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5Y1 -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5Y1
KR200400215Y1 KR20-2005-0018736U KR20050018736U KR200400215Y1 KR 200400215 Y1 KR200400215 Y1 KR 200400215Y1 KR 20050018736 U KR20050018736 U KR 20050018736U KR 200400215 Y1 KR200400215 Y1 KR 200400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rossing
signal
safety devi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20-2005-0018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널목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로 중앙부에 설치된 중앙빔(100)의 상부에 서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전봉(210, 220)과, 상기 중앙빔(100)의 하부에는 회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300)는 일정 각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회전력을 중앙빔(100)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320)와 건널목 신호제어시스템으로부터 청신호와 적신호의 시그널을 받아 각각의 신호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모듈(330)이 형성되어 건널목 신호가 적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중앙선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청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건널목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좌·우회전을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ROTATING SAFETY DEVICE FOR CROSSING}
본 고안은 건널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장치가 좌·우회전식으로 구동되어 교차로 등에 있어서, 차량이나 보행자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3년 기준으로 자동차등록대수는 14,586,795대(이륜자 제외)에 이른다. 또 자동차 사고발생건수는 240,832건에 달하며 이중 건널목 관련 사고는 24,712건에 해당하여 10%를 상회한다. 건널목 사고는 차량의 무단진입이나 운전자의 보행자주의의무 소홀, 보행자의 무단횡단과 같은 형태로 구별할 수 있다. 사고의 원인별로 구별하자면 운전자의 문제와 보행자의 문제로 크게 대별될 수 있는데, 최근 건널목 정지선 준수운동도 이와 같은 건널목 사고의 예방책이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은 2003년 통계치로 보면 아직 44.82%에 불과하여 채 50%가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보행자의 문제 측면에서 보면 무단횡단 등이 문제가 되고 특히 주의의식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크게 문제된다. 2003년 자동차사고 중 어린이 사망사고는 269명, 부상사고는 13,528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렇다면 건널목 사고를 줄이기 위한 안전장치라면 차량과 보행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되어야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방식들은 모두 보행자만을 또는 차량만을 고려한 것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7384호에서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장치의 보행자 신호 점등에 따른 구동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정,역회전 작동함에 따라 연동하는 상하부이동롤러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회전하여 횡단보도의 폭 양측에 별도 구비되는 횡단 안내부를 따라 왕복 횡단하도록 하는 이송 구동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정역회전 작동함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면서 차량정지 및 유용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된 안내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내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장치는 강제적 정지선 준수라는 점에 특징이 있으나, 중간신호등(황색등)에서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에게 사고의 위험이 더 크며, 더 큰 문제점은 무단 보행자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점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55636호에서는 "차량의 주행을 통제하기 위한 차량차단장치와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보행자 차단장치를 각기 차량정지선 및 보행자 정지선 상에 설치하여 교통신호에 따라 상기한 각 차단장치의 차단봉이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가로막아 어느 일방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장치는 차량과 보행자를 모두 고려한 측면에서는 긍적적이나 차량용과 보행자용의 별도의 차단봉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비용이 크고 설치장소가 보행로에 국한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결국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모두 고려하면서 설치 위치의 제한이 없는 안전장치가 간절히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건널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크기에 제한받지 않을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널목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로 중앙부에 설치된 중앙빔(100)의 상부에 서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전봉(210, 220)과, 상기 중앙빔(100)의 하부에는 회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300)는 일정 각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회전력을 중앙빔(100)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320)와 건널목 신호제어시스템으로부터 청신호와 적신호의 시그널을 받아 각각의 신호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모듈(330)이 형성되어 건널목 신호가 적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중앙선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청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건널목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안전봉이 좌·우회전을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안전봉(210, 220)의 말단부에는 야간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점등(230)이 형성되거나 다수의 점등이 안전봉 상에 형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중앙빔(100)의 상부에는 중앙점등(110)이 형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중앙빔(100) 또는 안전봉(210, 220) 상에는 신호 변경 안내나 음악과 같은 주의 경고 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음성출력모듈이 형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봉(210, 2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야광물질이 전장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따른 건널목 안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중앙빔의 형태는 경찰청 캐릭터인 '포돌이'를 예로서 표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중앙빔(100)의 상부에 서로 대칭된 위치 제1 및 제2안전봉(210, 220)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봉(210, 2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야광물질이 전장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 상기 안전봉(210, 220)의 말단부에는 야간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점등(230)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다수의 점등이 안전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안전봉(210, 220)에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주의를 강조하기 위해 경고 문구가 인쇄된 비닐판이나 천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판이나 천은 상기 안전봉 상에 묶는 방식일 수 있거나 안전봉의 하부에 고리를 형성시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빔(100)의 상부에는 야간시 건널목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중앙점등(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중앙빔(100) 또는 안전봉(210, 220) 상에는 신호변경시 보행자나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신호 변경 안내나 음악과 같은 주의 경고 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음성출력모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봉의 재질은 건널목 사고예방 측면과 차량 측면만을 고려할 때, 강성재질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널목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강성재질로 이루어진 안전봉에 차량이 충돌함으로서 인사사고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을 고려한다면 상기 재질은 고무재나 공기튜브와 같은 연성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전장치는 종래의 상하이동방식이 아니라 좌우회전방식을 채택함으로서 하나의 안전봉으로서 차량 및 보행자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바, 상기 중앙빔(100)의 하부에는 회전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300)는 일정 각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회전력을 중앙빔(100)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32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회전부(300)에는 건널목 신호제어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청신호와 적신호의 시그널을 받아 각각의 신호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모듈(33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는 전자제어에 의해 신호변경시 자동제어가 됨은 물론이나 수동제어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따른 건널목 안전장치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된 형태로서 건널목 신호로 적신호와 청신호, 즉 차량이 진행할 때와 보행자가 진행할 때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건널목 신호로 적신호 일 때, 적신호를 인식한 모터제어모듈(330)은 회전하면서 중앙빔(100)이 회전하고 상기 안전봉은 중앙선(510)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 때 제1 또는 제2안전봉(210, 220) 중 어느 하나는 건널목(520)의 중앙을 차단하고 있어 보행자의 신호를 무시한 무단횡단을 차단한다. 또 건널목 신호가 청신호 일 때는 모터제어모듈(330)이 청신호를 인식하고 중앙빔(100)이 역회전 하여 상기 안전봉은 건널목(520)과 평행하게 역회전하게 된다. 제1 및 제2안전봉(210, 220)은 각각 진행방향의 차량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게 되어 차량의 신호 위반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모터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각도는 일반적으로 90도 일 수 있으나 도로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중앙선 부위가 아니라 인도 측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건널목의 일 말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건널목 신호등의 기둥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중앙빔 대신 신호등 기둥에 부착될 프레임(400)에 안전봉이 형성되고 이 경우 하나의 안전봉만 설치될 수 있다. 형성된다. 회전부(300)에는 상기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모터는 실린더형 회전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 전체가 회전할 수도 있고, 모터에 샤프트를 형성하여 상기 안전봉이 샤프트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와 같이 건널목 신호로 적신호 일 때는 적신호를 인식한 모터제어모듈(330)은 회전하면서 안전봉은 보행자의 진행을 막도록 도로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또 건널목 신호가 청신호 일 때는 도 5와 같이 모터제어모듈(330)이 청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안전봉은 건널목과(520) 평행하게 역회전하게 된다. 이 때 안전봉(210)은 차량을 진행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게 되어 차량의 신호 위반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하나 더 고려되어야 할 점은 현행 교통신호 시스템이 황색과 같은 중간 신호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황색신호에서 이미 건널목에 진입하였으나 교차로나 건널목을 통과하지 못하고 정지한 차량의 경우 상기 안전봉의 이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손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안전봉에 전방 물체의 존재와 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모듈(미도시)을 장착하고 모터제어모듈(330)에 스톱바와 같은 긴급정지장치를 장착하여 안전봉이 회전하다가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좌우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는 상하이동방식이 아닌 좌우이동방식을 채택함으로서 하나의 안전봉으로서 차량과 보행자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설치면적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는 자동 및 수동제어가 가능하여 신호등이 없는 초등학교 앞 건널목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는 기 설치된 신호등에 착설될 수 있어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거나 설치비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는 긴급정지장치를 마련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널목 안전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널목 안전장치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된 형태로서 건널목 신호로 적신호일 때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널목 안전장치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된 형태로서 건널목 신호로 청신호일 때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인도 측에 형성된 예로서 건널목 신호로 적신호일 때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건널목 신호로 청신호일 때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중앙빔 210 : 제1안전봉
220 : 제2안전봉 300 : 회전부
310 : 모터 320 : 샤프트
330 : 모터제어모듈 400 : 프레임
510 : 중앙선 520 : 건널목

Claims (5)

  1. 건널목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로 중앙부에 설치된 중앙빔의 상부에 서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전과, 상기 중앙의 하부에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일정 각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중앙빔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와 건널목 신호제어시스템으로부터 청신호와 적신호의 시그널을 받아 각각의 신호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모듈이 형성되어 건널목 신호가 적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중앙선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청신호시 상기 안전봉은 건널목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안전봉이 좌·우회전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의 말단부에는 야간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점등이 형성되거나 다수의 점등이 안전봉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빔의 상부에는 중앙점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빔 또는 안전봉 상에는 신호 변경 안내나 음악과 같은 주의 경고 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음성출력모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안전봉에는 길이 방향으로 야광물질이 전장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을 포함하는 테이프가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널목 안전장치.
KR20-2005-0018736U 2005-05-20 2005-06-28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KR200400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36U KR200400215Y1 (ko) 2005-05-20 2005-06-28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77 2005-05-20
KR20-2005-0018736U KR200400215Y1 (ko) 2005-05-20 2005-06-28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Y1 true KR200400215Y1 (ko) 2005-11-03

Family

ID=4370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36U KR200400215Y1 (ko) 2005-05-20 2005-06-28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836B1 (ko) 2016-12-09 2017-09-11 제주특별자치도 발광형 경계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836B1 (ko) 2016-12-09 2017-09-11 제주특별자치도 발광형 경계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939C (en) Warning system for protection from wrong-way drivers
US5825412A (en) Video detec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a railroad crossing
US10933804B2 (en) School bus child safety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02024992A (ja) 車両の交通信号灯連動速度制御システム
US20040008126A1 (en) Emergency traffic signal attachment
KR102146863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스마트 신호등시스템
JP6403241B1 (ja) 進路予告灯
KR101212641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ES2324143B1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corporaciones de vehiculos mejorado.
ES2673014T5 (es) Procedimiento para representar informaciones sobre el funcionamiento de un vehículo ferroviario para otros participantes del tráfico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DE202013005510U1 (de) Warnsystem für Falschfahrer auf Straßen mit getrennten Fahrbahnen
KR101572199B1 (ko)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되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100045022A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0400215Y1 (ko) 회전형 건널목 안전장치
KR101740267B1 (ko)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JP2019036147A (ja) 交通制御システム
KR200468767Y1 (ko) 차량 정체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WO2013021403A2 (en) Modular electronically automated system for safety of traffic on the urban and extra-urban road networks
KR100987202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내장치
KR200365472Y1 (ko) 교통안전 신호장치
KR100856872B1 (ko) 주정차 금지 안내 시스템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