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42U - 과일절단기 세트 - Google Patents

과일절단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42U
KR20130007142U KR2020120004707U KR20120004707U KR20130007142U KR 20130007142 U KR20130007142 U KR 20130007142U KR 2020120004707 U KR2020120004707 U KR 2020120004707U KR 20120004707 U KR20120004707 U KR 20120004707U KR 20130007142 U KR20130007142 U KR 201300071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discharge pipe
cutting
dischar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미
Original Assignee
이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미 filed Critical 이진미
Priority to KR2020120004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142U/ko
Publication of KR20130007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3/00Devices for stoning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절단칼이 구비되어 과일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보관이 용이한 과일절단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배출로(102)가 상하로 형성되어 과일의 씨앗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100)과; 상기 배출관(10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과일을 절단하는 절단칼(110)과;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컵(200)과;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로(102)와 대응되는 배출공(3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관컵(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과일 절단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캡손잡이(3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과일의 절단 작업과 절단칼의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일절단기 세트{A fruit cutting machine set}
본 고안은 과일절단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절단칼이 구비되어 과일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보관이 용이한 과일절단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과일의 껍질을 벗기고, 다수의 조각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근래에는 출원번호 제20-2003-0023429호와 같은 과일절단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과일절단기는, 과일을 다수의 조각으로 균일하게 나누는 것은 편리하나, 칼날의 테두리가 둘러싸여 있으므로, 크기가 큰 과일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과일절단기는 좌우에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나, 그 크기가 작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 부분이 좌우에 있으므로, 양손으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과일절단기는,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칼날이 날카로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음식인 과일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므로 위생적으로 관리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과일절단기 구조에서는, 칼날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위생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캡손잡이에 의해 과일의 절단이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일절단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칼날이 안전하고도 위생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과일절단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과일의 씨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마개에 의해 차단되어, 보관시 칼날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과일절단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배출로가 상하로 형성되어 과일의 씨앗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과일을 절단하는 절단칼과;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과 절단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컵과;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로와 대응되는 배출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관컵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과일 절단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캡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상단에는, 상기 캡손잡이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결합편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컵의 일측에는, 상기 캡손잡이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마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에 의하면, 다수의 절단칼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일을 다수의 조각으로 균일하게 나누는 것은 편리하다. 즉 종래와 같이 칼을 사용하여 꼭지부분을 도려내거나, 씨앗을 적출할 필요가 없음므로 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씨를 분리하여 상방으로 적출 가능한 배출관이 형성되므로 연속적으로 과일 절단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컵 뚜껑 형상의 캡손잡이가 절단칼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과일을 다수의 조각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보관컵이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후에는 절단칼을 보관컵 내부에 보관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캡손잡이가 보관컵의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칼이 안전하게 보관 가능하므로 어린이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캡손잡이에 형성된 배출공을 막는 마개가 연결끈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마개의 분실이 방지됨은 물론, 보관시 보관컵 내부로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 침투가 방지된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절단칼 등이 보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절단기 세트는,
내부에는 배출로(102)가 상하로 형성되어 과일의 씨앗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100)과, 상기 배출관(10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과일을 절단하는 절단칼(110)과,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컵(200)과, 상기 보관컵(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과일 절단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캡손잡이(3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배출로(102)가 상하로 형성되어, 과일의 씨앗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100)의 하단에는 칼날부(10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칼날부(10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과일의 씨 외측(테두리 부분)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배출관(100)의 하단에 금속재질의 칼날부(104)가 인서트 사출 등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출관(100)과 칼날부(104)가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절단칼(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10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절단칼(110)의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과일이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00)의 상단에는, 상기 캡손잡이(300)의 저면에 고정되는 결합편(12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관(100)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결합편(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편(120)은 상기 캡손잡이(300)의 저면에 용접 등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물론, 용접 외에도 볼트나 접착제와 같은 다양한 결속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편(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관(100)의 배출로(102)가 연결되어 상하로 관통되며, 이러한 배출로(102)는 과일의 씨앗이 상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보관컵(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컵과 동일하다. 따라서, 내부의 공간은 물과 같은 음료의 저장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보관컵(200)의 상단을, 상기 절단칼(110)과 배출관(100)이 결합된 캡손잡이(300)가 덮게 되면, 보관컵(200)의 내부에는 상기 절단칼(110)과 배출관(100)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보관컵(200)의 외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컵손잡이(21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컵(200)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관컵(20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손잡이(300)의 배출공(30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마개(310)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컵손잡이(210)에는 마개(310)가 연결되며, 이러한 마개(310)는 연결끈(320)에 의해 상기 컵손잡이(210)에 메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개(31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끈(320)은 스프링이나 고무줄 또는 노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끈(320)에 의해 상기 마개(310)는 보관이 용이하며, 분실이 방지된다.
상기 마개(3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손잡이(300)의 배출공(302)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삽입부(312)와, 상기 삽입부(312)와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부(3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314)는, 상기 삽입부(312)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삽입부(312)가 아래에서 설명할 배출공(302)에 삽입될 때 캡손잡이(30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캡손잡이(300)는 상기 보관컵(20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손잡이(300)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벤딩되어 절곡되어 있으며, 이러한 캡손잡이(300)의 테두리가 상기 보관컵(200)의 상단 외측을 감싸게 된다.
상기 캡손잡이(30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편(120)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캡손잡이(300)의 중앙부에는 배출공(30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302)은, 상기 배출관(100)의 배출로(102)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100)을 통해 상측으로 이송된 과일의 씨앗이 상기 배출공(302)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캡손잡이(300)는 상기 보관컵(200)의 뚜껑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상기 캡손잡이(300)의 하측에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캡손잡이(30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누르면, 과일이 다수의 조각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절단기 세트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상기 캡손잡이(300) 저면에는, 상기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캡손잡이(300)를 한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상기 배출관(100)과 절단칼(110) 등이 모두 상기 보관컵(200) 상부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캡손잡이(300)를 잡은 상태에서 사과와 같은 과일의 상측으로부터 캡손잡이(300)를 누른다.
이렇게 되면, 과일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상기 배출관(100)이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절단칼(110)에 의해 과일(사과)은 다수의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00)을 통해서는 과일의 중심에 위치한 씨앗 부분이 적출되어 상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다수의 과일(사과)을 연속적으로 절단하게 되면, 상기 배출관(100)의 하측으로부터 과일의 씨앗이 계속 상측으로 밀고 올라오게 되므로, 결국 씨앗은 상기 배출공(302)을 통해 캡손잡이(300)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이 완료되면, 세척한 다음 상기 절단칼(110)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캡손잡이(300)를 상기 보관컵(200)의 상측에 놓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캡손잡이(300)에 부착되어 있는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상기 보관컵(20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마개(310)를 캡손잡이(300)의 배출공(302)에 끼운다. 이렇게 되면, 배출공(302)을 통해서 이물질이나 먼지가 보관컵(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관(100)의 상측에 별도의 결합편(120)을 더 형성하여 캡손잡이(300)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결합편(120)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캡손잡이(300)의 저면에 배출관(100)이 직접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개(310)가 컵손잡이(210)에 연결끈(32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마개(310)가 컵손잡이(210) 외에 다른 부분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배출관 110. 절단칼
120. 결합편 200. 보관컵
210. 컵손잡이 300. 캡손잡이
310. 마개 320. 연결끈

Claims (3)

  1.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배출로(102)가 상하로 형성되어 과일의 씨앗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100)과;
    상기 배출관(10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과일을 절단하는 절단칼(110)과;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100)과 절단칼(1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컵(200)과;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로(102)와 대응되는 배출공(3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관컵(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과일 절단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캡손잡이(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단기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00)의 상단에는,
    상기 캡손잡이(30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결합편(12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단기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컵(200)의 일측에는,
    상기 캡손잡이(300)의 배출공(30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마개(3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단기 세트.
KR2020120004707U 2012-06-04 2012-06-04 과일절단기 세트 KR201300071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07U KR20130007142U (ko) 2012-06-04 2012-06-04 과일절단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07U KR20130007142U (ko) 2012-06-04 2012-06-04 과일절단기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42U true KR20130007142U (ko) 2013-12-12

Family

ID=5244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07U KR20130007142U (ko) 2012-06-04 2012-06-04 과일절단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1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5780A (zh) * 2019-12-30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水果切割装置
CN111086048A (zh) * 2019-12-30 2020-05-01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水果切割机
KR102131775B1 (ko) * 2019-02-18 2020-07-08 최종윤 과일 심부 제거용 커터모듈을 이용한 과일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775B1 (ko) * 2019-02-18 2020-07-08 최종윤 과일 심부 제거용 커터모듈을 이용한 과일 가공장치
CN111015780A (zh) * 2019-12-30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水果切割装置
CN111086048A (zh) * 2019-12-30 2020-05-01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水果切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718157B1 (ko) 주스기용 착즙 모듈
CN205162695U (zh) 榨汁机
KR20130007142U (ko) 과일절단기 세트
KR20110029329A (ko) 과일씨 제거기
KR20190002091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10842764U (zh) 一种沥水篮装置
KR102106835B1 (ko) 마늘 다지기
CN206239080U (zh) 菠萝去皮器
CN211533866U (zh) 多功能厨具
KR200475768Y1 (ko) 채칼
CN209489868U (zh) 多功能榨汁机
US4083108A (en) Device for halving fruit
KR101529400B1 (ko) 과일류 및 채소류 박피용 칼
KR200476220Y1 (ko) 착즙기
JP3188948U (ja) 複数の突起を備えた果汁搾り器
CN107877552A (zh) 一种便携式切水果刀
CN203693228U (zh) 便携式削皮刀
KR890003329Y1 (ko) 용기를 병설한 채칼
CN210704950U (zh) 多功能切菜器
CN107838981A (zh) 一种新型切菜装置
CN206855511U (zh) 石榴切割器
CN102210564A (zh) 一种简易厨房用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