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676B1 -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676B1
KR101716676B1 KR1020160133316A KR20160133316A KR101716676B1 KR 101716676 B1 KR101716676 B1 KR 101716676B1 KR 1020160133316 A KR1020160133316 A KR 1020160133316A KR 20160133316 A KR20160133316 A KR 20160133316A KR 101716676 B1 KR101716676 B1 KR 10171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uminum oxide
cerium
transparent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준
Original Assignee
이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준 filed Critical 이우준
Priority to KR102016013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7/1216
    • C09D7/128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2011/1046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에 삽입되며, 글자, 문양, 로고 및 색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정보 제공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메틸실록산,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실세스퀴옥산, 페닐실록산, 페닐실세스퀴옥산,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아크릴릭 실록산 폴리머, 메틸페닐실록산, 메틸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카보실란 및 실리케이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Stair display for visually impaired having non-slip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광 반사가 가능한 정보제공층의 보호 및 이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지층의 이탈, 팽창을 억제하고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지층의 주요 성분으로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축물의 경우 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설치되어 여러 층을 계단을 통해 출입하고 있다. 이러한 계단은 가변에 난간을 설치하여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람이 난간을 잡고 안전하게 계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임의의 한 층에서 아래층이나 위층을 연결하는 계단은 수십 개의 연속된 계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계단은 일반인이 건물을 출입하거나 동일 건물에서 더 높은 층으로 오르거나 내려오는데 사용되며, 이용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은 주변에 어떤 위험요소가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심지어 자신의 위치나 목적지의 위치를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편리한 계단이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위험요소로 다가오는 실정이다.
상기 계단을 시각장애인이 이용할 경우 시각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계단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조심스럽게 오르내리고 있으나, 이 또한 지팡이를 잘못 디딜 경우 크게 다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지팡이를 디디는 소리로 인해 극장, 미술관, 도서관 등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공공시설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이용하는 계단의 경우 대부분 디딤판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홈에 형광 반사층, 점자 등의 인식수단을 구비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계단임을 인식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수단은 계단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교체작업이 필요하며, 인식수단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폭시 등의 투명 수지는 경화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동절기에는 시공이 어려우며, 오래 사용할 경우 황변이 발생하여 선명도를 저감한다. 또한 표면 경도가 떨어지고, 팽창계수가 커 에폭시가 쉽게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여 저시력자나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돕기 위한 계단 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9880 (2016년 03월 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딤판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를 설치하고, 홈부의 하단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부와 상기 정보 제공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되, 상기 투명 수지층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로 이루어져 높은 표면 경도 및 우수한 선명도를 가지며, 경화 시간을 줄이고 동절기에 시공이 가능하며, 논슬립성을 가져 이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인 본 발명은 ,
디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위치하며, 글자, 문양, 로고 또는 색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정보 제공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메틸실록산,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실세스퀴옥산, 페닐실록산, 페닐실세스퀴옥산,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아크릴릭 실록산 폴리머, 메틸페닐실록산, 메틸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카보실란 또는 실리케이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수지층으로 더 상세하게는 규소 고분자로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은 텅스텐, 티타늄, 백금, 니오븀, 바나듐, 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첨가량은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딤판에 형성되는 홈부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a) 계단 디딤판에 절삭기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홈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반사시트를 붙이는 단계; 및
d) 상기 반사시트의 일면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메틸실록산,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실세스퀴옥산, 페닐실록산, 페닐실세스퀴옥산,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아크릴릭 실록산 폴리머, 메틸페닐실록산, 메틸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카보실란 또는 실리케이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 방향족 화합물, 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에테르류 및 케톤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 1 내지 3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텅스텐, 티타늄, 백금, 니오븀, 바나듐, 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정보 제공부를 보호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규소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에폭시계 투명 수지층에 비해 높은 표면 경도 및 우수한 선명도를 가진다. 또한 에폭시의 또 다른 단점인 황변 현상이 없어 오랜 기간 사용에도 동일한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에폭시에 비해 열팽창계수가 작아 심한 온도 변화에도 변형이 적으며, 경화 시간이 짧고 동절기에 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는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져 이를 이용하는 시각 장애인들이 쉽게 계단임을 인식하여 보행 중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에서 한 디딤판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끄럼방지용 패널부가 더 구비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점형블록이 더 구비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의 실사진이다.
이하 도면 및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계단 구조’는 층과 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총칭하는 용어로, 계단참, 초단, 디딤판, 챌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디딤판’은 사람이 계단 구조를 오르내릴 때 발을 딛는 수평 부분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계단코가 더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계단참’은 계단 구조의 맨 위쪽에 있는 디딤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초단’은 계단 구조의 맨 아래쪽에 있는 디딤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챌판’은 디딤판 아래의 수직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100)는 도 1과 같이 디딤판(110)의 상면 중 계단참과 초단에 하나 이상의 홈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의 하단에 글자, 문양, 로고 및 색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 제공부(200)가 위치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210)이 구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는 상기와 같이 디딤판과 챌판(130)이 분리된 형태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디딤판과 챌판이 일체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챌판의 위에 위치한 디딤판이 챌판의 끝단보다 더 튀어나오거나, 챌판과 챌판의 아래에 위치한 디딤판과의 각도가 60 내지 90°를 유지시키는 등으로 계단코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모두 만족하며,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여러 규정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계단은 장애인에게는 휠체어 등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장애물이며, 특히 시각장애인에게는 매우 위험하므로 최대한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구조로 만들어져야 한다.
일예로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1.8m 이내마다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거나, 계단의 측면에 연속하여 손잡이를 설치하고,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에 층수, 위치, 층정보, 시설명, 목적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점자나 형광 표시 수단 등의 표지판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딤판에서 좌우 바닥면의 끝부분은 목발, 지팡이 등이 빠지지 않도록 높이 2㎝ 이상의 추락 방지용 턱을 더 구비하고, 주변에 150 LX 이상의 조명시설을 더 구비하여 약시 등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상기 디딤판(110)은 상기 챌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정보 제공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장애인이 상기 정보제공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정보 제공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홈부(120)는 상기 디딤판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홈부가 디딤판에 복수 개 구비될 경우 내측 선단부에서 외측 선단부 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상으로는 홈부가 세 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보제공부(200)는 상기 홈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홈부의 상부측으로 발광되어 계단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이 계단의 층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계단 구조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이 층수, 위치, 층정보, 시설명, 목적지 등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도록 글자, 문양, 로고 및 색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시트는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는 축광 유약을 원하는 형태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광 유약은 본 발명에서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유로퓸(Eu)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 : Eu, Dy)를 원료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트론튬알루마트는 현재 발광효과가 최고인 재료로 알려져 있는데, 첫 번째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양자효율을 갖고 있어 발광효율이 매우 높으며, 두 번째로 기존의 발광재료가 잔광시간이 3 내지 5시간인 반면에 스트론튬알루마트는 사람이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잔광 지속 시간이 12시간으로 매우 길며, 세 번째로는 발광체의 항방사성이 높으며, 항산화, 항자외선, 내화학성이 아주 높은 재료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특수한 환경에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반사 시트의 주변에 반사를 위한 백색의 바탕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다른 색깔에 의한 반사 시트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반사 시트의 야광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는 정보제공부와 홈부와의 접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3과 같이 정보 제공부를 홈부에 삽입하기 전에 접착층(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210)은 상기 정보제공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를 외부 환경이나 외력으로부터 손상되거나 탈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은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홈부를 채우되, 디딤판과 동일한 면까지 채우지 않고 일정량을 덜 채우던가 더 채워 이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기 홈부의 내부에 견고한 층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 수지층 또는 상기 홈부와 일체화하여 경화되는 것으로, 서로 견고히 밀착하여 상기 정보제공부를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높은 표면 경도 및 우수한 선명도를 가지며, 황변 현상이 없어 오랜 기간 사용에도 동일한 선명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디딤판을 이루는 재질과의 열팽창계수가 작아 심한 온도 변화에도 변형이 적으며, 경화 시간이 짧은 물질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주재료로 바람직하게는 규소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메틸실록산,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실세스퀴옥산, 페닐실록산, 페닐실세스퀴옥산,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아크릴릭 실록산 폴리머, 메틸페닐실록산, 메틸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카보실란 및 실리케이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주재료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직쇄구조를 가지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주쇄에 질소원자를 포함하며,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이산화규소(SiO2)의 망상 구조를 이루게 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2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상기 반응식 1과 같이 주변에 수분만 존재하면 빠르게 이산화규소로 경화 및 가교가 일어나므로 추가적인 가교제나 가교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없으며, 온도에 관계없이 경화가 일어나므로 에폭시와 같이 일정 온도를 맞춰줄 필요가 없어 동절기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이 간단하고 빠르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유리막 형태로 경화되는 것이므로, 방오, 방식 등의 내후성이 우수하고, 통상의 합성수지나 무기물과도 강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으며, 표면 경도가 일반 합성수지에 비해 높아 내구성이 월등하다.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하나의 분자 중에 3 내지 10개의 SiH3기를 가지며, 화학 분석에 의한 원소 비율이 각각 Si : 55 내지 65, N : 30 내지 35, H :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당업계에서 적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일예로 일본공개특허 소63-016325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직쇄형 구조 이외에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사슬형 또는 고리형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3
상기 투명 수지층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로 상기 규소 고분자 이외에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규소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디에틸벤젠, 트리메틸벤젠, 트리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 n-펜탄, i-펜탄, n-헥산, i-헥산, n-헵탄, i-헵탄, n-옥탄, i-옥탄, n-노난, i-노난, n-데칸, i-데칸 등의 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에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센, p-멘탄,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디펜텐, 리모넨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디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메틸-t-부틸에테르(이하, MTBE 라고 한다), 아니솔 등의 에테르류;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이하, MIBK 라고 한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포화 탄화 수소 화합물,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에테르류 및 케톤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용매의 증발속도를 조절하여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낮추기 위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용매는 본 발명에서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규소 고분자를 경화하기 위해 백금계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계 촉매는 백금족 금속 또는 백금족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로써 상기 백금족 금속은 백금, 로듐, 루테늄, 팔라듐, 오스뮴 및 이리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염화백금산, 알콜-변성(denatured) 염화백금산, 백금의 킬레이트 화합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의 배위 화합물, 염화백금산과 다이케톤의 착물 및 염화백금산과 다이비닐테트라메틸다이실록산의 착물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팔라듐촉매의 예에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및 팔라듐블랙 및 모든 공지된 로듐 하이드로실화 촉매 등이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는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경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용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 조정제, 가교 촉진제, 자외선차단제, 산화방지제, 내열제, 안료, 염료, 활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들의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주재료로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인 물성은 우수하나 반응 과정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암모니아가 생성되어 작업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상기 금속 촉매는 이러한 암모니아를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명 수지층의 시공 시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어 반응 생성물인 암모니아를 질소로 완전히 분해시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촉매는 텅스텐, 티타늄, 백금, 니오븀, 바나듐, 몰리브덴 및 이들의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 촉매를 Al2O3와 같은 담지체에 담지시킨 것으로, 입자의 크기를 1 내지 10 ㎛로 하여 정보제공부의 시인성에 방해를 주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 촉매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금-니오븀/산화알루미늄(Pt-Nb/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 세륨-바나듐/산화알루미늄(Ce-V/Al2O3), 바나듐-텅스텐/산화알루미늄(V-W/Al2O3), 세륨-텅스텐/산화알루미늄(Ce-W/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촉매는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0.0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암모니아 제거 효과가 미비하며, 1 중량부 초과 첨가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은 반복 사용에 따른 스크래치를 자가 치유하기 위해 상기 규소화합물, 더 상세하게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내부 물질로 하는 미세 캡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캡슐은 상기 규소화합물, 특히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이 수분만으로 경화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투명 수지층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경우, 투명 수지층 내부에 함유된 미세 캡슐이 깨져 액상의 규소 화합물이 흘러나와 스크래치가 발생한 함몰영역에 채워지고 주변의 수분과 상온에서 빠르게 반응하여 고체상 중합체로 변환되게 함으로써 자가 치유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캡슐은 내부에 규소 화합물이 포함되며, 벽재(shell)로 멜라민-포르말린 수지, 우레아-포르말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무기질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에서 내열성 및 캡슐화의 용이성을 동시에 고려하면 멜라민-포르말린 수지, 우레아-포르말린 수지가 바람직하다.
가령 본 발명에 의한 멜라민-포르말린 수지 또는 우레아-포르말린 수지를 벽재로 한 미세 캡슐은 공지의 인 시튜법(in situ)을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단계로 유화제 수용액을 제조한다. 유화제는 캡슐의 점도, 입도 분포 개선을 위하여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제로서는 소듐도데실설페이트 등의 알칼리 금속 황산염, 옥타데카노익산의 알칼리 금속염 등의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소듐도데실에테르설페이트 등의 소듐도데실에테르설페이트 등 음이온성 유화제, 고급 지방족 탄화수소의 관능기로서 아민할로겐화물, 알킬 제사암모늄염, 또는 알킬피리디늄염 등이 결합되어 있는 양이온성 유화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 비이온성 유화제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 수용액은 유화기(Homomixer)에 유화제와 증류수 등의 통상적인 물을 넣고 온도 20℃ 내지 40℃에서 교반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통상 1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 양이 1 중량% 미만이면 유화가 불안정하며 원하는 입도의 유화를 만들기 힘들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제조되는 캡슐 슬러리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사용이 곤란해질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로서는 상기 유화기에서 제조된 유화제 수용액에 캡슐의 내부물질이 될 규소 화합물을 적정량 첨가한 후 온도 20℃ 내지 40℃ 사이에서 유화기 회전속도 4,000 내지 10,000 rpm의 속도로 20 내지 60분 동안 고속 교반하여 미세 크기의 유화 혼합물을 제조한다.
세 번째 단계로서는 별도의 반응기에 물을 넣고 멜라민과 포르말린 또는 우레아와 포르말린을 투입하고 온도 50℃ 내지 70℃ 사이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반응시켜 멜라민-포르말린 또는 우레아-포르말린 예비중합체를 제조한다.
네 번째 단계로서는 상기 유화기에 담겨진 유화 혼합물에 상기 멜라민-포르말린 또는 우레아-포르말린 예비중합체를 투입하고 온도 50℃ 내지 70℃ 사이에서 유화기 회전속도 2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중합반응을 더욱 진행시킨 후 미세 캡슐 슬러리를 얻는다.
다섯 번째 단계로서는 얻어진 미세 캡슐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와 같은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미세 캡슐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캡슐의 크기는 평균입경 0.01 내지 100㎛ 범위, 좋기로는 0.1 내지 10㎛ 범위가 바람직하다. 평균입경 0.01㎛ 미만일 경우 미세 캡슐의 벽재두께가 비례적으로 극히 얇아지지 않기 때문에 결국 미세 캡슐 중량당 자기치유물질 함량이 적어 궁극적으로 자기치유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평균입경 100㎛를 초과할 경우 투명 수지층과 미세 캡슐과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정보제공부의 시인성이 극히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미세 캡슐은 상기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0.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원하는 자가 치유성을 얻기 어려우며, 20 중량부 초과 첨가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기계적 물성이 하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는 도 5와 같이 필요에 따라 디딤판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패널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용 패널부는 계단 구조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형태 및 구비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일예로 요철을 가지는 필름을 디딤판의 상면에 부착하거나, 홈부에 논슬립성 연마석을 디딤판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는 도 6과 같이 필요에 따라 디딤판의 상면에 점형블록(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형 블록인 상기 정보 제공부와 별개로 디딤판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정보를 주기 위한 것으로, 계단 구조의 계단참과 초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는
a) 계단 디딤판에 절삭기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홈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반사시트를 붙이는 단계; 및
d) 상기 반사시트의 일면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메틸실록산,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실세스퀴옥산, 페닐실록산, 페닐실세스퀴옥산,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아크릴릭 실록산 폴리머, 메틸페닐실록산, 메틸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카보실란 및 실리케이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 방향족 화합물, 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에테르류 및 케톤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 1 내지 3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계단의 디딤판에 반사시트 및 투명 수지층이 충진되는 홈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딤판 중 계단참과 초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홈부는 크기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며, 시공방법 또한 한정치 않는다. 홈부의 크기는 상기 반사시트의 부착과 투명 수지층의 충진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형태 또한 한정치 않으나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홈부의 형성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장비 및 방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절삭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홈부는 상기 디딤판의 일면 중 챌부와 만나는 끝단과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개수를 한정치 않으나 3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반사 시트가 상기 홈부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반사 시트의 본래 역할인 축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포 면적 및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질을 한정치 않으나, 경화에 다른 조건이 필요 없이 상온에서 문제없이 경화가 일어나는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접착층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반사 시트를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하여 붙일 수 있다. 이때 반사 시트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접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시트를 붙인 후, 상기 반사시트를 덮도록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디딤판의 일면과 단차를 두어 이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규소 고분자, 용매 및 백금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규소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용매 1 내지 3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성 및 투명 수지층의 물리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도포 후에 경화가 진행되며, 경화 조건을 한정치 않는다. 일예로 상기 규소 고분자로 퍼하이드록시폴리실라잔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퍼하이드록시폴리실라잔이 공기 중의 수분과 접촉하여 빠르게 경화하므로, 온도에 관계없이 단시간에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수분의 함량이 많을수록 경화 속도가 빨라지므로, 되도록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규소 고분자로 더 바람직하게는 퍼하이드록시폴리실라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수분와 반응하여 빠르게 경화 반응이 진행되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작업이 이루어지며, 경화 속도도 에폭시에 비해 빠르므로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퍼하이드록시폴리실라잔은 온도 및 시간 범위를 한정치 않으나 -20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상온(10 내지 25℃)에서 10 내지 120분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반응 시 발생하는 암모니아 제거를 위한 금속 촉매 또는 스크래치 재생을 위한 미세 캡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기재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는 정보 제공부를 보호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규소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에폭시계 투명 수지층에 비해 높은 표면 경도 및 우수한 선명도를 가진다. 또한 에폭시의 또 다른 단점인 황변 현상이 없어 오랜 기간 사용에도 동일한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에폭시에 비해 열팽창계수가 작아 심한 온도 변화에도 변형이 적으며, 경화 온도에 구애받지 않으며, 경화 시간이 짧아 동절기에 시공 가능하며,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여러 방법들 중 하나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표면 경도)
성형품 시편에 대한 소프트터치감의 척도로서 ASTM D-2240에 의거하여 쇼어(shore)경도측정기에서 측정하였다. 평가기준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4
(황변 유무)
시편을 제조한 후 QUV 시험기에 넣고 평균 파장 313nm인 UV 램프를 사용하여 Irradiance 0.72W/㎡, 온도 70℃의 조건으로 100시간 동안 노출시킨 다음 색차계를 이용하여 초기와 UV 노출 후의 색차(△E)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5
(경화 유무)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에서 수지 조성물을 홈부에 충진한 후 0℃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여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였다. 2시간이 경과한 후 직경 2㎜, 길이 5㎝의 핀을 충진된 투명 수지층에 수직으로 찔러 넣었다. 그리고 1초 후 침을 바로 빼내어 침과 투명 수지층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6
(암모니아 발생)
투명 수지층의 경화가 끝나고 5분 후에 자동흡입식 암모니아측정기(SKT-9300, TESTAUCTION)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모니아의 양을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7
(자가 치유성)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에 3Φ 사파이어 팁(tip)이 부착된 스크래치시험기(HEIDON사 제품)에서 각 시편을 장착하고 500g 하중 하에서 스크래치(길이 20mm)를 10개 형성시켜 스크래치 발생 직후와, 48시간 지난 후 스크래치 상태를 사진으로 촬영하고 10개의 스크래치에 대한 길이방향 중간지점에서의 스크래치 폭의 감소율 평균치(%)로서 스크래치 자기치유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8
(실시예 1)
대리석 재질의 디딤판을 가지는 계단 구조에 다이아몬드 절단기를 이용하여 폭 100 ×1 ㎝, 깊이 2 ㎜의 홈부를 세 개 형성하였다. 그리고 백색의 반사시트를 바탕층으로 하여 홈부 바닥에 부착한 후, 스트론튬알루마트를 포함하는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정보제공부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투명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용매,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Aquamica NP344, AZ사)을 정보제공부 표면에 도포하여 정보제공부와 외부를 차단하였다. 조성물의 도포가 끝난 후 6시간 동안 방치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조성물 도포 후 2시간 이후에 투명 수지층의 경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투명수지층 조성물로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대신하여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100 중량부, 경화제(폴리아미드, 중량평균분자량 : 2,800) 100 중량부 및 물 100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
Figure 112016099555206-pat00009
상기 표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계단 구조는 투명 수지층의 주재료로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사용함에 따라 우수한 쇼어경도를 보이고 있으며, 황변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에폭시를 주재료로 사용한 비교예 1은 쇼어경도가 실시예 1에 비해 떨어지며, 특히 자외선에 계속 노출됨에 따라 황변이 심하게 발생하여 정보제공부의 시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온에서 경화 유무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투명 수지층은 저온에서도 완벽하게 경화하여 침이 투명 수지층에 들어가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투명 수지층은 경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투명 수지층에 침이 깊숙이 침투하였으며, 침을 꺼낸 후에도 수지 조성물이 침에 묻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텅스텐과 이산화티탄이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으며, 담지체로 평균입경 5 ㎛의 Al2O3를 사용한 금속촉매를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100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표 7]
Figure 112016099555206-pat00010
상기 표 7과 같이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금속 촉매를 더 첨가한 실시예 2는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에 비해 암모니아 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먼저 비커에 유화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1.25g와 증류수 125g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여 유화 혼합액을 제조한 후, 60℃로 유지시킨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우레아 2.5g, 염화암모늄 9.25g, 레조르시놀 0.25g을 투입한 후, 50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고속 교반하고, 35% 염산 용액을 서서히 주입하여 pH 3.5로 조정하였다. 이후 교반속도를 850rpm으로 고정하고, 여기에 실시예 1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20㎖, 포름알데히드 7g을 투입하고 10분간 교반한 뒤, 질소를 주입하면서 2시간동안 반응을 계속 진행하여 미세 캡슐 슬러리를 얻었다. 얻어진 미세 캡슐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통해 건조하여 내부 물질이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이고, 캡슐 벽재가 우레아-포르말린 수지인 평균입경 3.5 ㎛의 미세 캡슐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상기 미세 캡슐을 투입하였다. 이때 조성비는 조성물 내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첨가하였으며,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Figure 112016099555206-pat00011
상기 표 8과 같이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미세 캡슐을 더 첨가한 실시예 1은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에 비해 탁월한 스크래치 치유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시각시각 장애인용 계단 구조 110 : 디딤판
120 : 홈부 130 : 챌판
200 : 투명수지층 210 : 정보제공부
220 : 접착층 300 : 미끄럼방지용 패널부
400 : 점형블록

Claims (7)

  1. 디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위치하며, 글자, 문양, 로고 및 색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정보 제공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주재료인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에 백금-니오븀/산화알루미늄(Pt-Nb/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 세륨-바나듐/산화알루미늄(Ce-V/Al2O3), 바나듐-텅스텐/산화알루미늄(V-W/Al2O3), 세륨-텅스텐/산화알루미늄(Ce-W/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촉매 및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
    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캡슐은 멜라민-포르말린 수지, 우레아-포르말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벽재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내부 물질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촉매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이며, 주재료인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에 형성되는 홈부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6. a) 계단 디딤판에 절삭기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홈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반사시트를 붙이는 단계; 및
    d) 상기 반사시트의 일면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100 중량부, 방향족 화합물, 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에테르류 및 케톤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 1 내지 30 중량부, 백금-니오븀/산화알루미늄(Pt-Nb/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 세륨-바나듐/산화알루미늄(Ce-V/Al2O3), 바나듐-텅스텐/산화알루미늄(V-W/Al2O3), 세륨-텅스텐/산화알루미늄(Ce-W/Al2O3), 세륨-몰리브덴/산화알루미늄(Ce-Mo/Al2O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촉매 0.01 내지 1 중량부, 미세캡슐 0.1 내지 2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캡슐은 멜라민-포르말린 수지, 우레아-포르말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벽재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내부 물질로 포함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60133316A 2016-10-14 2016-10-14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16A KR101716676B1 (ko) 2016-10-14 2016-10-14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16A KR101716676B1 (ko) 2016-10-14 2016-10-14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676B1 true KR101716676B1 (ko) 2017-03-15

Family

ID=5840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316A KR101716676B1 (ko) 2016-10-14 2016-10-14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71B1 (ko) * 2020-04-13 2021-09-24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표면에 미세무늬가 구현된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305560B1 (ko) * 2021-04-30 2021-09-27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성능 개선용 외부 긴장재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807B2 (ja) * 1998-08-11 2004-01-13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建築現場塗装のためのセルフクリーニング塗装用組成物、建築現場塗装による塗装方法及び建築現場塗装による塗装構造
KR20100022215A (ko) * 2008-08-19 2010-03-02 서주식 광고판
KR20150090786A (ko) * 2014-01-29 2015-08-06 신기훈 차음 성능이 구비된 안전 계단 마감재
KR200479880Y1 (ko) 2015-09-22 2016-03-16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807B2 (ja) * 1998-08-11 2004-01-13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建築現場塗装のためのセルフクリーニング塗装用組成物、建築現場塗装による塗装方法及び建築現場塗装による塗装構造
KR20100022215A (ko) * 2008-08-19 2010-03-02 서주식 광고판
KR20150090786A (ko) * 2014-01-29 2015-08-06 신기훈 차음 성능이 구비된 안전 계단 마감재
KR200479880Y1 (ko) 2015-09-22 2016-03-16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71B1 (ko) * 2020-04-13 2021-09-24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표면에 미세무늬가 구현된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305560B1 (ko) * 2021-04-30 2021-09-27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성능 개선용 외부 긴장재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080B1 (ko) 무기 소재 논슬립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6676B1 (ko)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96156B2 (en) Patterned structured transfer tape
Antonucci et al. Chemistry of silanes: interfaces in dental polymers and composites
KR101333325B1 (ko) 기능성을 구비한 유도블럭
US20140175707A1 (en) Methods of using nanostructured transfer tap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3310578B1 (en) Segmented transfer tap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WO2003057994A1 (ja) 蓄光発光性道路標示材と道路構造
US20170335620A1 (en) Insulated glazing units and microoptical layer comprising microstructured diffuser and methods
KR102398255B1 (ko) 세라믹 전구체로서의 실록산계 접착제 층
KR102351559B1 (ko) 건축용 패널의 코팅 방법
TW201905101A (zh) 可固化聚矽氧組合物及其應用與用途
EP3443027A1 (en)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JP2001500185A (ja) 床仕上げ用組成物
Belon et al. A Simple Method for the Reinforcement of UV‐Cured Coatings via Sol‐Gel Photopolymerization
WO2013192419A1 (en) Polyheterosiloxane composition
US11549271B2 (en) Anti-slip floortile
KR20170109631A (ko) 경화성 실리콘 제형 및 관련 경화된 생성물, 방법, 물품, 및 디바이스
US11636780B2 (en) Flexible braille indicia signage for use on railings and method
TW201525071A (zh) 選擇性遮光之光物理材料及包括此等選擇性遮光之光物理材料的光學裝置
KR102327819B1 (ko)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
KR102093635B1 (ko) 미끄럼 방지 및 반사 시인성이 향상된 경계석 및 그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790417B1 (ko) 라이프라인이 형성된 대리석 제조방법
KR101455808B1 (ko) 표시구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US20080171155A1 (en) Signage Visible Only When W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