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68B1 -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68B1
KR102449068B1 KR1020190135271A KR20190135271A KR102449068B1 KR 102449068 B1 KR102449068 B1 KR 102449068B1 KR 1020190135271 A KR1020190135271 A KR 1020190135271A KR 20190135271 A KR20190135271 A KR 20190135271A KR 102449068 B1 KR102449068 B1 KR 10244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ng
peeling
peeling blade
fru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799A (ko
Inventor
백운기
Original Assignee
백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기 filed Critical 백운기
Priority to KR102019013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68B1/ko
Priority to US17/773,591 priority patent/US20220369842A1/en
Priority to JP2022525675A priority patent/JP2023500865A/ja
Priority to CN202080075587.6A priority patent/CN114828658A/zh
Priority to PCT/KR2020/014689 priority patent/WO2021085972A2/ko
Publication of KR2021005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8Peeling vegetables or fruit for peeling fruit and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0Vegetable or fruit grippers or holders for use while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5/00Devices for coring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30Halving devices, e.g. for halving b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하면서 과일 및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Fruit and root skin peelers}
본 발명은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하면서 과일 및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과실(果實)이라고도 하며, 과육 및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많으며 향기가 좋다.
이와 같은 과일은 학교, 회사 등의 대량 급식소에서 자주 제공되는 후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과일의 섭취를 위해서는 농약 살포 등으로 인해 반드시 껍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과일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주로 과도(果刀)를 사용하게 되고, 숙련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균일한 두께로 껍질을 제거하기 매우 어려워 섭취할 수 있는 과일 부분을 껍질과 함께 제거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과도의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어 창상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이에 과도보다 편리한 채칼을 사용하여 과일의 껍질을 어느 정도의 균일한 두께로 제거할 수는 있으나, 상기 채칼에 가해지는 힘의 변화에 따라 제거되는 과일의 껍질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므로서, 껍질을 완전히 제거할 동안 이용자가 일정한 힘을 유지하기 어려워 일정한 두께로 껍질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과일의 종류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거되는 껍질의 두께를 자유로이 조절가능하게 한 과일껍질 제거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700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700호의 경우, 껍질제거부에 과일의 껍질 일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과일을 회전시켜가며 과일의 껍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과일의 껍질 전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껍질제거부의 위치를 제거하고자 하는 껍질부위로 일일이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한번에 과일 껍질 전체를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숙련정도가 낮을 경우 과일에 일부 과일껍질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7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하면서 과일 및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과일이 수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어 과일의 껍질을 박피하는 복수의 박피칼날부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를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박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는 상기 고정링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서 각각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복수구비되는 복수의 상부 박피칼날부 및 복수의 하부 박피칼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하부방향에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가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고정링의 내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링을 관통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링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어 과일로부터 과일심을 분리하는 심분리부와; 상기 심분리부의 외면과 상기 고정링의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된 과일을 복수개로 절단하고,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가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 상기 절단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와 접하여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가 상기 심분리부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링과, 상기 커버링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되는 과일이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 복수의 박피칼날부가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걸림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측에 근채류가 수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어 근채류의 껍질을 박피하는 복수의 박피칼날부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를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링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박피칼날부를 이용하여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하면서 과일 및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일예의 가이드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부 박피칼날부와 하부 박피칼날부로 구성되는 박피칼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심분리부와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절단부의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커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고정링이 받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고정링이 받침부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을 박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복수개로 절단된 과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다른예의 손잡이부가 고정링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링(10), 복수의 박피칼날부(20) 및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는 껍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사과, 배 등의 과일 또는 껍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감자, 고구마 등의 근채류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는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 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과일의 껍질을 박피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상기 박피칼날부(20)는 일예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보와 같이 크게, 이동판(210), 이동프레임(220) 및 박피칼날(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210)은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210)은 상기 고정링(1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링(10)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판(210)의 일측은 상기 고정링(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판(210)의 일단부에 스토퍼몸체(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몸체(211)의 대각선 길이(도 5의 L1)는 상기 이동판(210)의 대각선 길이(도 5의 L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토퍼몸체(211)는 상기 고정링(10)의 외면과 접하여 상기 이동판(210)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10)의 내측방향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판(210)의 일단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20)은 상기 이동판(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일측 외면 중간부에 상기 이동판(21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박피칼날(230)은 상기 이동프레임(2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박피칼날(230)이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박피칼날(23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측과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30)는 복수의 박피칼날부(20)를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이동판(21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고정링(10)의 내면과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일측 외면 중간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일예의 가이드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흔들림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프레임(220)의 일측 외면 전측과 일측 외면 후측에 가이드바(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상기 이동판(210)을 따라 상기 고정링(10)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고정링(10)을 관통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부 박피칼날부와 하부 박피칼날부로 구성되는 박피칼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박피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상부 박피칼날부(201)와 복수의 하부 박피칼날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는 상기 고정링(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10)의 내측 상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는 상기 고정링(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링(10)의 내측 하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부 박피칼날부(201)와 복수의 하부 박피칼날부(202)로 구성되는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를 통해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하부방향에 엇갈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 사이마다 형성되는 공간(S)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심분리부와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의 박피와 더불어 과일 및 근채류를 복수개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분리부(50)와 절단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분리부(50)는 관형태로 상기 고정링(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링(10)의 내측 중간부에 수직구비되어 과일로부터 과일의 중심부인 과일심을 분리 또는 근채류로부터 근채류의 중심부인 근채류심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는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세워진 상태로 상기 심분리부(50)의 외면과 상기 고정링(10)의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수용된 과일 또는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다.
과일 또는 근체류의 절단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부(60)는 상부 절단부(610)와 하부 절단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단부(610)는 상기 심분리부(50)의 상부 외면과 상기 고정링(10)의 상부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단부(620)는 상기 심분리부(50)의 하부 외면과 상기 고정링(10)의 하부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단부(620)는 상기 상부 절단부(610)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상부 절단부(6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절단부(610)와 상기 하부 절단부(620)로 구성되는 복수의 상기 절단부(60)를 통해 과일 및 근채류를 더욱 많은 개수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하부 절단부(620)는 상기 상부 절단부(610)의 하부방향에 엇갈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하부 절단부(620)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 사이마다 형성되는 공간(S)의 하부방향에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상기 심분리부(50)와 상기 절단부(60)가 구비될 경우, 상기 박피칼날부(20)는 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220)과 박피칼날(2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절단부(60)에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절단부의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이동프레임(220)의 중간부와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박피칼날(230)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링(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2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의 상부 절단부(610)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가이드슬릿(240)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의 상부 절단부(610)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의 이동프레임(220)의 중간부와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의 박피칼날(230)의 중간부에도 상기 고정링(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2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의 하부 절단부(620)는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의 가이드슬릿(240)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의 하부 절단부(620)는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가 상기 심분리부(5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60)의 상부에 상기 절단부(6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스토퍼(70)는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프레임(220)과 박피칼날(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단부(6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박피칼날부(20)의 박피칼날(230)의 가이드슬릿(240)을 통과 및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프레임(220)의 가이드슬릿(24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박피칼날(230)의 가이드슬릿(240)의 상하길이(L3)는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가이드슬릿(240)의 상하길이(L4)보다 길게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프레임(220)의 가이드슬릿(240)의 상부주변의 이동프레임(220) 부위와 접하여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가 상기 심분리부(5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커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링(10)이 내측에 수용되는 손잡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80)는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커버링(810)과 손잡이(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810)이 상기 고정링(10)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커버링(810)의 내측에 상기 고정링(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8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판(210) 및 스토퍼몸체(211)가 수용되는 가이드홈(811)이 상기 이동판(2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811)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이동판(210) 및 스토퍼몸체(21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820)는 상기 커버링(8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고정링이 받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고정링이 받침부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90)의 상부에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수용되는 과일 또는 근채류의 하부가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90)의 중심부에는 상기 받침부(9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위치고정축(9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축(910)의 상부는 상기 받침부(9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90)의 상부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축(910)의 상부는 상기 받침부(9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첨예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축(910)의 상부가 과일 또는 근채류의 하부 중심부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90)의 상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동없이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90)의 상부 중심부 주변의 상기 받침부(90)의 상부부위에 복수의 삽입홈(920)이 방사형으로 일정깊이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홈(920)에는 상기 절단부(6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90)와 함께 상기 고정링(10) 및 상기 손잡이부(80)를 보다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90)와 결합된 상기 고정링(10)이 상기 받침부(90)로부터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90)의 외면에는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박피칼날(230)이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걸림고정홈(930)이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걸림고정홈(930)은 환형의 상부걸림고정홈(931)와 환형의 하부걸림고정홈(9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걸림고정홈(931)에는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201)의 박피칼날(230)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걸림고정홈(932)에는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202)의 박피칼날(230)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과일 및 근채류의 껍질을 박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복수개로 절단된 과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90)의 상부에 과일(3) 또는 근채류가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과일(3)의 상부가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80)의 손잡이(820)를 이용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80)와 함께 상기 고정링(10)을 상기 고정링(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20)의 박피칼날(230)은 상기 과일(3) 또는 근채류의 표면 굴곡에 따라 상기 고정링(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10)의 중심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과일(3) 또는 근채류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상기 과일(3) 또는 근채류의 껍질(5) 전체를 한번에 손쉽게 남김없이 제거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심분리부(50)가 과일 또는 근채류로부터 과일심(7) 또는 근채류심을 분리 및 상기 절단부(60)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일(3) 또는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예의 손잡이부가 고정링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박피칼날부(20)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예로서, 상기 이동프레임(220)과 박피칼날(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80)는 다른예로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커버링(812)과 상부커버링(8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링(812)의 내측에 상기 고정링(10)이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링(813)은 상기 하부커버링(812)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커버링(8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링(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80)의 손잡이(820)는 상기 상부커버링(813)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10; 고정링, 20; 박피칼날부,
30; 탄성부재.

Claims (10)

  1. 내측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수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링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링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타단부가 중간부에 연결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는 박피칼날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는 복수의 상부 박피칼날부 및 복수의 하부 박피칼날부로 이루어져 과일의 껍질 또는 근채류의 껍질을 박피하고, 상기 이동판의 일단부에 상기 이동판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의 내측방향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판의 일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몸체가 형성되는 복수의 박피칼날부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를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흔들림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고정링의 내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을 관통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되는 과일이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링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링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링과, 상기 커버링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링의 내부에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판 및 스토퍼몸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판 및 스토퍼몸체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방사형으로 복수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의 하부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위치고정축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고정링 및 상기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상부걸림고정홈과,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하부걸림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걸림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2. 내측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수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어 과일로부터 과일심을 분리 또는 근채류로부터 근채류심을 분리하는 심분리부와;
    상기 심분리부의 상부 외면과 상기 고정링의 상부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는 상부 절단부와, 상기 심분리부의 하부 외면과 상기 고정링의 하부 내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 및 상기 상부 절단부의 하부방향에 엇갈리게 구비되는 하부 절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된 과일 또는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는 박피칼날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구비되는 복수의 상부 박피칼날부 및 복수의 하부 박피칼날부로 이루어져 과일의 껍질 또는 근채류의 껍질을 박피하고,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이동프레임의 중간부와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의 중간부에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 방향으로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상부 절단부가 통과하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고정링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의 이동프레임의 중간부와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의 중간부에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 방향으로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하부 절단부가 통과하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고정링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박피칼날부와;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를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프레임과 박피칼날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 상기 절단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프레임의 가이드슬릿의 상부 주변의 이동프레임 부위와 접하여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가 상기 심분리부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되는 과일이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링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링이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커버링과, 상기 하부커버링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커버링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의 하부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위치고정축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 중심부 주변의 상기 받침부의 상부부위에 상기 절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일정깊이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고정링 및 상기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상부걸림고정홈과,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의 박피칼날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하부걸림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걸림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과일 또는 근채류가 안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와 함께 상기 고정링이 상기 고정링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때 상기 박피칼날부가 과일 또는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심분리부가 과일 또는 근채류로부터 과일심 또는 근채류심을 분리 및 상기 절단부가 과일 또는 근채류를 복수개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박피칼날부를 통해 과일의 껍질 전체 또는 근채류의 껍질 전체를 한번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상부 박피칼날부의 하부방향에 복수의 상기 하부 박피칼날부가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몸체의 대각선길이는 상기 이동판의 대각선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35271A 2019-10-29 2019-10-29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KR10244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271A KR102449068B1 (ko) 2019-10-29 2019-10-29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US17/773,591 US20220369842A1 (en) 2019-10-29 2020-10-27 Device for peeling fruits and root vegetables
JP2022525675A JP2023500865A (ja) 2019-10-29 2020-10-27 果物及び根菜類剥皮装置
CN202080075587.6A CN114828658A (zh) 2019-10-29 2020-10-27 水果和根茎类蔬菜去皮装置
PCT/KR2020/014689 WO2021085972A2 (ko) 2019-10-29 2020-10-27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271A KR102449068B1 (ko) 2019-10-29 2019-10-29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99A KR20210050799A (ko) 2021-05-10
KR102449068B1 true KR102449068B1 (ko) 2022-09-29

Family

ID=7571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271A KR102449068B1 (ko) 2019-10-29 2019-10-29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69842A1 (ko)
JP (1) JP2023500865A (ko)
KR (1) KR102449068B1 (ko)
CN (1) CN114828658A (ko)
WO (1) WO20210859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0622A (zh) * 2021-05-18 2021-07-13 王琳琳 一种家庭用便于芒果快速剥皮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89241C (fr) * 1999-01-08 2003-09-16 Michel Gingras Appareil pour peler et optionnellement couper des legumes
JP2001333754A (ja) * 2000-05-26 2001-12-04 Kumamoto Technopolis Foundation 皮剥き装置および皮剥き機
KR200274700Y1 (ko) 2002-02-15 2002-05-04 박기철 과일껍질 제거기
KR20040079059A (ko) * 2003-03-06 2004-09-14 은성전자 주식회사 과일의 탈피기
KR200329845Y1 (ko) * 2003-07-21 2003-10-10 장철수 과일용 다등분 절단 장치
KR101134686B1 (ko) * 2009-09-15 2012-04-09 이문희 과일씨 제거기
CN103653198A (zh) * 2012-09-21 2014-03-26 华中农业大学 一种柑橘划皮装置
CN203327905U (zh) * 2013-07-16 2013-12-11 红河学院 萝卜去皮机
US9848726B2 (en) * 2013-09-16 2017-12-26 Johnny Todd Harris Vegetable peeler
KR20160032544A (ko) * 2014-09-16 2016-03-24 최병국 회전 커터를 이용하는 탈피 장치
KR101832391B1 (ko) * 2016-04-15 2018-02-26 조인남 무 껍질 제거장치
CN109090635A (zh) * 2018-07-21 2018-12-28 山东润品源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果蔬自动清洁去皮装置
CN109567230A (zh) * 2019-01-17 2019-04-05 叶锋 一种用于果蔬去皮的去皮装置
CN109567229A (zh) * 2019-01-17 2019-04-05 叶锋 一种萝卜去皮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99A (ko) 2021-05-10
US20220369842A1 (en) 2022-11-24
CN114828658A (zh) 2022-07-29
WO2021085972A3 (ko) 2021-06-24
JP2023500865A (ja) 2023-01-11
WO2021085972A2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8810A (en) Fruit corer and quartering device
US5046388A (en) Decorative form hydraulic cutting blade assembly
CN100594827C (zh) 芒果切片器
US7266894B1 (en) Apparatus for slicing fruit and other items
US1744422A (en) Fruit and vegetable cutter
US20060027068A1 (en) Knife assembly
EP2671643A1 (en) A concave tapered food produc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uch a product
US4580343A (en) Fruit slicing aid
US9242384B2 (en) Food slicer
US20150075011A1 (en) Vegetable peeler
KR102449068B1 (ko)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US2912757A (en) Fruit and vegetable cutter
US20030037440A1 (en) Coring device
AU8020787A (en) Decorative form hydraulic cutting blade assembly
US20150217470A1 (en) Novel slic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213015A (en) Kitchen tool
US4136447A (en) Coring apparatus
WO2015039030A1 (en) Combination double peeler and holder device
US5447737A (en) Pepper cor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130189413A1 (en) Cantaloupe Peeler
KR101764984B1 (ko) 양파 탈피 장치
US3853050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 such as a lemon and slicing the rind
US10736454B1 (en) Nopal-cactus thorns removal hand tool and method
US6591742B1 (en) Plantain peeler
US8563063B2 (en) Melon peel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