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176B1 - 휠체어용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176B1
KR101993176B1 KR1020180137303A KR20180137303A KR101993176B1 KR 101993176 B1 KR101993176 B1 KR 101993176B1 KR 1020180137303 A KR1020180137303 A KR 1020180137303A KR 20180137303 A KR20180137303 A KR 20180137303A KR 101993176 B1 KR101993176 B1 KR 10199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heelchair
support
support memb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용
배상규
Original Assignee
박승용
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용, 배상규 filed Critical 박승용
Priority to KR102018013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를 안내하기 위한 발판부; 상기 발판부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부; 및 상기 발판부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면서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트레드밀{Treadmill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 장애우 또는 노약자가 이동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휠체어는 탑승자가 직접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도 있고, 보호자가 휠체어를 밀어 주행할 수도 있다.
휠체어를 보호자가 밀어 주행하는 경우에 탑승자는 거의 운동을 하지 않게 되어 휠체어를 오래 사용할수록 탑승자는 운동부족을 심하게 겪게 된다.
또한, 휠체어 바퀴를 손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체에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상체 운동을 해야 하는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 또는 재활치료자들이 운동을 하고 싶어도 이들이 사용가능한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 없으며, 가까운 체육공원에 비치되어 있는 헬스기구는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는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2995호(2003.04.29 등록)는 장애자용 런닝머신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런닝벨트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구동부와,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도조절구동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런닝머신에 있어서, 상기 런닝벨트의 폭이 장애자용 휠체어의 양쪽 바퀴 사이의 거리보다 넓게 구성되며, 바닥면에서 상기 런닝벨트 위로 이동하기 위하여 런닝벨트의 후방에 설치된 램프(ramp)와, 상기 램프 양측방과 후방에 설치되고 후방에 출입을 위한 도어가 형성된 보호벽을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685호(2000.11.14 등록)는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단부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고 상측은 반전되어 평행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대향 설치된 한 쌍의 수직간; 상기 수직간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간; 일측의 상기 수직간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절곡되어 다른 수직간에 연결되되 휠체어 손잡이가 지지되는 수평간; 상기 수평간의 대략적인 중앙측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받침간; 및 상기 지지간과 지지간의 사이에 지지되는 바벨 바와 바벨 바의 양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바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애자용 런닝머신은, 기 설정된 이동속도로 회전하는 런닝벨트에 맞추어 계속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갑자기 팔힘이 빠져 휠체어 바퀴를 놓치거나 이용자의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휠체어가 뒤로 밀려나면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는,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면서 휠체어를 운행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팔힘을 기르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켜 운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299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68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손으로 휠체어의 바퀴를 회전시키면서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휠체어를 안내하기 위한 발판부; 상기 발판부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부; 및 상기 발판부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면서 상기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의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3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하기 위한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1 롤러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롤러부재와의 사이에 휠체어 바퀴를 위치시켜 회전하기 위한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 및 재활 치료자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팔 운동, 즉 휠체어를 운행하는 정도의 운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팔의 힘을 길러줄 수 있으며,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요령을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 및 재활 치료자들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인의 체력에 알맞게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롤러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발판부(100)는, 일정 각도(예를 들어, 5 ~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휠체어를 롤러부(200) 쪽으로 안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00)는, 상면에 요철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휠체어 바퀴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00)는,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구비하여, 휠체어 바퀴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00)는, 일측이 지지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지지부(300)로부터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결함이 생긴 경우에 교체가 편리하다.
롤러부(200)는, 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며, 발판부(100)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휠체어를 롤러부(20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이용자가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면 롤러부(200)가 휠체어 바퀴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이용자가 제자리에서 휠체어 바퀴를 운행하는 것처럼 팔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롤러부(200)는, 휠체어 바퀴의 폭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부에 휠체어 바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부(300)는, 발판부(100)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면서 롤러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300)는, 이용자의 체중 및 휠체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300)는, 하단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를 구비하여, 운동시 힘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재(310), 제2 지지부재(320), 제3 지지부재(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는, 발판부(1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어, 발판부(100)의 일측을 받쳐준다.
제2 지지부재(320)는, 제1 지지부재(320)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롤러부(2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3 지지부재(330)는, 제2 지지부재(320)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재(3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받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재(330)는, 롤러부(200)의 반지름 길이(예를 들어, 3 ~ 5cm) 보다 길게 형성하여 롤러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재(330)는, 도면에서 제2 지지부재(320)의 전방 및 하방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부재(32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 및 재활 치료자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팔 운동, 즉 휠체어를 운행하는 정도의 운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팔의 힘을 길러줄 수 있으며,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요령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 및 재활 치료자들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인의 체력에 알맞게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가 각각 2개씩 세트로 구비되며,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300) 중앙을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발판부(100)도 절첩 가능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부피를 줄여 보관이 용이하며, 설치 및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양쪽 바퀴가 각각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왼팔, 오른팔 각각의 운동이 가능하여 왼팔, 오른팔을 번갈아가면서 운동하거나 원하는 쪽의 팔운동을 집중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재(310), 제2 지지부재(320), 제3 지지부재(330), 각도조절부재(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310), 제2 지지부재(320), 제3 지지부재(3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각도조절부재(340)는, 제2 지지부재(320)와 제3 지지부재(330)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재(3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즉, 각도조절부재(340)에 의해 제2 지지부재(320)가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팔 힘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경사진 곳을 실제로 운행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재(340)는, 힌지(341), 실린더(342), 동력장치(미도시), 업/다운 스위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341)는, 제2 지지부재(320)의 일측과 제3 지지부재(33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실린더(342)에 의해 제2 지지부재(320)의 다른 일측의 높낮이 조절시 제2 지지부재(320)를 회동시킨다.
실린더(342)는, 제2 지지부재(32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제2 지지부재(320)의 다른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제2 지지부재(320)가 일정 각도(예를 들어, 5 ~ 30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342)는, 제2 지지부재(320)의 전방에 형성된 제3 지지부재(33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342)는, 전동방식, 유압방식 및 공기압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장치는, 실린더(342)에 연결 형성되어, 실린더(342)의 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한다
업/다운 스위치는, 실린더(34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실시간으로 실린더(34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 강도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강도조절부(400)는, 롤러부(200)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롤러부(200)의 회전에 대한 저항 강도를 조절하여, 이용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강도조절부(400)는, 제1 롤러부재(210), 제2 롤러부재(2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롤러부재(210)와 제2 롤러부재(220)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강도조절부(400)는, 하우징(401), 제동패드(410), 마그네트(미도시), 제동 액츄에이터(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401)은, 롤러부(20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제동패드(410), 마그네트, 제동 액츄에이터(430)를 구비한다.
제동패드(410)는, 하우징(401)의 내부에 구비되며, 롤러부(2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러부(200)의 회전 저항력을 가변한다.
마그네트는, 제동패드(410)에 내장되어, 자성체인 롤러부(200)에 대한 자력을 부가한다.
제동 액츄에이터(430)는, 제동패드(410)에 연결되어, 롤러부(200)와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동 액츄에이터(430)에 의해 제동패드(410)가 롤러부(200)에 접근하면, 마그네트의 자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롤러부(200)의 회전력이 억제되어, 이용자가 강한 힘으로 휠체어 바퀴를 돌려야 롤러부(200)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동 액츄에이터(430)의 구동에 따라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고정부(500)는, 지지부(300)와 롤러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롤러부(200)를 고정시킨다. 휠체어가 발판부(100)를 타고 롤러부(200)로 올라갈 때 롤러부(200)의 회전에 의해 휠체어 바퀴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롤러부(20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 후 휠체어를 롤러부(200)로 올라올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도움 없이 올라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500)는, 레버(510), 고정홈라인(520), 돌기(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510)는, 지지부(3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510)는, 상단에 파지홈을 구비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고정홈라인(520)은, 레버(510)의 하단에 수직 연장 형성되어, 돌기(5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라인(520)은, 레버(510)를 회동시키면 돌기(530)와 분리되므로 롤러부(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돌기(530)는, 롤러부(200)의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홈라인(520)에 삽입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고정부(500)는, 평상시 고정홈라인(520)에 돌기(530)가 삽입되어 롤러부(20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있다가 사용시 레버(510)를 일 방향으로 밀어 회동시키면 고정홈라인(520)이 돌기(530)로부터 이탈되면서 롤러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 속도 센서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속도 센서부는, 운동시 회전하는 롤러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속도 센서부는, 회전센서로서, 롤러부(200)에 부착 형성되어, 롤러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회전속도값을 디스플레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지지부(300)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속도 센서부에서 감지된 롤러부(200)의 속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600)는, 주행시간 및 거리 등 사용 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600)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구동에 관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600)는, 제2 지지부재(320)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342)를 조작하기 위한 경사 조절 버튼 및 롤러부(200)의 회전에 대한 저항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동 액츄에이터(430)를 조작하기 위한 강도 조절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600)는, 지지부(300)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의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스마트폰 또는 물통 등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600)는, 지지부(300)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에 형성되어,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수직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 손잡이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손잡이부(700)는, 지지부(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700)는, 이용자의 앉은 키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지지부(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롤러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롤러부(200)는, 걸림홈(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201)은, 롤러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휠체어 바퀴의 하단을 삽입하여 휠체어 바퀴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홈(201)은, 휠체어 바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휠체어 바퀴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홈(201)은, 제1 롤러부재(210) 또는 제2 롤러부재(22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롤러부재(210)와 제2 롤러부재(220)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트레드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트레드밀은,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 안착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롤러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안착부(800)는, 발판부(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발판부(100)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 바퀴를 롤러부(200)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발판부(100)와 롤러부(200)의 높이차에 의해 휠체어 바퀴가 롤러부(200)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부(800)는, 안착부재(810), 안착 실린더(8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재(810)는, 발판부(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안착 실린더(8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휠체어 바퀴를 롤러부(20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부재(810)는, 평상시 발판부(100)의 일측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어 휠체어의 바퀴가 올라올 수 있도록 유도한 후, 안착 실린더(820)에 의해 하강하여 휠체어 바퀴를 롤러부(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 실린더(820)는, 안착부재(8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안착부재(8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발판부
200 : 롤러부
201 : 걸림홈
210 : 제1 롤러부재
220 : 제2 롤러부재
300 : 지지부
310 : 제1 지지부재
320 : 제2 지지부재
330 : 제3 지지부재
340 : 각도조절부재
341 : 힌지
342 : 실린더
400 : 강도조절부
410 : 제동패드
430 : 제동 액츄에이터
500 : 고정부
510 : 레버
520 : 고정홈라인
530 : 돌기
600 : 디스플레이부
610 : 거치대
700 : 손잡이부
800 : 안착부
810 : 안착부재
820 : 안착 실린더

Claims (5)

  1. 휠체어를 안내하기 위한 발판부;
    상기 발판부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부;
    상기 발판부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면서 상기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롤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발판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 바퀴를 상기 롤러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의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하단에 수직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라인;
    상기 롤러부의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라인에 삽입 고정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발판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로부터 안내되는 휠체어 바퀴를 상기 롤러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안착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안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트레드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3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트레드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하기 위한 제1 롤러부재; 및
    상기 제1 롤러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롤러부재와의 사이에 휠체어 바퀴를 위치시켜 회전하기 위한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트레드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트레드밀.
KR1020180137303A 2018-11-09 2018-11-09 휠체어용 트레드밀 KR10199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03A KR101993176B1 (ko) 2018-11-09 2018-11-09 휠체어용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03A KR101993176B1 (ko) 2018-11-09 2018-11-09 휠체어용 트레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176B1 true KR101993176B1 (ko) 2019-06-26

Family

ID=6710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303A KR101993176B1 (ko) 2018-11-09 2018-11-09 휠체어용 트레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338A (ko) * 2021-12-07 2023-06-14 캥스터즈 주식회사 휠체어 트레드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783A (ja) * 1994-03-22 1995-10-09 Akemi Ebisawa 車椅子用運動台
US5476429A (en) * 1994-05-31 1995-12-19 Packer Engineering Inc. Treadmill for use with a wheelchair
JPH11109845A (ja) * 1997-10-06 1999-04-23 Sankurea:Kk 車椅子用トレッドミル
KR200211685Y1 (ko) 2000-08-23 2001-01-15 이종호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JP3205901B2 (ja) * 1998-04-21 2001-09-04 株式会社サンクレア 車椅子用トレッドミル
KR200312995Y1 (ko) 2003-02-05 2003-05-16 서영대 장애자용 런닝머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783A (ja) * 1994-03-22 1995-10-09 Akemi Ebisawa 車椅子用運動台
US5476429A (en) * 1994-05-31 1995-12-19 Packer Engineering Inc. Treadmill for use with a wheelchair
JPH11109845A (ja) * 1997-10-06 1999-04-23 Sankurea:Kk 車椅子用トレッドミル
JP3205901B2 (ja) * 1998-04-21 2001-09-04 株式会社サンクレア 車椅子用トレッドミル
KR200211685Y1 (ko) 2000-08-23 2001-01-15 이종호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KR200312995Y1 (ko) 2003-02-05 2003-05-16 서영대 장애자용 런닝머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338A (ko) * 2021-12-07 2023-06-14 캥스터즈 주식회사 휠체어 트레드밀
WO2023106557A1 (ko) * 2021-12-07 2023-06-15 캥스터즈 주식회사 휠체어 트레드밀
KR102637233B1 (ko) * 2021-12-07 2024-02-16 캥스터즈 주식회사 휠체어 트레드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8475B1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US11819730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CN210992774U (zh) 一种神经内科用康复训练装置
KR20140114715A (ko)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KR101993176B1 (ko) 휠체어용 트레드밀
WO2011027750A1 (ja) 歩行訓練機
JPH10295749A (ja) 歩行補助器
JP2003265558A (ja) 転倒防止歩行車
US20130310222A1 (en) Multi-action stationary exercise device
JP4205735B2 (ja) 車椅子利用障害者またはリハビリ治療者のための複合ヘルス運動器具装置
KR101015992B1 (ko) 하지 재활용 자전거 운동기구
JP4184509B2 (ja) 下肢用訓練装置
KR102155468B1 (ko) 누워서 운동하는 다리 근력 운동기구
KR20200066912A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CN219049339U (zh) 一种患者术后活动安全辅助行动装置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ES2925679T3 (es) Sistema de cooperación entre una silla de ruedas y un dispositivo de ejercicio
KR102361857B1 (ko) 슬라이딩 전신운동기
CN215740271U (zh) 一种多功能腿部康复踏板
CN213130643U (zh) 一种便于腿部损伤病人锻炼和按摩轮椅
KR102352271B1 (ko) 로잉머신
KR20160003937U (ko) 다운타입 사이클 운동기구
CN217366456U (zh) 一种医疗康复用助行器
US20200009419A1 (en) Motorized assist system for wheelchair exercise apparatus
KR20140129627A (ko) 복합운동기구를 겸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