10a)(10b)가 1차 및 2차 코일이 권선된 보빈(3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보빈(30)은 보빈 캡(20)에 수용된다. 그리고 1차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서 2차 코일에 소정의 전압값 및 전류값의 전류가 유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유도 전류의 발생을 위한 코어(10a)(10b) 이외에 1차 및 2차 코일의 권선을 위한 보빈(30) 및 절연을 위한 보빈 캡(2)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구성 부품의 개수 및 작업 공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9872호(명칭: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 부품의 개수 및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권선형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가 구비되는 코어 바디;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1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는 1차 권선부;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2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2차 권선부; 및 상기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를 차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를 연결하는 코어 커버;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코어 바디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코어 바디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자속 유도부는, 상기 제1안착부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의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2자속 유도부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에는,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의 선단에서 상기 코어 바디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더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 커버에는, 상기 코어 커버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 및 코어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3안착홈이 형성되고, 제1 및 제3자속 유도 돌기가 구비되는 제1코어 바디; 제2 및 제4안착홈이 형성되고, 제2 및 제4자속 유도 돌기가 구비되는 제2코어 바디;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1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1차 권선부; 및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2차 코일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에 안착되는 2차 권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과 제3 및 제4안착홈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자속 돌기의 선단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자속 돌기의 선단이 서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이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 돌기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의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및 제4자속 유도 돌기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3안착홈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4안착홈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에서는, 1차 코일이 권선된 1차 권선부 및 2차 코일이 권선된 2차 권선부가 코어 바디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후 코어 바디와 코어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자속의 유도를 위한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1차 권선부를 형성하는 1차 코일 및 2차 권선부를 형성하는 2차 코일의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는 동시에 제품의 제작을 위한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안착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의 규격을 확보하면서 제품의 형상이나 크기의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1)는, 코어 바디(101), 1차 권선부(210), 2차 권선부(220) 및 코어 바디(101)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코어 바디(101)에 안착되고, 상기 코어 바디(101) 및 코어 커버(301)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어 바디(101)에는, 제1 및 제2안착부(111)(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111)는, 상기 코어 바디(101)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112)는, 상기 제1안착부(111)가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코어 바디(101)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바디(101)에는,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자속 유도부(121)는, 상기 제1안착부(111)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101)의 일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제2자속 유도부(122)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101)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와 교호되게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1차 권선부(210)는 1차 코일(201)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2차 권선부(220)는 2차 코일(202)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된다.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에 안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1차 코일(201) 및 2차 코일(202)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1차 코일(201) 및 2차 코일(202)은, 그 외주면이 절연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1차 코일(201) 및 2차 코일(202)의 양단은, 상기 코어 바디(101) 또는 코어 커버(301)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통하여 상기 코어 바디(101)의 외부로 인출될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는, 상기 1차 코일(201) 및 2차 코일(202)의 양단이 상기 코어 바디(101) 또는 코어 커버(301)에 고정되는 터미널이나 핀 등에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코어 커버(301)는,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101)에 결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코어 커버(301)는,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를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권선형 변압기(1)는 고정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400)는, 상기 코어 바디(101) 및 코어 커버(301)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부재(400)는, 대략 ㄷ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 바디(101) 및 코어 커버(30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부재(400)로는, 상기 코어 바디(101) 및 코어 커버(301)의 결합면에 위치되는 접착 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권선부(210)에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101) 및 코어 커버(301)가 결합하면,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 및 이에 연결되는 상기 코어 바디(101)에 의하여 상기 1차 권선부(21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자속을 유도하기 위한 폐루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차 권선부(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에 의하여 자속이 유도되어 상기 2차 권선부(220)에 전류가 유도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2)에서는, 코어 바디(102)에 결합 돌기(121A)(122A)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기(121A)(122A)는,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의 선단에서 상기 코어 바디(102)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코어 커버(302)에는, 결합홈(311A)(312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11A)(312A)은, 상기 코어 커버(302)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121A)(122A)가 안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바디(102) 및 코어 커버(302)가 결합되면, 상기 결합 돌기(121A)(122A)가 상기 결합홈(311A)(312A)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코어 바디(102) 및 코어 커버(302)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권선형 변압기(3)는,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코어 바디(103)에는, 제1 및 제3안착홈(131)(1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 바디(104)에는, 제2 및 제4안착홈(132)(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어 바디(103)에는, 제1 및 제3자속 유도 돌기(141)(143)가 구비되고, 상기 제2코어 바디(104)에는, 제2 및 제4자속 유도 돌기(142)(14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133)(13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이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에는 1차 권선부(210)가 안착되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133)(134)에는 2차 권선부(22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과 제3 및 제4안착홈(133)(134)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 돌기(141)(142)의 선단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자속 유도 돌기(143)(144)의 선단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코어 바디 111: 제1안착부
112: 제2안착부 121: 제1자속 유도부
122: 제2자속 유도부 210: 1차 권선부
220: 2차 권선부 301: 코어 캡

Claims (9)

  1. 제1 및 제2안착부(111)(112)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가 구비되는 코어 바디(101)(102);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1차 코일(201)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111)에 안착되는 1차 권선부(210);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2차 코일(202)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12)에 안착되는 2차 권선부(220); 및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바디(101)(102)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를 차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를 연결하는 코어 커버(301)(302); 를 포함하는 권선형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111)는, 상기 코어 바디(101)(102)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12)는, 상기 제1안착부(111)가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코어 바디(101)(102)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권선형 변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속 유도부(121)는, 상기 제1안착부(111)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101)(102)의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2자속 유도부(122)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111)(1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코어 바디(101)(102)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권선형 변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디(102)에는,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부(121)(122)의 선단에서 상기 코어 바디(102)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더 돌출되는 결합 돌기(121A)(122A)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 커버(302)에는, 상기 코어 커버(302)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결합 돌기(121A)(122A)가 안착되는 결합홈(311A)(312A)이 형성되는 권선형 변압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디(101)(102) 및 코어 커버(301)(3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권선형 변압기.
  6. 제1 및 제3안착홈(131)(133)이 형성되고, 제1 및 제3자속 유도 돌기(141)(143)가 구비되는 제1코어 바디(103);
    제2 및 제4안착홈(132)(134)이 형성되고, 제2 및 제4자속 유도 돌기(142)(144)가 구비되는 제2코어 바디(104);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1차 코일(201)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에 안착되는 1차 권선부(210); 및
    외주면이 절연 코팅된 2차 코일(202)이 다수회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133)(134)에 안착되는 2차 권선부(220);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권선부(210) 및 2차 권선부(2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과 제3 및 제4안착홈(133)(134)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 돌기(141)(142)의 선단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자속 유도 돌기(143)(144)의 선단이 서로 연결되는 권선형 변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상면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3 및 제4안착홈(133)(13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이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상면 다른 일부가 폐루프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되면 서로 연통되는 권선형 변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속 유도 돌기(141)(14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132)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및 제4자속 유도 돌기(142)(143)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3안착홈(131)(133)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4안착홈(132)(13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권선형 변압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 바디(103)(104)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권선형 변압기.
KR2020150007452U 2015-11-17 2015-11-17 권선형 변압기 KR200482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52U KR200482356Y1 (ko) 2015-11-17 2015-11-17 권선형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52U KR200482356Y1 (ko) 2015-11-17 2015-11-17 권선형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56Y1 true KR200482356Y1 (ko) 2017-01-13

Family

ID=5779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452U KR200482356Y1 (ko) 2015-11-17 2015-11-17 권선형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5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72A (ko) 2005-01-03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KR2010002360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JP2010171161A (ja) * 2009-01-22 2010-08-05 Tdk Corp コイル部品
KR20110001771U (ko) * 2009-08-14 2011-02-22 태형산전 주식회사 Smps용 낮은 프로파일의 트랜스포머
KR101039276B1 (ko) * 2010-04-23 2011-06-07 주식회사 시스하이텍 슬림형 고전압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72A (ko) 2005-01-03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KR2010002360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JP2010171161A (ja) * 2009-01-22 2010-08-05 Tdk Corp コイル部品
KR20110001771U (ko) * 2009-08-14 2011-02-22 태형산전 주식회사 Smps용 낮은 프로파일의 트랜스포머
KR101039276B1 (ko) * 2010-04-23 2011-06-07 주식회사 시스하이텍 슬림형 고전압 트랜스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2320B2 (en) Transformer
US9424982B2 (en) Transformer
JP5804628B2 (ja) コイル部品
JP6531355B2 (ja) コイル部品
JP6497521B2 (ja) トランス
US20170278622A1 (en) Magnetic component
US10483033B2 (en) Electromagnetic device
JP6132461B2 (ja) コイル部品
JP3199676U (ja) 双軸式薄型ボビン改良構造
US9076582B2 (en) Magnetic component and bobbin thereof
KR200482356Y1 (ko) 권선형 변압기
KR20220031617A (ko)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JP6460168B1 (ja) コイル装置
JP6895246B2 (ja) トランスおよびボビン
JP6610284B2 (ja) コイル装置
JP2001035732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用トランス
KR101995216B1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
EP2996122A1 (en) Transformer
KR101649350B1 (ko) 토로이달 코일의 결합형 베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토로이달 코일장치
KR101735645B1 (ko)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
TWI463507B (zh) Modular transformer
JP2005303229A (ja) トランス
JP2003133137A (ja) 巻線型コイル
JP2019046895A (ja) コイル装置
JP2017163129A (ja) ライ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