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686B1 - 과일씨 제거기 - Google Patents

과일씨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686B1
KR101134686B1 KR1020090086958A KR20090086958A KR101134686B1 KR 101134686 B1 KR101134686 B1 KR 101134686B1 KR 1020090086958 A KR1020090086958 A KR 1020090086958A KR 20090086958 A KR20090086958 A KR 20090086958A KR 101134686 B1 KR101134686 B1 KR 10113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utting knife
support
hand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329A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09008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6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3/00Devices for stoning fr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의 씨를 제거하기 위한 과일씨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과일이 놓여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과일을 상기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과일에 삽입되면서, 그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기둥형으로 도려내도록, 일측단부에 환형의 칼날이 마련된 심절단칼과, 상기 심절단칼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일씨 제거기, 심절단칼, 고정핀, 조각절단칼, 수납체

Description

과일씨 제거기{Fruit seed remover}
본 발명은 과일의 씨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도려냄으로써 과일의 씨를 제거하는 과일씨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과일을 갈아서 주스를 만들거나, 과일을 먹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과일의 씨를 미리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도1은 과일의 씨를 제거하기 위한 과일씨 제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과일씨 제거기(1)는 원통형 칼(10)과 손잡이(20)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 칼(10)의 단부에는 칼날(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칼(10)은 지지체(14)에 의해서 손잡이(20)에 결합된다.
종래의 과일씨 제거기(1)는 사과 등과 같은 과일(A)의 씨가 있는 심부분에 찔러 넣어 과일심을 절단한 후, 원통형 칼(10)을 다시 빼내어 과일심을 도려냄으로써, 과일(A)의 씨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는 종래의 과일씨 제거기(1)를 사용할 때, 과일(A)을 바닥이나 탁자 위에 올려두고, 이를 손으로 붙잡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일(A)을 손으로 붙잡아 고정시킬 경우, 과일(A)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서, 원통형 칼(10)이 과일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제대로 도려내지 못하는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과일(A)을 붙잡고 있는 손이 원통형 칼(10)에 베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는 과일에서 과일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도려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는 과일이 놓여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과일을 상기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과일에 삽입되면서, 그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기둥형으로 도려내도록, 일측단부에 환형의 칼날이 마련된 심절단칼과, 상기 심절단칼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에 의하면,
과일이 지지체에 고정되므로,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도려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에 있어서, 과일의 심을 도려내기 위한 심절단칼이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가지는 과일에 맞게 심절단칼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과일의 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에 있어서, 과일심의 외측 둘레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조각절단칼을 구비한 경우, 심절단칼이 과일심을 절단함과 동시에 과일심의 외측 둘레 부분을 함께 절단해 주므로, 별도로 과일을 조각낼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과일씨 제거기의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과일씨 제거기에 의해서 과일이 절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2)는 지지체(300), 고정수단, 심절단칼(100), 조각절단칼(500), 손잡이(200) 및 클램프(7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300)는 바닥판(310)과 바닥판(310)의 둘레에서 위쪽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측벽(320)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상측이 트여있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사과 등과 같은 과일(A)은 바닥판(310) 위에 놓여 지며, 지지체(30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302)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체(300)에 돌출되게 마련된 고정핀(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핀(400)은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의 상면에 과일(A)이 놓여질 때, 그 과일(A)에 삽입됨으로써, 그 과일(A)을 상기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핀(400)의 둘레에는 돌기(410)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핀(400)이 과일(A)에 삽입되었을 때, 과일(A)이 고정핀(400)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심절단칼(100)은 지지체(300)에 고정된 과일(A)에 삽입되면서, 그 과일(A)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A1)을 기둥형으로 도려내도록, 일측단부에 환형의 칼날(11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심절단칼(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날(110)이 그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칼날(110)은 톱날형으로 형성되어, 심절단칼(100)이 과일심을 더욱 잘 도려내도록 한다. 심절단칼(100)의 외주면에는 관통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심절단칼(100)에 의해서 절단된 과일(A)이 심절단칼(100)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한다.
심절단칼(100)의 타측단부에는 심절단칼(100)이 손잡이(200)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각절단칼(50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6개로 이루어지며, 심절단칼(100)의 외주면의 둘레에 고정결합된다. 조각절단칼(500)은 심절단칼(100)이 과일(A)에 삽입될 때, 심절단칼(100)이 과일심(A1)을 도려냄과 동시에 과일(A)의 과일심 외측 둘레 부분(A2)이 함께 절단되도록 한다.
조각절단칼(500)들의 둘레에는 가이드부재(600)가 배치되는데, 가이드부재(600)는 조각절단칼(500)들을 둘러감싸며, 각 조각절단칼(500)과 결합된다. 즉, 가이드부재(600)는 심절단칼(100)과 조각절단칼(500)이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에 삽입될 때, 조각절단칼(500)과 지지체(300)의 측벽(320) 사이에 위치된다. 가이드부재(600)는 심절단칼(100) 및 조각절단칼(500)이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에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심절단칼(100) 및 조각절단칼(500)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심절단칼(100) 및 조각절단칼(500)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600)는 조각절단칼(50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조각절단칼(500)의 노출 부분을 줄여주므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조각절단칼(500)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손잡이(200)는 덮개부(230), 파지부(210) 및 암나사부(220)로 이루어 진다.
상기 덮개부(230)는 상기 지지체(300)의 상측을 덮어주며, 덮개부(230)의 상면에는 파지부(21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잡이(200)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230)의 하면에는 암나사부(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암나사부(220)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심절단칼(100)의 단부의 수나사부(120)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심절단칼(100)은 손잡이(200)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손잡이(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심절단칼(100)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한 조의 세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일(A)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내경을 가지는 심절단칼(100)을 손잡이(200)에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과일(A)의 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00)는 지지체(300)의 측벽(320)에 마련된 클램프 지지부(7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체(300)에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700)는 손잡이(200)의 덮개부(230)가 지지체(30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덮개부(2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손잡이(200)와 지지체(300)를 상호 고정시킨다.
한편, 고정핀(400)의 둘레에는 지지체(300) 바닥판(3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보조칼(450)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칼(450)은 심절단칼(100)이 과일심(A1)을 절단하면서 내려올 때, 심절단칼(100)과 협동하여, 과일심(A1)이 더욱 잘 도려내 지도록 한다. 또한, 보조칼(450)은 고정핀(400)과 함께 과일심(A1)에 삽입되어, 과일심(A1)이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 더욱 잘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는 심절단칼(100)의 칼날(110)에 대응되도록 칼날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홈(312)은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심절단칼(100)의 칼날(11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지지체(300) 바닥면(310)에 형성되어 있다. 칼날홈(312)은 심절단칼(100)의 칼날(110)의 일부분을 수납하므로, 심절단칼(100), 조각절단칼(500) 또는 가이드부재(600)에 제작상의 오차가 있더라도, 심절단칼(100)의 칼날(110)을 지지체(300) 바닥면(310)으로부터 떠 있지 않게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일(A)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에 수납시키고, 과일(A)을 고정핀(400)에 끼워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 고정시킨다. 과일(A)이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 고정되면, 손잡이(200)의 파지부(210)를 잡고, 심절단칼(100), 조각절단칼(500) 및 가이드부재(600)가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 내부에 삽입되도록, 아래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심절단칼(100) 및 조각절단칼(500)은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으로 안내되면서 내려간다. 심절단칼(100)은 과일(A)에 삽입되면서, 과일심(A1)을 원통형으로 절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각절단칼(500)은 과일심(A1)의 외측 둘레 부분을 여러조각으로 절단하게 된다.
손잡이(200)를 계속 아래로 가압하면, 심절단칼(100), 조각절단칼(500) 및 가이드부재(600)의 단부가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에 이르게 되고, 과일(A)의 절단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2)에 의하면, 과일(A)이 지지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심절단칼(100)과 조각절단칼(500)이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안내되므로,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A1) 및 과일심의 외측 둘레 부분(A2)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도려낼 수 있다.
과일(A)의 절단이 완료되면, 도4와 같이 손잡이를 위로 들어올려, 심절단칼(100)과 조각절단칼(500)을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에서 빼낸다. 이때, 절단된 과일심(A1)은 고정핀(400)과 보조칼(450)에 고정된 채로 지지체(300) 바닥판(310)의 상면에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과일심의 외측 둘레 부분(A2)은 서로 조각난 채로 지지체(300)의 수납공간(302)에 남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각난 과일이 조각절단칼(500)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손잡이(200)를 잡고 흔들거나 충격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조각절단칼(500)에 부착된 과일 조각을 빼낼 수 있다.
심절단칼(100)은 손잡이(200)에 나사결합되어 용이하게 손잡이(200)에 착탈이 가능하므로, 과일(A)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내경을 가지는 심절단칼(100)을 손잡이(20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지지체(300)와 손잡이(200)는 클램프(700)에 의해서 상호 고정가능하므로, 과일씨 제거기(2)를 운반할 경우, 클램프(700)로 지지체(300)와 손잡이(200)을 상호 고정시킨 후, 손잡이(200)의 파지부(210)를 잡고 과일씨 제거기(2)를 운반하면 더욱 편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제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3)도 도2에 도시된 과일씨 제거기(2)와 마찬가지로 지지체(300), 고정수단, 심절단칼(100), 조각절단칼(500), 손잡이(200) 및 클램프(700)를 구비하고 있다. 도2에 도시된 과일씨 제거기(2)와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3)에 있어서, 도면부호가 동일한 부재는 서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3)는 지지체(300) 바닥판(310)의 아래쪽에 심절단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체(800)가 배치되어 있다. 과일씨 제거기(3)의 지지체(300)의 바닥판(310)의 하면에는 나사부(314)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체(800)의 상측에는 지지제(300) 바닥판(310)의 하면의 나사부(314)에 대응되는 나사부(8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체(300)와 수납체(8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체(800)는 내부에 수납공간(802)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복수의 심절단칼(100)이 수납된다. 따라서, 다양한 과일의 크기 및 종류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심절단칼(100)을 지지체(300)와 함께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복수의 심절단칼(100)을 보관 및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2,3)에 있어서, 심절단칼(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심절단칼(100)은 다각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외주면의 일측이 트여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2,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한개의 고정핀(400)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고정수단은 복수 개의 고정핀(40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2,3)에 있어서, 상기 조각절단칼(500)은 심절단칼(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각절단칼(500)은 심절단칼(10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손잡이(200)에 결합됨으로써, 심절단칼(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과일씨 제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씨 제거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과일씨 제거기의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과일씨 제거기에 의해서 과일이 절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제거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3 ... 과일씨 제거기 100 ... 심절단칼
200 ... 손잡이 300 ... 지지체
400 ... 고정핀 500 ... 조각절단칼
600 ... 가이드부재 700 ... 클램프

Claims (8)

  1. 내부에 과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닥판을 가지고 상측으로 트여진 통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상기 과일이 배치될 때 상기 과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의 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핀과,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과일에 삽입되면서 상기 과일의 씨가 위치한 과일심을 기둥형으로 도려내도록, 하측 단부에 환형의 칼날이 마련된 심절단칼과,
    상기 심절단칼에 상대 고정되며, 상기 심절단칼의 둘레를 수평방향으로 일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심절단칼이 상기 지지체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심절단칼과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절단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심절단칼과 상기 가이드 부재가 고정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과일씨 제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절단칼이 상기 과일에 삽입될 때, 상기 과일심의 외측 둘레 부분이 함께 잘려지도록, 상기 심절단칼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각 절단칼을 더 구비하는 과일씨 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체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체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과일씨 제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절단칼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일씨 제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와 분리된 상기 심절단칼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를 더 구비하는 과일씨 제거기.
  8.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심절단칼과 협동하여 상기 과일의 과일심을 절단하도록, 상기 지지체의 상기 바닥판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환형의 보조칼을 더 구비하는 과일씨 제거기.
KR1020090086958A 2009-09-15 2009-09-15 과일씨 제거기 KR10113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58A KR101134686B1 (ko) 2009-09-15 2009-09-15 과일씨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58A KR101134686B1 (ko) 2009-09-15 2009-09-15 과일씨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29A KR20110029329A (ko) 2011-03-23
KR101134686B1 true KR101134686B1 (ko) 2012-04-09

Family

ID=4393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958A KR101134686B1 (ko) 2009-09-15 2009-09-15 과일씨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89B1 (ko) 2015-04-08 2016-06-01 이지훈 과일 심부 제거장치
KR20230171206A (ko) 2022-06-13 2023-12-20 오형석 심부 제거 과일의 보관용기
KR20230172747A (ko) 2022-06-16 2023-12-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과일의 씨 제거 및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86683U (ru) * 2013-06-19 2014-01-10 Илья Викторович Чуприна Очиститель для бананов
CN103330472A (zh) * 2013-06-19 2013-10-02 吴江市物华五金制品有限公司 樱桃去核器
KR101697156B1 (ko) * 2015-12-04 2017-01-17 구형모 포도씨 추출기
KR102449068B1 (ko) * 2019-10-29 2022-09-29 백운기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54Y1 (ko) * 2002-03-21 2002-07-02 성기호 대추씨 뽑는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54Y1 (ko) * 2002-03-21 2002-07-02 성기호 대추씨 뽑는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89B1 (ko) 2015-04-08 2016-06-01 이지훈 과일 심부 제거장치
KR20230171206A (ko) 2022-06-13 2023-12-20 오형석 심부 제거 과일의 보관용기
KR20230172747A (ko) 2022-06-16 2023-12-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과일의 씨 제거 및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29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86B1 (ko) 과일씨 제거기
KR101042125B1 (ko) 주방용 다용도 강판
JPS6120998Y2 (ko)
US7159320B2 (en) Tool for forming a candle-receiving opening in a fruit or vegetable
US9827165B1 (en) Multiple pill or tablet splitter
US20070251399A1 (en) Device for Cutting a Fruit or Vegetable in a Helical Shape
US20110252647A1 (en) Device for cutting fruit, vegetables or the like
KR20110094371A (ko) 과실 절단기
CN216627410U (zh) 开椰器
US951061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coconut for processing
CN203305261U (zh) 一种水果去核切瓣器
CN201304653Y (zh) 果蔬切割器
KR20130007142U (ko) 과일절단기 세트
WO2017190310A1 (zh) 一种螺旋削皮拉丝器
KR20080004093U (ko)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CN209831706U (zh) 新型水果刀
CA2980843A1 (en) Vegetable stick maker
KR200456514Y1 (ko) 과일외피제거기
CN201894573U (zh) 新式锅铲
CN114828658A (zh) 水果和根茎类蔬菜去皮装置
CN103919444A (zh) 一种水果去核切瓣器
CN214676465U (zh) 一种辣椒种子分离取种装置
JP6715969B2 (ja) パプリカ及びピーマンの芯抜き器
CN206044452U (zh) 一种多功能刨
KR200336991Y1 (ko) 휴대용 야채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