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43Y1 -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243Y1 KR200476243Y1 KR2020140006807U KR20140006807U KR200476243Y1 KR 200476243 Y1 KR200476243 Y1 KR 200476243Y1 KR 2020140006807 U KR2020140006807 U KR 2020140006807U KR 20140006807 U KR20140006807 U KR 20140006807U KR 200476243 Y1 KR200476243 Y1 KR 2004762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
- corner portion
- frame
- corner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A)가 디귿자로 구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고정핀(40)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A)가 디귿자로 구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고정핀(40)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마스트(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스트(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결합된 지브(2)와, 상기 지브(2)를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지브(2)에 결합되어 건축재료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크레인부(3)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1)는 강도가 높은 금속바를 조립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측에서 볼 때, 사각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부(3)는 상기 지브(2)를 따라 전후진되는 슬라이드유닛(3a)과, 상기 슬라이드유닛(3a)에 구비된 윈치와, 상기 윈치에서 풀려 나온 케이블(3b)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3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c)에 운반할 자재를 고정한 후, 상기 윈치를 이용하여 자재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드유닛(3a)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지브(2)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재를 원하는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트(1)는 건축되는 건축물(5)의 높이에 대응되어 점차 증가됨으로,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에는 상기 건축물(5)의 외벽에 고정되는 앵커바(4)가 연결되어, 마스트(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에는 상기 앵커바(4)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앵커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앵커프레임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5)을 향하는 쪽의 둘레부에는 상기 앵커바(4)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앵커프레임은 복수개의 파트로 분할제작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트(1)를 먼저 설치한 후, 앵커프레임의 부품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조립하고, 상기 앵커바(4)의 기단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하고 선단부를 건축물(5)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프레임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66571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이 마스트(1)의 중간부에 앵커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복수개로 분할된 앵커프레임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하여야 함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건축물(5)의 높이가 매우 높을 경우 상기 마스트(1)의 높이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매우 높아지며, 상기 앵커프레임이 설치되는 위치 역시 점차 높아지게 됨으로, 작업자가 앵커프레임을 설치할 때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 중간부에 설치되어 선단부가 건축물에 고정되는 앵커바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사각 테두리형태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앵커바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이 구비된 프레임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본체(A)는 단부가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고정하는 고정핀(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는 직선형태로 구성된 지지부(21,31)와, 상기 지지부(21,31)의 양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22,3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22,32)의 단부에는 결합홈(23)과 상기 결합홈(23)에 삽입되는 삽입편(33)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22,32)의 단부와 상기 삽입편(33)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22a,3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33)을 상기 결합홈(23)에 결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 외측둘레부를 감싸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한 후, 상기 결합공(22a,33a)에 상기 고정핀(40)을 결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본체(A)는 일측의 제1 모퉁이부(51)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에 인접하는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제3 모퉁이부(53)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퉁이부(51)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1) 일측의 모퉁이에 밀착되는 제1 지지편(51a)과,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된 제2 지지편(52a)과,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된 제3 지지편(54a)과,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된 제1 가압볼트(52b)와, 상기 제3 모퉁이부(53)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를 향해 연장된 제2 및 제3 가압볼트(53a,53b)와,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된 제4 가압볼트(54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32a,54a)이 프레임본체(A)의 각 모퉁이부분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여, 프레임본체(A)를 마스트(1)의 중간부 외측 둘레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고 일단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부분과 연장부(22,32)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케이블(B)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케이블(B)의 타단을 마스트(1)의 중간부에 걸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마스트(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이 제공된다.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40)의 둘레면에는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이 대응되는 협경부(4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40)을 상기 결합공(22a,33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 둘레부가 상기 고정핀(40)의 협경부(43)에 끼워져 상기 고정핀(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A)가 디귿자로 구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고정핀(40)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제2 실시예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의 제2 실시예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 중간부에 설치되어 선단부가 건축물에 고정되는 앵커바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타워크레인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마스트(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스트(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결합된 지브(2)와, 상기 지브(2)에는 지브(2)를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축재료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크레인부(3)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1)는 강도가 높은 금속바를 조립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측에서 볼 때 사각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부(3)는 상기 지브(2)를 따라 전후진되는 슬라이드유닛(3a)과, 상기 슬라이드유닛(3a)에 구비된 윈치와, 상기 윈치에서 풀려 나온 케이블(3b)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3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c)에 운반할 자재를 고정한 후, 상기 윈치를 이용하여 자재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드유닛(3a)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지브(2)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재를 원하는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사각 테두리형태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앵커바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이 구비된 프레임본체(A)와,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본체(A)를 상기 마스트(1)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케이블(B)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본체(A)는 단부가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고정하는 고정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는 직선형태로 구성된 지지부(21,31)와, 상기 지지부(21,31)의 양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22,32)로 구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32)의 단부에는 결합홈(23)과 상기 결합홈(23)에 삽입되는 삽입편(33)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23)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20)의 연장부(22) 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33)은 상기 제2 프레임부재(30)의 연장부(32) 단부에 상기 결합홈(23)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20)의 연장부(22) 단부와 상기 삽입편(33)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22a,3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a,33a)은 상기 삽입편(33)을 결합홈(23)에 끼웠을 때,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연장부(22)의 단부와 상기 삽입편(33)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 부분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22a,33a)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기 마스트(1)의 양측에 배치한 후 상기 제2 프레임부재(30)의 삽입편(33)이 제1 프레임부재(20)의 결합홈(23)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공(22a,33a)에 상기 고정핀(40)을 끼움으로써, 프레임본체(A)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본체(A)의 내측 둘레부 각 모퉁이부분에는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밀착되는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가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배치된 프레임본체(A)를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스트(1)는 사각형의 단면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본체(A)는 상기 마스트(1)에 대응되도록 일측의 제1 모퉁이부(51)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에 인접하는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제3 모퉁이부(53)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편(51a)은 상기 제1 모퉁이부(51)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모퉁이부(52)와 제4 모퉁이부(54)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편(52a)은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편(54a)은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압볼트(52b)는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및 제3 가압볼트(53a,53b)는 상기 제3 모퉁이부(53)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볼트(54b)는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프레임본체(A)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상기 마스트(1)의 각 모퉁이부분에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과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가 밀착되어, 앵커프레임이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블(B)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턴버클(71)이 구비되어, 상기 턴버클(71)을 회전시켜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부분과 연장부(22,32)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스트(1)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부분과 연장부(22,32)의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케이블(B)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링체(6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케이블(B)의 양단에는 후크(7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케이블(B) 일단의 후크(72)를 상기 고정링체(60)에 걸고, 타단의 후크(72)를 상기 마스트(1)에 걸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프레임을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케이블(B)의 타단에 구비된 후크(72)를 상기 크레인부(3)의 후크(3c)에 걸고, 크레인부(3)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적절한 높이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크레인부(3)의 후크(3c)에 걸린 고정케이블(B)을 하나씩 풀어내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케이블(B)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72)를 상기 마스트(1)에 걸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고정케이블(B)의 턴버클(7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동일한 높이에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케이블(B)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동일한 높이에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2 프레임부재(30)의 삽입편(33)이 상기 제1 프레임부재(20)의 결합홈(23)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공(22a,33a)에 상기 고정핀(40)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상기 마스트(1)의 각 모퉁이 부분에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과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가 밀착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본체(A)가 상기 마스트(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본체(A)의 고정브라켓(10)에 상기 앵커바의 기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앵커바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은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A)가 디귿자로 구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고정핀(40)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본체(A)의 각 모퉁이부분에는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과,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본체(A)를 마스트(1)의 둘레부에 결합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과,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가 마스트(1)의 각 모퉁이 부분에 밀착가압되어 프레임본체(A)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상기 프레임본체(A)를 마스트(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부분과 연장부(22,32)의 선단부에는 길이조절가능한 고정케이블(B)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적절한 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케이블(B)을 마스트(1)에 걸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마스트(1)의 둘레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에 고정핀(40)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본체(A)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본체(A)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타워크레인은 한번에 1개의 자재만을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상기 고정케이블(B)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부재(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1 프레임부재(20)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임시로 고정하고, 다시 한번 상기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레임부재(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2 프레임을 당겨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조립하여 상기 프레임본체(A)를 구성하고, 별도의 후작업을 통해, 상기 프레임본체(A)를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여 프레임본체(A)가 고정되도록 하여야 함으로, 프레임본체(A)를 조립하고, 프레임본체(A)가 수평이 되도록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들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와, 조립된 프레임본체(A)는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조립하거나, 조립된 프레임본체(A)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과정에서 매우 힘이 많이 들게 되며,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고정케이블(B)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케이블(B)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마스트(1)의 둘레부에 일차로 고정하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케이블(B)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케이블(B)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고, 이와 같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결합하여 프레임본체(A)를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하중이 상기 고정케이블(B)에 의해 지지됨으로, 상기 프레임본체(A)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거나,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조립하는 작업에 힘이 들지 않게 되며,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케이블(B)의 양단에 후크(72)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72)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케이블(B)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과 마스트(1)에 걸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케이블(B)의 양단을 링형태로 말아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케이블(B)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과 마스트(1)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고정케이블(B)의 양단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과 마스트(1)에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둘레부에 플랜지부(42)가 형성된 핀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40)의 둘레면에는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이 대응되는 협경부(4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40)을 상기 결합공(22a,33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 둘레부가 상기 고정핀(40)의 협경부(43)에 끼워져 상기 고정핀(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앵커프레임을 조립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해 고정핀(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프레임본체 20. 제1 프레임부재
30. 제2 프레임부재 40. 고정핀
b. 고정케이블
30. 제2 프레임부재 40. 고정핀
b. 고정케이블
Claims (4)
-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 중간부에 설치되어 선단부가 건축물에 고정되는 앵커바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사각 테두리형태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앵커바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이 구비되되, 단부가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고정하는 고정핀(40)을 포함하는 프레임본체(A); 및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의 모퉁이부분과 연장부(22,32)의 선단부에 마련된 고정링체(60)에 연결되는 후크(72)가 구비되되, 타단이 마스트(1)의 중간부에 걸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를 상기 마스트(1)의 둘레부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케이블(B);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는 직선형태로 구성된 지지부(21,31)와, 상기 지지부(21,31)의 양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상기 연장부(22,3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22,32)의 단부에는 결합홈(23)과 상기 결합홈(23)에 삽입되는 삽입편(33)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22,32)의 단부와 상기 삽입편(33)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22a,3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33)을 상기 결합홈(23)에 결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기 마스트(1)의 중간부 외측둘레부를 감싸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한 후, 상기 결합공(22a,33a)에 상기 고정핀(40)을 결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본체(A)는 일측의 제1 모퉁이부(51)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에 인접하는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와, 상기 제1 모퉁이부(51)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제3 모퉁이부(53)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퉁이부(51)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1) 일측의 모퉁이에 밀착되는 제1 지지편(51a)과,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된 제2 지지편(52a)과,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일측에서 상기 제3 모퉁이부(53)를 향해 연장된 제3 지지편(54a)과, 상기 제2 모퉁이부(52)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된 제1 가압볼트(52b)와, 상기 제3 모퉁이부(53)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및 제4 모퉁이부(52,54)를 향해 연장된 제2 및 제3 가압볼트(53a,53b)와, 상기 제4 모퉁이부(54)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모퉁이부(51)를 향해 연장된 제4 가압볼트(54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편(51a,52a,54a)이 프레임본체(A)의 각 모퉁이부분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여, 프레임본체(A)를 마스트(1)의 중간부 외측 둘레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고정핀(40)은 둘레면에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이 대응되는 협경부(4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40)을 상기 결합공(22a,33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볼트(52b,53a,53b,54b)를 조이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재(20,30)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삽입편(33)의 결합공(33a) 둘레부가 상기 고정핀(40)의 협경부(43)에 끼워져 상기 고정핀(4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블(B)은 중간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턴버클(7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07U KR200476243Y1 (ko) | 2014-09-18 | 2014-09-18 |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07U KR200476243Y1 (ko) | 2014-09-18 | 2014-09-18 |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243Y1 true KR200476243Y1 (ko) | 2015-02-23 |
Family
ID=5259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807U KR200476243Y1 (ko) | 2014-09-18 | 2014-09-18 |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243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553U (ko) * | 2015-04-06 | 2016-10-14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20170002148U (ko) * | 2015-12-09 | 2017-06-19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체 인양 장치 |
US9851049B1 (en) | 2016-08-29 | 2017-12-26 | John Rene Spronken | Crane tie arm adjustment |
KR101849937B1 (ko) * | 2017-05-26 | 2018-04-18 | 주식회사 코닥트 | 로프형 승강장치의 거치대 |
USD874082S1 (en) | 2016-08-29 | 2020-01-28 | John Rene Spronken | Crane tie-arm |
KR20210032116A (ko) * | 2019-09-16 | 2021-03-24 |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 도포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3712Y1 (ko) * | 2005-02-16 | 2005-05-06 | 엠비이엔지(주) | 타워크레인 지지프레임 |
KR100634465B1 (ko) | 2005-04-02 | 2006-10-13 |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KR200430168Y1 (ko) | 2006-08-21 | 2006-11-02 | 주식회사 프로세이프 | 타워크레인 낙하물 방지망 |
KR100825255B1 (ko) | 2006-11-20 | 2008-04-25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
2014
- 2014-09-18 KR KR2020140006807U patent/KR20047624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3712Y1 (ko) * | 2005-02-16 | 2005-05-06 | 엠비이엔지(주) | 타워크레인 지지프레임 |
KR100634465B1 (ko) | 2005-04-02 | 2006-10-13 |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KR200430168Y1 (ko) | 2006-08-21 | 2006-11-02 | 주식회사 프로세이프 | 타워크레인 낙하물 방지망 |
KR100825255B1 (ko) | 2006-11-20 | 2008-04-25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553U (ko) * | 2015-04-06 | 2016-10-14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200482504Y1 (ko) | 2015-04-06 | 2017-02-02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20170002148U (ko) * | 2015-12-09 | 2017-06-19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체 인양 장치 |
KR200484909Y1 (ko) | 2015-12-09 | 2017-12-01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체 인양 장치 |
US9851049B1 (en) | 2016-08-29 | 2017-12-26 | John Rene Spronken | Crane tie arm adjustment |
USD874082S1 (en) | 2016-08-29 | 2020-01-28 | John Rene Spronken | Crane tie-arm |
KR101849937B1 (ko) * | 2017-05-26 | 2018-04-18 | 주식회사 코닥트 | 로프형 승강장치의 거치대 |
KR20210032116A (ko) * | 2019-09-16 | 2021-03-24 |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 도포 장치 |
KR102278244B1 (ko) | 2019-09-16 | 2021-07-16 | 박정규 | 도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243Y1 (ko) |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JP6210453B2 (ja) |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 |
KR101215356B1 (ko) | 파일 인양용 기구 | |
KR101677891B1 (ko) | 인양용 체결구 | |
KR101930781B1 (ko) | H빔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h빔의 설치방법 | |
KR101457114B1 (ko) |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 |
KR101119556B1 (ko) | 케이블 거치대 | |
KR101076562B1 (ko) |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101124940B1 (ko) |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덮개 상?하동 장치 | |
KR101448219B1 (ko) | 사다리차용 고강도 신축 붐 조립체 | |
KR101836936B1 (ko) |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 |
KR20090025086A (ko) |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170011230A (ko) |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 |
JP3229113U (ja) | スラブ型枠の吊り上げ装置 | |
KR20130129151A (ko) |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 |
KR200482504Y1 (ko)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
KR101744790B1 (ko) |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 |
KR101875109B1 (ko) | 건축용 안전발판 | |
KR101888090B1 (ko) | 구조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안전발판 | |
KR20130127763A (ko) | 작업용 비계 | |
JP5812554B1 (ja) |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 |
KR20140056450A (ko) |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 |
JP2014201952A (ja) | 足場構造 | |
JP6844919B2 (ja) | 固定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