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93U -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93U
KR20080004093U KR2020070005393U KR20070005393U KR20080004093U KR 20080004093 U KR20080004093 U KR 20080004093U KR 2020070005393 U KR2020070005393 U KR 2020070005393U KR 20070005393 U KR20070005393 U KR 20070005393U KR 20080004093 U KR20080004093 U KR 20080004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ruit
opening
vegetabl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헌
Original Assignee
박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헌 filed Critical 박준헌
Priority to KR2020070005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093U/ko
Publication of KR20080004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등에서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채류인 양파, 마늘, 무, 기타 과일 등의 절단 작업에 있어서 과채류의 특성에 맞는 복수의 절단 장치를 동시에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재료를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재료를 받아 수용하는 받침용기와 도마가 장치에 포함되면서도 콤팩트한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면이 좌우로 구분되어 제1상면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상면에는 각 귀퉁이에 착탈돌기를 갖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면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제1개구부에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날이 상부로 향하는 제1절단날이 틈을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절단틀이 장착되고, 상기 절단틀의 일측 또는 상기 제1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절단틀 상에 놓여진 과채류를 상기 제1절단날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회동되되 하부에 상기 제1절단날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틀이 부착된 가압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된 제1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제2개구부에 착탈되도록 하부 각 모서리의 내측은 상기 착탈돌기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제2절단날이 장착됨과 더불어 절단된 과채류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소정의 통과틈새가 형성된 베이스판이 구비된 제2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그 하단이 걸쳐지며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는 도마와; 상기 도마의 상부에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의 하부 또는 상기 제2개구부의 하부로 떨어지는 절단된 과채류를 받아 수용하는 받침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채류, 과일, 채소, 양파, 마늘, 절단, 절편

Description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COMPOSITE DEVICE FOR CUTTING FRUIT AND VEGETA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과채류절단수단을 확대해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과채류절단수단의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과채류절단수단에 다른 제1절단틀과 다른 가압돌기틀을 장착하여 그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파지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하우징
11 제1개구부
12 제2개구부
12a 착탈돌기
13 전면개구부
14 걸림턱
20 제1과채류절단수단
21 절단틀
21a 제1절단날
21b 틈
22 가압판
22a 힌지
22b 가압돌기틀
22b' 슬라이딩돌기부
22c 끼움홈부
22d 슬라이딩홈부
23 레버
23a 끼움돌기부
30 제2과채류절단수단
31 베이스판
31a 제2절단날
31a' 제2절단날보호커버
31b 통과틈새
31c 가이드돌기부
32 가압슬라이딩판
32a 슬라이딩가이드부
32b 이탈방지턱
33 파지부
40 받침용기
50 도마
본 고안은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등에서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채류인 양파, 마늘, 무, 기타 과일 등의 절단 작업에 있어서 과채류의 특성에 맞는 복수의 절단 장치를 동시에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재료를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재료를 받아 수용하는 받침용기와 도마가 장치에 포함되면서도 콤팩트한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의 절단 작업을 위해서는 바닥에 도마를 놓고 그 상부에서 한 손으로는 과채류를 지지하고, 다른 손으로 식칼 등을 파지하여 절단 작업을 하 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울퉁불퉁한 과채류 등의 절단 작업을 하는 경우 칼의 조작이 숙달되지 못한 작업자는 날카로운 칼에 찔리거나, 과채류 등이 상기 도마로부터 이탈되어 이물질이 묻는 등 절단 작업이 매우 더디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절단된 과채류의 형태가 불규칙하게 되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출원인은 2006년 3월 29일에 출원번호 제20-2006-0008381호(고안의 명칭: 과채류 절단기)를 출원한 바 있으나, 이는 과채류 중에서도 특히, 양파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과채류를 그 특성에 맞게 절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과채류의 특성에 맞는 각각의 과채류를 절단하는 장치가 존재 하기는 하나 사용자는 모두 개별적으로 구입해서 각각 따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로 인하여 보관상에 부피를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복수의 과채류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협소한 주방공간에 여러 종류의 과채류 절단장치 및 받침용기, 도마까지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과채류 중 마늘 등을 얇게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과채류 절단 장치는 특별히 제작된 바 없어, 도마 위에서 식칼로 작업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채류를 과채류절단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규격으로 보다 용이하 고 안전하게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복합 과채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복수의 과채류절단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제2과채류절단수단을 착탈하는 방법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과채류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 비교적 협소한 주방공간에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단된 과채류를 수용하는 받침용기와 절단된 과채류를 가공하기 위한 도마를 두어 과채류 절단 작업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도구들이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도록 하여 콤팩트 하면서도 편리한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채류 중 특히 마늘을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도록 제2절단날을 수평하게 장착하고, 과채류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제2절단날에 과채류가 동시에 접촉하여 많은 힘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2절단날에 순차적으로 과채류가 접촉하도록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제2절단날을 배치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과채류를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할 수 있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면이 좌우로 구분되어 제1상면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상면에는 각 귀퉁이에 착탈돌기를 갖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면개구부가 형성되 고,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제1개구부에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날이 상부로 향하는 제1절단날이 틈을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절단틀이 장착되고, 상기 절단틀의 일측 또는 상기 제1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절단틀 상에 놓여진 과채류를 상기 제1절단날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회동되되 하부에 상기 제1절단날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틀이 부착된 가압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된 제1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제2개구부에 착탈되도록 하부 각 모서리의 내측은 상기 착탈돌기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제2절단날이 장착됨과 더불어 절단된 과채류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소정의 통과틈새가 형성된 베이스판이 구비된 제2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그 하단이 걸쳐지며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는 도마와; 상기 도마의 상부에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의 하부 또는 상기 제2개구부의 하부로 떨어지는 절단된 과채류를 받아 수용하는 받침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과채류를 소정의 규정으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고,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복수의 과채류절단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제2과채류절단수단은 착탈하는 방법으로 과채류의 특성에 맞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게 되고, 받침용기 및 도마가 장치 내에 포함됨으로써 과채류 절단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도구까지 구비하면서도 콤팩트한 외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제1개구부에 상기 제1절단틀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절단틀의 형상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의 양측 말단의 하부에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틀의 양측 말단에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슬라이딩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부가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에 상기 가압돌기틀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절단틀을 용도에 맞는 형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절단틀의 형상에 따라 가압돌기틀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과채류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끼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부가 상기 끼움홈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상기 가압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받는 레버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게 되고,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레버를 보관시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제2개구부에서 분리되어 독립하여 사용되는 경우 하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소정 정도 떨어진 위치의 하부에 손가락이 걸리는 형상 의 파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과채류절단수단을 독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쉽게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절단날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를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도록 날이 수평하게 장착되되 과채류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고, 상기 통과틈새가 절단된 과채류를 하부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2절단날의 하부에 상기 제2절단날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말단에 각각 가이드돌기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놓인 과채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판부재로,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외측을 감싸며 슬라이딩 되도록 좌우측 말단의 하부로 각각 돌출된 슬라이딩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가 이탈되지 않도록 전후방 말단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가압슬라이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과채류 중 특히 손으로 파지하기 힘든 마늘을 가압슬라이딩판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되어 손쉽게 과채류를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할 수 있게 되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과채류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과채류절단수단의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사시도 및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하우징(10)과, 제1과채류절단수단(20)과, 제2과채류절단수단(30)과, 받침용기(40)와, 도마(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개략적으로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와, 전면개구부(13)와, 걸림턱(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좌우로 구분되는데, 제1상면에는 제1개구부(11)를 관통 형성하고, 제2상면에는 제2개구부(12)를 관통 형성한다.
상기 제1개구부(11)에는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20) 중 제1절단틀(2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개구부(12)에는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 전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감안하면,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이 상기 제2개구부(12)에 장착되었을 때 그 높이가 상기 제1상면과 같아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상면은 상기 제2상면보다는 높게 단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과채류 절단 작업에 있어서나 보관상에 있어 편의를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전면개구부(13)를 관통 형성하여 받침용기(40) 및 도마(50)가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4)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받침용기(40) 및 도마(50)가 상기 전면개구부(13)에 삽입되었을 때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2 또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20)은, 과채류 중 특히 양파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 절단틀(21)과, 가압판(22)과, 레버(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틀(21)은, 과채류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절단틀(21)에는 날이 상부로 향하는 제1절단날(21a)이 틈(21b)을 갖고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절단틀(21)이 상기 제1개구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절단틀(21)을 상기 제1절단날(21a)의 틈(21b)을 달리 형성한 다른 절단틀(21)로 교체함으로써 절단되는 과채류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절단날(21a)을 사각형상이나 삼각형상 등 특정한 형상으로도 형성하여 절단되는 과채류의 형상를 조절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가압판(22)은, 상기 절단틀(21)에 놓여진 과채류를 상기 제1절단날(21a) 방향으로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틀(21)의 일측 또는 상기 제1개구부(11a)의 일측에 힌지(22a)로 연결하여 회동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개구부(11a)의 일측에 힌지(22a)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는 상기 가압판(22)에는 상기 제1절단날 사이의 틈(21b)으로 삽입되며 가압하는 가압돌기틀(22b)을 두어 절단된 과채류가 남김없이 상기 제1개구부(11)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압판(22)의 양측 말단의 하부에 슬라이딩홈부(22d)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돌기틀(22b)의 양측 말단에 상기 슬라이딩홈부(22d)에 대응되는 형상의 슬라이딩돌기부(22b')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돌기부(22b')가 상기 슬라이딩홈부(22d)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22)에 상기 가압돌기틀(22b)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되어 교체되는 상기 제1절단틀(21)의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가압돌기틀(22b)도 교체하여 절단된 과채류를 남김없이 상기 제1개구부(11)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버(23)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과채류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22)에 상기 힌지(22a)가 연결된 반대측으로 길게 장착하는데, 도 2에 도시된 확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23)가 상기 가압판(22)에 착탈되도록 상기 가압판(22)의 상부에는 끼움홈부(22c)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23)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부(22c)에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기부(23a)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부(23a)가 상기 끼움홈부(22c)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레버(23)가 상기 가압판(22)에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받는 상기 레버(23)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게 되고,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상기 레버(23)를 보관시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은, 과채류 중 특히 마늘을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31)과, 가압슬라이딩판(32)과, 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은, 상기 제2개구부(12)에 착탈되도록 하부 각 모서리의 내측을 상기 착탈돌기(12a)에 끼워지도록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의 하부를 상기 제2개구부(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착탈돌기(12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31)은, 과채류가 놓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절단되는 곳으로 제2절단날(31a)과, 통과틈새(31b)와, 가이드돌기부(31c)와, 안내선(31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절단날(31a)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를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도록 날을 수평하게 장착한다. 도 6에서는 상기 제2절단날(31a)을 수평하게 장착하여 과채류가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되는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2절단날(31a)은, 절단 작업시 동시에 많은 과채류가 접촉하여 많은 힘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과채류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장착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절단날(21a)은 보관시 상기 가압판(22)에 의해 덮혀 보호됨에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단날(31a)은 보관시에도 외부로 노출됨을 고려하여, 상기 제2절단날(31a)에는 보관시 제2절단날(31a)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날카로운 제2절단날(31a)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자 제2절단날보호커버(31a')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틈새(31b)는, 상기 제2절단날(31a)에 의해 절단된 과채류를 하부로 통과시켜 상기 제2개구부(12)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 상기 제2절단날(31a)의 하부에 상기 제2절단날(31a)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하여, 과채류가 상기 제2절단날(31a)에 의하여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통과틈새(31b)를 통하여 하부로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부(31c)는, 상기 베이스판(31)의 길이방향의 양측 말단에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는데, 상기 베이스판(31)에 놓인 과채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돌기부(31c)의 외측을 감싸는 가압슬라이딩판(32)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아울러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부(31c)는 상기 베이스판(31)의 양측 말단 뿐만 아니라 전후방의 말단에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판(31)에 놓인 과채류가 전후방으로도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선(31d)은, 상기 베이스판(31)에 놓인 과채류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안내선(31d)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의 상 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은, 상기 베이스판(31)에 놓인 과채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판(3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판부재로, 슬라이딩가이드부(32a)와, 이탈방지턱(32b)과, 손잡이(32c)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32a)는,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이 상기 가이드돌기부(31c)의 외측을 감싸며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의 좌우측 말단의 하부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돌기부(31c)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32a)에 의하여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이 상기 베이스판(31)의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왕복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턱(32b)은,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가 전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의 전후방 말단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돌기부(31c)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의 하부에 놓이게 되는 과채류가 가압슬라이딩판(32)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이탈되지 않고 함께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2절단날(31a)에 의해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35c)는, 사용자가 손으로 과채류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슬라이딩판(32)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파지부(33)는,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이 상기 제2개구부(12)에서 분리되어 독립하여 사용되는 경우 하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소정 정도 떨어진 위치의 하부에 손가락이 걸리도록 형성하여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이 상기 제2개구부(12)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이 상기 제2개구부(12)에서 분리되어 독립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의 측면과 함께 하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공지된 바와 같이 무를 채로 썰기 위한 과채류절단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제2과채류절단수단(30)이 상기 제2개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과채류 특성에 맞는 절단수단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마(5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그 하단이 걸쳐지며 상기 전면개구부(13)에 삽입된다.
상기 받침용기(40)는, 상기 도마(50)의 상부에 상기 전면개구부(12)로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11)의 또는 상기 제2개구부(12)의 하부로 떨어지는 절단된 과채류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받침용기(40)를 둠으로써 종래의 과채류 절단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그 하부에 따로 접시 등을 따로 받쳐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받침용기(40) 및 도마(50)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과채류 절단 작업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도구들을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콤팩트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장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채류를 과채류절단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규격으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복수의 과채류절단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제2과채류절단수단을 착탈하는 방법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과채류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 비교적 협소한 주방공간에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절단된 과채류를 수용하는 받침용기와 도마를 두어 과채류 절단 작업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도구들이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어 콤팩트하면서도 편리하게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과채류 중 특히 마늘을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도록 제2절단날을 수평하게 장착하고, 과채류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제2절단날에 과채류가 동시에 접촉하여 많은 힘이 들어가는 것 을 방지하고자, 제2절단날에 순차적으로 과채류가 접촉하도록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제2절단날을 배치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과채류를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면이 좌우로 구분되어 제1상면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상면에는 각 귀퉁이에 착탈돌기를 갖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면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제1개구부에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날이 상부로 향하는 제1절단날이 틈을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절단틀이 장착되고, 상기 절단틀의 일측 또는 상기 제1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절단틀 상에 놓여진 과채류를 상기 제1절단날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회동되되 하부에 상기 제1절단날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틀이 부착된 가압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된 제1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제2개구부에 착탈되도록 하부 각 모서리의 내측은 상기 착탈돌기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과채류를 절단하도록 제2절단날이 장착됨과 더불어 절단된 과채류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도록 소정의 통과틈새가 형성된 베이스판이 구비된 제2과채류절단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그 하단이 걸쳐지며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는 도마와;
    상기 도마의 상부에 상기 전면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의 하부 또는 상기 제2개구부의 하부로 떨어지는 절단된 과채류를 받아 수용하는 받침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제1개구부에 상기 제1절단틀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절단틀의 형상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의 양측 말단의 하부에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틀의 양측 말단에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슬라이딩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부가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에 상기 가압돌기틀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끼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부가 상기 끼움홈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상기 가압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제2개구부에서 분리되어 독립하여 사용되는 경우 하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소정 정도 떨어진 위치의 하부에 손가락이 걸리는 형상의 파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의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절단날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를 얇은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도록 날이 수평하게 장착되되 과채류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고, 상기 통과틈새가 절단된 과채류를 하부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2절단날의 하부에 상기 제2절단날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말단에 각각 가이드돌기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과채류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놓인 과채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판부재로,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외측을 감싸며 슬라이딩 되도록 좌우측 말단의 하부로 각각 돌출된 슬라이딩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되는 과채류가 이탈되지 않도록 전후방 말단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가압슬라이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KR2020070005393U 2007-03-19 2007-04-02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KR200800040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393U KR20080004093U (ko) 2007-03-19 2007-04-02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89 2007-03-19
KR2020070005393U KR20080004093U (ko) 2007-03-19 2007-04-02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93U true KR20080004093U (ko) 2008-09-24

Family

ID=4132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393U KR20080004093U (ko) 2007-03-19 2007-04-02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093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7A (ko) 2017-04-04 2018-10-12 금난영 세절 장치
KR20180117970A (ko) * 2017-04-20 2018-10-30 이충환 두부 절단기
KR20190082027A (ko) 2017-12-29 2019-07-09 울산과학기술원 식품 가공 장치
KR102173967B1 (ko) * 2019-07-09 2020-11-05 노병문 과채 절단기
CN112444420A (zh) * 2020-10-15 2021-03-05 华东交通大学 一种设施农业根茎类蔬菜取样器及其使用方法
CN112444420B (zh) * 2020-10-15 2024-05-31 华东交通大学 一种设施农业根茎类蔬菜取样器及其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7A (ko) 2017-04-04 2018-10-12 금난영 세절 장치
KR20180117970A (ko) * 2017-04-20 2018-10-30 이충환 두부 절단기
KR20190082027A (ko) 2017-12-29 2019-07-09 울산과학기술원 식품 가공 장치
KR102173967B1 (ko) * 2019-07-09 2020-11-05 노병문 과채 절단기
CN112444420A (zh) * 2020-10-15 2021-03-05 华东交通大学 一种设施农业根茎类蔬菜取样器及其使用方法
CN112444420B (zh) * 2020-10-15 2024-05-31 华东交通大学 一种设施农业根茎类蔬菜取样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1973A1 (en) Device for cutting fruit and vegetables, in particular onions
US7882641B2 (en) Device for cutting produce, in particular vegetables or fruit
RU2366353C2 (ru) Терк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CA2556866C (en) Device for cutting fruit and vegetables, especially onions
US6371470B1 (en) Cutting board with funnel
US20090282990A1 (en) Apparatus for cutting food items
US20100224041A1 (en) Food slicer
CA2652342A1 (en) Food cutting device
JP6144822B2 (ja) 食物細分装置
JP3139849U (ja) スライス装置
KR20080004093U (ko)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KR20200002107U (ko) 채 썰기 장치
US20110107602A1 (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2019638B1 (ko) 안전 채칼 기구
KR101678493B1 (ko) 내용물 절단형 강선이 구비된 용기
KR20190107834A (ko) 다기능 도마
KR101530838B1 (ko) 다용도 도마
US20110180981A1 (en) Interchangeable cutting board device with detachable cutting assembly
US20060012097A1 (en) Cutting board and receptacle assembly
KR102102528B1 (ko) 다용도 채칼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KR102094080B1 (ko)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EP2111954B1 (en) Slicing device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JP3048006U (ja) さいの目切り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