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57B1 - 주스기용 착즙 모듈 - Google Patents

주스기용 착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57B1
KR101718157B1 KR1020150069431A KR20150069431A KR101718157B1 KR 101718157 B1 KR101718157 B1 KR 101718157B1 KR 1020150069431 A KR1020150069431 A KR 1020150069431A KR 20150069431 A KR20150069431 A KR 20150069431A KR 101718157 B1 KR101718157 B1 KR 10171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drum
charging
port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390A (ko
Inventor
김영기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SG11201610561WA priority Critical patent/SG11201610561WA/en
Priority to NZ727691A priority patent/NZ727691A/en
Priority to MYPI2016704687A priority patent/MY176576A/en
Priority to JP2016574063A priority patent/JP2017522096A/ja
Priority to MX2016017137A priority patent/MX2016017137A/es
Priority to AU2015278485A priority patent/AU2015278485B2/en
Priority to PL15809831T priority patent/PL3158896T3/pl
Priority to US15/319,352 priority patent/US20170119189A1/en
Priority to EP15809831.9A priority patent/EP3158896B1/en
Priority to CA2952558A priority patent/CA2952558A1/en
Priority to PCT/KR2015/005609 priority patent/WO2015194775A1/ko
Priority to CN201580044664.0A priority patent/CN106572762A/zh
Priority to TW104209627U priority patent/TWM518528U/zh
Priority to TW104119383A priority patent/TW201601665A/zh
Publication of KR2015014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90A/ko
Priority to CL2016003239A priority patent/CL2016003239A1/es
Priority to PH12016502541A priority patent/PH1201650254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57B1/ko
Priority to HK17105938.5A priority patent/HK1232091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주스기용 착즙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용 착즙 모듈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단에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착즙드럼; 상기 착즙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는 착즙스크류; 상기 착즙드럼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착즙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망드럼; 및 상기 착즙드럼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며, 일부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투입관체를 갖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관체의 측면에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를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착즙드럼 내부로 손(hand)이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투입구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잘게 썰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Description

주스기용 착즙 모듈{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본 발명은 주스기용 착즙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야채나 과일을 짜서 주스를 만드는 주스기의 구동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에서 직접 채소나 과일, 곡물 등을 구입해서 즙을 만들어 마시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용 주스기의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스기는 회전하는 스크류와 망드럼 사이에서 야채 또는 과일을 압착하여, 주스 또는 즙을 만든다. 통상의 주스기는 구동모터가 내장된 구동본체와, 스크류와 망드럼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착즙모듈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2315호에는 스크류가 수평방향으로 조립되는 수평방향 조립형의 착즙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440호에는 스크류가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는 수직방향 조립형의 착즙주스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440호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1a)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회전축공(112a)이 형성되는 뚜껑(110a); 뚜껑(110a)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망드럼안내턱(121a)이 형성되고 외부 하단부에는 찌꺼기배출구(122a)와 즙배출구(123a)가 형성되는 착즙드럼(120a); 상부에는 회전축공(112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회전축(131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스크류 나선(132a)이 형성되며 하부 중심에는 하부회전축(134a)이 형성되는 착즙스크류(130a); 착즙드럼(120a) 내에 설치되며 외벽은 망구조물(141a)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다수의 벽면날(142a)이 형성된 망드럼(140a); 내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착즙스크류(130a)의 하부회전축(134a)과 연결되어 착즙스크류(130a)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본체(160a)를 포함하는 주스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111a)가 뚜껑(110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재료를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방향으로 넣게 된다.
이때,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손(hand)(특히, 어린이의 손)이 투입구(111a)에 깊게 들어갈 수 있어 회전중인 착즙스크류(130a)에 휘말려 다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투입구(111a)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없는 설계상의 제한이 있었다. 그리고 투입구(111a)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착즙 재료를 작게 썰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투입구(111a)에 재료를 눌러 넣기 위한 전용 누름봉(미도시)을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상기 누름봉 이외의 도구(예를 들면, 젓가락 등)를 이용하여 투입구에 재료를 밀어 넣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물체는 회전하는 스크류와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상은 물론 기기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hand)이 투입구를 통해 깊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손(hand)이 깊이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도 투입구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착즙 재료를 작게 썰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주스기용 착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용 누름봉을 사용하도록 하여 고장, 파손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료 투입이 더욱 간편한 주스기용 착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택하는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용 착즙 모듈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단에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착즙드럼; 착즙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는 착즙스크류; 착즙드럼 내에 설치되며 착즙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망드럼; 및 착즙드럼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며, 일부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투입관체를 갖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투입관체의 측면에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투입관체의 측면에는 투입구의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가 형성되고, 호퍼는 투입구의 상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상부외벽과, 투입구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부외벽보다 길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호퍼의 바닥면은 투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의 상하 폭은 45mm이하이고, 투입구의 가로 폭은 60~100mm이고, 투입관체의 단축 내경은 40mm 이하로 구성되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뚜껑은 착즙드럼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투입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투입구 하단까지의 거리는 100mm이상이고, 상부외벽의 돌출길이는 20~40mm로 구성되면 좋다.
본 발명은 투입관체의 상부에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재료를 누르는 누름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가이드돌기가 투입관체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하부는 개구되고, 일측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측면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개구부의 일측에는 투입관체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협지구가 형성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누름봉이 장착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투입관체 내부를 승강하면서 투입된 재료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누름봉과 장착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탈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탈거방지수단은, 장착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 내주면에는 환턱이 형성된 결합구; 및 누름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환턱에 걸리는 단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좋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착즙드럼이 착즙스크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발생수단과 구동력 발생수단에 연결되는 구동축이 형성된 구동본체에 장착되고, 장착부재가 결합된 착즙드럼이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동 가능하게 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감지수단은, 예컨대 장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 및 구동본체에 형성되어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감지수단은, 장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 및 구동본체에 형성되어 돌기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누름봉의 일측에는 투입되는 재료를 절단하는 커터가 형성되면 더욱 좋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용 착즙 모듈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 일 측에는 즙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관과 연통되는 투입관체가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착즙드럼; 착즙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면에는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며 회전하는 착즙스크류; 착즙드럼 내부에 설치되며 착즙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망드럼; 을 포함하고, 투입관체의 측면에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가 형성되며, 호퍼는 투입구의 상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상부외벽과, 투입구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부외벽보다 길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기술구성을 채택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를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착즙드럼 내부로 손(hand)이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투입구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잘게 썰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누름봉을 이용하지 않으면 작동이 불가능하므로, 누름봉 이외의 도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밀어 넣을 때 발생하는 파손, 고장 등의 사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면서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주스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착즙모듈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과 누름봉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투입구와 본 발명의 투입구를 비교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 장착부재 및 누름봉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누름봉이 최상단에 위치한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누름봉이 최하단에 위치한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누름봉에 커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과 누름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뚜껑과 누름봉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또는 편의상 일부가 과장되어 도시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필요에 따라,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용 착즙 모듈은, 구동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착즙드럼(200), 뚜껑(300), 착즙스크류(400) 및 망드럼(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본체(100)는 착즙스크류(40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예컨대 통상의 구동력 발생수단인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구동모터는 착즙스크류(40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을 구비하며, 이 구동축이 착즙스크류(4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착즙드럼(200)은 구동본체(100)에 장착되는데,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착즙스크류(400)와 망드럼(500)이 수용된다.
착즙드럼(200)의 하단에는 즙배출구(210)와 찌꺼기배출구(미도시)가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착즙스크류(400)는 상기 착즙드럼(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에 구동연결되는 동력연결부가 형성된다.
망드럼(500)은 상기 착즙드럼(200) 내에 설치되며 외면은 즙이 통과하는 망공을 갖는 망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뚜껑(300)은 착즙드럼(20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베이스(310)를 관통하는 투입관체(360)가 형성된다. 이 투입관체(360)는 착즙드럼(200) 내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베이스(310)는 회전에 의해 착즙드럼(200)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310)의 하부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단턱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착즙드럼(20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단턱부에 결합되는 걸림돌조가 형성되어 상호 회전시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상기 투입관체(360)의 측면에는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80)가 형성되도록 하여 투입관체(360) 내부와 연통시킨다. 즉, 본 발명의 투입구(380)는 투입관체(36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 투입구(380)는 재료가 투입되는 구멍으로서, 투입관체(360)의 측면 일부를 개방시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투입구(360)가 대략 사각 형상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투입구(360)의 크기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입관체(360)의 외측 주변에는 투입구(380)를 감싸면서 그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330)가 형성된다. 호퍼(330)를 형성함으로써 재료가 투입될 때 주변에 흘리지 않게 된다. 호퍼(330)는 투입구(380)의 주변을 감싸는 외벽(332)과, 투입구(380)의 하부에 대략 수평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는 바닥면(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벽(332)과 바닥면(334)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334)은 재료의 투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구(380)를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좋다.
한편, 투입관체(360)의 상단에는 누름봉(700)을 넣을 수 있도록 삽입구(362)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362)는 투입관체(360)의 내부의 통로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봉(700)의 승강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고, 손을 넣지 못하도록 투입관체(360)의 삽입구(362)에는 안전을 위해 가이드돌기(366)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돌기(366)는 투입관체(360)의 삽입구(362)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삽입구(362)의 입구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66)는 예를 들면 내주면에 한 개 이상 배치되는데, 손이 깊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그 개수, 돌출높이, 돌출길이 등을 조절하여 형성한다.
삽입구(362)에 삽입되는 누름봉(70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66)가 수용되도록 가이드홈(760)이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입관체(360)의 외측에 결합되는 장착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장착부재(60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누름봉(700)이 투입관체(360)의 상단 삽입구(362)로 삽입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상기 장착부재(600)는 투입관체(36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그 단면이 투입관체(36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예컨대 대략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상,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일측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된다. 또한, 장착부재(600)의 측면에는 측면개구부(610)가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각각 일정한 탄성을 갖는 결합구(650)와 협지구(6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650)와 협지구(620)는 탄성을 갖도록 측면개구부(610)의 일측에 돌출된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투입관체(3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장착부재(600)를 지지한다.
누름봉(700)은 상기 투입관체(36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362)를 통해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재료를 누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장착부재(600)와 한 짝(pair)을 이룬다.
누름봉(700)은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단에 원판형상의 손잡이(740)가 형성되며, 손잡이(740)는 삽입구(3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착부재(600)로부터 누름봉(700)이 불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탈거방지수단을 구비한다. 탈거방지수단은 일 예로서, 환턱(652)과 단턱(7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환턱(652)은 상기 결합구(650)의 상단에서 장착부재(600)의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720)은 상기 환턱(652)에 걸리도록 누름봉(70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다. 이때, 단턱(720)이 누름봉(700)의 하부에 형성되면 누름봉(700)의 승강폭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봉(700)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하면 단턱(720)이 환턱(652)에 걸리게 되어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착부재(600)가 결합된 착즙 드럼(200)이 구동본체에장착되는 경우 구동본체(100)의 모터(미도시)에 구동가능상태가 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결합감지수단이 구비된다. 결합감지수단은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누름봉(700)이 결합된 장착부재(600)가 뚜껑(300)에 결합되고, 뚜껑(300)이 체결된 착즙드럼(200)이 구동본체에 제대로 장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가능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반대로 전용 누름봉(700)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모터는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결합감지수단은 일 예로서, 신호를 발생하는 자성체(R)와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로 이루어진다. 자성체(R)는 상기 장착부재(600)의 일측에 형성되며, 감지센서(S)는 상기 구동본체(100)에 형성된다. 자성체(R)의 자력 범위는 근거리로 제한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센서와 근접되어야만 감지될 수 있을 정도로 자력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자성체(R)가 감지센서(S)에 근접된 상태가 된다면 장착부재(600) 및 누름봉(700)이 투입관체(360)에 제대로 결합된 상태로 뚜껑(300)이 착즙드럼(200)과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고, 아울러 착즙드럼(200)이 구동본체에 올바르게 장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감지수단은 돌기(미도시)와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기를 장착부재(600)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동본체(100)에 형성한다. 이로서 장착부재(600)가 결합되면 돌기가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게 되어 구동가능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측면 투입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착즙드럼(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투입구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특히 어린아이의 손이 착즙드럼 내부까지 충분히 깊게 들어갈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투입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굴절된 통로를 지나가야 하므로 관절이 꺾일 수 밖에 없게 되어 투입구 깊이 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칠 염려가 없게 된다. 특히 투입관체의 투입구 주변에 형성된 호퍼의 상부 외벽이 많이 돌출될 수록 투입관체 내부로의 삽입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착즙스크류(400)와 망드럼(500)을 착즙드럼(20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그 착즙드럼(200)을 구동본체(100)에 장착하고, 뚜껑(300)과 착즙드럼(200)을 체결한다. 착즙스크류(400), 망드럼(500) 및 뚜껑(300) 모두를 착즙드럼(200)에 결합한 후 이 착즙드럼(200)을 구동본체(100)에 장착하여도 좋다. 그리고 누름봉(700)의 가이드홈(760)을 투입관체(360)의 가이드돌기(366)와 결합시키면서 누름봉(700)을 투입관체(360)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구동본체(100)를 가동시키면 착즙스크류(400)가 회전하여 착즙 준비단계가 된다.
그 후 투입구(380)을 통해 착즙 재료를 넣으면서 누름봉(700)을 위,아래로 반복해서 누르면 투입된 재료가 착즙드럼(200)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때, 누름봉(700)을 아래로 누를 때에는 약간의 힘을 더하여 투입된 재료를 착즙드럼(200) 내부로 밀어 넣는다.
위와 같이 투입된 재료는 착즙스크류(400)의 회전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찌꺼기가 분리된즙이 즙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366)와 가이드홈(760)에 의해 누름봉(700)의 승강이 정확하게 안내되는 효과가 있으며, 가이드돌기(36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봉(700)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손이 삽입구(362)를 통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착즙스크류(400), 망드럼(500), 뚜껑(300) 및 착즙드럼(200)간의 상호 결합관계는 도 3의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않다.
누름봉(700)을 투입관체(360)에 끼워 넣은 후, 장착부재(600)를 투입관체(36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주어 협지구(620)와 결합구(650)의 순간적인 탄성에 의해 끼워 넣어 장착하는데, 이때, 누름봉(700)을 약간 들어 올려 손잡이(740)가 장착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장착 후에는 협지구(620)와 결합구(6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장착부재(600)가 투입관체(36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봉(700)이 투입관체(360)에 삽입되어 있으나 단턱(720)이 환턱(652)에 걸리게 되므로, 장착부재(600)를 투입관체(360)로부터 탈착시키지 않는 한 누름봉(700)이 투입관체(36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위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자성체(R)가 감지센서(S)에 근접하게 되고, 감지센서(S)가 자성체(R)의 자력을 감지하여 구동본체(100)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 자성체(R)와 감지센서(S)가 형성된 부위에 돌기(미도시)와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면, 돌기가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결합감지수단들의 작동에 의해 구동본체(100)의 모터에는 구동가능상태 신호가 제공되어, 구동본체(100)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결합된 후 재료를 투입하여 착즙하는 작동 관계는 도3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봉(700), 장착부재(600) 및 착즙드럼(200)이 결합된 상태에서만 착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재료를 손으로 집어 넣을 필요가 없으며, 누름봉(700) 대신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재료를 누를 수가 없으므로 파손, 고장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면서 투입시키기 위하여 누름봉(700)에 커터(790)를 형성하면 좋다. 커터(790)에 대응되는 칼날(blade) 등을 투입구(380) 내측면 주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누름봉(700)을 상,하로 승강시키면서 일정한 길이 간격으로 재료를 투입하면, 그에 대등하게 일정한 크기로 재료가 절단되면서 투입된다. 따라서 재료가 잘 투입되지 않거나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뚜껑을 나타낸 것으로, 재료투입구가 투입관체(360)의 최상부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뚜껑(300)은 착즙드럼(20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베이스(310)를 관통하는 투입관체(360)가 형성되고, 투입관체(360)의 상면에는 누름봉(7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362)가 구비된다. 누름봉(700)의 하단에는 삽입구(362)의 내경과 접하는 볼록부(780)가 구비되어, 누름봉(700)이 최상단까지 올려져 누름봉(700)의 하단이 삽입구(362)에 다다랐을 때 볼록부(780)가 삽입구(362)에 억지끼움되며 임시적으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투입관체(360)의 내경은 삽입구(362)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관체(360)의 측면에는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80)가 형성되도록 하여 투입관체(360) 내부와 연통시킨다. 이 투입구(380)는 재료가 투입되는 구멍으로서, 투입관체(360)의 측면 일부를 개방시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310) 저면으로부터 투입구까지의 거리(a)는 일반적인 성인 손가락 길이 정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또한 투입구(380)의 상하 폭(b)은 일반적인 성인 손바닥 두께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투입구(380)의 가로 폭(d)은 60~100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관체(360)의 단축 내경(e)은 40mm 이하가 되도록 하여 투입구를 통해 손이 삽입되었을 때 굴절된 좁은 통로로 인해 내부로 깊이 삽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입관체(360)의 외측 주변에는 투입구(380)를 감싸면서 그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330)가 형성된다. 호퍼(330)를 형성함으로써 재료가 투입될 때 주변에 흘리지 않게 된다. 호퍼(330)는 투입구(380)의 주변을 감싸는 외벽(332)과, 투입구(380) 상단에서 돌출되는 상부외벽(333)과, 투입구(380)의 하부에 대략 수평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는 바닥면(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벽(332)과 바닥면(334)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334)은 재료의 투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구(380)를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좋다. 여기서 상부외벽(333)은 투입관체(36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c)는 대략 20~4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투입구의 가로 폭, 상하 폭, 베이스 저면으로부터 투입구까지의 거리, 상부외벽의 돌출길이, 투입관체의 내경 등은 투입구로 손이 들어갔을 때 손가락 또는 손목이 꺾이게 되어 손가락 끝이 베이스 저면에 다다르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수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투입관체(360)의 상단에는 누름봉(700)을 넣을 수 있도록 삽입구(362)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362)는 투입관체(360)의 내부의 통로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봉(700)의 승강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고, 손을 넣지 못하도록 투입관체(360)의 삽입구(362)에는 안전을 위해 가이드돌기(366)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돌기(366)는 투입관체(360)의 삽입구(362)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삽입구(362)의 입구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66)는 예를 들면 내주면에 한 개 이상 배치되는데, 손이 깊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그 개수, 돌출높이, 돌출길이 등을 조절하여 형성한다.
삽입구(362)에 삽입되는 누름봉(70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66)가 수용되도록 가이드홈(760)이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스기용 착즙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수평형 주스기라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도 11은 스크류가 수평방향으로 조립되는 수평방향 조립형 주스기에 장착되는 착즙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스기용 착즙모듈은 착즙드럼(200), 착즙스크류(400), 망드럼(500)을 포함한다.
착즙드럼(200)은 원통형 실린더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 하부에는 즙을 배출하는 즙배출구(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착즙드럼(200) 일측면에는 관통된 홀을 구비하는 착즙드럼뚜껑(224)과 조절캡(222)이 결합되고 찌꺼기배출구(220)가 형성된다.
착즙스크류(400)는 착즙드럼(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결합되며, 외면에는 다수의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어 재료를 이송·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망드럼(500)은 착즙드럼(200)의 내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중공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착즙스크류(40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착즙스크류(400)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가 망드럼(500)과의 작용에 의해 분쇄, 착즙되어 발생하는 즙은 즙배출구(210)로 배출되고, 착즙된 재료는 찌꺼기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착즙드럼(200)의 일 측 상부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장방형 단면을 구비하는 관형상의 투입관체(36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관체(360)의 측면에는 착즙될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80)가 형성되도록 하여 투입관체(360) 내부와 연통시킨다. 이 투입구(380)는 재료가 투입되는 구멍으로서, 투입관체(360)의 측면 일부를 개방시켜 형성된다. 이때 투입관체(360) 저면으로부터 투입구까지의 거리는 일반적인 성인 손가락 길이 정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또한 투입구(380)의 개방된 상하 폭은 일반적인 성인 손바닥 두께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투입구(380)의 개방된 장방형의 가로 폭은 60~100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관체(360)의 단축 내경은 40mm 이하가 되도록 하여 투입구를 통해 손이 삽입되었을 때 굴절된 좁은 통로로 인해 내부로 깊이 삽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입관체(360)의 외측 주변에는 투입구(380)를 감싸면서 그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330)가 형성된다. 호퍼(330)를 형성함으로써 재료가 투입될 때 주변에 흘리지 않게 된다. 호퍼(330)는 투입구(380)의 주변을 감싸는 외벽(332)과, 투입구(380) 상단에서 돌출되는 상부외벽(333)과, 투입구(380)의 하부에 대략 수평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는 바닥면(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벽(332)과 바닥면(334)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334)은 재료의 투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구(380)를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좋다. 여기서 상부외벽(333)은 투입관체(36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대략 20~4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내지 도 10 참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투입구의 가로 폭, 상하 폭, 투입관체의 저면으로부터 투입구까지의 거리, 상부외벽의 돌출길이, 투입관체의 내경 등은 투입구로 손이 들어갔을 때 손가락 또는 손목이 꺾이게 되어 손가락 끝이 착즙스크류에 다다르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수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투입관체(360)의 상면에는 누름봉(7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362)가 구비된다. 누름봉(700)의 하단에는 삽입구(362)의 내경과 접하는 볼록부(780)가 구비되어, 누름봉(700)이 최상단까지 올려져 누름봉(700)의 하단이 삽입구(362)에 다다랐을 때 볼록부(780)가 삽입구(362)에 억지끼움되며 임시적으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투입관체(360)의 내경은 삽입구(362)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내용은 제한보다는 오히려 예증으로 간주되는 것이고,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응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예, 변경 및 수정 또한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구동본체 200: 착즙드럼
210: 즙배출구 220: 찌꺼기배출구
222: 조절캡 224: 착즙드럼뚜껑
300: 뚜껑 310: 베이스
330: 호퍼 332: 외벽
333: 상부외벽 334: 바닥면
360: 투입관체 362: 삽입구
366: 가이드돌기 380: 투입구
400: 착즙스크류 500: 망드럼
600; 장착부재 610: 측면개구부
620: 협지구 650: 결합구
652: 환턱 700: 누름봉
720: 단턱 740: 손잡이
760: 가이드홈 780: 볼록부

Claims (15)

  1. 상면은 개방되고 하단에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착즙드럼(200);
    상기 착즙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는 착즙스크류(400);
    상기 착즙드럼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착즙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망드럼(500); 및
    상기 착즙드럼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며, 일부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투입관체(360)를 갖는 뚜껑(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관체(360)의 측면에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80)와, 상기 투입구의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330)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330)는 상기 투입구(380)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상부외벽(333); 상기 투입구(38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투입구(3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외벽(333)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측 영역이 상부로 노출되는 바닥면(334); 및 상기 바닥면(3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벽(332);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300)은,
    상기 착즙드럼(200)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상기 투입관체(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3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투입구(380) 하단까지의 거리는 100mm이상이고, 상기 상부외벽(333)의 돌출길이는 20~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380)의 상하 폭은 45mm이하이고, 상기 투입구(380)의 가로 폭은 60~100mm이고, 상기 투입관체(360)의 단축 내경은 4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체(360)의 상부에는 삽입구(362)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362)를 통해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재료를 누르는 누름봉(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체(36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36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하부는 개구되고, 일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는 측면개구부(610)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개구부(610)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관체(36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협지구(620)가 형성된 장착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봉(700)이 상기 장착부재(600)에 의해 이탈이 저지되며 상기 투입관체(360) 내부를 승강하면서 투입된 재료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700)과 장착부재(600)의 분리를 방지하는 탈거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수단은,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관체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 내주면에는 환턱(652)이 형성된 결합구(650); 및
    상기 누름봉(7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환턱(652)에 걸리는 단턱(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200)은,
    상기 착즙스크류(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발생수단과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에 연결되는 구동축이 형성된 구동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600)가 결합된 상기 착즙드럼(200)이 상기 구동본체(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동가능상태가 되도록 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감지수단은,
    상기 장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R); 및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감지수단은,
    상기 장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700)의 일측에는 투입되는 재료를 절단하는 커터(7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15.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 일 측에는 즙배출구(210)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투입관체(360)가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찌꺼기배출구(220)가 형성된 착즙드럼(200); 상기 착즙드럼(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면에는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며 회전하는 착즙스크류(400); 상기 착즙드럼(2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착즙스크류(40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망드럼(500); 을 포함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체(360)는 착즙드럼(200)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베이스(310)로부터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입관체(360)의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310)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80)와, 상기 투입구(380)의 주변을 지지하는 호퍼(330)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330)는 상기 투입구(380)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상부외벽(333); 상기 투입구(38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투입구(3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외벽(333)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측 영역이 상부로 노출되는 바닥면(334); 및 상기 바닥면(3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벽(332)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투입구에 손을 넣을 때,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외벽(333)과 바닥면(334) 및 상측으로 돌출된 외벽(332)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이 착즙드럼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주스기용 착즙 모듈.
KR1020150069431A 2014-06-19 2015-05-19 주스기용 착즙 모듈 KR10171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952558A CA2952558A1 (en) 2014-06-19 2015-06-04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MYPI2016704687A MY176576A (en) 2014-06-19 2015-06-04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JP2016574063A JP2017522096A (ja) 2014-06-19 2015-06-04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MX2016017137A MX2016017137A (es) 2014-06-19 2015-06-04 Modulo exprimidor de jugo para extractor de jugo.
AU2015278485A AU2015278485B2 (en) 2014-06-19 2015-06-04 Juice-extraction module for juicer
PL15809831T PL3158896T3 (pl) 2014-06-19 2015-06-04 Moduł wyciskania soku, do sokowirówki
PCT/KR2015/005609 WO2015194775A1 (ko) 2014-06-19 2015-06-04 주스기용 착즙 모듈
EP15809831.9A EP3158896B1 (en) 2014-06-19 2015-06-04 Juice-extraction module for juicer
SG11201610561WA SG11201610561WA (en) 2014-06-19 2015-06-04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US15/319,352 US20170119189A1 (en) 2014-06-19 2015-06-04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CN201580044664.0A CN106572762A (zh) 2014-06-19 2015-06-04 用于榨汁器的汁液压榨模块
NZ727691A NZ727691A (en) 2014-06-19 2015-06-04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TW104209627U TWM518528U (zh) 2014-06-19 2015-06-16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TW104119383A TW201601665A (zh) 2014-06-19 2015-06-16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CL2016003239A CL2016003239A1 (es) 2014-06-19 2016-12-15 Módulo de extracción de jugo para un exprimidor de productos tales como frutas y vegetales, que cuenta con un tubo de inyección de productos con un orificio de inyección en su pared lateral para seguridad del usuario
PH12016502541A PH12016502541A1 (en) 2014-06-19 2016-12-19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HK17105938.5A HK1232091A1 (zh) 2014-06-19 2017-06-14 用於榨汁器的汁液壓榨模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91 2014-06-19
KR20140075091 2014-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90A KR20150146390A (ko) 2015-12-31
KR101718157B1 true KR101718157B1 (ko) 2017-03-20

Family

ID=5512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431A KR101718157B1 (ko) 2014-06-19 2015-05-19 주스기용 착즙 모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70119189A1 (ko)
EP (1) EP3158896B1 (ko)
JP (1) JP2017522096A (ko)
KR (1) KR101718157B1 (ko)
CN (1) CN106572762A (ko)
AU (1) AU2015278485B2 (ko)
CA (1) CA2952558A1 (ko)
CL (1) CL2016003239A1 (ko)
HK (1) HK1232091A1 (ko)
MX (1) MX2016017137A (ko)
MY (1) MY176576A (ko)
NZ (1) NZ727691A (ko)
PH (1) PH12016502541A1 (ko)
PL (1) PL3158896T3 (ko)
SG (1) SG11201610561WA (ko)
TW (2) TW2016016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1144A (zh) * 2015-08-06 2017-05-24 林子秾 蔬果调理机的上盖
US20170231414A1 (en) * 2016-02-12 2017-08-17 Nuwave, Llc Slow Juicer
US11013371B2 (en) * 2017-03-10 2021-05-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Wireless food processor discs
CN107373680A (zh) * 2017-08-25 2017-11-24 赵宇 核肉分离机及核肉分离系统
CN107569080A (zh) * 2017-10-25 2018-0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开盖组件及家用电器
WO2021080055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215874238U (zh) * 2021-07-18 2022-02-22 中山市瑞米智能科技有限公司 进料榨汁筒和榨汁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N100396218C (zh) * 2005-09-26 2008-06-25 梁世杰 翻盖型整果榨汁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286U (ko) * 1975-09-23 1977-03-29
US20080115677A1 (en) * 2006-11-16 2008-05-22 Rong-Yuan Tseng Food processor with combined grinding and juice extracting functions
US8939070B2 (en) * 2008-05-01 2015-01-27 Electrical Investments Limited Juicer
KR200460851Y1 (ko) * 2009-03-02 2012-06-11 김영기 원액기
KR20110138108A (ko) * 2010-06-18 2011-12-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US20130074708A1 (en) * 2011-09-27 2013-03-28 Greenfield World Trade, Inc. Vertical juicer with compression strainer device
CN203074248U (zh) * 2013-01-30 2013-07-24 宁波霈宸电器有限公司 挤压式慢速榨汁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6218C (zh) * 2005-09-26 2008-06-25 梁世杰 翻盖型整果榨汁机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32091A1 (zh) 2018-01-05
EP3158896A4 (en) 2018-07-04
PL3158896T3 (pl) 2020-03-31
MY176576A (en) 2020-08-17
CN106572762A (zh) 2017-04-19
AU2015278485A1 (en) 2017-01-12
TWM518528U (zh) 2016-03-11
EP3158896B1 (en) 2019-10-16
NZ727691A (en) 2018-06-29
CL2016003239A1 (es) 2017-05-26
CA2952558A1 (en) 2015-12-23
KR20150146390A (ko) 2015-12-31
PH12016502541B1 (en) 2017-04-10
EP3158896A1 (en) 2017-04-26
TW201601665A (zh) 2016-01-16
MX2016017137A (es) 2017-08-21
US20170119189A1 (en) 2017-05-04
SG11201610561WA (en) 2017-01-27
JP2017522096A (ja) 2017-08-10
AU2015278485B2 (en) 2018-10-25
PH12016502541A1 (en)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157B1 (ko) 주스기용 착즙 모듈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343599B1 (ko)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AU2010100883B4 (en) Improved Juicer with Feedtube
TW575404B (en) Food processing appliance
KR200460851Y1 (ko) 원액기
TW201417751A (zh) 用於榨汁機的榨汁模組
KR200497039Y1 (ko) 착즙기
CN205162695U (zh) 榨汁机
US20160120353A1 (en) Juice extractor
WO2016091182A1 (zh) 一种螺杆挤压榨汁机
TWM574455U (zh) 可拆分螺桿及使用該可拆分螺桿的榨汁桶
CN101385616B (zh) 包括带有配备两部分推杆的供料管的盖子的厨用家电设备
ES2211811T3 (es) Recipiente de trabajo para recoger y tratar alimentos.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0497316Y1 (ko) 착즙기
CN210144440U (zh) 榨汁组件及榨汁机
WO2015194775A1 (ko) 주스기용 착즙 모듈
KR102287205B1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A2869646C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200459806Y1 (ko) 주서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