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80Y1 -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80Y1
KR200479880Y1 KR2020150006307U KR20150006307U KR200479880Y1 KR 200479880 Y1 KR200479880 Y1 KR 200479880Y1 KR 2020150006307 U KR2020150006307 U KR 2020150006307U KR 20150006307 U KR20150006307 U KR 20150006307U KR 200479880 Y1 KR200479880 Y1 KR 200479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adhesive
luminous
film layer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충렬
양재성
이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대구도시철도공사
양충렬
양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대구도시철도공사, 양충렬, 양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Priority to KR2020150006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계단 연결로의 전방측 선단부에 복수 형성되는 표식 고정홈과, 상기 표식 고정홈에 삽입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수지층; 상기 접착수지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발광체가 혼합되어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 보행시 상기 계단 연결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야광필름층; 및 상기 야광필름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보행자에 의해 상기 야광필름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Stairs display for displaying impaired}
본 고안은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시력나, 또는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의 시작과 끝에 형성되는 연결로(참)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를 구성하여 정확한 계단 및 계단 연결로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형광 반사층에 의하여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전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이나, 지하철 입구에는 상,하층을 연락하는 복도의 연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계단이 필연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계단은 외부계단과 내부계단으로 구분될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나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철근콘크리트 계단은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타설되는 계단으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으며, 이 경우 계단의 디딤면에는 오르내리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미끄름막이 즉, 논슬립(nonslip)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논슬립은 금속재, 타일,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계단 디딤면의 끝단 모서리부분에 고정물로 설치되는 것이며, 주로 콘크리트 계단을 타설시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시공이 완료된 후 계단의 디딤면에 별도의 부착물로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슬립은 계단의 끝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계단과 계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로에는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력이 좋지 못한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을 내려 오면서 연결로를 계단으로 착각하여 보행하면서 전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지하철 입구 등에 시공되는 계단의 경우 계단 높이 3미터 이내마다 1.2미터의 폭을 가지는 연결로(참)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 연결로를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이 인식하지 못하면서 전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0340호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개구되는 체결홈을 가짐과 동시에 양측면에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논슬립체결구의 성형공정, 종석, 백시멘트, 종석파우더를 적정량의 물로서 혼합하여 준비하는 콘크리트 재료 배합공정, 금형의 바닥면에 체결레일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이에 사출성형된 논슬립체결구를 체결한 다음 준비된 콘크리트 재료를 타설하여 디딤평판을 성형토록 하는 성형공정, 금형내의 콘크리트 재료를 프레스로 압착함과 동시에 진동을 주어 콘크리트 재료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토록 하는 진동압축공정,금형으로 부터 탈형 후 양생토록 하는 양생공정, 상기 디딤평판의 외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연마공정, 상기 디딤평판의 논슬립체결구에 별도의 논슬립을 체결토록 하는 논슬립 설치공정을 갖추어 구성되는 논슬립을 가지는 계단용 디딤평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논슬립 방식은 2년마다 주기적으로 교체 작업이 필요하며, 논슬립과 계단 간의 높이차에 의해 시각 장애인들의 발이 걸리면서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논슬립은 계단에만 형성되어 미끄러짐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계단과 계단들을 연결하는 연결로에는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30340호, 논슬립을 가지는 계단용 디딤평판의 제조방법.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시력나, 또는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의 시작과 끝에 형성되는 연결로(참)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를 구성하여 정확한 계단 및 계단 연결로의 인식이 가능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형광 반사층에 의하여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전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 형광체에 의한 빛을 통해 시인성은 극대화하고, 보행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보행자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계단 연결로의 전방측 선단부에 복수 형성되는 표식 고정홈과, 상기 표식 고정홈에 삽입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수지층; 상기 접착수지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발광체가 혼합되어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 보행시 상기 계단 연결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야광필름층; 및 상기 야광필름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보행자에 의해 상기 야광필름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야광필름층은 글자, 문양, 로고로 이루어지는 문자 형상부와, 상기 문자 형상부의 주변으로 야광 파우더가 충진, 또는 도포되는 음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형상부는 오렌지색의 야광 파우더로 구성되어 상기 야광필름층의 상부에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계단 표식장치에는 상기 투명수지층의 상부면과 표식 고정홈의 내측 둘레면을 접착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계단 표식장치에는 상기 접착수지층, 야광수지층 및 탄성수지층이 각각 적층되게 내장되며, 상기 표식 고정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식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접착수지층, 야광필름층 및 투명수지층의 사이에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 구성하여 에폭시 실링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저시력나, 또는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의 시작과 끝에 형성되는 연결로(참)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를 구성하여 정확한 계단 및 계단 연결로의 인식이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형광 반사층에 의하여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뿐만 아니라 저시력자들 역시 계단과 계단 연결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행자의 전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형광체에 의한 빛을 통해 시인성은 극대화하고, 보행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보행자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200)는 계단과 계단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 연결로(102)에 설치되어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의 시작과 끝에 형성되는 계단 연결로(102)의 용이한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계단 연결로(102)의 일면에 형성된 표식 고정홈(104)에 삽입 구성된다.
여기서, 표식 고정홈(104)은 계단 연결로(102)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선단부에서 외측 선단부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3개의 계단 표식장치(200)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단 표식장치(200)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며, 표식 고정홈(104)의 바닥면에 압착되면서 계단 표식장치(200)와 표식 고정홈(104)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수지층(210)과, 이 접착수지층(210)의 상부에 적층 구성되며, 소정의 형광빛을 발광하는 야광필름층(220) 및 야광필름층(220)의 상부에 부착되며, 보행자의 보행시 야광필름층(220)의 보행자의 신발 등과 접촉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수지층(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착수지층(210)은 계단 표식장치(200)의 최하층부를 이루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착수지층(210)은 하부면이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표식 고정홈(104)과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장기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면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더 구성하여 접착수지층(210)이 표식 고정홈(104)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수지층(210) 및 표식 고정홈(104)의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수지층(210)의 상부면에는 야광필름층(220)의 적층시,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접착제(240)가 더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240)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 구성하여 에폭시 실링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야광필름층(220)은 발광체로 구성된 야광 파우더와 합성수지가 일정 비율로 혼합 구성되는 것으로,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 보행시 계단 연결로(10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야광필름층(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문양, 로고 등과 같은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들은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야광필름층(220)은 그 상부면에 전술한 다양한 형상들을 양각의 형태로 구성하는 문자 형상부(224)를 구성하고, 이 문자 형상부(224)의 주변으로 음각부(222)를 형성하고, 이 음각부(222)에 야광 파우더를 충진, 도포, 또는 혼합하는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야광 필름층(220)에 구성된 야광 파우더의 색상이나, 농도를 조절하여 문자 형상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야광필름층(220)은 야광 파우더와 합성수지가 중량비 1:3의 비율로 구성되고, 문자 형상부(224)의 경우에는 야광 파우더와 합성수지가 중량비 1:1의 비율로 구성되어 야광필름층(220)의 상부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야광필름층(220)은 노란색의 야광 파우더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 형상부(224)는 오렌지색의 야광 파우더로 구성되어 야광필름층(220)의 상부에 부착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투명수지층(230)은 문자 형상부(224)가 구성된 야광필름층(220)의 상부에 적층 구성되는 것으로, 보행자에 의해 야광필름층(2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투명수지층(230)은 접착제(240)에 의해 야광필름층(220)의 상부면에 접착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야광필름층(220)의 발광시 빛의 선명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그라비아 인쇄, P.P인쇄, 전사인쇄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야광필름층(220)의 상부면에 전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표식 고정홈(104)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계단 표식장치(200)가 표식 고정홈(10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표식 고정홈(104)과 계단 표식장치(200) 간에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계단 표식장치(200)와 표식 고정홈(104)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투명수지층(230)의 상부면과 표식 고정홈(104)의 내측 둘레면을 접착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탄성 접착부재(2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접착부재(250)는 계단 표식장치(200)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 접착부재(25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표식장치(200)의 전,후방부에 각각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단턱부(260)를 구성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시 계단 표식부재(200)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표식장치(200)가 어셈블리 형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표식 고정홈(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접착수지층(210), 야광수지층(220) 및 탄성수지층(230)이 각각 적층되게 내장되는 표식 케이스(270)가 더 구성되며, 이 표식 케이스(270)의 내부에 각각의 수지층들이 접착제(240)에 의해 접착 구성됨으로써,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표식 케이스(270)는 전술한 접착수지층(210), 야광수지층(220) 및 탄성수지층(230)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272)이 형성되고, 수용홈(272)에는 계단 연결로(102)와 앙카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276)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공(27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계단 표식장치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와 같은 문자 형상부(224)를 구성하여 정확한 계단 및 계단 연결로(102)의 인식이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야광수지층(220)에 의해 형광 반사층을 구성함으로써,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및 저시력자들 역시 계단과 계단 연결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행자의 전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고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내부 또는 실내에 비치되어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도록 향기를 발생시키고, 다양한 광고용 카드 또는 명함을 편리하게 수납하며, 광고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유리 또는 벽체로부터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계단 연결로 104: 표식 고정홈
200: 계단 표식장치 210: 접착수지층
220; 야광수지층 222: 음각부
224: 문자 형상부 230: 투명수지층
240: 접착제 250: 탄성 접착부재
260: 탄성 단턱부 270: 표식 케이스

Claims (5)

  1. 계단 연결로의 전방측 선단부에 복수 형성되는 표식 고정홈과,
    상기 표식 고정홈에 삽입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표식 고정홈과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도록 하부면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표식 고정홈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표식 고정홈이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
    상기 접착수지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발광체가 혼합되어 저시력자나 시각 장애인들이 계단 보행시 상기 계단 연결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글자, 문양, 로고로 이루어지는 문자 형상부와, 상기 문자 형상부의 주변으로 야광 파우더가 충진, 또는 도포되는 음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형상부는 오렌지색의 야광 파우더로 구성되어 상부에 부착 구성되는 야광필름층;
    상기 야광필름층의 상부에 접착되며, 보행자에 의해 상기 야광필름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수지층;
    상기 투명수지층의 상부면과 표식 고정홈의 내측 둘레면을 접착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고, 계단 표식장치의 전,후방부에 각각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단턱부가 형성된 탄성 접착부재;
    상기 접착수지층, 야광수지층 및 탄성수지층이 각각 적층되게 내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표식 고정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표식 케이스;
    상기 접착수지층, 야광필름층 및 투명수지층의 사이에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 구성하여 에폭시 실링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필름층은 야광 파우더와 합성수지가 중량비 1:3의 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문자 형상부는 야광 파우더와 합성수지가 중량비 1:1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6307U 2015-09-22 2015-09-22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KR200479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07U KR200479880Y1 (ko) 2015-09-22 2015-09-22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07U KR200479880Y1 (ko) 2015-09-22 2015-09-22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80Y1 true KR200479880Y1 (ko) 2016-03-16

Family

ID=5564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307U KR200479880Y1 (ko) 2015-09-22 2015-09-22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76B1 (ko) 2016-10-14 2017-03-15 이우준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53Y1 (ko) * 2003-06-24 2003-09-19 주식회사 하이워크 방향 안내기능이 구비된 미끄럼방지대
KR200406713Y1 (ko) * 2005-11-07 2006-01-23 주식회사 오빌테크 형광 착색 시트 및 이를 부착한 시각 장애자용 점자 블록
KR100846833B1 (ko) * 2007-05-07 2008-07-17 정도영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KR101087067B1 (ko) * 2011-05-11 2011-11-25 김경진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53Y1 (ko) * 2003-06-24 2003-09-19 주식회사 하이워크 방향 안내기능이 구비된 미끄럼방지대
KR200406713Y1 (ko) * 2005-11-07 2006-01-23 주식회사 오빌테크 형광 착색 시트 및 이를 부착한 시각 장애자용 점자 블록
KR100846833B1 (ko) * 2007-05-07 2008-07-17 정도영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KR101087067B1 (ko) * 2011-05-11 2011-11-25 김경진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76B1 (ko) 2016-10-14 2017-03-15 이우준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9752A1 (en) Detectable warning-dots demarkation for pedestrian safety
US20050079330A1 (en) Display mat with high-definition graphics
KR200479880Y1 (ko)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US20060188680A1 (en) Method for giving a concrete surface visual and tactile detectable warnings through adhesive means, resulting surface, and components
KR101482588B1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JP2000034710A (ja) 滑止め標識体
JP2006241844A (ja) 階段用床材
JP2009127302A (ja) 点字部材及び誘導ブロック
JP2006249786A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その形成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路面表示体
JP4153008B2 (ja) 路面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110816B1 (ko) 도로 경계석
KR102093358B1 (ko) 광발광성 에코디스크 설치방법
US20150056012A1 (en) Three-Dimensional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er
KR200482397Y1 (ko) 광고기능을 가지는 계단
KR101894586B1 (ko) 도로의 노면 표지
KR101008351B1 (ko) 바닥 표지판
KR101963714B1 (ko) 논슬립기능과 식별기능을 갖는 스티커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282664B2 (ja) 標識を備えた階段ブロック
KR101281153B1 (ko) 도로표지용 반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3936916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マーカー
JP549283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転写シート
KR102630215B1 (ko)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JP3088125U (ja) 誘導マ−ク装着ユニット
ES2299322B1 (es) Baldosa fotoluminiscente de señalizacion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KR20230068063A (ko) 하이브리드형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