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271B1 - 로잉머신 - Google Patents

로잉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271B1
KR102352271B1 KR1020210121162A KR20210121162A KR102352271B1 KR 102352271 B1 KR102352271 B1 KR 102352271B1 KR 1020210121162 A KR1020210121162 A KR 1020210121162A KR 20210121162 A KR20210121162 A KR 20210121162A KR 102352271 B1 KR102352271 B1 KR 10235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upport
bar
user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나인
Priority to KR102021012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owing or scu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잉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당길 수 있는 핸들바; 사용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지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롤러 고정 브라켓;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의 돌출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결합바; 상기 결합바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L 자형 지지부; 상기 L 자형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는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용수철; 을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는 등 지지부 하단부와 등 지지부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의 상부에는 등 지지부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에는 등 지지부 하단 롤러와 등 지지부 상단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등 지지부 하단 롤러는, 등 지지부 하단봉에 하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하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하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하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 롤러는, 등 지지부 상단봉에 상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상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상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잉머신{Rowing Machine}
본 발명은 로잉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등 지지부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로잉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잉머신은 조정선수들이 실내에서 훈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운동기구로서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로잉머신의 기본 운동 자세는 첫번째로, 캐치 동작에서 발은 발판에 고정하고 핸들바를 가볍게 잡고 어깨를 고정한 후, 상체를 앞으로 살짝 굽히고 정강이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무릎과 발목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시트를 앞으로 움직이게 된다.
두번째로, 드라이브 동작에서 다리로 발판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면서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핸들바를 잡아당기게 된다.
세번째로, 피니시 동작에서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몸을 좀 더 뒤로 좀더 누리면서 명치 부위로 핸들바를 더 잡아당기게 된다.
마지막으로, 리커버리 동작에서 명치 부위로 잡아당겼던 핸들바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팔을 뻗어주고 상체도 다시 앞쪽으로 기울이며 다리를 구부려주면서 시트를 다시 앞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로잉머신은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단시간에 높은 운동 강도를 제공하므로 많은 사람들이 실내 운동기구로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허리가 건강하지 않은 경우에는 로잉머신으로 운동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로잉머신은 등이 굽지 않고 쭉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척추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운동이 끝난 후에 허리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6281호는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지가 마비되어 운동이 곤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지의 움직임을 상지의 운동과 연동하여 도움과 동시에 기능적 전기 자극 장치를 운동기구에 설치된 위치센싱수단과 연동하여 근육 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동기구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반신 마비 환자의 경우는 하반신을 이용해 시트를 미는 것이 불가하므로 상반신의 힘을 빌려 시트를 강제로 전후 운동하게 되고, 등받이프레임의 후면에 유압스프링을 구비하여 운동상태에 따라 뒤로 밀렸다가 유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에는 등받이이동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에 구비된 레일끼움부가 끼워져 상기 등받이의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등받이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로잉머신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299호는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복근과 괄약근의 운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일을 타고 전후 왕복되게 설치되는 좌대는 바닥과 등받이 및 복부압박대로 구성되는 바, 등받이는 축에 의하여 바닥과 연결되며, 복부압박대는 축에 의하여 바닥과 연결되는데, 축은 회동제어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등받이와 복부압박대는 운동 중에는 직립 상태로 고정되고 운반 및 보관시에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등받이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로잉머신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3377호는 로잉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안장에 사용자의 하중이 분배되어 보다 원활하고 운동량이 한층 더 강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안장의 전후 이동은 회전판 상에 개재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안장의 후면에 이동하는 이동롤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롤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판(10)으로부터 안장이 전후로 이동하고, 회전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손잡이에 형성되는 승강롤이 밀착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승강롤이 가이드봉을 타고 회동하게 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나, 등받이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로잉머신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7875호는 로잉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중량을 선택하여 노 젓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량조정틀이 중량조정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중량조정틀을 위치조절하면서 선택한 중량눈금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딩의자가 하부지렛대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등받이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로잉머신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628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29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73377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97875호
본 발명은 등 지지부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 지지부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등 지지부를 제공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로잉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당길 수 있는 핸들바; 사용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지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롤러 고정 브라켓;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의 돌출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결합바; 상기 결합바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L 자형 지지부; 상기 L 자형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는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용수철; 을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는 등 지지부 하단부와 등 지지부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의 상부에는 등 지지부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에는 등 지지부 하단 롤러와 등 지지부 상단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등 지지부 하단 롤러는, 등 지지부 하단봉에 하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하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하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하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 롤러는, 등 지지부 상단봉에 상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상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상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등 지지부는, 상기 시트가 가이드 레일의 전방으로 복귀될 때 사용자의 등도 전방으로 밀어내어 쉽게 복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허리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단 롤러 부재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로 발판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는 경우 상기 등 지지부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하단 롤러 부재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사용자의 등을 구르면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등 지지부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등 지지부를 구비하여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등 지지부를 제공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잉머신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사용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하부에서 바라보는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시트 하부의 구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구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구체적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조립 순서에 따라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잉머신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로잉머신은 핸들바(10), 발판(20), 시트(30), 가이드 레일(40), 전방 지지부(51), 후방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시트(30)에 앉고 발은 상기 발판(20)에 고정하고 상기 핸들바(10)를 잡은 후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면서 다리를 편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10)를 잡아당기게 된다.
잡아당겼던 상기 핸들바(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팔을 뻗어주고 상체도 다시 전방으로 기울이며 다리를 구부려주면서 시트(30)를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잉머신은 유압 방식으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핸들바(10)를 당기고 미는 저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외에도 마그네틱 방식, 공기 저항 방식, 물 저항 방식을 사용하여 핸들바(10)를 당기고 미는 저항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로잉머신은 사용자의 허리가 건강하지 않은 경우에는 로잉머신으로 운동을 할 수 없고, 로잉머신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 등이 굽지 않고 쭉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척추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잉머신을 사용하여 운동을 한 후에 허리에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잉머신은 핸들바(10), 발판(20), 시트(30), 가이드 레일(40), 전방 지지부(51), 후방 지지부(52), 등 지지부(6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시트(30)에 앉고 발은 상기 발판(20)에 고정하고 상기 핸들바(10)를 잡은 후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면서 다리를 편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10)를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핸들바(10)는 다양한 포지션이 가능하도록 멀티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멀티바 형태는 사용자의 지루함을 감소시키고 하나의 고정된 자세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잡아당겼던 상기 핸들바(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팔을 뻗어주고 상체도 다시 앞쪽으로 기울이며 다리를 구부려주면서 시트를 다시 앞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잉머신은 유압 방식으로서 유압 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핸들바(10)를 당기고 미는 저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외에도 마그네틱 방식, 공기 저항 방식, 물 저항 방식을 사용하여 핸들바(10)를 당기고 미는 저항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 지지부(51)와 상기 후방 지지부(52)는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후방 지지부(52)는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후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후방이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전방 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어 상기 시트(30)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후방으로 밀려나더라도 중력에 의하여 상기 시트(30)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전방으로 쉽게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등 지지부(60)는 상기 시트(30)의 후방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30)에 앉고 발은 상기 발판(20)에 고정하고 상기 핸들바(10)를 잡은 후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면서 상기 등 지지부(60)도 뒤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등 지지부(60)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긴장을 불러으키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사용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6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등 지지부(60)가 전방으로 접혀서 시트(30) 상부에 겹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로잉머신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사용자가 시트(30)에 앉고 발은 발판(20)에 고정하고 핸들바(10)를 잡은 후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면서 다리를 편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10)를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등 지지부(60)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긴장을 불러으키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다리로 상기 발판(20)을 밀어내고 상기 핸들바(10)를 잡아당기게 하면서 상기 등 지지부(60)도 뒤로 더욱 더 누르도록 유도하여 전신 운동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기 전부터 사용자의 허리에 긴장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30)가 가이드 레일(40)의 전방으로 복귀될 때 사용자의 등도 전방으로 밀어내어 쉽게 복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허리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하부에서 바라보는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30)는 가이드레일(40) 상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30)에 앉아서 다리로 발판(20)을 밀어내면 상기 시트(30)가 상기 가이드레일(4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사용자가 잡아당겼던 핸들바(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팔을 뻗어주고 상체도 다시 앞쪽으로 기울이며 다리를 구부려주면서 시트(30)를 다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시트 하부의 구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트(30) 하부에는 롤러 고정 브라켓(300)이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300)은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300)의 돌출부 하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롤러부(310)가 고정축 나사(311)와 고정축 너트(312)로 고정되며,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300)의 돌출부 상부에는 복수의 제 2 슬라이딩 롤러부(320, 330)가 고정된다.
제 1 슬라이딩 롤러부(310)와 제 2 슬라이딩 롤러부(320, 330) 사이로 가이드 레일(40)이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300)이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30) 하부에는 결합바(610)가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결합바(61)에 복수의 L 자형 지지부(620)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복수의 L 자형 지지부(620)의 타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용수철(623)이 위치하고, 상기 용수철(623)은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621)와 용수철 중심 고정너트(622)로 고정된다.
상기 용수철(623)과 상기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621)는 서로 동심원을 이루고, 그 사이에 수평 지지부(626)가 위치하게 된다.
등 지지부 하단부(630)도 그 단부에서 상기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621)와 상기 용수철 중심 고정너트(622)로 고정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630)를 중심으로 양 옆에 하나씩 복수의 상기 용수철(62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용수철(623)은 등 지지부(60)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등 지지부(60)가 후방으로 눌렸다가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용수철 하부 일단부(624)는 상기 L 자형 지지부(62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용수철 상부 타단부(625)는 등 지지부 하단부(630)에 고정되어 상기 등 지지부(60)가 후방으로 눌리는 경우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구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30)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결합바(610)에 복수의 L 자형 지지부(62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L 자형 지지부(620)의 타단부 사이에 복수의 용수철(623), 수평 지지부(626)가 서로 동심원을 이루고, 등 지지부 하단부(630)를 중심으로 양 옆에 하나씩 복수의 상기 용수철(623)과 복수의 상기 수평 지지부(626)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동심원의 중심에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621)가 관통하여 용수철 중심 고정너트(622)와 결합된다.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630)의 상부에는 등 지지부 상단부(640)가 연결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640)에는 등 지지부 하단 롤러(650)와 등 지지부 상단 롤러(660)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구체적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등 지지부 상단부(640)에는 등 지지부 하단 롤러(650)와 등 지지부 상단 롤러(6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등 지지부 하단 롤러(650)는 등 지지부 하단봉(651)에 하단봉 회전슬리브(652)가 먼저 설치된 후에 하단 롤러 부재(653)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652)와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가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65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654)이 등 지지부 하단봉(65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와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652)는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6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등 지지부 상단봉(661)에 상단봉 회전슬리브(662)가 먼저 설치된 후에 상단 롤러 부재(663)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654)이 등 지지부 상단봉(66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와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는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652)는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651)과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가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651)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도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과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로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는 경우 등 지지부(60)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사용자의 등을 구르면서 움직이므로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사용자에게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 상단부와 등 지지부 하단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등 지지부 하단부(630)를 중심으로 양 옆에 하나씩 복수의 수평 지지부(626)가 위치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630)의 상부에는 등 지지부 상단부(640)가 연결되고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나사(631)와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너트(632)로 고정되어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640)가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인 로잉머신의 등 지지부의 조립 순서에 따라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등 지지부 상단부(640)의 단부에 등 지지부 상단봉(661)이 형성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에 상단봉 회전슬리브(662)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는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에 상단봉 회전슬리브(662)가 설치된 후에 그 위에 상단 롤러 부재(663)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654)이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와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662)는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66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와 마찬가지로, 하단 롤러 부재(653)도 등 지지부 하단봉(65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로 발판(20)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는 경우 등 지지부(60)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하단 롤러 부재(653)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663)가 사용자의 등을 구르면서 움직이므로 사용자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사용자에게 보조적인 마사지 기능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 핸들바
20: 발판
30: 시트
40: 가이드 레일
51: 전방 지지부
52: 후방 지지부
60: 등 지지부
300: 롤러 고정 브라켓
310: 제 1 슬라이딩 롤러부
311: 고정축 나사
312: 고정축 너트
320, 330: 제 2 슬라이딩 롤러부
610: 결합바
620: L 자형 지지부
621: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
622: 용수철 중심 고정너트
623: 용수철
624: 용수철 하부 일단부
625: 용수철 상부 타단부
626: 수평 지지부
630: 등 지지부 하단부
631: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나사
632: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너트
640: 등 지지부 상단부
650: 등 지지부 하단 롤러
651: 등 지지부 하단봉
652: 하단봉 회전슬리브
653: 하단 롤러 부재
654: 고정캡
660: 등 지지부 상단 롤러
661: 등 지지부 상단봉
662: 상단봉 회전슬리브
663: 상단 롤러 부재
664: 고정캡

Claims (3)

  1. 로잉머신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당길 수 있는 핸들바;
    사용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지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롤러 고정 브라켓;
    상기 롤러 고정 브라켓의 돌출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부;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결합바;
    상기 결합바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L 자형 지지부;
    상기 L 자형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는 용수철 중심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용수철; 을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는 등 지지부 하단부와 등 지지부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의 상부에는 등 지지부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에는 등 지지부 하단 롤러와 등 지지부 상단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등 지지부 하단 롤러는,
    등 지지부 하단봉에 하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하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하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하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하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등 지지부 상단 롤러는,
    등 지지부 상단봉에 상단봉 회전슬리브가 설치된 후에 상단 롤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이 등 지지부 상단봉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력에 의하여 상기 시트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등 지지부 하단부의 상부에는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가 연결되고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나사와 용수철 상부 타단부 고정너트로 고정되어 상기 등 지지부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 지지부가 전방으로 접혀서 상기 시트 상부에 겹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하단봉 회전슬리브와 상기 상단봉 회전슬리브는 각각 상기 등 지지부 상단봉과 상기 등지지부 하단봉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잉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부는, 상기 시트가 가이드 레일의 전방으로 복귀될 때 사용자의 등도 전방으로 밀어내어 쉽게 복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허리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잉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롤러 부재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로 발판을 밀어내고 등을 뒤로 누르는 경우 상기 등 지지부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하단 롤러 부재와 상기 상단 롤러 부재가 사용자의 등을 구르면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로잉머신.
KR1020210121162A 2021-09-10 2021-09-10 로잉머신 KR10235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62A KR102352271B1 (ko) 2021-09-10 2021-09-10 로잉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62A KR102352271B1 (ko) 2021-09-10 2021-09-10 로잉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271B1 true KR102352271B1 (ko) 2022-01-17

Family

ID=8005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162A KR102352271B1 (ko) 2021-09-10 2021-09-10 로잉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2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299A (ko) 2007-11-23 2009-05-27 이은선 운동 기구
KR200448891Y1 (ko) * 2009-07-15 2010-05-28 최상희 접이식 근력 운동기구
KR101173377B1 (ko) 2010-09-03 2012-08-1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로윙 머신
KR101236281B1 (ko) 2010-07-15 2013-02-26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KR101497875B1 (ko) 2014-07-22 2015-03-04 이석종 로윙머신
US20170361152A1 (en) * 2015-08-07 2017-12-21 Xiamen Aolro Technology Co., Ltd. Rowing machine
CN112473107A (zh) * 2020-12-09 2021-03-12 浙江力玄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划船器座椅用支撑结构
CN214019048U (zh) * 2020-10-28 2021-08-24 张文荣 能够模拟划船运动的动感划船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299A (ko) 2007-11-23 2009-05-27 이은선 운동 기구
KR200448891Y1 (ko) * 2009-07-15 2010-05-28 최상희 접이식 근력 운동기구
KR101236281B1 (ko) 2010-07-15 2013-02-26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KR101173377B1 (ko) 2010-09-03 2012-08-1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로윙 머신
KR101497875B1 (ko) 2014-07-22 2015-03-04 이석종 로윙머신
US20170361152A1 (en) * 2015-08-07 2017-12-21 Xiamen Aolro Technology Co., Ltd. Rowing machine
CN214019048U (zh) * 2020-10-28 2021-08-24 张文荣 能够模拟划船运动的动感划船机
CN112473107A (zh) * 2020-12-09 2021-03-12 浙江力玄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划船器座椅用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923B1 (en) Back exercise device
US5669865A (en) body fold and extension exercise apparatus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US6716144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5279530A (en) Portable leg exercising apparatus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5038758A (en) User controlled device for decompressing the spine
US6475123B1 (en) Abdominal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5595558A (en) Exerciser
US20050101443A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GB2346808A (en) Exercise apparatus
WO2005118078A1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US20080039295A1 (en) Method and device to enable and assist the elderly and females to exercise their abdominal and lower back muscles
US20040192521A1 (en) Multi-mode exerciser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2352271B1 (ko) 로잉머신
WO1992018204A1 (en) Exercise device
US20100286578A1 (en) Exerciser with massage function
WO2005053799A1 (ja) 運動器具用サドルおよび同サドルを用いた運動器具
CN114404883B (zh) 一种背部运动康复器及其使用方法
CN214286552U (zh) 锻炼装置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KR20210001360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