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227B1 -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227B1
KR101197227B1 KR20100027857A KR20100027857A KR101197227B1 KR 101197227 B1 KR101197227 B1 KR 101197227B1 KR 20100027857 A KR20100027857 A KR 20100027857A KR 20100027857 A KR20100027857 A KR 20100027857A KR 101197227 B1 KR101197227 B1 KR 10119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reinforcement
wire
hoop reinforcemen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584A (ko
Inventor
김형열
김생기
Original Assignee
삼광선재 주식회사
김생기
김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선재 주식회사, 김생기, 김형열 filed Critical 삼광선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2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22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2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을 감싸는 후프철근 조립체 및 상기 주근에 후프철근 조립체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는 다수개의 후프철근(110)이 와이어(120)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111, 112)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120)의 상단이 행거철근(13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HOOP REINFORC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을 감싸는 후프철근 조립체 및 상기 주근에 후프철근 조립체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후프철근이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의 양 단부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후프철근(3)은 철근이 사각형으로 벤딩되고, 어느 한 코너에 갈고리부(5, 7)가 형성된다.
그러나, 갈고리부(5, 7)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에 걸기 위한 것으로, 후프철근 전체의 8%~10%를 차지하고 있어, 철근 낭비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철근에 설치할 때 갈고리부(5, 7)가 설치작업을 간섭하며, 갈고리부(5, 7)의 벤딩부분에서 조직 손상이 발생하여 물리적 특성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후프철근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조중인 철근 콘크리트 기둥(11)의 상단에서 돌출된 하부 주근(13)에 종래의 후프철근(3)을 끼워, 다수개의 후프철근(3)을 하부 주근(13)에 적층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15 ; 또는 용접)를 이용하여 하부 주근(13)의 상단과 상부 주근(17)의 하단을 연결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주근(13)에 적층된 후프철근(3)을 각각 상부 주근(17)으로 들어올리고, 연결끈(도시하지 않음)으로 상부 주근(17)에 후프철근(3)을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주근(17)에 후프철근(3)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프철근 설치방법은 작업자가 각각의 후프철근을 하나씩 들어올린 후, 후프철근의 4곳을 연결끈으로 상부 주근에 각각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 인력과 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고, 후프철근의 정착위치가 불량하게 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후프철근이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의 양 단부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철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주근에 후프철근을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는 후프철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후프철근 조립체를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 상단에 하부로 늘어뜨린 후, 주근에 후프철근을 결속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 및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주근에 배근되는 후프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 있는 후프철근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는 다수개의 후프철근이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의 양 단부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의 상단이 행거철근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클립에 의해 후프철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에 의해 연결된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의 중간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클립의 홈으로 와이어를 통과시킨 후, 클립을 후프철근에 끼우고, 클립의 개구부를 집게로 오므리면, 클립의 만곡부가 철근에 와이어를 압착함으로써, 클립에 의해 와이어가 후프철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2개 또는 4개가 후프철근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철근에는 마개부재가 장착되며, 1개의 행거철근에 2개의 마개부재가 행거철근에 대해 직교되게 각각 접합되어, 마개부재의 개구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축조중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상단에서 돌출된 하부 주근과 상부 주근을 연결하는 단계와,
하부 주근과 연결된 상부 주근의 하단에 밴드를 묶은 후, 상부 주근에 의해 후프철근의 투입이 간섭되지 않도록, 밴드를 조여, 상부 주근의 상단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단계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후프철근 조립체을 상부 주근의 상부로 인양하는 단계와,
후프철근 조립체의 마개부재를 상부 주근의 상단에 끼우고, 끈을 풀어 후프철근을 하부로 늘어뜨리는 단계와,
밴드를 풀고, 후프철근을 마저 늘어뜨린 후, 결속끈으로 후프철근을 주근에 결속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철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 및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주근에 배근되는 후프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프철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후프철근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작업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사각으로 벤딩된 후프철근의 양 단부가 Butt 용접에 의해 연결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후프철근이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후프철근과 와이어가 클립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100)는 다수개의 후프철근(110)이 와이어(120)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111, 112)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120)의 상단이 행거철근(130)에 결속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120)는 클립(140)에 의해 후프철근(110)에 고정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클립(140)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143)에 의해 연결된 상부 수평부(141)와 하부 수평부(142)의 중간에 와이어(120)가 통과하는 홈(144)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립(140)의 홈(144)으로 와이어(120)를 통과시킨 후, 클립(140)을 후프철근(110)에 끼우고, 클립(140)의 개구부를 집게 등으로 오므리면, 클립(140)의 만곡부(143)가 철근(110)에 와이어(120)를 압착함으로써, 클립(140)에 의해 와이어(120)가 후프철근(110)에 고정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는 4개의 와이어(120)가 후프철근(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의 와이어(120)가 후프철근(110)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행거철근(130)에는 마개부재(135)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하부로 향하도록, 2개의 마개부재(135)가 행거철근(130)에 대해 직교되게 각각 접합된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100)는 후프철근(110)을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하고, 후프 철근(110)의 양 단부를 Butt 용접함으로써, 낭비되는 요소가 없으며, 후프철근(110)이 와이어(12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주근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가 Butt 용접됨으로써, Butt 용접시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에 가열되는 부분이 최소화할 수 있어, 물리적 특성치가 우수하고, 용접작업이 간편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시공하는 방법을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조중인 철근 콘크리트 기둥(150)의 상단에서 돌출된 하부 주근(151)과 상부 주근(152)을 연결한다(S101). 이때, 하부 주근(151)과 상부 주근(152)을 커넥터(153)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주근(151)과 연결된 상부 주근(152)의 하단에 밴드(160)를 묶은 후, 상부 주근(152)에 의해 후프철근의 투입이 간섭되지 않도록, 밴드(160)를 조여, 상부 주근(152)의 상단을 안쪽으로 오므린다(S102).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레인(17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100)을 상부 주근(151)의 상부로 인양한다(S103). 이때, 상기 후프철근 조립체(100)의 후프철근(110)은 끈(175)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후프철근 조립체(100)의 마개부재(135)를 상부 주근(151)의 상단에 끼우고, 끈(175 ; 도 12 참조)을 풀어 후프철근(110)을 하부로 늘어뜨린다(S104).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밴드(160)를 풀고, 후프철근을 마저 늘어뜨린 후, 결속끈(도시하지 않음)으로 후프철근을 주근에 결속한다(S10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철근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 및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주근에 배근되는 후프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0 : 후프철근 120 : 와이어
130 : 행거철근 140 : 클립

Claims (6)

  1. 다수개의 후프철근(110)이 와이어(120)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111, 112)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120)의 상단이 행거철근(130)에 결속되며,
    상기 와이어(120)는 클립(140)에 의해 후프철근(110)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140)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143)에 의해 연결된 상부 수평부(141)와 하부 수평부(142)의 중간에 와이어(120)가 통과하는 홈(144)이 형성됨으로써, 클립(140)의 홈(144)으로 와이어(120)를 통과시킨 후, 클립(140)을 후프철근(110)에 끼우고, 클립(140)의 개구부를 집게로 오므리면, 클립(140)의 만곡부(143)가 철근(110)에 와이어(120)를 압착함으로써, 클립(140)에 의해 와이어(120)가 후프철근(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철근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20)는 2개 또는 4개가 후프철근(110)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철근 조립체.
  5. 다수개의 후프철근(110)이 와이어(120)에 의해 연결되고, 사각형(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110)의 양 단부(111, 112)가 Butt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120)의 상단이 행거철근(130)에 결속되며,
    상기 행거철근(130)에는 마개부재(135)가 장착되며, 1개의 행거철근에 2개의 마개부재(135)가 행거철근(130)에 대해 직교되게 각각 접합되어, 마개부재(135)의 개구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철근 조립체.
  6. 축조중인 철근 콘크리트 기둥(150)의 상단에서 돌출된 하부 주근(151)과 상부 주근(152)을 연결하는 단계(S101)와,
    하부 주근(151)과 연결된 상부 주근(152)의 하단에 밴드(160)를 묶은 후, 상부 주근(152)에 의해 후프철근의 투입이 간섭되지 않도록, 밴드(160)를 조여, 상부 주근(152)의 상단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단계(S102)와,
    크레인(170)을 이용하여 후프철근 조립체(100)을 상부 주근(151)의 상부로 인양하는 단계(S103)와,
    후프철근 조립체(100)의 마개부재(135)를 상부 주근(151)의 상단에 끼우고, 끈(175)을 풀어 후프철근(110)을 하부로 늘어뜨리는 단계(S104)와,
    밴드(160)를 풀고, 후프철근을 마저 늘어뜨린 후, 결속끈으로 후프철근을 주근에 결속하는 단계(S1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철근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100027857A 2010-03-29 2010-03-29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7857A KR101197227B1 (ko) 2010-03-29 2010-03-29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7857A KR101197227B1 (ko) 2010-03-29 2010-03-29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84A KR20110108584A (ko) 2011-10-06
KR101197227B1 true KR101197227B1 (ko) 2012-11-02

Family

ID=4532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7857A KR101197227B1 (ko) 2010-03-29 2010-03-29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05A (ja) 2000-03-02 2001-09-14 Toky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方法および装置
JP2007126854A (ja) 2005-11-02 2007-05-24 Shimizu Corp すだれ状鉄筋ユニットの配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鉄筋連結冶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05A (ja) 2000-03-02 2001-09-14 Toky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方法および装置
JP2007126854A (ja) 2005-11-02 2007-05-24 Shimizu Corp すだれ状鉄筋ユニットの配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鉄筋連結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84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JP5914095B2 (ja) 鉄筋篭建込方法
WO2012075495A4 (en) Reinforcing assembly and reinforced structure using a reinforcing assembly
JP5448523B2 (ja) 梁用配筋工法及びこの工法に用いる架台
JP5973206B2 (ja) 壁体の施工方法
KR101197227B1 (ko)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65434Y1 (ko) 와이어 앵커
NO20100293A1 (no) Armeringssystem og fremgangsmate for bygging av betongkonstruksjoner.
KR20110118872A (ko) 경량구조체, 이를 적용한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233577A (ja) 法枠構築用型枠及び法枠構築方法
KR101697010B1 (ko) 보-기둥 접합부 횡보강 철근 구조
KR20090025086A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들고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967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강화용 구조재
JP3979585B2 (ja) 溶接鉄筋網
KR101154812B1 (ko) 철근결속장치
CN210238942U (zh) 一种建筑用梁柱钢筋的固定结构
CN210798072U (zh) 一种钢筋箍筋
US20080072505A1 (en) Building seismic structure
JP2007126854A (ja) すだれ状鉄筋ユニットの配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鉄筋連結冶具
KR20190002103U (ko) 철근 클립 고정용 손잡이
CN212052916U (zh) 一种桩基自平衡试验用位移杆及护管的安装装置
KR101215224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타이
JP3080154U (ja) 鉄筋組立金具
KR200359783Y1 (ko) 철근결속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