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53Y1 - 종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53Y1
KR200481953Y1 KR2020150002519U KR20150002519U KR200481953Y1 KR 200481953 Y1 KR200481953 Y1 KR 200481953Y1 KR 2020150002519 U KR2020150002519 U KR 2020150002519U KR 20150002519 U KR20150002519 U KR 20150002519U KR 200481953 Y1 KR200481953 Y1 KR 200481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veying
conveying roller
conveyance belt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723U (ko
Inventor
안정기
조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산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산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산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5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종이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낱장씩 공급하도록 이송시켜 슬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낱장의 종이들이 정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종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공급장치는, 일측에 다수의 종이가 적층된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대가 배치되고, 타측에 이송된 종이들을 낱장으로 분리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낱장 분리수단이 마련되며, 거치대와 낱장 분리수단 사이에 종이가 이송되는 이송대가 배치되는 작업기 본체와; 작업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이송롤러와; 제1이송롤러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다수의 종이를 낱장 분리수단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와; 이송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이송대의 상측에 안착된 다수의 종이들 중 최하단의 종이를 낱장 분리수단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와; 제2이송벨트에 진공 흡입력을 부여하여 최하단의 종이를 제2이송벨트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입력 제공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종이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OF PAPER}
본 고안은 종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종이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낱장씩 공급하도록 이송시켜 슬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낱장의 종이들이 정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종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종이 예컨대 지폐나 티켓 등을 한 장씩 이송시켜 공급하는 낱장 공급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상기 낱장 공급장치의 낱장 공급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이송되는 종이의 두께를 감지하여 감지된 두께가 설정치보다 클 경우 이송을 멈추고 그에 합당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상기 낱장 공급장치는 이를테면 현금자동지급기나 고속도로 통행권 발급기나 통행권 확인기 등에 적용되어 두 세장의 지폐나 티켓이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종이 매체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6861호 "티켓 낱장 공급장치"(등록일자 : 2003.11.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벨트를 소정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시키는 풀리형태의 드럼 측부에 설치되어 티켓이 수용되어 있는 스택커로부터 인출된 티켓을 한 장씩 이송시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벨트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티켓이 벨트에 지지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소정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 측부에 드럼의 회전축과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원 원통형태의 제1지지캠과, 상기 제1지지캠의 외주면에 접하며 제1지지캠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제1회동블록과, 상기 제1회동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회동블록의 회동에 따라 드럼 외주면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롤러형태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드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베어링 또는 드럼의 외주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베어링과의 사이로 티켓을 통과시키는 세퍼레이트롤러와, 상기 세페레이트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회동블록과, 상기 제2회동블록을 회동시켜 세퍼레이트롤러가 베어링 또는 드럼의 외주면측으로 근접하도록 하는 것으로 타원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제2지지캠을 포함한 것이다.
종래 종이 공급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262호 "피착물 자동 공급장치"(등록일자 :2005.07.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형성되며 삽입홈이 형성되는 측벽부의 내측으로 후면으로 보조지지구가 결합되고, 정면으로는 안내판 이송홈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가능한 안내판이 복수개 형성되고 중앙부로 제1감지센서가 형성되는 상판과, 일측의 내측에 형성되는 샤프트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양측끝단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누름부재와 접동되게 형성하여 접동시마다 하단으로 내려가며 다시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단으로 복구됨이 반복적으로 시행되는 중판과, 중앙부로 복수개의 코르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제2감지센서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측벽부의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정홈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중앙으로 복수개의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가 구성되고 일측의 내부로 감지부재가 샤프트와 결합회전하며 이 감지부는 제3감지센서에 의하여 회전수가 감지되며, 내부에 기판이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인쇄된 종이매체와 재활용 용지 및 코팅지는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종이를 순차적으로 낱장씩 공급하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종이의 순차적 이송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종이의 이송과정에서 낱장씩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종이가 이송 경로에서 틀어지거나, 비스듬한 각도로 공급될 경우 정확한 후처리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6861호 "티켓 낱장 공급장치"(등록일자 : 2003.11.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262호 "피착물 자동 공급장치"(등록일자 :2005.07.05)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종이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낱장씩 공급하도록 이송시켜 슬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낱장의 종이들이 정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종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다수의 종이가 적층된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대가 배치되고, 타측에 이송된 종이들을 낱장으로 분리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낱장 분리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거치대와 낱장 분리수단 사이에 종이가 이송되는 이송대가 배치되는 작업기 본체와; 상기 작업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1이송롤러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다수의 종이를 낱장 분리수단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안착된 다수의 종이들 중 최하단의 종이를 상기 낱장 분리수단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와; 상기 제2이송벨트에 진공 흡입력을 부여하여 최하단의 종이를 제2이송벨트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입력 제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낱장 분리수단은 상기 이송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분리대와, 상기 분리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롤러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 구동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종이를 작업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벨트와, 상기 제3이송벨트에 감겨져 제2이송롤러와 연동 회전되고 중간에 종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이 마련되는 제3이송롤러와, 상기 제3이송롤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가압롤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이송되는 종이들 중 최하단의 종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이들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분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은 상기 이송대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홀과, 상기 제2이송벨트의 상,하측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은 상기 슬릿홀 부위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흡기부와, 상기 제2이송벨트의 하측면에 상기 흡기부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더 구비한다.
삭제
본 고안은 이송대 상에서 종이가 이송될 때 제2이송벨트에 종이가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종이의 슬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흐트러짐 없이 종이가 정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흡입력 제공수단에 의해 제2이송벨트에 흡착된 상태로 이송된 종이들을 낱장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최하단의 종이만을 작업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봉투 내에 낱장의 종이를 개별적이고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투입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공급장치가 적용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업기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이송대와 제2이송벨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낱장 분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 낱장 분리수단에 의해 종이가 분리 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다수의 종이(P)가 적층된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대(110)가 배치되고, 타측에 이송된 종이(P)들을 낱장으로 분리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낱장 분리수단(500)이 마련되며, 상기 거치대(110)와 낱장 분리수단(500) 사이에 종이(P)가 이송되는 이송대(120)가 배치되는 작업기 본체(100)와; 상기 작업기 본체(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이송롤러(210)와; 상기 제1이송롤러(21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210)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다수의 종이(P)를 낱장 분리수단(5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이송롤러(220)와; 상기 제2이송롤러(22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220)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안착된 다수의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P)를 상기 낱장 분리수단(5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320)와; 상기 제2이송벨트(320)에 진공 흡입력을 부여하여 최하단의 종이(P)를 제2이송벨트(320)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입력 제공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기 본체(100)는 다수의 종이(P)를 각각의 봉투에 개별적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종이 분류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기 본체(100)는 종이(P)가 적층되어 거치되고 제1이송벨트(310)에 의해 종이(P)가 이송되는 거치대(110)와, 거치대(11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이송벨트(320)에 의해 종이(P)가 이송되는 이송대(120)와, 이송대(120)와 외측으로 연장되고 낱장 분리수단(500)이 배치되어 종이(P)들이 낱장으로 분리되어 이송되는 분리대(130)로 대별된다.
종이(P)는 표면이 매끄러운 인쇄지 또는 재활용지 또는 코팅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송대(120)는 거치대(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이송벨트(310)를 통해 공급되는 종이(P)들이 거치대(110)에서 이송대(120)의 상측면에 낙하되도록 공급된다.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400)은 상기 이송대(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관로(410)와, 상기 흡입관로(410)와 연통되고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홀(420)과, 상기 제2이송벨트(320)의 상,하측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공(430)으로 구성된다.
흡입관로(410)는 일단부가 이송대(120)의 일측에 돌출되어 진공펌프의 흡입력을 전달하는 호스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슬릿홀(420) 측으로 연결되는 관로 구조를 갖는다.
다수의 흡입공(430)은 제2이송벨트(320)의 중앙 부위에 길게 일렬로 형성되고, 상,하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슬릿홀(420)을 통해 공급되는 진공 흡입력을 이송대(120) 상에서 이송되는 종이(P)의 하측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400)은 상기 슬릿홀(420) 부위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흡기부(440)와, 상기 제2이송벨트(320)의 하측면에 상기 흡기부(440)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부(450)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제2이송벨트(320)의 하측면과 흡기부(440)가 요철 결합 형태로 결합되어 제2이송벨트(320)의 정위치 궤도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흡기부(440)는 이송대(120)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종이(P)가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슬릿홀(420)이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흡기부(440)의 중앙에 상,하로 연통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낱장 분리수단(500)은 상기 이송대(1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분리대(130)와, 상기 분리대(1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롤러(22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220)의 회전 구동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종이(P)를 작업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벨트(330)와, 상기 제3이송벨트(330)에 감겨져 제2이송롤러(220)와 연동 회전되고 중간에 종이(P)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510)이 마련되는 제3이송롤러(230)와, 상기 제3이송롤러(2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대(505)와, 상기 회전대(505)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510)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가압롤(515)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대(50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이송되는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이(P)들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분리부재(540)로 구성된다.
낱장 분리수단(500)은 이송롤(510)과 가압롤(515)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종이(P)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공회전롤(5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분리부재(540)는 상기 회전대(505)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분리대(130)의 상측면과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분리부재(542)와, 상기 회전대(505)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력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대(130)의 상측을 통과하는 종이(P)들을 순차적으로 나열시키기 위한 제2분리부재(544)와, 상기 회전대(505)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분리부재(542,544)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이송되는 종이(P)의 상측을 가압하여 종이(P)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3분리부재(546)로 구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분리부재(542)는 자유단인 타단부가 분리대(130)를 통과하는 종이(P)들에 하방향 가압력을 제공하고, 제2분리부재(544)의 타단부가 단턱진 구조의 단턱부(544a)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리대(130) 상을 통과하는 종이(P)들의 단부가 제1,2분리부재(542,544)에 의해 계단형 구조로 적층되도록 유지시킴으로써, 계단형 구조로 적층된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P)가 이송롤(510)과 가압롤(515)의 회전에 의해 작업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다수의 종이(P)를 거치대(110) 상에 안착시킨 후에, 제1이송롤러(210)를 회전 구동시키면, 제1이송롤러(210)의 회전력에 의해 제1이송벨트(310)가 궤도 회전된다.
이때, 제1,2,3이송롤러는 같이 회전 구동되고, 제1,2,3이송벨트를 궤도 회전시키게 된다.
제1이송벨트(310)의 궤도 회전에 따라 종이(P)가 거치대(110)의 상면에서 낙하되어 이송대(120)의 상측으로 낙하되고, 제2이송롤러(2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2이송벨트(320)가 이송대(120) 상에 거치된 종이(P)들을 낱장 분리수단(500)이 구비된 분리대(130)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제2이송벨트(320)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430)들 중 흡기부(440)의 슬릿홀(420) 상측에 위치한 흡입공(430)에 흡입관로(410) 내의 진공 흡입력이 전달됨에 따라, 이송대(120) 상의 종이(P)들 중 최 하단의 종이 하측을 흡착한 상태로 분리대(13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한 제2이송벨트(320)는 진공 흡입력이 흡입공(430)을 통해 종이(P)에 전달됨에 따라 종이(P)의 이송중에 슬립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벨트(320)는 결합홈부(450)가 흡기부(440)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로이송대(120)의 중앙 정위치에서 궤도 회전되므로, 종이(P)의 이송시 흐트러짐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분리대(130)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분리대(130)측으로 이송되는 종이(P)들은 제3이송벨트(330)를 매개로 제2이송롤러(220)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제3이송롤러(230)의 연동 구조로 인해 제3이송벨트(330)의 이송력에 의해 작업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이송롤(510)과 가압롤(515)의 회전시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P)가 이송롤(510)과 가압롤(515) 사이로 통과되어 외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1,2분리부재(542,5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분리부재(542)가 종이(P)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최하단의 종이(P)외에 나머지 종이(P)가 이송롤(510)과 가압롤(515)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2분리부재(544)가 종이(P)들의 단부가 계단식 구조로 적층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제3분리부재(546)는 일단부가 회전대(50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을 갖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타단부가 제1,2분리부재(542,544)에 의해 분리된 최하단의 종이(P)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송대(120) 상에서 종이(P)가 이송될 때 제2이송벨트(320)에 종이(P)가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종이(P)의 슬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흐트러짐 없이 종이(P)가 정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흡입력 제공수단(400)에 의해 제2이송벨트(320)에 흡착된 상태로 이송된 종이(P)들을 낱장 분리수단(500)을 이용하여 최하단의 종이(P)만을 작업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봉투 내에 낱장의 종이(P)를 개별적이고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투입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0 : 작업기 본체 110 : 거치대
120 : 이송대 130 : 분리대
210,220,230 : 제1,2,3이송롤러
310,320,330 : 제1,2,3이송벨트
400 : 흡입력 제공수단 410 : 흡입관로
420 : 슬릿홀 430 : 흡입공
440 : 흡기부 450 : 결합홈부
500 : 낱장 분리수단 505 : 회전대
510 : 이송롤 515 : 가압롤
520 : 공회전롤 540 : 분리부재
542 : 제1분리부재 544 : 제2분리부재
544a : 단턱부 546 : 제3분리부재
P : 종이

Claims (4)

  1. 일측에 다수의 종이(P)가 적층된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대(110)가 배치되고, 타측에 이송된 종이(P)들을 낱장으로 분리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낱장 분리수단(500)이 마련되며, 상기 거치대(110)와 낱장 분리수단(500) 사이에 종이(P)가 이송되는 이송대(120)가 배치되는 작업기 본체(100)와;
    상기 작업기 본체(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이송롤러(210)와;
    상기 제1이송롤러(21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210)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다수의 종이(P)를 낱장 분리수단(5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310)와;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이송롤러(220)와;
    상기 제2이송롤러(22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220)의 회전 구동시 궤도 회전되어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안착된 다수의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P)를 상기 낱장 분리수단(5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320)와;
    상기 제2이송벨트(320)에 진공 흡입력을 부여하여 최하단의 종이(P)를 제2이송벨트(320)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입력 제공수단(400)을 구비하며,
    상기 낱장 분리수단(500)은 상기 이송대(1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분리대(130)와, 상기 분리대(1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롤러(220)에 감겨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220)의 회전 구동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종이(P)를 작업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벨트(330)와, 상기 제3이송벨트(330)에 감겨져 제2이송롤러(220)와 연동 회전되고 중간에 종이(P)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510)이 마련되는 제3이송롤러(230)와, 상기 제3이송롤러(2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대(505)와, 상기 회전대(505)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510)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가압롤(515)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대(50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이송되는 종이(P)들 중 최하단의 종이(P)를 제외한 나머지 종이(P)들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분리부재(5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400)은 상기 이송대(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관로(410)와,
    상기 흡입관로(410)와 연통되고 상기 이송대(12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홀(420)과,
    상기 제2이송벨트(320)의 상,하측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공(4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제공수단(400)은 상기 슬릿홀(420) 부위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흡기부(440)와,
    상기 제2이송벨트(320)의 하측면에 상기 흡기부(440)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부(4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장치.
  4. 삭제
KR2020150002519U 2015-04-20 2015-04-20 종이 공급장치 KR200481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19U KR200481953Y1 (ko) 2015-04-20 2015-04-20 종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19U KR200481953Y1 (ko) 2015-04-20 2015-04-20 종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23U KR20160003723U (ko) 2016-10-28
KR200481953Y1 true KR200481953Y1 (ko) 2016-12-01

Family

ID=5723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19U KR200481953Y1 (ko) 2015-04-20 2015-04-20 종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92B1 (ko) 2019-04-02 2020-06-09 (주)시화 낱장 용지 공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28Y1 (ko) * 2009-04-24 2009-10-28 주식회사 성건하이테크 포장용지 날인장치
KR101126187B1 (ko) * 2008-05-29 2012-03-27 방병관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61B1 (ko) 2002-03-16 2003-11-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낱장 공급장치
KR100501262B1 (ko) 2003-06-25 2005-07-18 주식회사지엠피 피착물 자동 공급장치
KR20140013731A (ko) * 2012-07-26 2014-02-05 김석현 용지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87B1 (ko) * 2008-05-29 2012-03-27 방병관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장치
KR200446428Y1 (ko) * 2009-04-24 2009-10-28 주식회사 성건하이테크 포장용지 날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23U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9895A (zh) 包括致动带夹口的传送装置
JP366282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6764367B2 (ja) 紙葉類斜行補正装置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200481953Y1 (ko) 종이 공급장치
US5000088A (en) Document imprinting device
EP2259234B1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of automatic media dispenser
JPH0741186A (ja) 紙葉類の繰り出し機構
US20180141775A1 (en) Paper postprocessing apparatus
US5046713A (en) Document imprinting device
JP3943969B2 (ja) 紙葉類分離排出装置
KR101019409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지폐가압장치
KR101882886B1 (ko) 보조 투입 유닛을 갖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JPH075071Y2 (ja) シート搬送装置
JP3721099B2 (ja) 頁めくり装置及び頁めくり方法
JPS6030748Y2 (ja) 複写機の紙搬送装置
KR101062536B1 (ko) 매체자동지급기
JP2005239326A (ja) シート材供給装置
JPS6348585Y2 (ko)
JP2515083Y2 (ja) 紙葉類分離送給装置
JP2005247560A (ja) 紙葉類供給装置
JPH05301646A (ja) 紙葉類分離装置
WO1996006789A1 (fr) Mecanisme de deplacement lateral dans un appareil de transport de feuilles
JPS6256242A (ja) シ−ト供給組立体
JP2008013287A (ja) 紙葉類とカード類のカウ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