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608Y1 -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608Y1
KR200262608Y1 KR2020010028925U KR20010028925U KR200262608Y1 KR 200262608 Y1 KR200262608 Y1 KR 200262608Y1 KR 2020010028925 U KR2020010028925 U KR 2020010028925U KR 20010028925 U KR20010028925 U KR 20010028925U KR 200262608 Y1 KR200262608 Y1 KR 200262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wheelchair
drive roller
fram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대
Original Assignee
안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대 filed Critical 안종대
Priority to KR2020010028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608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휠체어 바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휠체어를 운행하는 정도와 동등한 팔 및 복근운동 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일측 구동롤러(100)의 축(101)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구동롤러(1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용 브레이크(103)와, 타측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맞닿는 마찰차(106)의 구동롤러(104)에 대한 밀착정도에 따라 구동롤러(10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용 부하장치(107)와, 타측 구동롤러(104)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09)에 설치된 각도 조절판(108)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장애인 스스로 회전가능한 한쌍의 구동롤러에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어 별도의 보호자 도움이 불필요하며,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운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장애인이 지정된 운동량을 달성할 때 장애인이 열등의식으로 부터 벗어남은 물론 자신감을 성취하며, 장애인의 팔 및 복근운동을 하게되어 운동기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exercising device for handicapped}
본 고안은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또는 재활 치료자(이하, '장애인' 이라함)가 휠체어 바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휠체어를 운행하는 정도와 동등한 팔 및 복근 운동효과를 갖도록 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23899호의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를 개선한 것으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스스로 본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롤러에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고, 장애인의 연령, 체중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는, 지면에 대해 경사각도를 갖도록 전후방에 형성되는 경사판(11) 및 경사판(11)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며 휠체어의 바퀴(W)가 탑재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30)가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지지판(10)으로 이루어진 본체(M)와, 본체(M)를 지면에 대해 고정지지하는 고정다리(40)와, 본체(M) 좌우측에 형성되는 수직바(21) 및 안전바(20)를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동행인의 도움을 받아 전술한 경사판(11)을 통하여 지지판(10)위로 오르게되며, 전후방 지지판(10)사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30) 사이에 상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손을 이용하여 휠체어 바퀴(W)를 제자리에서 일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장애인은 한정된 공간의 제자리에서 휠체어로서 지면을 운행하는 정도의 운동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는, 전술한 한 쌍의 구동롤러(30)가 지지판(10)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됨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구동롤러(30)로 부터 하차시 구동롤러(30)에 대해 휠체어의 바퀴(W)가 계속적으로 겉돌게되므로 구동롤러(30)로 부터 하차시에는 반드시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전술한 구동롤러(30)에 상차한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퀴(W)를 회전시켜 운동할 때 장애인의 연령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구동롤러(30) 속도의 일정한 기준치가 없어 장애인 개인별로 요구되는 운동량을 객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즉, 구동롤러(30)의 회전속도가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비해 너무 빠른 경우운동량이 많아 건강을 해치는 반면, 구동롤러(30)의 회전속도가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비해 너무 느린 경우에는 운동량이 적어 실질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지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동일한 자세에서 휠체어의 바퀴를 회전시킴에 따라 장애인이 팔운동만을 하게되어 운동기구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스스로 본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롤러에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어 별도의 보호자 도움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의 연령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휠체어 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운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적합한 운동량을 달성할 때 장애인이 열등의식 또는 자격지심으로 부터 벗어나며, 자신감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장애인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팔운동은 물론 복근운동을 하게되어 운동기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제동용 브레이크의 요부발췌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동용 브레이크의 분리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감속용 부하장치의 요부발췌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각도조절장치의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구동롤러 축의 요부발췌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104; 구동롤러
101,105; 축
102; 휠체어
103; 제동용 브레이크
106; 마찰차
107; 감속용 부하장치
108; 각도 조절판
109; 프레임
110; 표시부
111; 링크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앞뒤로 설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위에 사용자가 탑승한 휠체어를 탑재하여 휠체어 바퀴를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운동하는 장애인용 운동장치에 있어서, 일측 구동롤러(100)의 축(101)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구동롤러(1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용 브레이크(103)와, 타측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맞닿는 마찰차(106)의 구동롤러(104)에 대한 밀착정도에 따라 구동롤러(10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용 부하장치(107)와, 타측 구동롤러(104)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09)에 설치된 각도 조절판(10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운동량을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기준값인 바퀴의 최고 회전속도와, 운동시 바퀴의 회전속도와, 휠체어의 주행시간 및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각도 조절판은, 베어링에 의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돌출형성되며 중간측에 제1기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용 손잡이와,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가 형성된 중간축과, 중간축에 연결되어 프레임과 각도 조절판 사이에 설치되며 손잡이 회전시 제1,2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각도 조절판을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링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동용 브레이크는, 프레임에 고정되며결합홈이 상면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더와, 제동용 브레이크가 고정홈으로 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홈으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분리되는 걸림편이 저면에 연장형성된 고정구와, 일단이 고정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9)에 장착된 베어링(B1,B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롤러(100)의 축(101)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과,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구동롤러(100)에 대해 휠체어(102)를 승,하차시 구동롤러(1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용 브레이크(103)와, 베어링(B3,B4)에 의해 프레임(10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타측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밀착되는 피혁재의 마찰차(106)가 구동롤러(104)에 대해 가압정도에 따라 구동롤러(104)의 회전 및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감속용 부하장치(107)를 구비한다.
이때,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동용 브레이크(103)는, 전술한 프레임(109)에 고정되고 결합홈(113a)이 상면에 장공으로 형성되며, 관통공(113b)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더(113)와, 제동용 브레이크(103)가 고정홈(101a)으로 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결합홈(113a)으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분리되는 걸림편(116)이 저면에 연장형성된 고정구(114)와, 일단이 가이더(113)의 관통공(113b)에 삽입되어 고정구(114)에 형성된 고정공(114a)에 삽입되는 미도시된 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핀(115)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측 구동롤러(104)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09)에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틸팅시 휠체어(102)가 후방으로 소정각도로 눕혀져 휠체어(102)의 바퀴(102a)를 회전시키기 위해 장애인이 상체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복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판(108)과, 전술한 프레임(109)전방 일측에 파이프(P)를 통해 돌출형성되며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운동량을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기준값인 바퀴(102a)의 최고 회전속도와, 운동할 때의 바퀴(102a)의 회전속도와, 휠체어(102)의 주행시간 및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구비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각도 조절판(108)의 일측은 프레임(109)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각도 조절판(108)의 타측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111)의 승하강에 의해 각도 조절판(108)을 상후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높이조절구(112)가 프레임(109)과 각도 조절판(108)사이에 설치된다.
미 설명부호 121은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밀착되는 마찰차(106)로 부터 감속용 부하장치(107)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핀 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이 휠체어(102)에 탑승한 상태에서 프레임(109)의 전방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출입판(120)을 통하여 한 쌍의 구동롤러(100,104) 사이에 상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구동롤러(100)는 제동용 브레이크(103)에 의해 제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휠체어(102)의 바퀴(102a)가 미끄러지지않고 구동롤러(100,104)위에 보호자의 도움없이도 쉽게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동용 브레이크(103)단부에 형성된 고정핀(115)을 구동롤러(100)의 축(101)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동용 브레이크(103)의 고정구(114)저면에 형성된 걸림편(116)이 프레임(109)에 고정된 가이더(113)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3a)에 결합되므로 휠체어(102)의 바퀴(102a)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구동롤러(100)가 회전되지않도록 제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102)가 한 쌍의 구동롤러(100,104)사이에 상차한 후 전술한 제동용 브레이크(103)의 고정구(114)를 파지하여 가이더(113)의 결합홈(113a)으로 부터 들어올려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제동용 브레이크(103)단부에 형성된 고정핀(115)이 구동롤러(100)의 축(101)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으로 부터 분리되므로 구동롤러(100)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프레임(109)에 장착된 베어링(B1,B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롤러(10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롤러(100,104)사이에 상차한 휠체어(102)에 탑승한 장애인이 바퀴(102a)를 제자리에서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휠체어(102)를 지면에서 운행할 때와 동등한 팔운동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프레임(109)의 전방측에 설치된 표시부(110)에 휠체어(102)의 바퀴(102a)의 회전속도가 표시됨에 따라, 장애인의 나이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운동량을 기준값으로 표시한 것과 비교판단하여 운동을 통해 자격지심 또는 열등의식 등으로 부터 벗어나고, 자신감을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전술한 구동롤러(104)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밀착되는 피혁재의 마찰차(106)를 가압하는 감속용 부하장치(107)의 체결력 정도에 따라 구동롤러(104)와 마찰차(106)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구동롤러(104)의 회전속도 및 운동부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프레임(109)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술한 각도 조절판(108)을 상방향으로 틸팅시켜 휠체어(102)에 탑승한 장애인의 복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2)에 탑승한 장애인이 프레임(109)에 회전가능하게 돌출형성된 회전용 손잡이(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손잡이(130)에 형성된 제1기어(131)와 치합하는 제2기어(132)의 회전에 의해 중간축(133)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중간축(133)에 유니버셜조인트(134)를 통해 연결된 링크(111)가 프레임(109)바닥의 고정점을 중심으로하여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각도 조절판(108)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구동롤러(100,104)사이에 상차한 휠체어(102)가 뒷쪽으로 눕혀지게 된다.
이때, 전술한 휠체어(102)에 뒷쪽으로 경사지게 탑승한 장애인은 바퀴(102a)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앞쪽으로 몸을 굽혀야하므로, 휠체어(102)가 뒷쪽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바퀴(102a)를 회전시키기 위해 몸을 굽히는 동작을 반복하게되어 장애인의 팔운동은 물론 복근 강화운동을 동시에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스스로 본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롤러에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어 별도의 보호자 도움이 불필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장애인의 연령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휠체어 바퀴의 회전속도 및 운동부하를 제어하여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운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장애인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지정된 운동량을 달성할 때 장애인이 열등의식 또는 자격지심으로 부터 벗어남은 물론 자신감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장애인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팔운동은 물론 복근운동을 하게되어 운동기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앞뒤로 설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위에 사용자가 탑승한 휠체어를 탑재하여 휠체어 바퀴를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운동하는 장애인용 운동장치에 있어서;
    일측 구동롤러(100)의 축(101)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구동롤러(1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용 브레이크(103);
    타측 구동롤러(104)의 축(105)외주연에 맞닿는 마찰차(106)의 상기 구동롤러(104)에 대한 밀착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10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용 부하장치(107); 및
    상기 타측 구동롤러(104)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09)에 설치된 각도 조절판(10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9)전방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운동량을 비교 판단할 수 있도록 기준값인 상기 바퀴(102a)의 최고 회전속도와, 운동시 상기 바퀴(102a)의 회전속도와, 상기 휠체어(102)의 주행시간 및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판(108)은;
    베어링(B5,B6)에 의해 상기 프레임(109)에 회전가능하게 돌출형성되며, 중간측에 제1기어(13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용 손잡이(130);
    상기 제1기어(131)와 치합하는 제2기어(132)가 형성된 중간축(133); 및
    상기 중간축(133)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9)과 각도 조절판(108)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30)회전시 상기 제1,2기어(131,13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도 조절판(108)을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링크(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용 브레이크(103)는;
    상기 프레임(109)에 고정되며 결합홈(113a)이 상면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더(113);
    상기 제동용 브레이크(103)가 상기 고정홈(101a)으로 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113a)으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분리되는 걸림편(116)이 저면에 연장형성된 고정구(114); 및
    일단이 상기 고정구(1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핀(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KR2020010028925U 2001-09-19 2001-09-19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KR200262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25U KR200262608Y1 (ko) 2001-09-19 2001-09-19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25U KR200262608Y1 (ko) 2001-09-19 2001-09-19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608Y1 true KR200262608Y1 (ko) 2002-03-18

Family

ID=7306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25U KR200262608Y1 (ko) 2001-09-19 2001-09-19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6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02A (ko) * 2006-03-31 2007-10-05 유병삼 휠체어 장애인용 운동장치
KR102027702B1 (ko) * 2018-08-03 2019-11-04 이승준 휠체어 주행 운동 장치
KR20220036573A (ko) * 2020-09-16 2022-03-23 근로복지공단 휠체어 사용자 에너지 소모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02A (ko) * 2006-03-31 2007-10-05 유병삼 휠체어 장애인용 운동장치
KR102027702B1 (ko) * 2018-08-03 2019-11-04 이승준 휠체어 주행 운동 장치
KR20220036573A (ko) * 2020-09-16 2022-03-23 근로복지공단 휠체어 사용자 에너지 소모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2438204B1 (ko) 2020-09-16 2022-08-30 근로복지공단 휠체어 사용자 에너지 소모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489A (en) Walker apparatus with left and right foot belts
KR940008965B1 (ko) 미끄럼 이동장치
KR20020064648A (ko) 기능강화훈련기
US10857833B2 (en) Caster assembly with brake assembly having low actuation force
WO1996000115A1 (en) Treadmill exercise apparatus with one-way clutch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US4247127A (en) Vehicular suspension system
US6893386B2 (en) Physical therapy chair-bed for paralytic patients
JP2007210525A (ja) 階段避難用坐式降下器具
KR200262608Y1 (ko) 장애인용 팔 및 복근 운동장치
KR101736272B1 (ko) 하지 재활운동이 가능한 탈부착형 전동휠체어
JPH10295749A (ja) 歩行補助器
CA2302061A1 (en) Mobility assisting device and method
KR200234318Y1 (ko) 턱을 오를 수 있는 휠체어
US20060267309A1 (en) Supplementary driving mechanism of the muscle-driven vehicle for accelerated rehabilitation of a paralyzed arm
KR100653530B1 (ko) 휠체어 이용 장애우 또는 재활치료자를 위한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
JP2008029676A (ja) 歩行補助装置
KR101993176B1 (ko) 휠체어용 트레드밀
JPH10505260A (ja) 訓練装置
JPH11332917A (ja) 車椅子用運動具
CN215535762U (zh) 一种爬坡轮椅
KR102637233B1 (ko) 휠체어 트레드밀
JP3115241B2 (ja) 歩行訓練・矯正装置
CN217611919U (zh) 一种神经外科用辅助行走护理装置
KR101314276B1 (ko) 한손 구동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