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45Y1 -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 Google Patents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45Y1
KR200437845Y1 KR2020070004245U KR20070004245U KR200437845Y1 KR 200437845 Y1 KR200437845 Y1 KR 200437845Y1 KR 2020070004245 U KR2020070004245 U KR 2020070004245U KR 20070004245 U KR20070004245 U KR 20070004245U KR 200437845 Y1 KR200437845 Y1 KR 200437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ead
braille
hol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케어
Priority to KR2020070004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8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applying prefabricated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유도체 및 촉감을 가미하였고,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게 함에 의해 비상표시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한 소방피난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상부에 판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위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블록본체; 상기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상하부홈들과 상기 머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그 상하부홈들을 상호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고정홈부; 및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이며, 상기 고정홈부의 상하부홈들에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걸림턱을 이루며 충진되어 상기 머리부와 일체화되게 성형되어 어두운 곳에서 보행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점자블록, 양면접착테잎, 소방피난유도블록

Description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the braille block}
도 1은 종래의 점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유도체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의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대한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도용 블록 110 - 블록본체
120 - 고정홈부 130 - 유도체
본 고안은 사람이 통행하는 보행로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들로 하여금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한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식별가능한 유도체를 점자블록에 설치함에 의해 비상표시수단으로서 소방피난유도블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1997년 4월 10일 제정되어 1999년 6월 8일부터 시행된 「장애인ㅇ노인ㅇ임산부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물 및 시설'에 해당하는 공공장소에는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점자블록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자블록은, 건축물의 주출입구와 도로 또는 교통시설을 연결하는 보도, 그리고 교통시설의 주출입구로부터 매표소, 대합실 및 승강장에 이르는 통로(시설관리자 등으로부터 별도의 상시안내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외), 그리고 교통시설 중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의 승하차지점에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점자블록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 물 및 시설'에 해당되는 편의시설에는 읍,면,동사무소, 경찰관파출소, 우체국, 전신전화국, 보건소, 의료보험조합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용도의 시설과 전시장, 동,식물원, 여객자동차터미널 및 화물터미널, 철도역사, 공항시설, 항만시설 및 종합여객시설, 정류소, 병원, 격리병원, 장애인특수학교, 장애인복지시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일반숙박시설(여관제외), 관광숙박시설이 있다.
이러한 점자블록에는 보행자에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표시용과 보행자에게 보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공하는 방향표시용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위치표시용 점자블록은 원형의 돌기를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방향표시용 점자블록은 선형의 돌기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용 점자블록은 계단, 장애인용 승강기, 화장실, 승강장 등 시각장애인을 유도할 필요가 있거나 시각장애인에게 위험한 장소의 0.3미터 전방, 또는 방향표시용 점자블록이 시작, 교차, 굴절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행자의 보행방향을 유도하는 선형블록은 유도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연속해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점자블록의 필요 및 의무화에 맞추어 기존에도 여러 종류의 점자블록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종래의 점자블록(10)은 지면 위로 노출되는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돌부(14)로 구분된다. 상기 머리부(12) 는 소정 직경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설치 시 지면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머리부(12)의 둘레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이 보행 중 머리부(12)에 걸려 넘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경사면(12a)은 노약자나 임산부들에게도 보행의 편의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4)는 지면 속에 매립되어 머리부(12)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12)의 저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부(14)가 지반 내부에 매립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자블록(10)은 보행로 등의 상하좌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군집되게 설치하여(도 3참조) 일단정지 표식을 이루게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자블록(10)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11)을 설치하여 이 구멍(11)을 통해 상기 고정돌부(14)를 삽입되게 매설하여 설치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점자블록(10)을 이용하여 비상표시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점자블록에 야간에 식별이 가능한 반사체를 설치한다. 상기 반사체를 점자블록의 표면에 도포함에 의해 야간에 식별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사체가 도포된 점자블록은 시공직후에는 상기 반사체에 의해 야간에 식별기능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으나 오랜 기간이 경과되면 보행자들에 의해 상기 반사체가 밟히게 되어 그 표면으로 도포된 반사체가 벗겨지는 등의 이유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로 이루어진 유도체를 설치하여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게 함에 의해 비상표시수단으로서 소방피난유도블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상부에 판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위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블록본체; 상기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상하부홈들과 상기 머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그 상하부홈들을 상호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고정홈부; 및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이며, 상기 고정홈부의 상하부홈들에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걸림턱을 이루며 충진되어 상기 머리부와 일체화되게 성형되어 어두운 곳에서 보행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본체의 머리부는 원형, 선형 혹은 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체의 상면에는 요철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상부에 판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위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블록본체; 상기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상하부홈들과 상기 머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그 상하부홈들을 상호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고정홈부; 및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이며, 상기 고정홈부의 상부홈과 구멍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홈과 구멍들에 억지끼움 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판과 끼움돌기들 및 상기 끼움돌기들에 하부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상기 고정홈부의 하부홈을 통해 걸림턱을 이루며 충진되어 일체화되게 하는 충진홈으로 이루어져 어두운 곳에서 보행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본체의 머리부는 원형, 선형 혹은 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유도체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100)은 블록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블록본체(1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시각장애인이 보행 중 걸려 넘어지지 않게 둘레가 경사면(112a)으로 이루어진 소정 직경을 갖 는 원판상의 머리부(112)와 상기 머리부(112)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본체(110)는 고정돌부(114)에 의해 바닥면에 설치시 상기 머리부(112)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각장애인들에게 보행의 편리성을 부여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100)은 고정홈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홈부(120)는 상기 블록본체(110)의 머리부(112)에 형성되어 유도체(13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도체(130)는 상기 블록본체(110)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홈부(120)는 블록본체(110)의 머리부(112)를 관통하도록 구멍(122)들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22)들에 의해 상호 연락되도록 상기 머리부(112)의 상하부면에서 각각 요입되게 상하부홈(124,126)들을 형성하는데, 상기 상하부홈(124,126)들은 상기 머리부(112)로부터 소정 깊이를 이루며 상기 구멍(122)의 직경 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100)은 유도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도체(130)는 상기 고정홈부(120)의 상하부홈(124,126)들과 구멍(122)들에 충진되어 상기 머리부(112)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에 의해 야간에 식별력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은 유도체(130)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광물질은 그 특성상 빛을 저장하고 있다가 빛을 발광시킴으로서 야간에 효과적으로 비상표시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100)은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안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일반인들에게는 야간에 보행을 안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유도체(130)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야간에 일반인들의 보행을 안내함과 아울러 비상표시수단으로서 활용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에 대한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고정홈부(120)에 설치되는 유도체(130)의 설치 방법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 부분에 대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즉,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도체(130)를 고정홈부(120)에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하지 않고, 상기 고정홈부(120)에 억지끼움 될 수 있는 유도체(130)를 미리 사출 성형하여 상기 고정홈부(120)에 끼움 결합함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도체(130)를 상기 블록본체(110)에 억지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유도체(130)의 상부면이 상기 블록본체(110)의 상부면보다 약간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 고정함이 좋은데, 이는 상기 유도체에 의한 촉감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블록복체(110)를 발로 밟았을 경우 상기 유도체에 의한 촉감을 갖게 함은 물론 상기 유도체에 의한 미끄럼방지 효과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도체(130)를 사출 성형시 고정홈 부(120)에 구비되는 구멍(122)들과 상부홈(12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돌기(134)와 끼움편(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34)에는 하부가 개구된 충진홈(13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충진홈(134a)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을 바닥에 설치시 상기 유도용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142)가 상기 고정홈부(120)의 하부홈(126)과 상기 충진홈(134a)의 내부로 걸림턱을 이루며 채워지게 하여 상기 유도체(130)를 상기 블록본체(110)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142)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블록본체(110)를 금속판체로서 상기 머리부(112)가 원형이 아닌 선형으로 형성한 구성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 유사하며 동일 부분에 대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즉, 선형으로 형성되는 머리부(112)에 위에서 설명한 유도체(130)를 한 개가 아닌 여러 개로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부(120)들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부(120)들에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로 이루어진 유도체(130)들을 상기 고정홈부(120)들에 각각 결합되게 하여,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10)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짐이 좋고, 또 상기 유도 체(130)는 엘라스토마 사출함이 좋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블록본체(110)의 머리부(112)를 원형 혹은 선형이 아닌 각형을 이루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도체(130)들의 상면에는 도 10의 표시와 같이 요철부(136)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36)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부(136)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로 이루어진 유도체를 더 설치함에 의해 일반인들도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여 비상표시수단으로서 소방피난유도블록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상부에 판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위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블록본체;
    상기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상하부홈들과 상기 머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그 상하부홈들을 상호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고정홈부; 및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이며, 상기 고정홈부의 상하부홈들에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걸림턱을 이루며 충진되어 상기 머리부와 일체화되게 성형되어 어두운 곳에서 보행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머리부는 원형, 선형 혹은 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의 상면에는 요철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4.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상부에 판상을 이루며 일 체로 형성되어 바닥 위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블록본체;
    상기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상하부홈들과 상기 머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그 상하부홈들을 상호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고정홈부; 및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는 축광물질이 혼합된 수지물이며, 상기 고정홈부의 상부홈과 구멍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홈과 구멍들에 억지끼움 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판과 끼움돌기들 및 상기 끼움돌기들에 하부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상기 고정홈부의 하부홈을 통해 걸림턱을 이루며 충진되어 일체화되게 하는 충진홈으로 이루어져 어두운 곳에서 보행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머리부는 원형, 선형 혹은 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KR2020070004245U 2007-03-14 2007-03-14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KR200437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45U KR200437845Y1 (ko) 2007-03-14 2007-03-14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45U KR200437845Y1 (ko) 2007-03-14 2007-03-14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45Y1 true KR200437845Y1 (ko) 2008-01-02

Family

ID=4134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45U KR200437845Y1 (ko) 2007-03-14 2007-03-14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7Y1 (ko) 2008-10-02 2011-12-06 (주)두리아이앤디 점자블록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7Y1 (ko) 2008-10-02 2011-12-06 (주)두리아이앤디 점자블록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3026A1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US8046943B2 (en) Safety kick plat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KR20090125488A (ko) 지하철 보도용 점자블록
US20030037720A1 (en) Tactile identification and direc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200437845Y1 (ko)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CN108917748B (zh) 一种nfc位置坐标导航系统及导向方法
EP2839445B1 (en) Guidance system that is integratable into the ground
KR200391083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JP6763714B2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US20050265782A1 (en) Method for giving a concrete surface visual and tactile detectable warnings, resulting surface, and components
KR20120008130U (ko) 점자 블럭
KR200241301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유도타일
JP3003701U (ja) 歩行誘導用マーカー
KR200272874Y1 (ko)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럭
KR200355489Y1 (ko) 비상시 계단의 유도를 위한 축광표시구
JP2012007340A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誘導路
Bílková et al. Barrier-free use of transport interchanges
Putranto et al. Satisfaction level of the blind on urban transportation system in Greater Jakarta
KR200320423Y1 (ko) 안전유도 씰
KR20160037310A (ko) 시각장애인용 횡단 보도
JP3070393U (ja) 弱視者用識別標識
KR200190069Y1 (ko) 접착형 점자블록
KR20120022094A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KR200419110Y1 (ko) 장애인 일체형 점자유도블럭
Nordmark Access way to underground space: Present status of access ways to underground space with examples of spatial requirements ITA Working Group 4 “subsurface 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