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069Y1 - 접착형 점자블록 - Google Patents

접착형 점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069Y1
KR200190069Y1 KR2020000005249U KR20000005249U KR200190069Y1 KR 200190069 Y1 KR200190069 Y1 KR 200190069Y1 KR 2020000005249 U KR2020000005249 U KR 2020000005249U KR 20000005249 U KR20000005249 U KR 20000005249U KR 200190069 Y1 KR200190069 Y1 KR 200190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lock
flooring material
insertion portion
brail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무웅
Original Assignee
시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무웅 filed Critical 시무웅
Priority to KR2020000005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5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spots of g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형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접착제에 의해 바닥재에 부착되는 평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닥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되어 바닥재와의 결합력이 강화됨으로써 시간이 오래 경과되거나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가해져도 바닥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최소화되고 수명이 획기적으로 증가되며 미관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형 점자블록{ADHESIVE TYPE BRAILLE BLOCK}
본 고안은 감지용 돌출점과 유도용 돌출선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의 보다 자유로운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1997년 4월 10일 제정되어 1999년 6월 8일부터 시행된 「장애인·노인·임산부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물 및 시설'에 해당하는 공공장소에는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점자블록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때, 상기한 점자블록은 건축물의 주출입구와 도로 또는 교통시설을 연결하는 보도, 그리고 교통시설의 주출입구로부터 매표소·대합실 및 승강장에 이르는 통로(시설관리자 등으로부터 별도의 상시안내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외), 그리고 교통시설중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의 승·하차지점에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점자블록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물 및 시설'에 해당되는 편의시설에는 읍·면·동사무소, 경찰관파출소, 우체국, 전신전화국, 보건소, 의료보험조합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용도의 시설과 전시장, 동·식물원, 여객자동차터미널 및 화물터미널, 철도역사, 공항시설, 항만시설 및 종합여객시설, 정류소, 병원, 격리병원, 장애인특수학교, 장애인복지시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일반숙박시설(여관제외), 관광숙박시설이 있다.
이와 같은 점자블록에는 그 설치구조에 따라 접착형과 매립형이 있는데, 이중 매립형은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이미 건설이 완료된 건축물에는 설치가 곤란하다. 따라서, 1999년 6월 8일부터 시행된 「장애인·노인·임산부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점자블록을 추가 설치해야만 하는 기존의 건축물들에는 통상적으로 접착형 점자블록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점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b)는 선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접착형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에게 위치정보를 주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면에 형성된 사각형의 평판체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절단형 또는 반구형의 돌출점(11)이면 점형블록(10)이고, 상기 돌출부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형태의 돌출선(21)이면 선형블록(20)이다.
또한, 상기 점자블록의 규격 및 모형은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는 바, 이에 따르면 상기 점형블록(10) 및 선형블록(20)의 크기는 300㎜×300㎜이고, 그 높이는 바닥재의 높이와 동일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점형블록(10)은 블록당 36개의 돌출점(11)을 가진 것이 표준형이고, 상기 돌출점(11)의 높이는 6±1㎜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선형블록(20)은 블록당 4개의 돌출선(21)을 가진 것이 표준형이고, 상기 돌출선(21)은 상단부평면형으로서 그 높이가 5±1㎜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점형블록(10) 및 선형블록(20)의 색상으로는 원칙적으로 황색을 사용하되, 상황에 따라 다른 바닥재의 색상과 구별하기 쉬운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점형블록(10) 및 선형블록(20)에는 고무, 플라스틱, 스텐레스, 타일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접착형 점자블록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소정 위치에 접착시키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때, 상기 점형블록(10)과 선형블록(20)은 시각장애인의 보행편의를 위하여 각각 감지용과 유도용으로 용도가 구분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점형블록(10)은 계단·장애인용 승강기·화장실·승강장 등 시각장애인을 유도할 필요가 있거나 시각장애인에게 위험한 장소의 0.3미터 전면, 또는 선형블록(20)이 시작·교차·굴절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선형블록(20)은 유도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연속해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착형 점자블록은 바닥재에 접착제에 의해서 직접 접착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접착제의 도포 두께가 얇거나 점자블록과 바닥재 사이로 습기가 침투하여 산화가 일어나면 상기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감소되어 바닥재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접착형 점자블록은 접착제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바닥재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그 유지, 보수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수명도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접착력 점자블록은 설치시 접착제가 바닥재와 점자블록 사이로 빠져 나와 외부에 노출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설치 후에는 걸레질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바닥재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그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므로 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점자블록의 모서리 부분이 바닥재로부터 떨어져 상측으로 돌출되면 오히려 이 돌출 부위가 장애인과 노인, 임산부에게 통행시의 장애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간이 오래 경과되거나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가해져도 바닥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최소화되고 수명이 획기적으로 증가되며 미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점형블록(a)과 선형블록(b)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 중 점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점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옥내용 점형블록이 도시된 평면도(a) 및 단면도(b),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옥외용 점형블록이 도시된 평면도(a) 및 단면도(b),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 중 선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형 점자블록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본체부 53 : 모따기
55 : 삽입부 56 : 구멍
56' : 홈 60 : 바닥재
61 : 고정홈 C1, C2 : 절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의 특징은, 상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접착제에 의해 바닥재에 부착되는 평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닥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는 바닥재의 고정홈에 삽입부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부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강화되도록 접착제가 스며들어 응고되는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주연부에는 모따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삽입부 중 점자블록의 설치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삽입부의 양끝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 중 점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점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옥내용 점형블록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옥외용 점형블록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 중 선형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형 점자블록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형블록은 시각장애인에게 위치정보를 주기 위한 돌출점(52)이 상면에 36개 형성되고 하면은 접착제에 의해 바닥재에 부착되는 평판형의 본체부(51)와, 상기 본체부(51)의 하면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닥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55)의 측면에는 바닥재의 고정홈에 삽입부(55)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부(55)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강화되도록 접착제가 스며들어 응고되는 다수의 구멍(56)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55)의 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라인 형태의 홈(56')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렇게 상기한 구멍(56) 대신 홈(56')을 형성시키면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기에도 용이하고 비용도 훨씬 저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51)의 상면 주연부에는 외부의 자극에 의한 마모 및 훼손이 최소화되도록 모따기(53)가 형성되며, 상기한 모따기(53)는 바닥재의 고정홈과 삽입부(55)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경우 그 주입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부수적인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55)의 하단부는 바닥재의 고정홈에 삽입부(55)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점자블록의 설치구조상 삽입부(55) 하단부의 외측면보다는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점형블록은 고무, 플라스틱, 스텐레스, 타일 등의 재질로 모두 제조가 가능하나, 이중 신축성이 있는 고무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무 및 플라스틱과 같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점형블록을 제조하면 보행감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바닥재가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바닥재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형 점형블록은 설치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에 따라 옥내용과 옥외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한 옥내용과 옥외용은 삽입부(55)의 두께 및 길이, 구멍(56) 또는 홈(56')의 크기 및 개수와 같은 세부사항에서 다소 차이가 난다.
즉, 상기한 옥내용 점형블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53a)를 제외한 본체부(51a) 상면의 넓이는 300㎜×300㎜, 상기 모따기(53a)를 포함한 본체부(51a) 상면의 넓이는 304㎜×304㎜, 삽입부(55a)의 두께와 길이는 각각 2㎜와 7∼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모따기(53a)를 포함한 본체부(51a) 상면의 넓이를 305㎜×305㎜로 하고, 상기 삽입부(55a)의 두께를 2.5㎜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점형블록의 전체 높이는 상기 본체부(51a)의 두께와 삽입부(55a)의 길이는 합하여 9∼11㎜가 된다. 상기에서, 옥내용 점형블록의 삽입부(55a) 길이는 대부분의 옥내용 계단 바닥재의 두께가 30㎜, 내부 바닥면 바닥재의 두께가 20㎜인 점을 감안하여 상기한 바닥재 두께의 3분의 1정도로 제한되며, 이 결과 7∼9㎜의 길이를 갖게 된다.
이에 비하여, 아스팔트나 보도블록이 깔린 통행로에 설치되는 옥외용 점형블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1b)의 상면 넓이는 전술한 옥내용과 동일하나 삽입부(55b)의 두께와 길이는 각각 4㎜와 10∼20㎜로 전술한 옥내용에 비해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부(55b)의 길이는 60㎜까지 연장 가능하다. 이렇게 옥내용에 비해 옥외용의 삽입부(55b)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은 우마차 및 차량에 의한 강한 충격에도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게 하여 마모 및 훼손을 최소화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옥외용 점형블록의 삽입부(55b)에 구멍(56) 대신 홈(56')을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홈(56')은 삽입부(55b)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2개 이상 형성되는 편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점형블록에서 상기 본체부(51)의 상면에 원뿔절단형 또는 반구형의 돌출점(52) 대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형태의 돌출선(52')을 형성시키면 선형블록이 된다. 이외의 선형블록 구조는 전술한 점형블록의 구조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점(52)과 돌출선(52')의 상단 주연부는 시각장애인은 물론 노인과 임산부들의 보행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삭날이 장착된 절삭기를 이용하여 점형블록 또는 선형블록을 설치할 장소의 바닥재(60)에 상기한 점형블록 또는 선형블록의 삽입부(55)를 삽입시킬 고정홈(61)을 판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바닥재(60)에 고정홈(61)이 형성되면 상기 바닥재(60) 중 본체부(51)의 하면과 맞닿는 부분에 제 1접착제(63)를 도포한 후 상기 고정홈(61)에 삽입부(55)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 1접착제(63)에 의해 본체부(51)의 하면이 바닥재(60)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바닥재(60)의 고정홈(61)과 삽입부(55) 사이에 에폭시수지와 같은 제 2접착제(65)를 주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55)와 고정홈(61) 사이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면 상기한 에폭시수지가 삽입부(55)와 고정홈(61) 사이의 틈은 물론 상기 삽입부(55)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56) 또는 홈(56')에 스며들어 응고되므로 삽입부(55)는 상기 고정홈(61)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에폭시수지에 의해 상기 삽입부(55)와 고정홈(61) 사이의 틈이 이음새 없이 마감되므로 삽입부(55)와 고정홈(61)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어 바닥재(60)에 대한 점자블록의 접착력이 장기간 동안 그대로 계속 유지된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는 본체부(51)의 상면 주연부에 형성된 모따기(53)를 덮는 마감재 작용을 하여 상기 본체부(51)의 상면 넓이가 300×300㎜의 표준 규격이 되도록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이후, 상기 바닥재(60)에 고정홈(61)을 파고 상기 바닥재(60) 및 고정홈(61)에 제 1 및 제 2접착제(63)(65)를 이용하여 본체부(51)와 삽입부(55)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지정된 장소에 적정 개수의 점형블록 및 선형블록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점형블록은 계단·장애인용 승강기·화장실·승강장 등 시각장애인을 유도할 필요가 있거나 시각장애인에게 위험한 장소의 0.3미터 전면, 또는 선형블록이 시작·교차·굴절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선형블록은 유도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연속해서 설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부(151)의 하면 주연부에 형성된 삽입부(155) 중 점자블록의 설치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삽입부(155)의 양끝단에는 설치작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절결부(C1)(C2)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재(60)에 고정홈(61)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기의 절삭날은 대부분 원형 톱날이기 때문에 삽입부(55)의 양끝단이 직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삽입부(55)의 양끝단 하부를 고정홈(61)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절삭날의 중심이 삽입부(55)의 양끝단 하부가 삽입되는 지점에 위치될 때까지 상기 고정홈(61)을 파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홈(61)을 파면 바닥재(60)의 표면에는 불필요한 홈이 형성되어 점자블록의 설치 후 이 홈을 다시 막아주어야 하는 등 설치작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바닥재(60)의 표면에 불필요한 홈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상기 고정홈(61)에 삽입부(155)를 제대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55)의 양끝단에 절결부(C1)(C2)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절결부(C1)(C2)는 원형의 절삭날 가장자리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상기 삽입부(155)의 양끝단을 일정 길이만큼 잘라낸 것과 같은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155)에 절결부(C1)(C2)를 형성하면 바닥재(60)에 고정홈(61)을 파기 위한 수고로움이 감소되는 동시에 뒤처리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이 최소화되어 점자블록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최대화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점자블록은, 본체부(51) 하면의 주연부에 형성된 삽입부(55)가 바닥재(60)의 고정홈(61)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51)의 하면 및 삽입부(55)가 상기 바닥재(60) 및 고정홈(61)에 각각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바닥재(6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최소화되고 수명이 획기적으로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바닥재(60)와 점자블록 사이로 접착제가 빠져 나와 외부로 노출되거나 그 모서리 부분만이 바닥재(60)로부터 떨어져 돌출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사항들로 인해 기존의 점자블록에서 문제시되었던 미관성 저하의 문제가 제거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바닥재(60)의 고정홈(61)과 삽입부(55)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홈(61)과 삽입부(55) 사이의 틈이 상기한 접착제에 의해 이음새 없이 깨끗하게 마감되므로 점자블록과 바닥재(60)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됨은 물론 미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접착형에 비해서는 점자블록과 바닥재(60) 사이의 결합력이 월등히 뛰어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수명이 연장되고, 기존의 매립형에 비해서는 철거 및 바닥재(60)의 원상복구가 쉬워 건축물의 용도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상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접착제에 의해 바닥재에 부착되는 평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닥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는 바닥재의 고정홈에 삽입부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부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강화되도록 접착제가 스며들어 응고되는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 주연부에는 모따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중 점자블록의 설치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삽입부의 양끝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점자블록.
KR2020000005249U 2000-02-25 2000-02-25 접착형 점자블록 KR200190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49U KR200190069Y1 (ko) 2000-02-25 2000-02-25 접착형 점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49U KR200190069Y1 (ko) 2000-02-25 2000-02-25 접착형 점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069Y1 true KR200190069Y1 (ko) 2000-07-15

Family

ID=1964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249U KR200190069Y1 (ko) 2000-02-25 2000-02-25 접착형 점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872B2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US6895622B2 (en) Transit boarding platform panel
US20070042159A1 (en) Elastic floor mat
KR200190069Y1 (ko) 접착형 점자블록
KR100820732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JP4179466B2 (ja) 弾性床マット
KR200320528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0820733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KR200437845Y1 (ko) 점자를 겸한 유도용 블록
KR200272874Y1 (ko)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럭
KR20120008130U (ko) 점자 블럭
CN211621086U (zh) 一种高强度不锈钢盲道条
KR200391083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200245132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KR200319423Y1 (ko) 보행 유도돌기
JP2012007340A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誘導路
KR200274494Y1 (ko) 도로의 경계석 구조
Bílková et al. Barrier-free use of transport interchanges
JP3078508U (ja) 点字タイル
KR101091877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DE60134368D1 (de) Innentreppe für gebäud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9990035014U (ko) 시각장애자유도용안내구
CN217170663U (zh) 一种带饰面收边结构的火车站台
KR200435577Y1 (ko) 매설부재를 포함한 매립형 점자블록
KR200297381Y1 (ko) 보도용 유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