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85Y1 -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85Y1
KR200478185Y1 KR2020140001165U KR20140001165U KR200478185Y1 KR 200478185 Y1 KR200478185 Y1 KR 200478185Y1 KR 2020140001165 U KR2020140001165 U KR 2020140001165U KR 20140001165 U KR20140001165 U KR 20140001165U KR 200478185 Y1 KR200478185 Y1 KR 200478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ignal
circuit breaker
b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222U (ko
Inventor
이정석
최영주
Original Assignee
이정석
최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석, 최영주 filed Critical 이정석
Priority to KR2020140001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8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널목을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신호등과 연동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에서부터 내부까지 형성되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 및 수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유도로;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 또는 차량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고, 탄성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될 때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게 되는 차단봉;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면에 마련되며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로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의 경계부근에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보다 돌출되는 블록이 마련되어 상기 블록으로 인해 상기 차단봉은 상기 유도로를 따라 휘어지면서 수직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유도로의 수직구간에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기 유도로를 따라 들어갈 때 상기 차단봉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SAFETY LIFTING GATE FOR PROTECTING PEDESTRIANS}
본 고안은 건널목을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자동제어되는 회동되는 차단봉을 통해 보행자의 진입을 막거나 차량의 진입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수많은 국가들 중에서도 교통사고 사망율이 높은 편에 속하며, 이로 인한 손실도 막대하다.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부주의 혹은 보행자의 안전 불감증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운전자들은 급한 마음에 신호등을 무시하고 운행을 하는 경우가 많고,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는 운전습관으로 인해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스쿨존 내에서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운전을 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 초등학생이나 유아들의 경우 성인과 달리 도로를 횡단시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가 느리고 주위를 보다 넓게 관찰하지 못하고 오로지 신호등 신호만을 믿고서 통행을 하는 경우가 많다.
스쿨존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쿨존에서의 차량 운행속도는 낮게 규정되어 있고, 건널목 앞쪽에 과속방지턱을 다수 마련하기도 한다. 그리고 아침 통학시간대에는 자원봉사자들이 손에 깃발을 들고서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안내하기도 한다.
기존의 이러한 사고 예방법은 운전자들의 기본적인 법규준수 의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일시적인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004호(2012.04.25 등록)의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이 있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수납공간(10)이 형성되는 본체(1)와, 일단이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튜브형식의 차단봉과, 차단의 수축시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하는 와이어부재(30)와, 차단봉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하는 기압생성수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 역시 신호등의 보행신호에 따라 기압생성수단이 작동하여 차단봉이 펼쳐지거나 수축되게 하여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공기를 이용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게 하는 구조이므로 반응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조금의 손상이 있게 되면 공기가 새어 제대로 동작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특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형태이므로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고장 가능성도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004호(2012.04.25 등록)
이에 본 고안에서는 보행자, 특히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건널목을 통해 횡단할 때 보다 적극적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운전자들이 미처 신호등을 보지 못한 경우에도 차량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운전자가 차단봉을 치고 건널목으로 진입을 하는 경우에도 차단봉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대기중이던 사람들이 차단봉에 부딪쳐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 보관함에서 꺼내어 건널목에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우수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는, 신호등과 연동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에서부터 내부까지 형성되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 및 수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유도로;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 또는 차량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고, 탄성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될 때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게 되는 차단봉;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면에 마련되며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로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의 경계부근에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보다 돌출되는 블록이 마련되어 상기 블록으로 인해 상기 차단봉은 상기 유도로를 따라 휘어지면서 수직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유도로의 수직구간에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기 유도로를 따라 들어갈 때 상기 차단봉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상단과 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회전샤트프;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끼워지되 상기 차단봉의 일단이 결합되고 외력 작용시 상기 회전샤프트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 이동부시;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신호등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수단은, 상면에 오목한 설치홈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 도브테일 형태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 상기 절개홈에 끼워질 수 있고 외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는 특히 어린이들의 통학 중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부주의한 운전자들이 신호등을 못본 경우라도 차단봉을 통해서 쉽게 보행자 신호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단봉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줄 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필요시에만 쉽게 이동시켜 설치가 가능하므로 파손 및 고장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의 개념도.
도 3은 신호등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차단기 본체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운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구동부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차단봉의 단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본 고안은 단지 도면에 제시되는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신호등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차단기 본체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운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동부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7은 차단봉의 단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은, 차단기 본체(100), 유도로(200), 구동부(300), 차단봉(400) 및 운반수단(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건널목의 양 끝단, 즉 인도측에 설치될 수 있고, 주로 어린아이들의 통행이 많은 스쿨존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일반 도로 상에도 설치될 수 있다.
건널목에는 신호등(600)이 마련되어 있고, 신호등과 인접하여 건널목 끝단에 차단기 본체(100)가 설치된다. 차단기 본체(100)는 사각 혹은 원형의 박스 형상일 수 있고, 차단기 본체(100)에는 유도로(200)가 형성된다.
유도로(200)는 후술될 차단봉(400)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경우 차단기 본체(100)의 일부 구간에 걸쳐 외면에서부터 내부까지 개구되는 수평구간(210)과 수직구간(220)을 포함한다.
즉, 차단기 본체(100)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고 있되, 도면과 같이 수평구간(210)과 수직구간(220)이 곡선구간(230)에서 만나는 형상으로 유도로(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구간(210)과 곡선구간(230)의 경계부근에 차단기 본체(100) 외면보다 돌출되는 블록(120)이 마련되며, 블록(120)으로 인해 차단봉(400)은 유도로(200)를 따라 휘어지면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유도로(200)의 수직구간(220)에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240)가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이 유도로(200)를 따라 들어갈 때 차단봉(400)이 스토퍼(240)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유도로(200)의 수평구간(210)은 차단봉(400)의 정상 동작시 차단봉(400)이 이동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수직구간(220)은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 차단봉(400)의 보호를 위해 차단봉(400)이 유도로(200)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구간을 말한다.
차단기 본체(100) 내부에 구동부(300)가 마련되는데, 구동부(300)는 신호등(600)의 보행자 신호 또는 차량 신호에 따라 차단봉(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0)는 회전샤프트(310), 종동기어(320), 이동부시(330), 모터(340), 구동기어(350), 메인보드(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기 본체(100) 내부 중앙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회전샤프트(310)가 배치되며, 회전샤프트(310)의 상단과 하단은 베어링(31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회전샤프트(310)의 하단 근처에 종동기어(320)가 결합되며, 종동기어(320)는 회전샤프트(310)와 일체가 되게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310)에 이동부시(330)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동부시(330)는 회전샤프트(310)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 작용시 회전샤프트(310)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유지한 채 끼워진다. 정상상태인 경우 이동부시(330)는 회전샤프트(31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게 되나, 비정상상태(외력 작용시)인 경우에는 이동부시(330)가 회전샤프트(31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동부시(330)의 외면에 차단봉(4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차단봉(400)은 탄성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차단봉(400)은 길다란 봉 형상이나 사각 바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차단봉(400)은 정상상태일 때는 일직선 형태로 수평을 유지하나, 비정상상태일 때는 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정상상태 및 비정상상태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정상상태라 함은 차단봉(400)에 아무런 외력(자동차가 신호를 무시하고 진행할 때 차단봉에 차량이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비정상상태란 이와 반대로 차량이 신호를 무시하고 진행하여 차단봉(400)에 차량이 접촉되어 차단봉이 휘어지는 경우와 같은 경우를 말한다.
차단기 본체(100) 내부 하단 근처에 모터(340)가 마련되며, 모터(340)의 회전축에 구동기어(350)가 결합된다. 구동기어(350)는 종동기어(320)와 치합되는 상태로 배치되며, 모터(340)가 회전되면 구동기어(350)를 거쳐 종동기어(320)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샤프트(310)는 회전하게 된다.
정상상태인 경우 신호등(600)의 신호에 따라 모터(340)는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는데, 보행자 신호인 경우에는 차단봉(400)이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건널목 진행방행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차량신호인 경우에는 차단봉(400)이 반대로 90도 회전하여 보행자가 건널목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게 된다.
구동부(300)에는 메인보드(360)가 포함되며, 메인보드(360)는 후술될 신호등 캡쳐 보드(5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등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를 받은 후 그 신호에 맞게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메인보드(360)와 신호등 캡쳐 보드(500)간의 신호 전송은 RS485 통신, RS232 통신 혹은 Zigbee 무선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고, 이외 다른 공지의 통신 방법들이 선택 사용될 수 있다.
차단봉(400)의 일단이 구동부(300)와 연결되는데, 언급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의 일단은 이동부시(330)와 결합되어 구동부(300)의 동작에 따라 함께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봉(400)의 내부 중심에는 얇은 철판과 같은 코어(410)가 삽입될 수 있다. 코어(410)는 그 자체로 탄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 철판을 세운 상태로 내장시켜서 차단봉(400)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코어(410)는 탄성복원력이 좋은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코어(410)가 내장됨으로써 코어는 더욱 탄성복원력이 우수해지고 파손에 강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봉(4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유도로(200)를 따라 차단봉(400)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차단봉(400)과 연결된 이동부시(330)는 회전샤프트(31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뜻하지 않게 차단봉(400)에 차량이 접촉되어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차단봉(400)은 자연스럽게 유도로(200) 속으로 들어가면서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언급한 바와 같이 유도로(200)에는 복수의 스토퍼(240)가 마련되며, 스토퍼(240)는 수직구간(220)에 간격을 두고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로(200)를 따라 차단봉(400)이 들어가면 차단봉(400)은 스토퍼(24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도로(200) 외부로 벗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력의 강도에 따라 차단봉(400)이 유도로(200)로 들어가는 정도에 차이가 있게 되고, 스토퍼(240)에 차단봉(400)이 걸리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차단기 본체(100)의 하면에 운반수단(900)이 마련된다. 운반수단(900)을 두게 됨으로써 이동이 가능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주로 학교 근처의 건널목 등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데, 학생들의 통행이 많은 시간대나 안전요원이 없는 경우와 같은 시간때에 활용하면 어린 아이들의 교통사고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운반수단(900)은 차단기 본체(100) 하면에 마련되는데, 복수의 바퀴(920)를 포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수단(900)은 받침대(910), 바퀴(920), 절개홈(930) 및 당김수단(9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910)의 상면에 오목한 설치홈(911)이 형성되며, 설치홈(911)에 차단기 본체(100)의 하부가 끼워지게 된다. 받침대(910)의 설치홈(911)은 차단기 본체(100)의 외관 형상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받침대(91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바퀴(920)가 결합된다. 바퀴(920)는 공지의 다양한 캐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910)의 어느 일측 외면에 도브테일 형태의 절개홈(930)이 형성되며, 절개홈(930)은 하나 이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브테일 형태란 도면과 같이 정면은 개구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절개홈(930)에 끼워지는 당김수단(940)이 마련되며, 당김수단(940)은 절개홈(930)의 상부나 하부에서 밀어 넣어 끼우게 되는 헤드(941)와 헤드(941)의 외면에 결합되는 손잡이(9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942)는 봉이거나 줄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절개홈(930)에 당김수단(940)을 끼워서 차단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손잡이(942)를 잡고서 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운반수단(900)은 차단기 본체(100)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운반수단(900)은 이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운반수단(900)이 차단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는 신호등 상태 캡처 보드(500)가 마련되는데, 신호등 상태 캡쳐 보드(500)는 신호등(600) 지주에 마련되도록 한다.
신호등 상태 캡쳐 보드(500)는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자 신호인지 차량신호인지를 판별하게 되며, 이 정보를 차단기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메인보드(360)로 제공하게 된다.
신호등 상태 캡쳐 보드(500)와 신호등(600)간의 신호 전달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등 상태 캡처 보드(500)는 신호등(600)의 CT 및 PT 값을 읽어들여서 신호등이 보행자 신호인지 혹은 차량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CT는 계기용 변류기를 말하며, PT는 계기용 변압기를 말하는데, 신호등이 보행자 신호일 때와 차량신호일 때의 CT 및 PT 값의 차이가 있음을 이용한다. 즉, 보행자 신호일 때와 차량신호일 때의 각 CT 및 PT값이 신호등 상태 캡처 보드(500)로 전송되고, 이를 통해 보행자 신호인지 차량신호인지를 판별하여 차단기의 메인보드(360)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신호등 상태 캡처 보드(500)가 제공하는 신호등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차단기의 메인보드(360)는 구동부(300)의 모터(3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봉(400)은 수평상태에서 규정된 범위에서 회동하게 된다.
즉, 보행자 신호인 경우에 차단봉(400)은 건널목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후 차량신호로 변경되면 차단봉(400)은 대략 90도 각도만큼 회전하여 건널목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보행자 신호가 되면 차단봉(400)은 차량이 건널목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량을 막게되며, 차량신호인 경우에는 보행자가 더 이상 건널목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보행자를 막게 된다.
한편, 차단기 본체(100)에는 차단봉(400)이 회전동작되면서 정확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110)를 두도록 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차단봉(400)은 90도 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차단봉(400)이 규정된 위치까지 회전되면 센서(110)가 이를 감지하여 차단봉(400)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만약 차단봉(40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었음에도 센서(110)가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차단봉(400)의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정보는 웹서버를 통해서 관리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는 감시 카메라(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시 카메라(700)는 특정한 상황일 때 건널목 주변을 촬영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한 상황이란 보행자 신호임에도 차단봉(400)이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것은 곧 차단봉(400)을 치고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보행자 신호임에도 차량이 차단봉(400)을 치고 차량이 통고하는 것은 법규위반일 뿐 아니라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개연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카메라(700)가 촬영한 영상분의 특정구간을 저장하게 된다. 즉, 특정 상황이라는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 전후 대략 1~2분 정도의 시간 동안의 촬영분을 저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차단봉(400) 자체나 구동부(300)에 충격센서를 마련하는 등의 방법으로 차량이 차단봉(400)을 치고 진행하는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는 메인보드(360)로 제공되고, 메인보드(360)는 카메라(700)의 촬영분이 자동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초등학생과 같은 아이를 둔 부모들은 아이들이 매일 통학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교통사고에 대한 염려외에도 학교와 집을 오가는 중 유괴를 당하거나 기타 나쁜길로 빠지는 것을 걱정하게 된다.
이러한 우려를 줄이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차단기 본체(100)에 RFID를 소지한 통행자를 식별하여 보호자에게 통행자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통신모듈(800)이 더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본인확인을 위한 RFID는 미리 발급되어 통행자에게 지급되며, 통행자가 본 고안이 설치된 건널목 앞에 오게 되면 통신모듈(800)의 RFID 리더기가 이를 인식하여 특정 통행자가 현재 건널목 앞에 와 있음을 통행자의 보호자에게 문자 등의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건널목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보행자 신호와 차량신호인 경우에 따라 차단봉이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차량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동작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무리한 진행을 보다 효과적이고도 강제적으로 막을 수 있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단봉이 외력을 받게 되는 경우에도 차단봉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를 통해 사고발생이나 교통법규 미준수 차량에 대한 현장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의 위치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이 쉽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는 바, 특히 스쿨존 구역의 건널목에 설치될 수 있다.
100 : 차단기 본체 110 : 센서
200 : 유도로 210 : 수평구간
220 : 수직구간 230 : 곡선구간
240 : 스토퍼 300 : 구동부
310 : 회전샤프트 311 : 베어링
320 : 종동기어 330 : 이동부시
340 : 모터 350 : 구동기어
360 : 메인보드 400 : 차단봉
410 : 코어 500 : 신호등 상태 캡처 보드
600 : 신호등 700 : 감시 카메라
800 : 통신모듈 900 : 운반수단
910 : 받침대 911 : 설치홈
920 : 바퀴 930 : 절개홈
940 : 당김수단 941 : 헤드
942 : 손잡이

Claims (3)

  1. 신호등과 연동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에서부터 내부까지 형성되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 및 수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유도로;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 또는 차량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고, 탄성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될 때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게 되는 차단봉;
    상기 차단기 본체의 하면에 마련되며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로의 수평구간과 곡선구간의 경계부근에 상기 차단기 본체 외면보다 돌출되는 블록이 마련되어 상기 블록으로 인해 상기 차단봉은 상기 유도로를 따라 휘어지면서 수직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유도로의 수직구간에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기 유도로를 따라 들어갈 때 상기 차단봉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상단과 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회전샤트프;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끼워지되 상기 차단봉의 일단이 결합되고 외력 작용시 상기 회전샤프트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 이동부시;
    상기 차단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신호등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은,
    상면에 오목한 설치홈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 도브테일 형태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
    상기 절개홈에 끼워질 수 있고 외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KR2020140001165U 2014-02-17 2014-02-17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KR200478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165U KR200478185Y1 (ko) 2014-02-17 2014-02-17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165U KR200478185Y1 (ko) 2014-02-17 2014-02-17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22U KR20150003222U (ko) 2015-08-27
KR200478185Y1 true KR200478185Y1 (ko) 2015-09-08

Family

ID=5433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165U KR200478185Y1 (ko) 2014-02-17 2014-02-17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98B1 (ko) * 2019-10-11 2020-05-29 김현호 차단봉 기능을 갖는 실외 배너 광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30Y1 (ko) * 2010-08-23 2011-03-16 정춘식 개폐형 볼라드
JP2012117313A (ja) * 2010-12-02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ゲート開閉装置
KR101345550B1 (ko) *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30Y1 (ko) * 2010-08-23 2011-03-16 정춘식 개폐형 볼라드
JP2012117313A (ja) * 2010-12-02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ゲート開閉装置
KR101345550B1 (ko) * 2012-08-13 2013-12-26 임종대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22U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84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1354231B1 (ko) 경관 조명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1031995B1 (ko)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1899147B1 (ko)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KR100980908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210008594A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146863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스마트 신호등시스템
KR200478185Y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KR101505116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2239096B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볼라드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KR102461501B1 (ko) 회전 안내장치가 구성된 어린이보호구역 난간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090090558A (ko) 세이프존에서의 차량 제어장치
KR102057335B1 (ko) 스마트 안전휀스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20170059593A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KR101589536B1 (ko) 안전신호 점멸장치
KR200400215Y1 (ko)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