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338A - 휠체어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휠체어 트레드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5338A KR20230085338A KR1020210173405A KR20210173405A KR20230085338A KR 20230085338 A KR20230085338 A KR 20230085338A KR 1020210173405 A KR1020210173405 A KR 1020210173405A KR 20210173405 A KR20210173405 A KR 20210173405A KR 20230085338 A KR20230085338 A KR 20230085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roller
- roller member
- support
- treadmi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9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separate for each leg, e.g. dual de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올라가 구동바퀴를 공회전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돕는 휠체어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휠체어 사용자의 홈 피트니스를 지원하는 휠체어 트레드밀에 있어서, 휠체어의 진입 또는 진출을 보조하는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제1 및 제2 구동바퀴에 대응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결합식으로 상기 롤러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올라가 구동바퀴를 공회전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돕는 휠체어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이동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휠체어는 탑승자가 직접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도 있고, 보호자가 휠체어를 밀어 주행할 수도 있다.
휠체어를 보호자가 밀어 주행하는 경우에 탑승자는 거의 운동을 하지 않게 되어 휠체어를 오래 사용할수록 탑승자는 운동부족을 심하게 겪게 된다.
또한, 휠체어 바퀴를 손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체에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상체 운동을 해야 하는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또는 재활치료자들이 운동을 하고 싶어도 이들이 사용가능한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 없다. 또한, 가까운 체육공원에 비치되어 있는 헬스기구는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으므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휠체어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팔 운동을 지원하는 장치가 제시된 적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는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면서 휠체어를 운행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팔힘을 기르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켜 운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올라가 구동바퀴를 공회전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돕는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정된 공간에서 팔 운동과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요령을 습득할 수 있는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러부재의 경사를 이용하여 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전축 결합방식의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휠체어 사용자의 홈 피트니스를 지원하는 휠체어 트레드밀에 있어서, 휠체어의 진입 또는 진출을 보조하는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제1 및 제2 구동바퀴에 대응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결합식으로 상기 롤러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발판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베어링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의 슬립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어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높은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판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발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양측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각각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타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축과 직접 결합하여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레버의 이동 범위를 지정 또는 제한해주는 회전 방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올라가 구동바퀴를 공회전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에서 팔 운동과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요령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부재의 경사를 이용하여 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 밀착식 디스크형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 결합방식의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에 휠체어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롤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롤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에 휠체어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롤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100)은 휠체어 사용자의 홈 피트니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휠체어(10)의 진입 또는 진출을 보조하는 발판부(110), 상기 휠체어(10)의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에 대응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재(123,124)를 구비한 롤러부(120), 상기 발판부(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부재(123,124)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상기 지지부(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축방향 밀착식으로 상기 롤러부(120)를 정지시키는 제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트레드밀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부(110), 상기 롤러부(120),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제동부(140) 각각을 2개씩 세트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판부(110), 상기 롤러부(120),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제동부(140) 각각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부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부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130)는 연결부재(138)를 이용하여 제1 부 및 제2 부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부(110)는 일정 각도(예컨대, 약 5 ~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10)가 상기 롤러부(120) 쪽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롤러부(120)로부터 진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발판부(110)는 상기 휠체어(10)의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110)는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110)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발판부(11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지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고 결함이 생긴 경우 교체가 편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부(110)를 통해 진입하는 상기 휠체어(10)를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휠체어(10)를 상기 롤러부(12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롤러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를 운행하는 것처럼 팔 운동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롤러부(120)는 상기 발판부(110)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130)의 선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어링(121),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121)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130)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어링(122),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12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12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롤러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각각은 상기 제1 베어링(12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25) 및 상기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몸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몸체(126)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의 슬립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각각은 상기 지지부(130)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어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각각은 설정된 지점(P)을 기준으로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높은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발판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발판부(1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판부(1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발판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132), 상기 발판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132)의 양측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 각각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 각각은 내부에 상기 제1 베어링(121) 및 상기 제2 베어링(12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지지부재(136)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 각각의 선단 및 후단에 결합되고, 각각 설정된 높이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3 지지부재(136)는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각각이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12,14) 각각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높게 배치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지지부재(136)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34) 각각의 선단보다 후단을 더 높게 지지하여 후방 경사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제3 지지부재(136) 각각은 볼트 체결 방식, 핀 체결 방식, 다단 접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1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140)는 회전축 결합방식의 브레이크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롤러부재(123) 및 상기 제2 롤러부재(124)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과 직접 결합하여 상기 롤러부(1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동부(140)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타측으로 연장되는 레버(142),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125)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14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부재(123)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결합부(144), 및 상기 레버(142)의 결합 또는 이격 시 상기 레버(142)의 이동 범위를 지정 또는 제한해주는 회전 방지핀(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 시 휠체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을 정도로 레버가 후진하는 것을 방지)
상기 레버(142)는 상단에 파지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4)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에 결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144)는 결합시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44)는 이격시 상기 제1 롤러부재(12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핀(146)은 상기 제동부(140)가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과 결합 또는 이격하는 경우, 상기 레버(142)의 이동 범위를 지정하거나 제한해준다. 또한, 결합 및 이격을 위해, 상기 회전 방지핀(146)은 상기 레버(142)에 필요 이상의 힘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운동을 위해 상기 휠체어(10)가 상기 롤러부(120)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동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142)가 작동하여 상기 결합부(144)를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종료를 위해 상기 휠체어(10)가 상기 발판부(110)로 진출하는 경우, 상기 제동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142)가 작동하여 상기 결합부(144)를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롤러부재(12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휠체어(10)는 정지된 상기 제1 롤러부재(123)를 이용하여 상기 발판부(110)로 쉽게 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올라가 구동바퀴를 공회전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에서 팔 운동과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요령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부재의 경사를 이용하여 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 밀착식 디스크형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휠체어
12: 제1 구동바퀴
14: 제2 구동바퀴
100: 휠체어 트레드밀
110: 발판부
120: 롤러부
130: 지지부
140: 제동부
12: 제1 구동바퀴
14: 제2 구동바퀴
100: 휠체어 트레드밀
110: 발판부
120: 롤러부
130: 지지부
140: 제동부
Claims (8)
- 휠체어 사용자의 홈 피트니스를 지원하는 휠체어 트레드밀에 있어서,
휠체어의 진입 또는 진출을 보조하는 발판부;
상기 휠체어의 제1 및 제2 구동바퀴에 대응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결합식으로 상기 롤러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발판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어링;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베어링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롤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베어링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의 슬립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어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롤러부재 각각은,
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바퀴 각각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높은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판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발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양측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각각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타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축과 직접 결합하여 상기 제1 롤러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레버의 이동 범위를 지정 또는 제한해주는 회전 방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트레드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3405A KR102637233B1 (ko) | 2021-12-07 | 2021-12-07 | 휠체어 트레드밀 |
PCT/KR2022/012590 WO2023106557A1 (ko) | 2021-12-07 | 2022-08-23 | 휠체어 트레드밀 |
US18/015,284 US20240238659A1 (en) | 2021-12-07 | 2022-08-23 | Wheelchair treadmi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3405A KR102637233B1 (ko) | 2021-12-07 | 2021-12-07 | 휠체어 트레드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5338A true KR20230085338A (ko) | 2023-06-14 |
KR102637233B1 KR102637233B1 (ko) | 2024-02-16 |
Family
ID=8673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3405A KR102637233B1 (ko) | 2021-12-07 | 2021-12-07 | 휠체어 트레드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38659A1 (ko) |
KR (1) | KR102637233B1 (ko) |
WO (1) | WO2023106557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1685Y1 (ko) | 2000-08-23 | 2001-01-15 | 이종호 |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
KR20070098302A (ko) * | 2006-03-31 | 2007-10-05 | 유병삼 | 휠체어 장애인용 운동장치 |
KR101365934B1 (ko) * | 2012-06-20 | 2014-02-21 | 추민수 | 발바닥 지압 및 하체운동용 좌식발판 |
KR200479667Y1 (ko) * | 2015-06-10 | 2016-02-23 | 엄재천 | 런닝머신 |
KR101993176B1 (ko) * | 2018-11-09 | 2019-06-26 | 박승용 | 휠체어용 트레드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04885B1 (en) * | 2005-03-15 | 2006-02-28 | Taiwan Bicycle Industry R8 D Center | Wheelchair training platform |
-
2021
- 2021-12-07 KR KR1020210173405A patent/KR102637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8-23 US US18/015,284 patent/US20240238659A1/en active Pending
- 2022-08-23 WO PCT/KR2022/012590 patent/WO20231065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1685Y1 (ko) | 2000-08-23 | 2001-01-15 | 이종호 |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
KR20070098302A (ko) * | 2006-03-31 | 2007-10-05 | 유병삼 | 휠체어 장애인용 운동장치 |
KR101365934B1 (ko) * | 2012-06-20 | 2014-02-21 | 추민수 | 발바닥 지압 및 하체운동용 좌식발판 |
KR200479667Y1 (ko) * | 2015-06-10 | 2016-02-23 | 엄재천 | 런닝머신 |
KR101993176B1 (ko) * | 2018-11-09 | 2019-06-26 | 박승용 | 휠체어용 트레드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238659A1 (en) | 2024-07-18 |
WO2023106557A1 (ko) | 2023-06-15 |
KR102637233B1 (ko) | 2024-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0615B1 (en) | Aerobic wheelchair attachment | |
KR101710437B1 (ko) | 듀얼 구동 휠체어 | |
US6935353B2 (en) | Mobile rehabilitative walker | |
DE69912627T2 (de) | Liegeübungsgerät für den ganzen körper | |
US4966362A (en) | Wheelchair exerciser adapter | |
KR20020064648A (ko) | 기능강화훈련기 | |
US10206847B1 (en) | Portable rehab station | |
JP2004510498A (ja) | 車椅子とリクライニングサイクルとのアセンブリ | |
US20060071443A1 (en) | Free wheeling exercise apparatus with independent castoring steering wheel and with frame shaped and dimensioned to support and accompany an individual and to accommodate leg movement while the individual is running | |
JP2012223527A (ja) |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 |
KR101598132B1 (ko) |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 |
US9757288B1 (en) | Mobile chair apparatus comprising foot pedals | |
CN110755238A (zh) | 一种助行机器人 | |
KR101736272B1 (ko) | 하지 재활운동이 가능한 탈부착형 전동휠체어 | |
JP2008011989A (ja) | 車椅子 | |
KR20230085338A (ko) | 휠체어 트레드밀 | |
US4356902A (en) | Bearing and support | |
CN205866973U (zh) | 一种运动康复轮椅 | |
KR101256195B1 (ko) | 침대형 재활용 운동장치 | |
CN107970575B (zh) | 跪位动静平衡训练装置 | |
JP3122503U (ja) |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 |
JP2023076214A (ja) | 補助輪付車椅子 | |
KR200262608Y1 (ko) |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 |
CN105434119B (zh) | 双驱动轮椅 | |
JP6902232B2 (ja) | 下肢筋力の強化冶具および下肢筋力の強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