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30U - 점자 블럭 - Google Patents

점자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30U
KR20120008130U KR2020110004326U KR20110004326U KR20120008130U KR 20120008130 U KR20120008130 U KR 20120008130U KR 2020110004326 U KR2020110004326 U KR 2020110004326U KR 20110004326 U KR20110004326 U KR 20110004326U KR 20120008130 U KR20120008130 U KR 20120008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block
main body
fastener
fixing hol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철
Original Assignee
석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철 filed Critical 석정철
Priority to KR2020110004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130U/ko
Publication of KR20120008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자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은 일정 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또는 돌기부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에 관통되어 바닥면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구의 상단 머리부를 막아 밀봉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면에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을 뜯거나 매입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전면에 체결구가 보이지 않으므로 건물에 걸 맞는 디자인감각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얇게 제작된 본체의 하부에 고무나 합성수지, 석제, 나무와 같은 보강부재를 덧붙여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매립형의 점자블럭을 만들어 시공 시에도 표면이 파손되었을 경우 캡을 열고 체결구를 해체하여 점자부분만 신품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 보수가 용이하며 시공경비 절감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자 블럭{BRAILLE BLOCK}
본 고안은 점자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각각의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금속, 석재, 시멘트, 목재 등과 결합된 형태로 제조되며, 얇은 두께로 제작 가능하여 바닥을 뜯지 않고서도 체결구를 이용한 장착 작업에 의해 바로 시공 및 설치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거나 다양한 두께를 가진 매립형점자블럭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점자블럭에 관한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장애인에 대한 편의를 돕기 위하여 다양한 사회시설 및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1999년 6월 8일부터 시행된 [장애인, 노인, 임산부의 편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에 따르는 건물 및 시설에 해당하는 공공장소에는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점자블럭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점자블럭은 건축물의 주 출입구와 도로 또는 교통시설을 연결하는 보도, 그리고 교통시설의 주 출입구로부터 매표소?대합실 및 승강장에 이르는 통로(시설관리자 등으로부터 별도의 상시안내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외), 그리고 교통시설 중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의 승?하차지점에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점자블럭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물 및 시설'에 해당되는 편의시설에는 읍?면?동사무소, 경찰관파출소, 우체국, 전신전화국, 보건소, 의료보험조합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용도의 시설과 전시장, 동?식물원, 여객자동차터미널 및 화물터미널, 철도역사, 공항시설, 항만시설 및 종합여객시설, 정류소, 병원, 격리병원, 장애인특수학교, 장애인복지시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일반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이 있다.
점자블럭에 관련된 선행 특허 중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89호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외부틀체를 성형시 내부 저면의 아래로 돌출되는 결합판체부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고 결합부에는 결합용 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된다.
한편 점자블럭에는 그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따라 접착형, 매립형 또는 리벳형이 있는데, 매립형은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이미 건설이 완료된 건축물에는 설치가 곤란하다.
따라서 점자블럭을 추가 설치해야만 하는 기존의 건축물들에는 통상적으로 접착형 또는 리벳형 점자블럭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 접착형 점자블럭은 플라스틱, 고무등으로 접착되는 하부면에 본드나 양면테이프 등을 부설하여 바닥면에 고정시키거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를 막기위해 나사류를 이용하여 제품의 상부전면에 홈을내고 고정시켜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 따른 접착형점자블럭은 본드나 양면테이프만을 사용시 바닥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쉽게 일어나고 나사류의 체결구로 제품의 상부에 구멍을 뚫고 고정시킬 경우 다양한 체결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될 뿐 아니라 돌출된 체결구로 인한 걸림현상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리벳형 점자블럭은 하면에 매입부가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를 형성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바닥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매입될 정도의 매입홈을 형성하여 매입홈의 내부에 적당량의 접착제를 충전하고, 점자블럭의 삽입돌기를 삽입하여 접착제를 양생하여 바닥면에 고정시켜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건물의 바닥면에 드릴 등의 공구로 좁은 거리에 많은 매입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걸리고, 매입홈의 형성 작업 중 부주의 또는 바닥면의 노후 정도에 따라 파손 또는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입홈을 생성한 후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이 적정하지 못할 경우, 예를들어 접착제가 부족한 경우에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접착제가 과다한 경우 외부로 흘러나와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어 간편한 체결작업을 통해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해질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점자 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얇게 제작된 본체의 하부에 고무나 합성수지, 석재, 시멘트, 나무와 같은 보강물을 덧붙여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매립형의 점자블럭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한 점자 블럭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또는 돌기부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에 관통되어 바닥면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구의 상단 머리부를 막아 밀봉시키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바닥면에 고무, 플라스틱, 시멘트, 석재, 나무 중 택일된 소재로 된 보강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바닥면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고정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고정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환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면에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을 뜯거나 매입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전면에 체결구가 보이지 않으므로 건물에 걸 맞는 디자인감각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얇게 제작된 본체의 하부에 고무나 합성수지, 석제, 나무와 같은 보강부재를 덧붙여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매립형의 점자블럭을 만들어 시공 시에도 표면이 파손되었을 경우 캡을 열고 체결구를 해체하여 점자부분만 신품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 보수가 용이하며 시공경비 절감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에 대한 설치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에 대한 설치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자 블럭(A)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재로 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각각의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두 종류의 재질이 혼합된 소재를 사출이나 프레스로 가공하여 제작되는 사각형의 판재이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가 엠보싱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본체(1)는 저면에 고무, 플라스틱, 시멘트, 나무 중 택일된 소재로 된 보강부재가 부착되어 매립형의 점자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 또는 돌기부(2)에는 복수개의 고정홀(3)이 천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홀(3)은 체결구(4)가 결합되어 머리부(4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단차(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3)에 관통되어 바닥면(100)에 체결되는 체결구(4)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구(4)는 바닥면(100)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볼트로 이루어진다.
통상 바닥면(100)이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보도블럭임을 감안하여 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4)는 공지의 칼블럭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블럭은 바닥면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플라스틱제의 고정구(45)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구(45)에 나사(43)를 결합시켜 대상물을 시멘크 콘크리트 등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로써 이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 가능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체결구(4)인 나사(43)의 머리부(42)가 고정홀(3)의 단차(32)에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홀(3)에는 체결구(4)의 머리부(42)를 은폐시킬 수 있고, 고정홀(3)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캡(5)이 결합된다.
캡(5)은 본체(1)의 상부로 돌출되는 돔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1)의 상부와 동일한 평면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51)이 형성되어 고정홀(3)에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외주면에 환턱(52)이 형성되어 고정홀(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캡(5)을 고정홀(3)에 결합시킴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고정홀(3)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습기에 의해 체결구(4)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를 설치될 바닥면(100)에 안착시킨 후 고정홀(3)에 각기 체결구(4)를 결합시켜 바닥면(100)과 본체(1)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다.
즉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4)를 고정홀(3)을 통해 바닥면(100)에 체결시켜 머리부(42)가 고정홀(3)의 단차(32)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고정홀(3)의 상부로부터 캡(5)을 결합시켜 체결구(4)의 머리부(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고정홀(3)을 밀봉시킴으로써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2 : 돌기부
3 : 고정홀 4 : 체결부
5 : 캡 32 : 단차
42 : 머리부 45 : 고정구

Claims (5)

  1. 일정 면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또는 돌기부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에 관통되어 바닥면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구의 상단 머리부를 막아 밀봉시키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닥면에 두께를 두껍게 하여 매립형이 되도록 보강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일정 두께를 갖는 고무, 플라스틱, 시멘트, 석재, 나무 중 택일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바닥면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고정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 또는 상기 고정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환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블럭.
KR2020110004326U 2011-05-19 2011-05-19 점자 블럭 KR201200081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26U KR20120008130U (ko) 2011-05-19 2011-05-19 점자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26U KR20120008130U (ko) 2011-05-19 2011-05-19 점자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30U true KR20120008130U (ko) 2012-11-28

Family

ID=4751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26U KR20120008130U (ko) 2011-05-19 2011-05-19 점자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1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991B1 (ko) * 2018-09-12 2020-02-11 신현창 시각장애인용 문자 표기 점자 유도블록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991B1 (ko) * 2018-09-12 2020-02-11 신현창 시각장애인용 문자 표기 점자 유도블록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1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rchitectural moldings and insulation sheets to buildings
US7406805B1 (en) Banding bead
US8046943B2 (en) Safety kick plat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DE20218215U1 (de) Befestigungsmittel für Verbundglasscheiben
CA2713432C (en) Warning sign
KR20120008130U (ko) 점자 블럭
KR100797190B1 (ko) 계단난간
CA2552213C (en) Hidden fastener guard rail system
KR20130096362A (ko) 진공단열재 전용 고정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US20130061543A1 (en) Stair Tread
US9670679B2 (en) Panel and mounting system
US7386958B2 (en) Pre-manufactured self-flashed curb assembly for rooftop daylighting systems
US20070193163A1 (en) Outdoor flooring, deck and patio surface system and method
KR200437845Y1 (ko)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CN205955055U (zh) 一种玻璃栏杆扶手
KR200419110Y1 (ko) 장애인 일체형 점자유도블럭
US8919073B2 (en) Building trim having slidable moulding
KR101359792B1 (ko) 매립형 와셔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재고정기구와 부재고정구조
KR200245132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EP1243710A1 (en) A method and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toilet to a floor
JP3031978U (ja) 天然石を利用した表札
KR200190069Y1 (ko) 접착형 점자블록
CN211572373U (zh) 一种小缝隙金属墙面板可调间隙系统
CN207812754U (zh) 一种方便固定石膏板墙体的墙体隔断板
JP2000054649A (ja) 外壁の改修方法及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