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56Y1 - 저소음 댐퍼 - Google Patents
저소음 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0856Y1 KR200480856Y1 KR2020140007839U KR20140007839U KR200480856Y1 KR 200480856 Y1 KR200480856 Y1 KR 200480856Y1 KR 2020140007839 U KR2020140007839 U KR 2020140007839U KR 20140007839 U KR20140007839 U KR 20140007839U KR 200480856 Y1 KR200480856 Y1 KR 2004808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per
- duct
- lever
- air
- noi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저소음 댐퍼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덕트,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유로를 유선형으로 개폐시키는 댐퍼, 상기 댐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레버를 마련하여 댐퍼의 형상이 항상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흐름이 보다 완만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공기의 흐름이 완만하게 흐름에 따라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상하 대칭되는 댐퍼에 의해 댐퍼의 개폐 정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저소음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내부의 공기 흐름을 양호하게 함은 물론 공기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저소음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은 선박 구조 자체의 이동성, 각 구역(Zone)에 작용하는 공조 부하의 변화성 그리고 선박구조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선박은 일반 건물과 다른 벽체구조, 좁은 거주공간 그리고 태풍 등과 같은 비와 바람에 대비한 수밀형의 창문을 가지고, 각 거주공간이 완전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에서 재실 인원에 대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공조용 덕트를 통해 각각의 거주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할 때 공조용 덕트 상에 풍량 조절 댐퍼 및 역류 방지 댐퍼 등이 설치된다. 하지만 공간이 협소한 경우 2가지 댐퍼를 모두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댐퍼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덕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공기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덕트는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 등의 조건을 설치된 장소의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건물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풍량조절댐퍼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때 플렉시블 덕트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풍량조절댐퍼와 본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되고, 풍량조절댐퍼와 본체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통로에 의해 강한 바람소리와 같은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덕트에 설치되는 댐퍼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 내부에는 공기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2)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2)는 댐퍼(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2)는 레버(3)에 의해 그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공기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댐퍼(2)의 상단과 하단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전되어 있으므로, 댐퍼(2)를 통과한 공기는 댐퍼(2)의 후단을 지나면서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는 유체의 유동 흐름이 흐트러짐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소음은 거주구 등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소음 공해를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댐퍼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댐퍼 유닛에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 통로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체 역류(逆流) 시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유체 순류(順流) 시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순류 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공기 흐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의 공기 흐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 댐퍼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은 왕복 운동 중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벽과 맞물리는 밀봉재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재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면에 의해 맞물려지며, 상기 피스톤의 상기 내부면이 평면으로부터 변화함으로써 상기 내부면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틈(interstices)을 형성시키며, 이로써 상기 밀봉재와 상기 내부면의 변화부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공기 댐퍼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 상의 평면으로부터의 상기 변화부는 상기 내부면의 결을 만드는 것(textur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저소음 댐퍼는 개폐부재를 스토퍼 부재 및 잠금 부재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나, 개폐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공기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므로 공기의 흐름에 따른 와류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개폐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므로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저소음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댐퍼의 변형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흐름에 따른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할 수 있는 저소음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저소음 댐퍼는 일정 길이를 갖는 덕트,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유로를 유선형으로 개폐시키는 댐퍼, 상기 댐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는 그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는 유연한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덕트의 높이를 상하로 등분되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와 제2 댐퍼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댐퍼의 개폐를 조정하는 레버, 상기 제2 댐퍼에는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보조 레버, 상기 레버와 보조 레버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에는 상기 레버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톱니 모양으로 안내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소음 댐퍼에 의하면, 댐퍼의 형상이 항상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흐름이 보다 완만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공기의 흐름이 완만하게 이동됨에 따라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상하 대칭되는 댐퍼에 의해 댐퍼의 개폐 정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덕트에 설치되는 댐퍼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공기 흐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변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공기 흐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변형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공기 흐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는 일정 길이를 갖는 덕트(10), 상기 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덕트(10)의 유로를 유선형으로 개폐시키는 댐퍼(20), 상기 댐퍼(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레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는 덕트(10)의 내부 유로를 유선형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덕트(10)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덕트(10)는 공기조화기(미도시) 등에 연결 설치되어 선박의 거주구 등에 신선하면서도 청정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덕트(10)에는 필요에 따라 공기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덕트(10)에는 댐퍼(20)의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댐퍼(20)의 이동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안내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구멍(11)은 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구멍(21)의 일측 또는 양측은 레버(22)의 이동된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덕트(10) 내부에는 댐퍼(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20)는 그 형태적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댐퍼(20)는 두께가 얇은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덕트의 개폐 시 유선형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댐퍼(20)는 덕트(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댐퍼(21)와 덕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게2 댐퍼(2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는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는 덕트(10)의 높이를 2등분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덕트(10)의 내부 상측과 하측을 동일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 댐퍼(21)에는 덕트(1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정할 수 있는 레버(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는 덕트(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11)을 통과하여 덕트(10)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댐퍼(21)에는 덕트(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11)을 통과하여 덕트(10)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보조 레버(2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버(22)와 보조 레버(24)는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가 동일하게 개폐되도록 동시에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의 개폐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덕트(10) 내부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상하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버(22)와 보조 레버(24)는 덕트(10)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25)에 의해 일체로 이동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프레임(25)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는 공기조화기(미도시) 등과 연결된 덕트(10)에 설치되어 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덕트(10)에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덕트(10)의 상·하면에 각각 소정 길이를 갖는 안내구멍(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구멍(11)은 댐퍼(20)의 길이 조절 시 레버(22)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톱니(미도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레버(22)는 톱니 사이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레버(22)는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게 되어 댐퍼(20)의 개폐 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10)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20)는 덕트(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 댐퍼(21)와 덕트(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댐퍼(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퍼(20)는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댐퍼(20)의 일단은 덕트(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은 레버(22) 및 보조 레버(24)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댐퍼(20)의 개폐에 따른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는 상하로 균등하게 분할되어 있으며, 제1 댐퍼(21)에는 공기량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레버(22)를 고정할 수 있고, 제2 댐퍼(23)에는 레버(22)와 함께 이동되는 보조 레버(24)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레버(22)와 보조 레버(24)는 대략 'ㄷ'자 형상의 연결 프레임(25)에 의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댐퍼의 변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저소음 댐퍼는 덕트(10)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댐퍼(20)의 형상이 항상 유선형으로 개폐될 수 있다. 댐퍼(20)에 고정된 레버(22)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1 댐퍼(21)와 제2 댐퍼(23)는 레버(22)와 동일하게 이동되며, 레버(22)에 의해 댐퍼(21, 23)는 항상 유선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댐퍼(20)가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공기의 흐름은 유선형으로 개방된 댐퍼(20)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댐퍼(20)가 유선형으로 개폐됨에 따라 공기의 흐름에 따른 와류의 발생이 최소화 되며, 와류의 발생이 적어 공기 흐름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덕트(10) 내부에 설치된 레버(22)의 이동에 따라 댐퍼(20)가 각각 다르게 변형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적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댐퍼(20)는 레버(22)를 이동시킴에 따라 도 4(a), 도 4(b), 도 4(c)에서와 같이, 그 형태적인 유선형의 변형 정도가 각각 달라지게 된다.
도 4(a)에서와 같이, 댐퍼(21, 23)가 서로 근접하게 밀착되게 개방됨에 따라 공기량은 줄어들게 되고, 공기의 흐름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댐퍼(21, 23)의 외면을 따라 서서히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덕트(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유선형의 댐퍼(10)의 외면을 따라 서서히 이동되어 공기 흐름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또 도 4(b)에서와 같이, 레버(22)를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댐퍼(21) 및 제2 댐퍼(23)는 비교적 완만한 형상의 유선형으로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에 덕트(10)를 통과하는 공기는 도 4(a) 보다 공기량이 증가하게 되고, 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더라도 유선형의 댐퍼(21, 23)를 따라 완만하게 이동된다.
이에 공기는 댐퍼(21, 23)의 외면을 따라 완만하게 이동되어 와류가 발생되지 않게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c)에서와 갈이, 레버(22)를 도면상 가장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댐퍼(21, 23)는 각각 덕트(10)의 내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공기는 덕트(10)를 따라 장애물이 없는 형태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덕트(10)의 전체가 개방되어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댐퍼(20)는 항상 유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덕트(1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유선형의 댐퍼(20)를 따라 완만하게 이동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덕트 11: 안내구멍
20: 댐퍼 21: 제1 댐퍼
22: 레버 23: 제2 댐퍼
24: 보조 레버 25: 연결 프레임
20: 댐퍼 21: 제1 댐퍼
22: 레버 23: 제2 댐퍼
24: 보조 레버 25: 연결 프레임
Claims (5)
- 일정 길이를 갖는 덕트,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유로를 유선형으로 개폐시키는 댐퍼,
상기 댐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덕트의 높이를 상하로 등분되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와 제2 댐퍼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댐퍼의 개폐를 조정하는 레버, 상기 제2 댐퍼에는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보조 레버, 상기 레버와 보조 레버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에는 상기 레버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톱니 모양으로 안내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그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는 유연한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댐퍼.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839U KR200480856Y1 (ko) | 2014-10-28 | 2014-10-28 | 저소음 댐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839U KR200480856Y1 (ko) | 2014-10-28 | 2014-10-28 | 저소음 댐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485U KR20160001485U (ko) | 2016-05-10 |
KR200480856Y1 true KR200480856Y1 (ko) | 2016-07-14 |
Family
ID=5602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7839U KR200480856Y1 (ko) | 2014-10-28 | 2014-10-28 | 저소음 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085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6108B1 (ko) * | 2020-05-15 | 2021-04-05 | 한화시스템(주) | 전투 함정의 공조용 덕트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6475B1 (en) | 1999-11-08 | 2001-01-23 | Illinois Tool Works Inc. | Air damper with adjustable air flow rate |
KR101324311B1 (ko) | 2011-05-25 | 2013-11-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댐퍼 유닛 |
KR20130024444A (ko) * | 2011-08-31 | 2013-03-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소음차단 기능을 갖는 에어 량 조절장치 |
KR101415072B1 (ko) * | 2012-09-18 | 2014-07-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유동 저항 저감장치 |
-
2014
- 2014-10-28 KR KR2020140007839U patent/KR200480856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485U (ko) | 2016-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27501B2 (en) | Outlet device | |
US9249983B2 (en) | Air supply shutter for livestock buildings | |
CA2885942C (en) | Counterweighted backdraft damper blade with improved airflow profile | |
KR101778699B1 (ko) | 환기 장치 | |
US20100124876A1 (en) | Air duct outlet | |
CN104125891B (zh) | 用于机动车辆内部的通风的回风阻挡设备 | |
CN107044543B (zh) | 二段式电子膨胀阀 | |
EP3436750B1 (en) | Variable air flow valve | |
KR200480856Y1 (ko) | 저소음 댐퍼 | |
KR100756086B1 (ko) | 차량용 공기조화기 | |
JP6375182B2 (ja) | 建具 | |
WO2016136169A1 (ja) | 通風装置 | |
EP1469258A1 (en) | Flap valve arrangement | |
JP4888907B2 (ja) | 建具用弁装置及び建具 | |
JP2005273256A (ja) | 換気装置 | |
US20140273789A1 (en) | Hvac case design for reduced valve noise | |
US10767894B1 (en) | Air register | |
JP4940769B2 (ja) | 空調ダクト | |
JP2005221237A (ja) | 車両試験システム | |
KR101516265B1 (ko) | 풍향 감응식 윈드 가이드 | |
JP6563245B2 (ja) | 換気装置 | |
EP4286642B1 (en) | Ventilation grille | |
KR20170002068U (ko) | 핸들 조작용 댐퍼 | |
KR102640401B1 (ko) | 곡관용 유량조절댐퍼 | |
US1971556A (en) | Ventilato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