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109B1 - 건축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109B1
KR101875109B1 KR1020170179108A KR20170179108A KR101875109B1 KR 101875109 B1 KR101875109 B1 KR 101875109B1 KR 1020170179108 A KR1020170179108 A KR 1020170179108A KR 20170179108 A KR20170179108 A KR 20170179108A KR 101875109 B1 KR101875109 B1 KR 10187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ipe
side surfaces
fixing mea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숙
조석현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17017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단부에서 측면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판(plate)'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상부전체면을 감싸도록 된 넓이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파이프의 상부를 감싸면서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종단에 타 안전발판의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걸이편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걸이공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가 연장형성된 걸이편을 가지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상기 몸체에는, 상단 및 양측단에서 상기 발판본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고정편의 양측면과 상기 발판본체의 양측면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리벳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되는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발판{A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본 발명은, 건축공사시에 작업자가 보행 및 작업하도록 시설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발판은 건축공사장, 토목공사장 또는 일반산업현장 등의 높은 곳에서 인부들이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해 놓는 가설 발판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분야에서는 안전발판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바(bar)를 포함하여 비계라고 일컫는다.
상기 바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건축시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안전발판은, 필수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부가적으로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 물류의 용이성 등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 안전발판은 통상 30 ~ 50cm의 폭을 가지며 기다란 판형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곳곳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설치작업성을 위한 곳곳에 구멍이 뚫려져 경량화 및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양쪽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건물 등의외벽에 설치되는 가로바에 거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는 후크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안전발판의 각 모서리에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설구조물의 바(bar, 이하 '파이프'라 총칭함) 위에 얹힌 상태에서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고리와 파이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고리에 회동가능한 록킹가이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7207호(명칭: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2001.06.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발판프레임들의 가로지지대사이를 연결핀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444호(명칭: 건축용 안전발판/2001.12.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킨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45166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3.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파이프에 걸쳐지는 연결고리를 갖는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의 전후 측 마구리부에는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연결고리와 함께 파이프로부터 안전발판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8.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는 상기 발판부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 및 연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마구리부의 설치공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어 리벳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7207호(2001.06.09.)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444호(2001.12.30.)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45166호(2015.03.31.)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2015.08.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발판들은, 가로바와 고정되는 부위 및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이 공간이 개방되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가 빠지거나 도구들이 걸리어 작업시 안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에 잇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은,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단부에서 측면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판(plate)'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상부전체면을 감싸도록 된 넓이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파이프의 상부를 감싸면서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종단에 타 안전발판의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걸이편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걸이공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가 연장형성된 걸이편을 가지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상기 몸체에는, 상단 및 양측단에서 상기 발판본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고정편의 양측면과 상기 발판본체의 양측면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리벳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은,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걸이편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사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폐쇄됨에 따라, 작업자가 빠지거나 도구들이 걸리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몸체의 상단 및 양측단에서 상기 발판본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고정편의 양측면과 발판본체의 양측면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리벳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되어, 밀착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결합상태를 확고히 할 수 있어,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일부 확대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횡단면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리벳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횡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은,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2)와, 상기 발판본체(2)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에 걸쳐져 지지되는 고정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에 상기 고정수단(3)을 통해 상기 발판본체(2)가 고정 지지되도록 시설되어, 작업자가 상기 발판본체(2)의 상부를 디디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에서, 상기 고정수단(3)은, 상기 발판본체(2)의 단부에서 측면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판(plate)' 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파이프(10)의 상부를 감싸면서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된 걸이편(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31)가 상기 발판본체(2)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걸이편(33)을 통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에 얹어지면서 지지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의 상기 몸체(31)에는, 상단 및 양측단에서 상기 발판본체(2)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2)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고정편(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과 상기 발판본체(2)의 양측면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리벳(4)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고정편(32)이 상기 발판본체(2)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면서 한 쌍의 상기 리벳(4)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되어, 밀착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결합상태를 확고히 할 수 있어,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에서, 상기 걸이편(33)은,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전체면을 감싸도록 된 넓이와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편(33)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고정하도록 수용하여 상기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된다.
한편, 상기 걸이편(33)의 종단에는, 타 안전발판(1)의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걸이편(33)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걸이공(34)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35)가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에 하나의 안전발판(1)의 걸이편(33)이 결합된 상태에서, 타 안전발판(1)의 걸이편(33)이 그 상부에 얹져 지지될 때, 상기 걸이공(34)에 상기 걸고리(35)가 삽입고정되어 끼움결합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안전발판(1)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안전발판(1)들의 사이공간과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의 사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폐쇄된다.
이에 따라, 안전발판(1)들의 사이공간과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의 사이 공간에 대하여 작업자가 빠지거나 도구들이 걸리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다수 개의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들을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일 안전발판(1)의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상기 걸이편(33)들을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에 얹져 결합한 후, 다른 타 안전발판(1)의 걸이편(33)을 그 상부에 얹져 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기 걸이공(34)에 상기 걸고리(35)가 삽입고정되어 끼움결합되어, 안전발판(1)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리벳(4)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들과 상기 발판본체(2)의 양측면들을 관통하면서 리벳팅되어 결합하는 한 쌍의 상기 리벳(4)들은,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리벳(4)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로 형성된 '봉(棒;RO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봉(棒;ROD)' 형상의 상기 리벳(4)의 양단이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들에서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들과 상기 발판본체(2)의 양측면들이 '봉(棒;ROD)' 형상의 상기 리벳(4)들을 통해 연결되면서 지지되도록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한편, '봉(棒;ROD)' 형상의 상기 리벳(4)들의 중앙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품 및 안전로프 등과 같은 물품을 걸어서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된 고정고리(41)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고리(41)를 통해 조명등 또는 안전로프 등과 같은 비품을 걸어서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을 깔금하게 유지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안전발판 10 : 파이프
2 : 발판본체 3 : 고정수단
31 : 몸체 32 : 연장고정편
33 : 걸이편 34 : 걸이공
35 : 걸고리 4 : 리벳
41 : 고정고리

Claims (1)

  1.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2)와; 상기 발판본체(2)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상기 발판본체(2)의 단부에서 측면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판(plate)' 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31)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전체면을 감싸도록 된 넓이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상부를 감싸면서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종단에 타 안전발판(1)의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걸이편(33)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걸이공(34)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35)가 연장형성된 걸이편을 가지는 고정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3)의 상기 몸체(31)에는, 상단 및 양측단에서 상기 발판본체(2)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2)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고정편(32)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과 상기 발판본체(2)의 양측면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리벳(4)들을 통해 각각 리벳팅되어 체결고정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연장고정편(32)의 양측면들과 상기 발판본체(2)의 양측면들을 관통하면서 리벳팅되어 결합하는 한 쌍의 상기 리벳(4)들은,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리벳(4)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로 형성된 '봉(棒;ROD)'으로 이루어지며;
    '봉(棒;ROD)' 형상의 상기 리벳(4)들의 중앙에는,
    물품을 걸어서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된 고정고리(41)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
KR1020170179108A 2017-12-26 2017-12-26 건축용 안전발판 KR10187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08A KR101875109B1 (ko) 2017-12-26 2017-12-26 건축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08A KR101875109B1 (ko) 2017-12-26 2017-12-26 건축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109B1 true KR101875109B1 (ko) 2018-07-09

Family

ID=629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08A KR101875109B1 (ko) 2017-12-26 2017-12-26 건축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41B1 (ko) * 2018-08-08 2019-07-04 김기천 건설현장의 안전통로용 안전시설물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316A (ja) * 1997-12-05 1999-06-22 Kobe Steel Ltd 仮設足場用床付布枠
KR20100005411U (ko) *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동성진흥 작업용 안전발판
KR101794062B1 (ko) * 2017-06-09 2017-11-07 홍진산업 (주) 건축용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316A (ja) * 1997-12-05 1999-06-22 Kobe Steel Ltd 仮設足場用床付布枠
KR20100005411U (ko) *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동성진흥 작업용 안전발판
KR101794062B1 (ko) * 2017-06-09 2017-11-07 홍진산업 (주) 건축용 안전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41B1 (ko) * 2018-08-08 2019-07-04 김기천 건설현장의 안전통로용 안전시설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062B1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130068880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KR101608472B1 (ko)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
KR101991907B1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US20100032235A1 (en) Safety arrang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a wood frame building
KR101109398B1 (ko) 안전로프 지주
KR101875109B1 (ko) 건축용 안전발판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0409977Y1 (ko) 걸이식 교량 점검대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JP2010090676A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410232Y1 (ko)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JP4160609B2 (ja) 親綱固定具
RU99043U1 (ru) Защитно-улавливающая система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CN107700830B (zh) 一种建筑用爬模结构
KR20090034709A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KR1025112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0425674Y1 (ko) 가설대용 안내걸림슈
KR101875107B1 (ko) 건축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