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086A -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086A
KR20090025086A KR1020070090149A KR20070090149A KR20090025086A KR 20090025086 A KR20090025086 A KR 20090025086A KR 1020070090149 A KR1020070090149 A KR 1020070090149A KR 20070090149 A KR20070090149 A KR 20070090149A KR 20090025086 A KR20090025086 A KR 20090025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steel
concrete structure
steel bar
bracke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섭
천승환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086A/ko
Publication of KR2009002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5/00Straightening, lifting, or lowering of foundation structures or of constructions erected on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 매설되는 둘 이상의 인장강봉;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이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들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은, 둘 이상의 인장강봉이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강봉을 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들고리를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들고리 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으며, 들고리 조립체를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하는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구조물을 들어 올릴 때 들고리 조립체가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구조물, 들고리, 인장강봉, 연결브라켓, 평행, 철근

Description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Anchor assembly for lifting concrea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들고리 조립체 및 상기 들고리 조립체를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구조물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슨이나 중공블록과 같이 크고 무거운 콘크리트구조물은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로 들어 올리거나 인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들고리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가 설치된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20)는, 상단 일부만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10) 내부에 매설되는 한 쌍의 인장강선(22)과, 크레 인의 후크 등을 걸기 위한 걸림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강선(22)의 상단이 관통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들고리(24)와, 상기 인장강선(2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들고리(24)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밀착시키는 체결너트(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26)와 들고리(24) 사이에는 체결너트(26)의 체결력을 보다 고르고 효과적으로 들고리(24)에 전달하고 상기 체결너트(26)가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압착판(28)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들고리(24)는 인장강선(22) 및 체결너트(24)에 의해 콘크리트구조물(10)에 고정되는바, 상기 들고리(24)의 걸림공(25)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들어 올리게 되면 콘크리트구조물(10) 전체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장강선(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너트(26)가 체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나사산은 상기 인장강선(22)의 콘크리트구조물(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를 콘크리트구조물에 매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2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매설하고자 하는 경우, 철사나 묶음 띠와 같은 고정부재(14)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10)에 매설되는 철근(12)에 인장강선(22)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철근(12)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거푸집(16)의 하부 일부에만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 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인장강선(22)이 철근(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추가로 타설하면 인장강선(22)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 등에 의해 측방향으로 휘어짐으로 인해 인장강선(22)의 상측 끝단 위치가 변경되어 들고리(24)를 정상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게 되므로, 각 인장강선(22)에 와이어(3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각 인장강선(2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30)는, 하측 끝단이 연결캡(32)에 의해 인장강선(22)에 연결되고, 상측 끝단이 지지프레임(34)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장강선(22)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6) 내부에 콘크리트를 완전히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와이어(30)를 제거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너트(26)를 이용하여 들고리(24)를 인장강선(22)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들고리 조립체(2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설치하면, 각 인장강선(22)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이후 상기 들고리(24)를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강선(2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들고리 조립체(20)는, 추가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인장강선(22)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 시 상기 인장강선(22)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장강선(22)에 와이어(3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들고리(24)를 인장강선(22)에 조립시킬 수 없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어 와이어(30)를 분리시킬 때까지 기다렸다가 상기 들고리(24)를 조립시켜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10)이 매우 무거운 경우에는, 상기 들고리 조립체(20)에 후크를 걸어 콘크리트구조물(10)을 들어 올릴때 인장강선(22)이 콘크리트구조물(10)로부터 빠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도록 구성되는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 매설되는 둘 이상의 인장강봉;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이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들고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각 인장강봉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각 인장강봉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인장강봉에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각 인장강봉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각 인장강봉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들고리에는 상기 인장강봉의 외측 끝단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 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상기 들고리를 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은,
둘 이상의 인장강봉이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을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을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매설되는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철근이 매립되고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들고리를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들고리를 상기 인장강봉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장강봉이 관통되도록 상기 들고리를 콘크리트구조물 외측면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들고리를 관통한 인장강봉 일측단에 체결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들고리를 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들고리 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으며, 들고리 조립체를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하는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구조물을 들어 올릴 때 들고리 조립체가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는,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인장강봉이 기울어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인장강봉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인장강봉을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 없어진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는 크레인 등 인양 중장비의 후크를 걸기 위한 들고리(300)가 콘크리트구조물(10) 외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측단(본 실시예에서는 상측단) 일부만이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콘크리트구조물(10) 내부에 매설되는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과,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과, 인양 중장비의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공(310)이 형성되며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상측면)에 안착되는 들고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장강봉(10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측방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철근(12)과 연결되도록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장강봉(100)과 철근(12)을 결합시킬 때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묶음 철사와 같은 고정부재(14)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장강봉(100)을 철근(12)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인장강봉(100)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인장강선(22)과 같이 하나의 철근(22)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들고리(300)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인장강봉(100)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인양작업이 종료된 이후 콘크리트구조물(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들고리(300)는 상기 인장강봉(100)의 외측 끝단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20)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20)을 관통한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40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4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장강봉(100)의 상측단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400)의 체결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들고리(300)에 전달되고 체결너트(400)가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너트(400)와 들고리(300) 사이에는 압착판(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인장강봉(100)이 철근(12)에 결합된 이후 별도의 와이어(도 3 참조)를 연결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인장강봉(100)이 측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휘어지지 아니하도록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인장강봉(100) 중단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각 인장강봉(1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브라켓(210)과,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각 인장강봉(100)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은, 인장강봉(100)과 접촉되는 부위에 상기 인장강 봉(10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삽입홈(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은 별도의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보다 간편하게 인장강봉(1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타측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체결공(21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상기 체결공(212)에 결합되는 체결후크(2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이 맞물리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인장강봉(100)에 연결브라켓(200)이 하나만 체결되면 연결브라켓(200)이 체결되지 아니한 지점의 인장강봉(100)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한 쌍의 인장강봉(100)이 나란하게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인장강봉(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 이상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단순히 두 인장강봉(100) 간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는 점에 가장 큰 역할이 있으나, 상기 인장강봉(100)이 콘크리트구조물(1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인장강봉(100)과 고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으로부터 인장강봉(100)이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장강봉(100)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230)의 내주면에는 각각 걸림돌기 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10) 내에 매설되는 철근(12)은 마주 보는 다른 철 근(12)과 띠철근(13)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띠철근(13)이 배치되는 위치가 상기 연결브라켓(200)과 겹치게 되면 시공 상 많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의 중단 즉, 서로 다른 두 인장강봉(100)이 결합된 지점 사이에는 상기 띠철근(13) 등이 지날 수 있도록 개구부(2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개구부(240)는, 연결브라켓(200)이 결합된 인장강봉(100)을 인양 중장비로 들어 올릴 때 후크를 거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인장강봉(100)에 연결브라켓(200)이 체결되면, 인장강봉(100)의 휘어짐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와이어(30), 연결캡(32), 지지프레임(34)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콘크리트 타설 시 인장강봉(100)의 휘어짐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시공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들고리(20)를 사용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타설을 한 이후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될 때까지 와이어(30)를 인장강선에 연결해 놓아야 하는바,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이후에야 와이어(30)를 제거하고 들고리(20)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들고리 조립체를 이용하면,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지 아니한 상태 즉, 표면만 어느 정도 양생되면 들고리(300)를 인장강봉(100)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들고리(20)를 사용할 때에는 인장강선을 철근(12)에 결합시킬 때 인장강선 간의 간격을 들고리(20)에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일일이 맞춰야하므로 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크거나 콘크리트 타설 시 강풍이 부는 경우 와이어가 흔들림으로써 인장강선(30)의 상측 끝단 간격이 변경되어 들고리(300)(24)에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들고리 조립체를 이용하면, 쌍을 이루는 인장강봉(100)의 간격이 언제나 일정하게 즉, 들고리(300)의 관통공(320) 간격과 동일하게 유지되는바, 철근(12)에 결합시킬 때 인장강봉(100)의 간격을 별도로 맞출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해지고, 관통공(320)과 인장강봉(100)이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한 들고리 조립체를 이용하면, 인장강봉(1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바, 인장강봉(100)의 직경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콘크리트구조물(10)에 설치하는 들고리 조립체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한 들고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200)은 콘크리트구조물(10) 내부로 완전히 매설되므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콘크리트구조물(10) 외부로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들고리(300)에 인양 중장비의 후크를 걸어 콘크리트구조물(10)을 들어 올릴 때, 상기 연결브라켓(200)과 고정 결합된 상기 인장강봉(100) 역시 콘크리트구조물(10) 외부로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한 쌍의 인장강봉(100)을 상호 나란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 어떠한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단이 서로 다른 인장강봉(100)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철선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장강봉(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30)이 형성된 철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30)은 인장강봉(100)이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방향 입구가 인장강봉(1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인장강봉(100)이 삽입된 이후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브라켓(20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삽입홈(230)을 갖는 철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인장강봉(100)이 고정력이 다소 저하될 수는 있지만, 구조가 매우 단순해지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들고리(300)에 두 개의 인장강봉(100)이 체결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들고리(300)에 체결되는 인장강봉(100)의 수는 콘크리트구조물(10) 및 인장강봉(100) 등의 특성에 따라 셋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들고리(300)에 체결되는 인장강봉(100)의 개수가 변경되면, 연결브라켓(200)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의 개수 역시 변경됨은 자명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은,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이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연결브라켓(200)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콘크리트구조물(10) 내에 매설되는 철근(12)에 고정시키는 단계와(결합구조는 도 6 참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12)이 매립되고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거푸집(16)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공(310)이 형성된 들고리(300)를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인장강봉(100) 간의 간격을 맞추거나 인장강봉(100)의 휘어짐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인장강봉(100)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며 시공기간이 현저히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들고리(300)를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이후 상기 들고리(300)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장강봉(100)이 관통되도록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 외측면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들고리(300)를 관통한 인장강봉(100) 일측단에 체결너트(400)를 체결하여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들고리(30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콘크리트구조물(10)의 인양작업이 완료된 이후 즉, 들고리(300)가 더 이상 필요없어질 때, 상기 들고리(300)를 탈거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들고리가 설치된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종래의 들고리를 콘크리트구조물에 매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구조물 12 : 철근
100 : 인장강봉 200 : 연결브라켓
210 : 제1 브라켓 212 : 체결공
220 : 제2 브라켓 222 : 체결후크
230 : 삽입홈 300 : 들고리
310 : 걸림공 320 : 관통공
400 : 체결너트 500 : 압착판

Claims (11)

  1.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10) 내부에 매설되는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이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00); 및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들고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각 인장강봉(1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브라켓(210); 및
    각 인장강봉(100)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2 브라켓(2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인장강봉(100)에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10)은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체결공(212)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브라켓 타측에는 상기 체결공(212)에 결합되는 체결후크(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각 인장강봉(1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봉(100)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23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상기 인장강봉(100)과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서로 다른 인장강봉(100)이 결합되는 부위 사이에 개구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고리(300)에는 상기 인장강봉(100)의 외측 끝단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20)을 관통한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10.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이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연결브라켓(200)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인장강봉(100)을 콘크리트구조물(10) 내에 매설되는 철근(12)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철근(12)이 매립되고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들고리(300)를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들고리(300)를 상기 인장강봉(100)의 일측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장강봉(100)이 관통되도록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 외측면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들고리(300)를 관통한 인장강봉(100) 일측단에 체결너트(400)를 체결하여 상기 들고리(300)를 콘크리트구조물(1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070090149A 2007-09-05 2007-09-05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5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49A KR20090025086A (ko) 2007-09-05 2007-09-05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49A KR20090025086A (ko) 2007-09-05 2007-09-05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86A true KR20090025086A (ko) 2009-03-10

Family

ID=4069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149A KR20090025086A (ko) 2007-09-05 2007-09-05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0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28B1 (ko) * 2010-06-07 2013-03-11 민병희 케이슨 들고리 구조
KR20200021305A (ko) * 2018-08-20 2020-02-28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28B1 (ko) * 2010-06-07 2013-03-11 민병희 케이슨 들고리 구조
KR20200021305A (ko) * 2018-08-20 2020-02-28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2064A1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200476243Y1 (ko)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458973B1 (ko)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KR101920836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KR20090025086A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9385U (ko) 개량형 에이치빔 연결클램프
KR102099401B1 (ko)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US6625940B2 (en) Concrete building module with module lifting means and method
KR20150048993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JP2015045202A (ja) アーチ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85078Y1 (ko)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100843981B1 (ko) 통신케이블의 조가선고정용 클램프
KR20150000433U (ko) 와이어 앵커
KR20080005217U (ko) U볼트형 가설물 고정장치
KR102305757B1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CN108756012B (zh) 用于连接混凝土墙板的张紧绳索连接组件及其使用方法
KR101888090B1 (ko) 구조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안전발판
JP2009161922A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KR200485889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1197227B1 (ko)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5764079B2 (ja) 吊上げ装置
CN214462561U (zh) 一种梁模板紧固装置
CN218479569U (zh) 一种悬挑卸料平台钢丝绳新型固定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