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31A - 용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3731A KR20140013731A KR1020120081993A KR20120081993A KR20140013731A KR 20140013731 A KR20140013731 A KR 20140013731A KR 1020120081993 A KR1020120081993 A KR 1020120081993A KR 20120081993 A KR20120081993 A KR 20120081993A KR 20140013731 A KR20140013731 A KR 20140013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unit
- finger
- conveyor belt
- vertical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65H3/042—Endless-belt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08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by combinations of endless conveyors and g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using mechanical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110)가 적층되는 적층부(200)와, 상기 적층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이송부(300)와, 상기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되는 용지(110)를 클램핑하여 밀어주는 제 2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부와 제 1 이송부에 의해 적층된 용지를 한장씩 분리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2 이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속으로 정확한 위치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부와 제 1 이송부에 의해 적층된 용지를 한장씩 분리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2 이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속으로 정확한 위치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지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용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재 원단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포장박스 등이 널이 이용되며, 이러한 포장박스의 경우 인쇄는 물론 적정 규격으로의 절곡과 절취를 위한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장치로 용지를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의 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흡착수단을 통해 용지를 흡착하여 공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흡착을 통해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는 용지를 흡착하는 흡착수단과 용지를 밀어주는 공급 부재가 구비되어야 하고, 용지 흡착시 마찰에 의해 하부 용지가 함께 올려지는 등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지가 하나씩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는 용지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지(110)가 적층되는 적층부(200)와, 상기 적층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이송부(300)와, 상기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되는 용지(110)를 클램핑하여 밀어주는 제 2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적층부(200)는 수직벽(210)과 용지(110)의 길이만큼 상기 수직벽(210)에서 이격된 경사받침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벽(210)의 하부에는 용지(11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12)의 하단은 경사받침부(22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이송부(300)는 경사부(212) 하부와 용지(110) 두께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3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서 이동되는 용지(110)를 눌려 줄 수 있도록 수직벽(210) 외측에 형성되는 롤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로 낙하되는 용지(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착지면(412)과, 상기 착지면(412)의 하방에 형성되는 핑거이동공간(414) 및 상기 핑거이동공간(414)에서 이동되는 핑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핑거부(5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460)과, 구동력을 핑거부(500)에 전달하는 링크부(600) 및 상기 링크부(60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핑거부(500)는 중앙의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지레로드(520)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레로드(520)의 전단에는 가이드 레일(460)의 표면과 접하는 지레롤러(530)와 용지(110)를 크램핑 하는 핑거(540)가 형성되고, 지레로드(520)의 후단에는 탄성지지부(55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60)에는 레일오목홈(46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부와 제 1 이송부에 의해 적층된 용지를 한장씩 분리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2 이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속으로 정확한 위치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용지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도 2는 도 1 중 적층부와 제 1 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도 1 중 제 2 운반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용지 크램핑 핑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 중 적층부와 제 1 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도 1 중 제 2 운반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용지 크램핑 핑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용지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 중 적층부와 제 1 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 중 제 2 운반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4는 용지 크램핑 핑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인 용지공급 장치(100)는 용지(110)가 적층되는 적층부(200)와, 상기 적층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이송부(300)와, 상기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되는 용지(110)를 클램핑 하여 밀어주는 제 2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층부(200)는 수직벽(210)과 대략 용지(110)의 길이만큼 상기 수직벽(210)에서 이격된 경사받침부(2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210)의 하부에는 용지(11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받침부(220)의 경사는 수직면상에서 예각으로 경사진 형상이며 상부가 하부보다 수직벽(210)에서 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212)의 하단은 경사받침부(22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부(212)의 하단과 경사받침부(220) 하단 사이의 길이가 용지(110)의 길이와 거의 같으며, 경사부(212) 중 하단을 제외한 부분과 경사받침부(220) 중 하단을 제외한 부분 사이의 길이는 용지(11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지(110)가 복수개 적층된 상태로 적층부(200)에 공급되면 적층된 용지(110)는 수직벽(210)과 경사받침부(220) 사이에서 경사받침부(220)의 경사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되며, 용지(110)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용지는 그 후단이 경사받침부(220) 하단에 위치되고 그 선단은 경사부(212)의 하단에 위치된 후 낙하되고, 두번째로 하부에 위치되었던 용지는 자연스럽게 최하부로 이동된 후 낙하되며, 나머지 용지(110)들도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제 1 이송부(300)는 경사부(212) 하부와 용지(110) 1 장 두께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3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서 이동되는 1장의 용지(110)를 적절한 압력으로 눌려 줄 수 있도록 수직벽(210) 외측에 형성되는 롤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320)는 롤러(322)와 상기 롤러(322)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324)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24)의 일측은 수직벽(210) 외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롤러(322)가 회전되도록 롤러(322)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롤러(322)는 컨베이어 벨트(310)의 상부에 용지(110) 1장 두께보다 작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적층부(200)에 위치된 용지(110)들 중 최하단 용지(112)는 그 후단이 경사받침부(220) 하단에 위치되고 그 선단은 경사부(212)의 하단에 위치된 후 낙하되어 컨베이어 벨트(310)를 따라 이동된다.
최하단 용지(112)가 이동되는 동안 하단 두번째 용지(114)는 최하단 용지(112)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그 후단이 경사받침부(220) 하단에 위치되고 그 선단은 경사부(212)의 하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최하단 용지(112)가 컨베이어 벨트(310)와 롤러부(320)의 가이드를 받으며 이송된 후 하단 두번째 용지(114)가 컨베이어 벨트(310)로 낙하되어 최하단 용지(110)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된 용지(110)를 받는 제 2 이송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로 낙하되는 용지(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용지(110)가 착지되는 착지면(412)과, 상기 착지면(412)의 하방에 형성되는 핑거이동공간(414)과, 상기 핑거이동공간(414)에서 이동되는 핑거부(500)와, 상기 핑거부(5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460)과, 핑거부(500)가 이동될 수 있는 구동력을 핑거부(500)에 전달하는 링크부(600) 및 상기 링크부(60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이송부(400)의 큰 특징은 핑거부(500)가 가이드 레일(460)을 따라 이동되면서 착지면(412)에 위치된 용지(110)를 크램핑 한 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형성된 점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핑거부(500)는 상기 링크부(60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460)을 따라서 이동되며, 중앙의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지레로드(520)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레로드(520)의 전단에는 가이드 레일(460)의 표면과 접하는 지레롤러(530)와 용지(110)를 크램핑 하는 핑거(540)가 형성되고, 지레로드(520)의 후단에는 탄성지지부(550)가 형성된다.
상기 "지레로드(520)"와 "지레롤러(530)"에서 "지레"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는 구성이라 사용되는 명칭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60)에는 레일오목홈(465)이 형성되는데, 상기 레일오목홈(465)은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된 용지(110)가 착지면(412)에 착지된 위치보다 후방에서 시작되어 용지(110)를 크램핑한 상태로 유지해야 할 적당한 위치까지 형성된다.
상기 지레롤러(530)가 가이드 레일(460)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레일오목홈(465)으로 낙하되면 상기 스프링 형상의 탄성지지부(550)가 신장되면서 핑거(540)가 용지(110)의 끝단을 크램핑하게 된다.
상기 핑거(540)는 용지(110)의 일부를 잡을 수 있는 손 모양으로 형성되며, 착지면(412)에 위치된 용지(110)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가 용지(11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탄성지지부(550)에 의해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약간 회동되면서 용지(110)를 크램핑하게 된다.
상기 핑거(540)가 용지(110)를 크램핑한 상태에서 레일오목홈(465)이 종료되는 부분까지 이동된 후에 다시 레일오목홈(465)으로부터 상승하여 가이드 레일(460)을 따라 이동된 후 용지(110)가 다음 단계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다음 용지(110)를 크램핑하기 위해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핑거부(500)의 기능은 제 2 이송부(400)에 전달된 용지(110)를 고속으로 다음 단계로 보내는 과정에서 용지(110)를 크램핑 즉, 잡은 상태로 이동시켜 다음 단계에서 전달된 용지(110)를 정확한 위치에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크램핑 기능 없이 단순히 용지(110)를 고속으로 밀기만 한다면 이동시키는 속도에 의해서 용지(110)가 부적당한 위치까지 이동되거나 용지(110)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등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700)에는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에 연결된 복수개의 체인(720, 730, 740)이 형성되며, 상기 체인(720, 730, 740) 중 링크부(600)와 연결된 체인(720, 730, 740)은 핑거부(500)의 이동거리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600)는 일측이 체인(740)과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핑거부(500)의 하부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600)가 체인(740)을 따라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면 핑거부(500)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부(200)와 제 1 이송부(300)에 의해 적층된 용지(110)를 한 장씩 분리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2 이송부(400)에 의해 용지(110)를 고속으로 정확한 위치에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지공급 장치 110: 용지
200: 적층부 210: 수직벽
212: 경사부 220: 경사받침부
300: 제 1 이송부 310: 벨트
322: 롤러 400: 제 2 이송부
412: 착지면 500: 핑거부
700: 구동부 720, 730, 740: 체인
200: 적층부 210: 수직벽
212: 경사부 220: 경사받침부
300: 제 1 이송부 310: 벨트
322: 롤러 400: 제 2 이송부
412: 착지면 500: 핑거부
700: 구동부 720, 730, 740: 체인
Claims (7)
- 용지(110)가 적층되는 적층부(200)와,
상기 적층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이송부(300)와,
상기 제 1 이송부(300)에서 전달되는 용지(110)를 클램핑하여 밀어주는 제 2 이송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200)는
수직벽(210)과
용지(110)의 길이만큼 상기 수직벽(210)에서 이격된 경사받침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벽(210)의 하부에는 용지(11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12)의 하단은 경사받침부(22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300)는
경사부(212) 하부와 용지(110) 두께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3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서 이동되는 용지(110)를 눌려 줄 수 있도록 수직벽(210) 외측에 형성되는 롤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10)의 선단 하부로 낙하되는 용지(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착지면(412)과,
상기 착지면(412)의 하방에 형성되는 핑거이동공간(414) 및
상기 핑거이동공간(414)에서 이동되는 핑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400)는
상기 핑거부(5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460)과,
구동력을 핑거부(500)에 전달하는 링크부(600) 및
상기 링크부(60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500)는
중앙의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지레로드(520)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레로드(520)의 전단에는 가이드 레일(460)의 표면과 접하는 지레롤러(530)와 용지(110)를 크램핑 하는 핑거(540)가 형성되고,
지레로드(520)의 후단에는 탄성지지부(5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460)에는 레일오목홈(4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993A KR20140013731A (ko) | 2012-07-26 | 2012-07-26 | 용지 공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993A KR20140013731A (ko) | 2012-07-26 | 2012-07-26 | 용지 공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731A true KR20140013731A (ko) | 2014-02-05 |
Family
ID=5026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1993A KR20140013731A (ko) | 2012-07-26 | 2012-07-26 | 용지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373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723U (ko) * | 2015-04-20 | 2016-10-28 | 한국전산홈 주식회사 | 종이 공급장치 |
-
2012
- 2012-07-26 KR KR1020120081993A patent/KR201400137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723U (ko) * | 2015-04-20 | 2016-10-28 | 한국전산홈 주식회사 | 종이 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52134B (zh) | 输纸装置及输纸方法 | |
KR20130142902A (ko) | 콘베이어 매거진식 빈자루 공급장치 | |
CN105292582A (zh) | 一种用于传输袋装弹簧串的装置 | |
CN106184878B (zh) | 瓷砖自动包装设备 | |
CN102602724A (zh) | 裱纸机底纸进纸机构 | |
JP6427952B2 (ja) | 搬送装置 | |
JP4762116B2 (ja) | シート供給装置 | |
KR101191439B1 (ko) | 용지공급장치 | |
JP2013230668A (ja) | 被印刷体に連続印刷するため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 |
WO2002004293A1 (fr) |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vercles | |
KR20140013731A (ko) | 용지 공급 장치 | |
KR100959200B1 (ko) | 용지공급장치 | |
JP2012213874A (ja) | ブランクシートの搬送装置 | |
CN112158619B (zh) | 一种异形纸板的送纸装置 | |
US10202247B2 (en) | Separator for book blocks | |
KR20200020333A (ko) |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 |
KR20090028837A (ko) | 다이 절단 프레스의 공급 테이블상의 시트를 이송하는 보조구동 장치 | |
CN108454163B (zh) | 糊盒机的进料装置 | |
JP2006240856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213459A (ja) | シート状物品の取り出し装置 | |
JP2008143640A (ja) | 給紙ホッパ | |
JP2008150142A (ja) | 給紙装置 | |
JP2008156075A (ja) | 給紙装置 | |
JP6602138B2 (ja) | ブランク搬送装置 | |
KR200477556Y1 (ko) | 탁상용 캘린더 자동 인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