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64Y1 - 듀얼 구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듀얼 구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64Y1
KR200480464Y1 KR2020140006749U KR20140006749U KR200480464Y1 KR 200480464 Y1 KR200480464 Y1 KR 200480464Y1 KR 2020140006749 U KR2020140006749 U KR 2020140006749U KR 20140006749 U KR20140006749 U KR 20140006749U KR 200480464 Y1 KR200480464 Y1 KR 20048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wheel set
pipe
shaft
stee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965U (ko
Inventor
런-펀 장
Original Assignee
옵티멀 메디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멀 메디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옵티멀 메디컬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40006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6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Abstract

본 고안의 듀얼 구동 휠체어는 휠체어 프레임, 전방 구동 휠세트, 후방 구동 휠세트, 제1 조향 구조, 지지 구조 및 조종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는 환자 착석을 위한 좌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는 세로대 및 상기 세로대에 연결된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의 양단은 각각 후륜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 구조는 일단이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세로대에 끼움 설치되는 축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조향 구조의 제1 조향 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제2 조향 부재와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향 부재는 상기 세로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조종 구조의 한 쌍의 홀딩 레버는 상기 제1 조향 부재의 제1 단부의 하측에 연결된 샤프트 슬리브에 고정 연결된다. 이를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는 손으로 상기 조종 구조를 잡고, 상기 휠체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후륜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듀얼 구동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구동 휠체어{DUAL DRIVE WHEELCHAIR}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구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활식 휠체어는 보호자가 잡고 밀도록 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행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를 이용할 때, 자력방식으로 두 발로 페달을 밟아 휠체어를 움직이고, 이를 통해 재활 효과를 얻도록 하는 페달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재활식 휠체어의 페달 구조는 휠체어의 작동에 따라 동기 회전하므로, 다리가 골절되거나 또는 하반신 마비 환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재활식 휠체어는 환자가 스스로 조작하여 전진하는 과정에서 휠체어의 조향 조작을 수행하도록 손잡이에 조향 제어 장치가 있으나, 조향 제어 장치는 한쪽 손잡이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우측 손잡이에 설치될 경우,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에 상처를 입은 자가 사용하는 경우 각종 상황에 대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재활식 휠체어는 완벽하지 않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환자가 독립적으로 조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페달 기능 없는 일반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는 듀얼 구동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듀얼 구동 휠체어는 휠체어 프레임, 전방 구동 휠세트, 후방 구동 휠세트, 제1 조향 구조, 지지 구조 및 조종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는 착석을 위한 좌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는 한 쌍의 전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는 양단이 각각 후륜에 연결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에 연결되는 세로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 하측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과 축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에 연결되며, 상기 축관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기 세로대가 관통 설치되는 축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조향 구조는 제1 조향 부재, 제2 조향 부재 및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조향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제1 단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향 부재와 피봇 연결된다. 상기 제2 조향 부재는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기 세로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조종 구조는 손으로 잡는 한 쌍의 홀딩 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 슬리브에 고정 연결된다.
본 고안의 휠체어는 환자가 스스로 조작하기에 적합하고 재활에 사용되며, 또한 선택적으로 페달 기능이 없이 보호자 도움을 받는 일반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구동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부분 단면도이며, 스프링이 고정고리와 연결관 사이에 설치된 구조 관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부분 단면도이며, 전방 구동 휠세트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부분 단면도이며, 조종 구조, 제1 조향 구조 및 후방 구동 휠세트의 비조향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부분 단면도이며, 조종 구조, 제2 조향 구조와 전방 구동 휠세트가 조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부분 단면도이며, 조종 구조가 오른쪽으로 조향될 때, 제1 조향 구조와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부분 단면도이며, 조종 구조가 왼쪽으로 조향될 때, 제2 조향 구조와 전방 구동 휠세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와 마찬가지로, 조종 구조가 왼쪽으로 조항될 때, 제2 조향 구조와 전방 구동 휠세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면과 결합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듀얼 구동 휠체어(100)는 휠체어 프레임(12), 지지 구조(16), 후방 구동 휠세트(22), 전방 구동 휠세트(30), 제1 조향 구조(42), 제2 조향 구조(54) 및 조종 구조(60)를 포함한다.
도 1~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휠체어 프레임(12)은 환자가 앉는 좌판(14)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구조(16)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12)의 하측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18)과 축관(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8)은 연신관(181), 이음관(182), 고정관(183) 및 수직관(1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신관(181)은 L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181a) 및 직립부(181b)로 나뉘고, 상기 직립부(181b)의 상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18)이 상기 휠체어 프레임(12)에 대해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휠체어 프레임(12)과 피봇 연결된다. 상기 축관(20)과 상기 연신관(181)의 상기 직립부(181b)가 서로 평행되도록, 상기 이음관(182)의 일단은 상기 직립부(181b)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축관(20)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고정관(183)은 상기 연신관(181)의 상기 수평부(181a)의 전단(前端)에 연결된다. 상기 수직관(184)은 상기 고정관(183)의 하측에 연결되고 아래를 향해 설치된다.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22)는 세로대(24), 가로대(26) 및 한 쌍의 후륜(2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로대(24)와 상기 가로대(26)는 T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로대(24)는 상기 지지 구조(16)의 상기 축관(20)의 축홀(201)을 통과한다. 상기 가로대(26)의 양단은 각각 상기 후륜(28)에 연결된다.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30)는 상기 지지 구조(16)의 상기 연신관(181)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30)는 연결관(32), 고정고리(34), 스프링(36), 보조륜(38) 및 한 쌍의 전륜(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수직관(184)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보조륜(38)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전륜(40)은 상기 수평부(181a)의 후단에 근접하여,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가 상기 보조륜(38), 상기 한 쌍의 전륜(40) 및 상기 한 쌍의 후륜(28)의 지지를 받아 안정하게 지면에서 이동하게 한다. 도 4와 결합하여 보면, 상기 고정고리(34)는 상기 수직관(184) 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36)의 일단은 상기 고정고리(34)에 가압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관(32)에 가압 접촉되며, 상기 스프링(36)의 탄력에 의해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1, 도 3,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조향 구조(42)는 제1 조향 부재(44), 샤프트 슬리브(46), 제1 샤프트 레버(48), 제2 조향 부재(50) 및 제2 샤프트 레버(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조향 부재(44)는 제1 단부(441) 및 제2 단부(442)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46)는 상기 제1 단부(441)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슬리브(46) 내에 복수의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레버(48)는 상기 제1 조향 부재(44)의 제1 단부(441), 상기 샤프트 슬리브(46) 및 상기 이음관(182)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조향 부재(44)와 상기 지지 프레임(18)을 피봇 연결하면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킨다. 상기 제2 조향 부재(50)는 상기 제1 조향 부재(4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조향 부재(50)의 일단은 상기 제2 샤프트 레버(52)를 통하여 상기 제1 조향 부재(44)의 제2 단부(442)에 피봇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세로대(24) 상단에 고정 연결된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 조향 구조(54)는 2개의 연결 레버를 포함하고, 2개의 연결 레버는 각각 제1 연결 레버(56) 및 제2 연결 레버(58)이다. 상기 제1 연결 레버(56)와 상기 제2 연결 레버(58)는 교차 설치되고 양단은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상기 연신관(181)과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22)의 상기 세로대(24)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조종 구조(60)는 한 쌍의 홀딩 레버(62) 및 한 쌍의 핸드 레버(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의 일단은 상기 제1 조향 구조(42)의 제1 단부(441)의 하측에 연결되는 상기 샤프트 슬리브(46)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핸드 레버(64)는 절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홀딩 레버(6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는 보호자가 잡고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조종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한 쌍의 핸드 레버(64)는 환자가 잡고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조종하는데 사용된다.
그밖에,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30)는 슬리브관(76), 전동 구조(66), 고정핀(68), 전방 기어(70), 후방 기어(72) 및 체인(74)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관(76)은 상기 고정관(183)에 연결되고, 슬리브관(76) 외부는 상기 전방 기어(70)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관(76)은 지름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홀(761)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 구조(66)는 전방 구동축(661)과 후방 구동축(662)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구동축(661)은 상기 슬리브관(76)과 상기 고정관(183)을 통과하고, 상기 전방 구동축(661)의 양단은 각각 크랭크(78)에 연결되고, 각 크랭크(78)에는 환자가 발로 밟도록 페달(8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방 구동축(661)은 제2 삽입홀(661a)을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고정핀(68)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전방 구동축(661)의 상기 제2 삽입홀(661a)과 상기 슬리브관(76)의 상기 제1 삽입홀(761)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68)을 쉽게 삽입 분리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탄성을 가진 C형 리테이닝 링(82)을 제공하고, 상기 리테이닝 링(82)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관(76) 외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리테이닝 링(82)의 중간 부위에 상기 고정핀(68)의 일단이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핀(68)이 상기 슬리브관(7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리테이닝 링(82)을 잡고 상기 고정핀(68)을 상기 슬리브관(76)으로부터 더욱 편리하게 뽑아낼 수 있다.
상기 후방 구동축(662)은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 기어(72)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 구동축(66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전륜(40)에 연결된다. 상기 체인(74)은 상기 전방 기어(70)와 상기 후방 기어(72)에 감긴다. 이로써, 상기 체인(74)의 전동을 통해, 환자가 각 상기 페달(80)을 밟으면, 상기 전방 구동축(661)과 상기 후방 구동축(662)이 함께 회전하게 되어, 각 상기 전륜(40)이 전방으로 굴러가게 연동됨으로써 환자가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쉽게 운전할 수 있게 한다. 환자가 페달을 밟기 불편하여,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페달 기능이 없는 일반 휠체어로 사용할 경우, 상기 리테이닝 링(82)을 잡고 상기 고정핀(68)을 상기 슬리브관(76)에서 뽑아내기만 하면, 상기 전방 구동축(661)이 상기 전방 기어(70)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환자가 발로 상기 전방 구동축(661)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페달(80)을 밟더라도, 피동적으로 페달링 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리 골절 또는 하반신 마비 환자에게 있어서, 사용의 불편함과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도 3, 도 6 ~ 도 10을 참고하면, 보호자가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를 잡거나 또는 환자가 스스로 상기 한 쌍의 핸드 레버(64)를 잡거나 모두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의 상기 샤프트 슬리브(46)에 고정 연결된 일단을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리면, 상기 제1 전향 부재(44)를 연동시켜 편향되게 하고, 상기 제2 조향 부재(50)의 움직임 방향까지도 변화시킨다.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조향 부재(44)는 상기 제1 단부(441)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조향 부재(50)는 상기 제1 조향 부재(44)의 제2 단부(442)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세로대(24)에 연결된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후륜(28)의 전진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의 조향을 조종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그밖에 언급해야 할 점은, 상기 제1 연결 레버(56)와 제2 연결 레버(58)는 교차로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18)과 상기 세로대(24)에 고정 연결되는 구조 관계에서, 상기 세로대(24)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연결 레버(56)와 상기 제2 연결 레버(58)가 상기 지지 프레임(18)에 대해 밀고 당기는 작용이 발생되게 하여, 상기 한 쌍의 전륜(40)의 전진 방향을 변화시킨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후륜(28)의 전진 방향이 왼쪽으로 편향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륜(40)의 전진 방향은 오른쪽으로 편향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조향 전진 과정에서 더욱 순조롭게 오른쪽으로 조향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62)를 왼쪽으로 돌리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후륜(28)의 전진 방향을 오른쪽으로 편향시켜, 상기 한 쌍의 전륜(40)의 전진 방향이 왼쪽으로 편향되게 하면, 상기 듀얼 구동 휠체어(100)를 순조롭게 왼쪽으로 조향할 수 있다.
종합하자면, 본 고안의 듀얼 구동 휠체어(100)는 종래의 재활식 휠체어와 달리, 환자가 앉은 자세로 휠체어를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다리 근육을 단련시키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부위로 힘을 주기 불편한 환자도 보호자의 협조 하에 일반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언급해야 할 점은,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움직이면 조향이 더욱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고안의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한 등가 변화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듀얼 구동 휠체어
12: 휠체어 프레임
14: 좌판(seat of chair)
16: 지지 구조
18: 지지 프레임
181: 연신관
181a: 수평부
181b: 직립부
182: 이음관
183: 고정관
184: 수직관
20: 축관(軸官)
201: 축홀
22: 후방 구동 휠세트
24: 세로대
26: 가로대
28: 후륜
30: 전방 구동 휠세트
32: 연결관
34: 고정고리
36: 스프링
38: 보조륜
40: 전륜
42: 제1 조향 구조
44: 제1 조향 부재
441: 제1 단부
442: 제2 단부
46: 샤프트 슬리브
48: 제1 샤프트 레버
50: 제2 조향 부재
52: 제2 샤프트 레버
54: 제2 조향 구조
56: 제1 연결 레버
58: 제2 연결 레버
60: 조종 구조
62: 홀딩 레버
64: 핸드 레버
66: 전동 구조
661: 전방 구동축
661a: 제2 삽입홀
662: 후방 구동축
68: 고정핀
70: 전방 기어
72: 후방 기어
74: 체인
76: 슬리브관
761: 제1 삽입홀
78: 크랭크
80: 페달
82: 리테이닝 링

Claims (10)

  1. 착석을 위한 좌판이 설치되어 있는 휠체어 프레임;
    한 쌍의 전륜을 포함하는 전방 구동 휠세트;
    양단이 각각 후륜에 연결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에 연결되는 세로대를 포함하는 후방 구동 휠세트;
    상기 휠체어 프레임 하측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과 축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에 연결되고, 상기 축관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기 세로대가 관통 설치되는 축홀을 구비한 지지 구조;
    제1 조향 부재와 제2 조향 부재, 및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조향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제1 단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향 부재와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향 부재는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기 세로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조향 구조; 및
    한 쌍의 홀딩 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홀딩 레버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 슬리브에 고정 연결되는 조종 구조
    를 포함하는 듀얼 구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에 연결되는 연신관과, 일단이 상기 연신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축관에 고정 연결된 이음관;
    상기 제1 조향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이 피봇 연결되도록 상기 이음관과 상기 제1 조향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에 관통 설치되는 제1 샤프트 레버; 및
    상기 제1 조향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향 부재에 관통 설치되는 제2 샤프트 레버;
    를 포함하는, 듀얼 구동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제1 조향 부재와 상기 이음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샤프트 레버는 상기 샤프트 슬리브를 통과하는, 듀얼 구동 휠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연신관은 직립부와 수평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직립부의 상단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직립부의 저단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는 한 쌍의 페달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페달은 상기 수평부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전륜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듀얼 구동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는 보조륜과 전동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륜과 상기 한 쌍의 페달은 상기 수평부의 전단(前端)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구조는 전방 구동축과 후방 구동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크랭크가 연결되고, 각 상기 크랭크에 상기 페달이 연결되며, 상기 후방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전륜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 구동축은 상기 전방 구동축을 따라 함께 회전하는, 듀얼 구동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연신관의 수평단의 전단에 연결된 고정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에 슬리브관이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관은 지름 방향에 위치한 제1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구동축은 상기 슬리브관을 관통하고 또한 제2 삽입홀을 구비하며, 고정핀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는, 듀얼 구동 휠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동 휠세트는 전방 기어, 후방 기어 및 체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 기어는 상기 슬리브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후방 기어는 상기 후방 구동축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체인은 상기 전방 기어와 상기 후방 기어에 감기는, 듀얼 구동 휠체어.
  8. 제6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관의 외부에 걸림 결합되고 또한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는 리테이닝 링을 더 포함하고 있는, 듀얼 구동 휠체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아래를 향해 설치된 수직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륜은 연결관의 저단(底端)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삽입되는 상기 수직관에 삽입되고, 고정고리가 상기 수직관 내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고정고리에 가압 접촉되고,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연결관에 가압 접촉되는, 듀얼 구동 휠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제2 조향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조향 구조는 2개의 연결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결 레버는 교차 설치되며 또한 각 상기 연결 레버의 양단은 각각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구동 휠세트의 상기 세로대에 고정 연결되는, 듀얼 구동 휠체어.
KR2020140006749U 2014-09-16 2014-09-16 듀얼 구동 휠체어 KR20048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49U KR200480464Y1 (ko) 2014-09-16 2014-09-16 듀얼 구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49U KR200480464Y1 (ko) 2014-09-16 2014-09-16 듀얼 구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65U KR20160000965U (ko) 2016-03-24
KR200480464Y1 true KR200480464Y1 (ko) 2016-05-27

Family

ID=5564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49U KR200480464Y1 (ko) 2014-09-16 2014-09-16 듀얼 구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6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5223B2 (ja) 2002-01-07 2008-12-10 康延 半田 足踏式車椅子
JP2010202022A (ja) 2009-03-03 2010-09-16 Yoshikata Rokusha 2分割前輪自転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5223B2 (ja) 2002-01-07 2008-12-10 康延 半田 足踏式車椅子
JP2010202022A (ja) 2009-03-03 2010-09-16 Yoshikata Rokusha 2分割前輪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65U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37B1 (ko) 듀얼 구동 휠체어
US6220615B1 (en) Aerobic wheelchair attachment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JP2011001052A (ja) 手動走行機構
JP2015146879A (ja) 下肢リハビリ訓練機器
CN202892806U (zh) 运动器
JP2008011989A (ja) 車椅子
TW201607831A (zh) 踏步車
CN202515949U (zh) 上下肢两用康复健身器
KR200480464Y1 (ko) 듀얼 구동 휠체어
US20030228959A1 (en) Free wheeling exercise apparatus with independent castoring steering wheel and with frame shaped and dimensioned to support and accompany an individual and to accommodate leg movement while the individual is running
US9295875B2 (en) Recumbent stepper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US7914422B1 (en) Exercise device
KR101256195B1 (ko) 침대형 재활용 운동장치
JP3194530U (ja) 双駆動式車椅子
CN105434119B (zh) 双驱动轮椅
TWI578979B (zh) 具有復健功能的輪椅構造及其復健組件
TWI522097B (zh) 應用於輪椅之復健輔助裝置
TW201500081A (zh) 外掛式偏癱復健模組
TWI737251B (zh) 具復健功能之輪椅
CN204236724U (zh) 新型健身自行车
JP2016007519A (ja) 足漕ぎ走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椅子。
TWM633336U (zh) 適用於坐姿使用之迷你橢圓機
KR20230085338A (ko) 휠체어 트레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