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17Y1 -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 Google Patents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17Y1
KR200481617Y1 KR2020150001314U KR20150001314U KR200481617Y1 KR 200481617 Y1 KR200481617 Y1 KR 200481617Y1 KR 2020150001314 U KR2020150001314 U KR 2020150001314U KR 20150001314 U KR20150001314 U KR 20150001314U KR 200481617 Y1 KR200481617 Y1 KR 200481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lk
channel
shell
polygonal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57U (ko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김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용 filed Critical 김경용
Priority to KR2020150001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1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껍데기가 제거된 상태의 알을 노른자와 흰자위로 분리하여 노른자와 흰자위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수집하는 주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일정한 기울림을 갖고, 껍데기가 제거된 알을 잠시수용하였다가 하나씩 빠져나가는 깔데기출구를 갖는 깔데기와,
상기 깔데기출구에 돌기로 인해 탈, 부착되는 관로고정클립(6)에 의해 지지 되어 껍질이 제거된 알을 하나씩 통과하도록 안내되며, 노른자는 마지막까지 이송시키고, 흰자위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다각관로와,
상기 다각관로의 통공의 시작부분 일 측에 지지, 및 고정되어 알의 노른자가 닿지 않는 모서리에서 흰자위의 얇은 막 만을 회손시키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 수단 및 상기 다각관로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여 다각관로를 애워싸고 흰자위를 수용하되 노른자의 배출구와 구분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다각관로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측이 지지, 및 정지되어 통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흰자위를 수용하는 흰자위받침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다각관로는 1개의 노른자가 겨우 이동되도록 협소한 것이 특징인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껍질이 제거된 알을 다각관로를 이용함으로써 노른자가 다각관로의 메끄러운 면에 접촉되어 배출구까지 이동하도록 하며 흰자위의 얇은 막 만을 회손시켜 노른자의 형체가 온전히 유지된체 흰자위와 노른자를 각각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껍질이 제거된 알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속도로 다각관로를 통과하는 것 만으로도 연속적인 분리를 가능토록 하였다.

Description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the kitchen utensils of segregation eggplant yolk's}
본 고안은 통상의 껍데기가 제거된 상태의 알을 노른자와 흰자위로 분리하여 노른자와 흰자위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수집하는 주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3283 (2014.06.16)
상기 종래 기술을 살펴보았듯이 껍데기가 제거된 알을 투입하여 분리하려는 시도하였을 때, 종래 기술은 통공이 다수 개 형성된 여과 판에 껍질이 제거된 상태의 알을 흘려 내렸을 때, 흰자위의 투명한 막이 파손되지 않거나 노른자의 얇은 막을 파손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알의 흰자위의 얇은 막만을 선택적으로 파손하여 알의 분리 가능 확율을 높이고 노른자는 온전히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이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껍질이 제거된 1개의 알이 자중에 의해 겨우 통과할 수 있는 협소한 출구를 구비하여 자중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깔데기를 제공하고, 깔데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알을 깔데기 출구와 유사한 크기의 협소한 다각형의 관로의 면에 접촉하면서 끝까지 이동하도록 하고, 흰자위는 노른자가 접촉되지 않는 구석진 부분에 절단수단, 및 통공을 구비하여 흰자위의 얇고 투명한 막만을 파손되도록 접촉되게 함으로써 흰자위는 통공으로 빠져나간 후, 일시로 수집, 배출하는 흰자위받침대를 제공하여 수집하도록 하여 해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껍질이 제거된 알을 다각형의 협소한 관로의 면에 접촉하며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노른자의 구 형체가 온전히 유지된 체 다각관로의 끝 부분까지 이동하여 노른자를 수집할 수 있다. 노른자의 구 형태가 접촉되지 않는 구석진 부분에 절단수단을 접근시켜 흰자위의 얇은 막만을 파손시키며 파손된 흰자위가 통공으로 빠져나가 흰자위와 노른자를 분리하는 성공율을 높였다.
또한, 껍질이 제거된 알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속도로 다각형의 관로를 통과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분리를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면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의 구성 부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가 모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중심부의 절개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의 다각관로에서 껍질이 제거된 알중, 흰자위의 얇은 막을 절단수단이 파손시키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 4는 변형 실시 된 다각관로에 껍질이 제거된 알이 절단수단에 접촉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껍데기가 제거된 상태의 알을 노른자와 흰자위로 분리하여 노른자와 흰자위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수집하는 주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일정한 기울림을 갖고 껍데기가 제거된 알을 잠시수용하였다가 하나씩 빠져나가는 깔데기출구(9)를 갖는 깔데기(1)와;,
상기 깔데기출구(9)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깔데기(1)의 돌기(8)에 걸쳐저 관로고정클립(6)이 걸쳐져 연결 고정되고, 껍질이 제거된 알을 하나씩 통과하도록 안내되며, 노른자는 마지막까지 이송시키고, 흰자위가 배출되는 다각관로통공(3)이 형성된 다각관로(7)와;,
상기 다각관로(7)의 다각관로통공(3)의 시작부분의 일 측에 지지, 고정되어 알의 노른자가 닿지 않는 모서리에서 흰자위의 얇은 막만을 파손시키는 절단수단(2)과;,
상기 절단수단(2) 및 상기 다각관로통공(3)을 포함하여 다각관로(7)를 애워싸고 흰자위를 수용하되 노른자가 배출되는 다각관로(7)와 구분되는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깔데기출구(9)에 외부에 끼워져 관로고정클립(6)과 공통으로 겹치게 지지되는 결합수단을 갖고, 깔떼기출구(9)에 연결되는 흰자위받침대(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다각관로(7)는 1개의 노른자가 면 접촉하며 이동되도록 협소하게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도면 1내지 3을 보며 성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의 구성 부품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면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가 모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중심부의 절개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의 다각관로(7)에서 껍질이 제거된 알중, 흰자위의 얇은 막을 절단수단(2)이 파손시키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하지만 도면 4는 변형 실시 된 다각관로에 껍질이 제거된 알이 절단수단에 접촉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깔데기(1)는 일정한 기울림을 갖고, 껍데기가 제거되는 기계, 혹은 기구의 배출부위에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동으로 껍질을 분리한 뒤, 한꺼번에 부어서 노른자 만을 분리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깔데기는(1) 껍질이 제거된 알을 잠시 수용하였다가 하나씩 빠져나가는 깔데기출구(9)를 갖는다. 깔데기출구(9)의 끝부분에는 다각관로(7)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8)에 다각관로(7)의 관로고정클립(6)을 끼우면 걸리고 자연스럽게 놓으면 깔데기(1) 보다 조금 더 큰 기울기를 갖으면서 지지 되고, 깔데기출구(9)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관로(7)는 상기 깔데기출구(9)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관로고정클립(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깔데기(1)의 돌기(8)에 걸쳐져 지지되고 깔데기출구(9)와 밀착, 연결되어 껍질이 제거된 알이 한 개씩 통과하도록 안내되며, 노른자를 기울기에 의해 마지막까지 이송시키고, 흰자위가 자중에 의해 흘러나오는 다각관로통공(3)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수단(2)은 상기 다각관로통공(3)의 시작부분 일 측에 지지, 고정되어 구 형태인 알의 노른자가 닿지 않는 구석진 부분에서 돌출되어 있고, 흰자위의 얇은 막 만을 파손한다.
흰자위받침대(5)는 상기 절단수단(2) 및 상기 다각관로통공(3)을 포함하여 다각관로(7)를 애워싸고 흰자위를 수용하되 노른자의 배출구와 구분되는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다각관로(7)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측이 지지, 및 정지되는 받침대고정클립(4)이 형성되어 관로 관로고정클립(6)의 상단부로 겹쳐지며 상기 흰자위받침대(5) 안에 다각관로(7)가 끼워져 조립된다. 다각관로통공(3)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흰자위를 수집하여 흰자위받침대(5)가 끝나는 부분으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우선 껍질이 제거된 알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껍질이 제거된 알 중, 계란의 노른자를 살펴보면 노른자를 얇고 투명한 막이 에워싸고 있고, 이 노른자를 흰자위가 보호하고 있으며 이 흰자위를 에워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흰자위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상태의 흰자위가 또 존재한다.
노른자를 보호하고있는 투명한 막은 노른자를 유동적인 구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노른자를 에워싸고 있는 흰자위의 보호막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른자보다 훨씬 유동적인 성격이 있어서 다각관로(7)의 구석진곳까지 접촉이 된다.
이때, 흰자위를 보호하고 있는 투명한 막을 예리한 절단수단(2)에 의해 회손 시키면 좀 더 유동적인 형체를 유지하고 있던 흰자위는 터져서 액체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얇고 투명한 흰자위의 막이 회손된 액체상태의 흰자위는 통공(3)에 의해 흘러 내리게 된다.
하지만 노른자는 노른자를 보호하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은 절단수단(2)이나 다각관로통공(3)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다각관로(7)의 면에만 접촉된체 상기다각관로(7)의 끝 부분까지 자중에 의해 이송되었다가 낙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관로(7)가 1개의 껍질이 제거된 알을 수용할 만큼 협소하여 노른자가 유동적인 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유동적인 구 형태의 노른자가 다각관로(7)의 면에만 접촉하여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다각관로(7)가 끝나는 지점에는 노른자만을 수집하고, 다각관로통공(3) 이하로 흘러내리는 액체 상태의 흰자위는 흰자위받침대(5)에 수용하여 흰자위받침대(5)가 끝나는 지점에 흰자위 만을 배출 하도록 하였다.
이때, 흰자위받침대(5)는 다각관로(7)의 다각관로통공(3)이 끝나는 지점을 조금 더 에워싸고 있으며 다각관로통공(3)으로부터 흘러나온 액체상태의 흰자위를 수집하게 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종래 기술에서 살펴보았듯이 껍데기가 제거된 알을 투입하여 분리하려는 시도하였을 때, 통공을 지나는 계란이 흰자위가 파손되지 않고 여과 판을 지나가거나 노른자의 형태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분리 가능성의 확율을 높이고 노른자는 온전히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흘러내리고 흰자위를 에워싸고 있는 투명한 막만이 파손되어 액체 상태로 흘러내릴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껍질이 제거된 알은 노른자의 유동적인 구의 형체가 온전히 유지된 체 흰자위와 노른자를 각각 나누어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껍질이 제거된 알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속도로 다각관로(7)를 통과하는 것 만으로도 연속적인 분리를 가능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은 다각관로(7)에 접촉되는 알의 노른자를 온전히 다각관로(7)의 끝부분까지 이동하도록 하고, 흰자위는 노른자가 접촉되지 않는 구석진 부분에 절단수단(2)과 통공을 구비하여 흰자위의 얇고 투명한 막만을 파손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다각관로(7)의 단면 형상과 구비될 깔데기출구(9)의 수량, 및 다각관로(7)의 수량에 대해 국한되지 않는 것임을 염두 하여야 한다.
도면 4를 참조해 살펴보면 노른자 분리기구가 변형 실시된 다각관로(7)의 형상을 보인 것이다.
변형 실시된 다각관로(7)의 형상이 삼각관로이며 다각관로통공(3)과 절단수단(2)이 하단 부위에 실시된 것을 보인 것이지만 동일한 기술인 것이다.
1-깔데기
2-절단수단
3-다각관로통공
4-받침대고정클립
5-흰자위받침대
6-관로고정클립
7-다각관로
8-돌기
9-깔데기출구
eeg-바람직한 실시 대상중 계란의 노른자

Claims (2)

  1. 통상의 껍데기가 제거된 상태의 알을 노른자와 흰자위로 분리하여 노른자와 흰자위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배출되는 주방 기구에 있어서,
    껍데기가 제거된 알을 잠시 수용하였다가 빠져나가는 깔데기출구(9)를 갖는 깔데기(1)와;,
    상기 깔데기(1)의 깔떼기출구(9)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노른자를 하단까지 이송시키고, 흰자위가 배출되는 다각관로통공(3)이 형성된 다각관로(7)와;,
    상기 다각관로통공(3)의 시작부분에 지지, 및 고정되어 흰자위의 얇은 막 만을 파손시키도록 접촉되는 절단수단(2)과;,
    상기 다각관로(7)및 상기 다각관로통공(3)을 에워싸고 고정되며, 상기 다각관로(7)와 구분되는 짧은 길이를 갖으며, 상기 다각관로통공(3)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흰자위를 수집, 배출하는 흰자위받침대(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관로(7)는 1개의 노른자가 면 접촉하며 이동되도록 협소하게 구비된 다각관로가 포함된 것이 특징인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KR2020150001314U 2015-02-27 2015-02-27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KR200481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314U KR200481617Y1 (ko) 2015-02-27 2015-02-27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314U KR200481617Y1 (ko) 2015-02-27 2015-02-27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57U KR20160003057U (ko) 2016-09-06
KR200481617Y1 true KR200481617Y1 (ko) 2016-10-20

Family

ID=5695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314U KR200481617Y1 (ko) 2015-02-27 2015-02-27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1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76Y1 (ko) 1999-09-22 2000-02-15 이준직 계란 분리기
JP3172474B2 (ja) 1997-08-27 2001-06-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13000524A (ja) 2011-06-21 2013-01-07 Isao Kumagai エッグセパレーター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227B2 (ja) * 1989-11-30 1998-08-06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ヒンジ
US6135017A (en) * 1999-08-31 2000-10-24 The Pampered Chef, Ltd. Wire egg sepa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474B2 (ja) 1997-08-27 2001-06-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KR200170476Y1 (ko) 1999-09-22 2000-02-15 이준직 계란 분리기
JP2013000524A (ja) 2011-06-21 2013-01-07 Isao Kumagai エッグセパレーター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57U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5512A (en)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US20110183406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issue Cells From A Fluid
CN109640764A (zh) 用于获取蛋液的装置
US20150164273A1 (en) Grill pan and grill cookware using the same
KR200481617Y1 (ko) 알의 노른자 분리기구
US20210045425A1 (en) Juice Extraction Machine
ES2861653T3 (es) Campana extractora de humos
WO2013012198A2 (ko) 망드럼 세척기구
US5069119A (en) Egg separator
KR200492340Y1 (ko) 기름부유물 제거용 요리기구
US2368141A (en) Device for obtaining juice by means of steam
ES2660016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aborar productos alimenticios rellenos
KR102174138B1 (ko) 사용 식용유의 정제장치
US20150190016A1 (en) Single piece resilient plastic egg separator in the shape of an egg
CA2154966C (en) Egg separator
ES2412056T3 (es) Aparato de cocción que comprende un receptáculo para alimentos y un elemento de filtrado
US5836326A (en) Bead cleansing system
US2897970A (en) Filtration equipment, especially for making coffee
KR102449068B1 (ko)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KR101932858B1 (ko) 조리용기 덮개
US2789602A (en) Eggshell breaker and separator
KR102295793B1 (ko) 계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N108835361B (zh) 蛋清蛋黄分离装置
KR20170001681U (ko) 자동 계란 분리기
KR20200054690A (ko) 드리퍼 위치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