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54Y1 -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54Y1
KR200480054Y1 KR2020150001449U KR20150001449U KR200480054Y1 KR 200480054 Y1 KR200480054 Y1 KR 200480054Y1 KR 2020150001449 U KR2020150001449 U KR 2020150001449U KR 20150001449 U KR20150001449 U KR 20150001449U KR 200480054 Y1 KR200480054 Y1 KR 200480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vehicle
cover
present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1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차량 앞면 유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 유리에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유리 보호커버나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 차단 커버로 사용하거나 커버부재를 접어서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기능이 다양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MULTIFUNCTIONAL COVER FOR VEHICLE}
본 고안은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적용되며, 차량 유리에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추돌주의 표지판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기온변화가 심한 동절기에는 차량을 바깥에서 주차시켜 놓으면 차량 앞면 유리에 성에가 생기거나 결빙되므로 시야 확보를 위해 주행 전에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보통 운전자들은 결빙이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에 시동을 켠 상태로 예열하거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차량 유리에 얼어붙은 결빙이나 성에를 긁어서 제거한다.
그런데, 차량 시동에 의한 예열을 통해 결빙이나 성에를 제거하는 방법은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차량의 공회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결빙이나 성에를 차량 유리로부터 긁어내는 방법은 유리 표면의 코팅층을 손상시키고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추운 날씨에도 이를 긁어내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유리를 덮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보호커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보호커버는 차량의 외관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형태이므로 부피가 크고 설치하는 방법이 매우 번거로워 운전자 혼자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큰 불편함이 따르며, 큰 부피로 인해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휴대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12327호 '차량용 하프커버'(1998.05.25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유리에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유리 보호커버나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 차단 커버로 사용하거나 커버부재를 접어서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기능이 다양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차량 앞면 유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부재는 걸림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접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기능성 차량용 커버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재 및/또는 상기 제3 커버부재에 경고문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기능성 차량용 커버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 커버부재와 후면 커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 커버부재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 사이에 상기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 각각에 대응되도록 방열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접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3 커버부재가 접하는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전면 커버부재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열시트는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개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의 폭방향 일단에는, 상기 방열시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난방지부재의 끝단에는,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난방지부재의 매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펼친 상태에서 방열성이나 빛 차단성 등의 성능이 우수하여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나 햇빛 차단막 혹은 매트리스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삼각기둥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가 서로 중첩되도록 접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의 걸림부재를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커버를 훔쳐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가 삼각기둥 형상으로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서 걸림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를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난방지기능이 추가된 본 고안의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를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를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가 삼각기둥 형상으로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차량 앞면 유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110)와, 상기 커버부재(110)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111), 제2 커버부재(112) 및 제3 커버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2 커버부재(112)의 양단에 각각 제1 커버부재(111) 및 제3 커버부재(113)가 연장 형성되며, 각 커버부재의 형상과 크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재(120)는 걸림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를 차량의 사이드 미러 등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가 차량 앞면 유리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하기 위해 커버부재(110)가 차량의 앞 유리 전체를 뒤덮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120)가 차량의 사이드 미러 등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10)의 크기나 상기 제1 고정부재(12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10)의 재질은 천을 포함하는 직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수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열성이나 빛 차단성 등 기타 다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길이방향 길이가 폭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커버부재(111) 및 상기 제2 커버부재(112)가 접하는 부분인 제1 연결부(160)와, 상기 제2 커버부재(112) 및 상기 제3 커버부재(113)가 접히는 부분인 제2 연결부(170)를 접음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재(111)의 끝단과 상기 제3 커버부재(113)의 끝단을 결합하여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즉 상기 제1 커버부재(111)의 끝단과 상기 제3 커버부재(113)의 끝단에는 상기 커버부재(110)를 접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재(130)는 벨크로, 지퍼, 스냅 단추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모든 탈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는 일례로 상기 제1 커버부재(111)의 끝단과 상기 제3 커버부재(113)의 끝단이 벨크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제2 커버부재(112)가 바닥에 위치하고, 제1 커버부재(111) 및 제3 커버부재(113)가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추돌 방지 표지판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커버부재(111) 및/또는 상기 제3 커버부재(113)에 경고문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문구는 '추돌주의', '경고', '위험', '공사중' 등의 글자일 수 있으며,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물질로 구성되거나 센서 등의 플레시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10)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제2 고정부재(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140)는 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에 장착된 손잡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 매듭을 지어 상기 다기능성 차량용 커버(100)가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의 커버부재(110)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111), 제2 커버부재(112) 및 제3 커버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110)는 전면 커버부재(115)와 후면 커버부재(116)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전면 커버부재(115)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116) 사이에 상기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111, 112, 113) 각각에 대응되도록 방열시트(1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재(111)와 상기 제2 커버부재(112)가 접하는 제1 연결부(160)와 상기 제2 커버부재(112)와 상기 제3 커버부재(113)가 접하는 제2 연결부(170)에서 상기 전면 커버부재(115)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116)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커버부재에 대응되도록 삽입된 방열시트(150)가 다른 커버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다른 방열시트(150)가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사시도이다. 방열시트(150)는 열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에 해당되며, 각 방열시트(150)의 형상은 각 커버부재와 동일하고, 각 방열시트(150)의 크기는 각 커버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시트(150)는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개의 튜브(15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튜브(151)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그 재질로는 고분자 계열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열차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 소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시트(150) 내 유로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거나 공기가 체류함에 따라 전면 커버부재(115)와 후면 커버부재(116) 사이에 추가적인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시트(150)가 포함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차량 앞면 유리에 덮는 경우 성에나 결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열시트(150)나 상기 커버부재(11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 차단 필름이 삽입 혹은 부착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햇빛 차단막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의 방열성을 이용하여 겨울철에 차량 앞면 유리에 성에나 결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빛 차단성을 이용하여 여름철에 햇빛을 차단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가 크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10)의 폭방향 일단에는 상기 방열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1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개폐부재(180)는 벨크로, 지퍼, 스냅 단추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모든 개폐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은 일례로 지퍼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서 걸림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에서,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190)가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난방지부재(190)가 결합되는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커버부재(1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할 때, 상기 도난방지부재(190)의 끝단에는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재(19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191)는 상기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190)의 매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난방지부재(190)의 끝단에 일정 부피를 가지는 걸림부재(191)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도난방지부재(190)를 자체적으로 매듭 지음으로써 상기 걸림부재(191)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커버(100)를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펼친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80)를 오픈하여 방열시트(150)를 삽입한 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부재(116)가 차량의 앞면 유리에 접하도록 배치시키고 제1 고정부재(120)를 잡아당겨 차량의 백미러나 상기 제1 고정부재(12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고정부재(120)가 상기 다기능성 차량 보호커버를 차량 유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커버부재(110)가 차량의 앞면 유리와 긴밀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동절기에 차량 유리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폭설에도 차량 앞면 유리에 눈이 쌓여 운행 중 미리 치워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햇빛 차단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은 기본적으로 위와 동일하나 차량 앞면 유리의 외면뿐만 아니라 내면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위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휴대성으로 인해 쉽게 도난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190)의 걸림부재(191)를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가 차량 유리 결빙 보호커버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상기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훔쳐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걸림부재가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 앞 도어에 걸림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도난방지부재(190)에 의해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된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창문이나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도난방지부재(190)의 걸림부재(191)가 걸림고정되어 있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내부에 방열시트(150)가 삽입되어 있어 일반 매트리스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일반 매트리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펼친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80)를 오픈하여 방열시트(150)를 삽입한 후 폐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우수한 휴대성으로 차량에 항상 구비하여 다닐 수 있으며, 방열시트(150)가 삽입되어 있어 방열성이 우수한바 차가운 바닥에 펼쳐놓고 이용가능하고, 방열시트(150) 자체가 쿠션의 기능도 가지고 있기에 매트리스로 활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버부재(110)를 겹치게 접음으로써 상기 방열시트(150)가 삽입된 커버부재(110)가 적층되도록 하여 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소정 각도로 접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만든다.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재(1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커버부재(111)의 끝단과 상기 제3 커버부재(113)의 끝단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를 삼각기둥 형상으로 만든 후에는 노면 위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나, 시야 확보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지붕에 배치시키고 제2 고정부재(140)를 잡아당겨 단부를 차량의 손잡이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다른 차량 운전자가 쉽게 도로상에 차량이 정차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도로상에 발생하는 차량의 고장 또는 1차 사고 후 2차 차량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보호커버는 추돌주의 표지판으로 변형한 후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는 것 외에 정차된 차량 옆에 설치하여 다른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이 정차하고 있음을 알리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100)는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커버부재(111, 112, 113)가 서로 중첩되도록 접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111)가 상기 제2 커버부재(112)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접고, 상기 제3 커버부재(113)가 상기 제2 커버부재(112)의 타면과 접촉하도록 접음으로써 부피를 줄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10)에 삽입된 방열시트(150)를 별도로 보관하여 더욱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110: 커버부재
111: 제1 커버부재 112: 제2 커버부재
113: 제3 커버부재 115: 전면 커버부재
116: 후면 커버부재 120: 제1 고정부재
130: 탈부착부재 140: 제2 고정부재
150: 방열시트 151: 튜브
160: 제1 연결부 170: 제2 연결부
180: 개폐부재 190: 도난방지부재
191: 걸림부재

Claims (13)

  1. 차량 앞면 유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접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접힌 상태의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재 및/또는 상기 제3 커버부재에 경고문구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삼각기둥 형상으로 접힌 상태의 상기 커버부재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걸림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 커버부재와 후면 커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 커버부재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 사이에 상기 제1 커버부재 내지 제3 커버부재 각각에 대응되도록 방열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접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3 커버부재가 접하는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전면 커버부재와 상기 후면 커버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시트는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개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폭방향 일단에는, 상기 방열시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끈 형상의 도난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부재의 끝단에는, 차량 옆면 유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난방지부재의 매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KR2020150001449U 2015-03-06 2015-03-06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KR200480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49U KR200480054Y1 (ko) 2015-03-06 2015-03-06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49U KR200480054Y1 (ko) 2015-03-06 2015-03-06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54Y1 true KR200480054Y1 (ko) 2016-04-06

Family

ID=5579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49U KR200480054Y1 (ko) 2015-03-06 2015-03-06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46A (ko) * 2019-11-19 2021-05-27 장보고 차량용 점착식 유막제거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199B2 (ja) * 1994-12-16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圧縮符号化装置
JP2013043455A (ja) * 2011-08-22 2013-03-04 Unai Kinzoku Kogyo Kk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199B2 (ja) * 1994-12-16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圧縮符号化装置
JP2013043455A (ja) * 2011-08-22 2013-03-04 Unai Kinzoku Kogyo Kk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カ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46A (ko) * 2019-11-19 2021-05-27 장보고 차량용 점착식 유막제거 시트
KR102343308B1 (ko) * 2019-11-19 2021-12-23 장보고 차량용 점착식 유막제거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5993A (en) Automobile windshield cover
US6206451B1 (en) Dual panel retracting vehicle shade
US20050242610A1 (en) Vehicle window sun cover
KR101050515B1 (ko) 자동차 덮개 세트
US4903749A (en) Automobile protective cover
US7093878B1 (en) Automobile cover
KR200480054Y1 (ko) 다기능성 차량용 보호커버
KR200485645Y1 (ko) 자동차 전면유리 보호덮개
US6170553B1 (en) Vehicle windshield shading apparatus
KR200206982Y1 (ko) 자동차 유리 성에방지커버
KR20120051144A (ko) 자동차용 차양막
US5732997A (en) Device for increasing a resting space for drivers in a truck
KR20130068619A (ko) 자동차용 외장 단열 커버
CN103171413B (zh) 一种多功能可收放式汽车车载防护罩
GB2171375A (en) Motor vehicle and trailer protection
KR101373707B1 (ko) 자동차 유리용 보호 덮개
KR200307587Y1 (ko) 햇빛차단 및 성에방지를 위한 자동차 유리덮개
JP2000118245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カバー
JP4333806B2 (ja) 自動車用保護器具
JP2003306043A (ja) 自動車用日除け霜除けシーツ
JP3027304U (ja) 折りたたみ式自動車フロントガラス凍結防止パネル
JP3001042U (ja) 自動車の上部半カバー
KR200313847Y1 (ko) 자동차 앞 유리 커버
TWM467573U (zh) 汽車防盜隔熱套
KR20020060133A (ko) 차량의 탈부착용 햇빛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