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812B1 - 철근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철근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812B1
KR101154812B1 KR1020100050025A KR20100050025A KR101154812B1 KR 101154812 B1 KR101154812 B1 KR 101154812B1 KR 1020100050025 A KR1020100050025 A KR 1020100050025A KR 20100050025 A KR20100050025 A KR 20100050025A KR 101154812 B1 KR101154812 B1 KR 10115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lip
binding
reinforcing ba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617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10005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8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결속용 클립과 이를 사용하기 위한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건설물을 시공할 때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배근되는 철근의 교차점에 톱니부가 있는 V자형의 클립을 장착한 철근결속장치로 클립을 타발시켜서 철근을 결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철근의 교차지점에 철근결속장치와 클립을 위치시킨 후, 손잡이를 누르는 동작을 하면 신속하게 철근이 결속되어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철근을 결합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철근 결속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부실공사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낭비가 없고, 실외에서 작업시 물기에 젖더라도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누전 등의 위험요소가 없다.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에 따라 결속기 하단에 클립이 자동으로 셋팅되어지기 때문에 미숙련자들도 정해진 위치에 쉽게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서 있는 자세로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속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결속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근결속장치{Machine for iron bonding}
본 발명은 철근결속용 클립과 이를 사용하기 위한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되는 철근의 교차점에 톱니부가 있는 V자형의 클립을 장착한 철근결속장치로 클립을 타발시켜서 철근을 결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주로 건설현장에서 건물의 골조에 철근을 배근하여 서로 움직이지 않게 결합하기 위하여 주로 가는 결속선으로 교차되는 철근의 둘레를 휘감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철사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절단된 결속선을 사람이 직접 철근의 둘레에 휘감아서 결속선의 양끝단을 손으로 잡고 꼬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수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일의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철근결속용 클립이나 철근 결속장치가 고안되고 있으며,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95904호인 "철근결속용 클립"이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철근 결속용 클립에 반원형의 고리를 형성하여 철근을 결속하였으나, 반원형의 고리와 철근의 굵기가 맞지 않으면, 고리를 다시 만들어서 이중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이나 밀대 고리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밀어 넣으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장시간이 소요되며, 그 결속력도 균일하지 못하여 어느 부분은 상당히 느슨하게 조여지는 문제도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하중에 밀려 철근이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 제10-0379950호 "철근결속장치"에서 아치형의 클립은 일직선의 철근이나 다양한 굵기의 철근을 묶어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클립 이송용 테이프가 자주 엉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손잡이의 동작만으로도 결속이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철근결속장치와 철근결속장치를 사용하여 철근의 결속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결속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작업을 하면서 작업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서 공사 현장의 작업의 효율화와 인건비 절감을 시키고자 하며, 철근 결속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결속용 클립이 철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클립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인장력을 보강함으로써 철근의 결속시 클립의 끊어짐 없이 결속력을 더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손잡이b(201)를 장착한 케이스(209) 상측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a(200)가 형성되고, 케이스(209)의 타측면에는 수납통(300)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과 하측에 수납가이드바a,b(204,205)가 형성되며, 또, 케이스(209)의 내측면에 분리돌기(208) 및 케이스돌기a,b(206,207)가 형성된 케이스부(2)와,
상기 케이스부(2)의 수납가이드바a,b(204,205)로 고정되는 수납통(300)의 양측면에 수납가이드홈a,b(307,311)를 형성하고, 또, 수납통(3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209)의 상측 수납가이드바a(204)와 수납통(300)의 수납돌기(309) 사이에 수납스프링(308)을 형성하는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3)에 장착되어 철근을 체결하기 위해 양측단부에 톱니부(400)를 갖고 있는 클립부(4)와,
상기 케이스(209)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칭부(501)의 걸림구(551)가 안내부(500)의 안내홈(552)에 결합되고, 상기 펀칭부(501)의 하단 양쪽으로 작동대a,b(503,504)가 작동대힌지a,b(509,51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작동대a,b(503,504)의 단부에는 결속힌지a,b(543,544)에 의해 결속틀a,b(545,546)이 연결되고, 상기 결속틀a,b(545,546)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 스프링a,b(547,548)에 의해 연결되는 원호 형태의 체결구a,b(517,518)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500) 하단에는 안내힌지(506)로 연결되는 안내대a,b(507, 508)를 형성하고, 안내대a,b(507,508)하단에 상측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이 형성되고, 상기 펀칭부(501)의 결속틀a,b(545,546)와 상기 안내부(500)의 하측안내틀a,b(553,554)가 체결힌지a,b(549,550)에 의해 연결되어서 작동하는 작동부(5)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납통(3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수납커버홈(310)을 따라 이동하는 수납커버(301)의 측면에는 수납손잡이(302)를 형성하고 또, 상기 수납통(300)의 하부에는 클립가이드부(306)를 형성하여, 상기 클립가이드부(306)의 내부에 형성된 태엽핀(313)에 감겨지는 태엽스프링(303)의 상단은 수납커버(301)의 하부에 형성된 태엽고정돌기(304)와 연결되어 수납통(300)에 수납된 클립부(4)를 클립가이드부(306)로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완충대a,b(520,521)와 연결된 작동대a,b(503,504) 내부에는 작동스프링a,b(512,5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5)는 상측 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를 연결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a,b(529,530)와, 상기 안내돌기a,b(529,530)의 외주면에 안내돌기스프링a,b(531,532)를 형성하여 철근의 굵기에 따라 안내돌기스프링a,b(531,532)의 상하탄성작용에 의해 상측 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가 신축작용을 하면서 결속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a,b(529,53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돌기a,b(524,525)의 외주면에 조임스프링a,b(526,541)를 장착하여, 작동돌기a,b(510,511)가 조임돌기a,b(524,525)를 수평으로 타격하여 클립(406)의 중앙부가 철근과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4)는 다수개의 클립(406)을 연결바a,b(403,405)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클립(406)은 철근을 결속시키기 위한 상, 하측 톱니부(400)가 서로 엇갈리게 클립바(402)에 형성되어 수납통(300)에 수납가능하도록 굽힘부(404)가 구부러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406)은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1
'자형 또는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2
'자형 형태로 형성되고, 또 톱니부(400)를 삼각형, 둥근 원형,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406)은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3
'자형을 체결할 때 결속틀c,d,e(555,556,557)로 클립(406)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철근결속장치를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a(200)를 삽입할 수 있게 상판(20)과 하판(21)에 천공된 장공(13)이 형성되고, 상, 하판(20,21)의 전면에는 배근된 철근의 위치에 맞추어 좌, 우로 이동된 손잡이a(200)를 나사부(22)로 고정할 수 있게 다수의 조절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20)에 연결된 손잡이봉(12)에는 작업에 용이하게 다수의 손잡이홈(11)에 맞추어 보조손잡이(10)를 체결하고, 상기 손잡이봉(12)과 연결되어 있던 상판(20)이 하강하면서 상판(20)에 체결된 손잡이a(200)가 케이스부(2)를 하강시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부(2)는 에어실린더(52)의 실린더이송축(58)을 결합부(203)에 일체로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10)에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하고, 또 에어실린더(5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부(2)는 전동실린더(60)의 실린더이송축(58)을 결합부(203)에 일체로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10)에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하고, 또 전동실린더(6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배근된 철근의 교차지점에 클립이 장전된 철근결속장치를 위치시킨 후, 손잡이를 누르는 동작을 하면 클립이 타발되면서 클립이 신속하게 철근을 결속하기 때문에, 배근된 철근들을 결속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철근 결속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부실공사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는 사람의 힘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낭비가 없고, 실외에서 작업시, 물기에 젖더라도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누전 등의 위험요소가 없다.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에 따라 결속기 하단에 클립이 자동으로 셋팅되어지기 때문에 미숙련자들도 정해진 위치에 쉽게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서 있는 자세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또, 연속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결속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립은 결속기의 작동으로, 철근의 굵기에 따라 결속이 가능하여 작업의 융통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좌우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톱니가 대항하여 맞물리면서 체결되기 때문에 더 견고하게 결속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수납통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의 종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클립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클립부 연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와 클립의 철근 결속 후의 결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다수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시예 1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다수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시예 2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다수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시예 3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철근결속장치의 사시도로써, 철근결속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알 수 있다. 철근결속장치의 구조를 크게 케이스부(2)와, 케이스부(2)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수납가이드바a(204)와 하측 수납가이드바b(205)로 연결되어 있는 수납부(3)와, 수납부(3)안에 다수개의 클립을 연결하여 장착되는 클립부(4)와, 케이스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부(5)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의 구조를 살펴보면, 케이스(209)의 상부에는 손잡이a(20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하는 용도 및 장소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부(2)의 측면에는 손잡이b(20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손잡이a(200)를 설치하지 않고, 케이스(209)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b(201)로 케이스(209)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수납부(3)에서 배출되는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2)의 타 측면에는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클립부(4)를 수납하는 수납부(3)를 고정하기 위해 수납가이드바a(204)와 수납가이드바b(205)를 형성한다.
도 2는 철근결속장치의 측단면도로써 케이스부(2)의 내부 구조는 손잡이a(200) 하단에 손잡이체결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09) 상부에는 손잡이체결부(202)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체결부(202)가 결합부(203)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손잡이a(200)와 케이스(209)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손잡이a(200)의 상하작동에 의해 케이스(209)가 상, 하로 동작하면서 클립부(4)에 연결된 클립(406)이 클립가이드부(306)로 배출하여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작동부(5)의 펀칭부(501)에 형성된 걸림구(551)가 안내부(500)에 형성된 안내홈(55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케이스(209)가 하강하면서 케이스(209) 상부 내측의 분리돌기(208)가 내려와 안내부(500)와 펀칭부(501)의 사이로 삽입이 되면서 분리시킨다. 이 때, 안내홈(552)에서 분리된 펀칭부(501)는 케이스(209)를 따라 철근 결속을 위해 더 하강하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에서 케이스부(2)의 측면으로 형성된 수납부(3)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수납부(3)는 수납통(300)을 포함하고, 수납스프링(308)은 수납가이드바a(204)와, 수납돌기(309)에 삽입되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철근결속장치를 철근 위에 올려놓고 손잡이a(200)를 누르면, 수납통(300)은 철근에 지지되면서, 수납가이드바a(204)와 수납돌기(309) 사이에 구비된 수납스프링(308)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측 안내틀a,b(553,554)가 클립가이드부(306)로 배출된 클립부(4)의 연결바a,b(403,405)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a(200)를 더 누르면, 작동부(5)가 더 하강하여 결속틀a,b(545,546)가 회전하면서 절단된 클립(406)의 단부에 형성된 톱니부(400)를 결합시키면서 철근을 결속하는 구성이다.
철근 결속 이후, 손잡이a(200)를 올리면, 케이스(209)가 상승하게 되고, 압축되었던 수납스프링(308)도 다시 복귀하면서 케이스(209)에 형성된 상측 수납가이드바a(204)가 가이드 홈a(307)와 가이드 홈b(311)를 따라 움직이면서 수납통(300)도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구성한다.
또한, 펀칭부돌기(537)와 케이스돌기a(206) 사이에 펀칭스프링(539)이 연결되어 있고, 안내부돌기(538)와 케이스돌기b(207) 사이에 안내스프링(540)이 연결되어 있어서, 손잡이a(200)에 의해 케이스(209)가 상, 하로 움직이면 펀칭스프링(539), 안내스프링(540)의 탄성에 의해 펀칭부(501)와 안내부(500)도 같이 상, 하로 움직이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도 3a는 철근결속장치의 정단면도로써, 철근결속장치의 작동부(5)의 하단부분을 살펴볼 수 있다.
철근의 굵기에 따라 상기 펀칭부(501)의 양측에서 구비된 평스프링(505)이 하향하면서 안내대a(507), 안내대b(508)를 가압하여 철근의 지름에 맞도록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내부(500)의 하부에는 안내힌지(506)에 의해 안내대a(507), 안내대b(508)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안내대a,b(507,508)의 하측에는 클립(406)을 철근에 결속하는 상측안내틀a(534), 상측안내틀b(5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안내틀a, b(534,535)에 연결된 안내돌기a(529), 안내돌기b(530)는 하측안내틀a(553), 하측안내틀(554)을 연결한다. 또한 각각의 안내돌기a,b(529,53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조임돌기a(524), 조임돌기b(525)가 관통해 있다.
상기 안내돌기a(529), 안내돌기b(530)의 외주면에 구비된 안내돌기스프링a(531), 안내돌기스프링b(532)의 상하탄성작용으로 철근의 굵기에 따라 각각의 상측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클립이 철근의 지름에 맞추어 외주면을 감싸주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임돌기a(524), 조임돌기b(525)의 외주면에는 조임스프링a(526), 조임스프링b(541)가 있다. 따라서 케이스(209)가 하강하면, 작동대a,b(503,504)의 작동돌기a,b(510, 511)가 하강하면서 조임돌기a,b(524,525)를 수평으로 타격하여 철근이 맞닿아 있는 외주면에 밀착시켜서 클립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펀칭부(501)의 하단 양측에는 작동힌지a(509), 작동힌지b(514)로 작동대a,b(503,504)가 연결되어 있고, 작동대a,b(503,504)의 하단에 완충작용을 하는 작동스프링a(512), 작동스프링b(542)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스프링a,b(512,542)를 하단에서 지지하는 작동완충대(520,52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작동대a(503), 작동대b(504)의 내측으로는 조임돌기a,b(524,525)를 수평으로 타격하는 작동돌기a(510), 작동돌기b(5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완충대a,b(520,521)에는 결속힌지a(543), 결속힌지b(544)를 통해 결속틀a(545), 결속틀b(54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결속틀a,b(545,546) 하단에는 결속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해 형성된 결속스프링a(547), 결속스프링b(548)에 반원형의 체결구a(517), 체결구b(518)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틀a,b(545,546)는 체결힌지a(549), 체결힌지b(550)에 의해 하측안내틀a,b(553,554)와 연결되어 도 7의 (a)~(e)형태의 클립을 결속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b는 도 7의 (f)~(h) 형태의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4
'자형의 클립을 결속할 수 있게 하는 결속틀이다. 작동완충대a(520)를 결속힌지a(543)로 결속틀c(555)과 결속틀d(556)를 연결하고, 또, 작동완충대b(521)를 결속힌지b(544)로 결속틀e(557)와 연결하여 상기의 결속틀c,d,e(555,556,557)로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5
'자형의 클립(406)을 결속시킨다.
따라서, 클립의 형태가 다양해지면, 클립을 결속할 결속틀의 형태도 다양해지며, 결속틀의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 4는 철근결속장치의 내부사시도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도 4의 (a)는 케이스 내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케이스 내부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펀칭부(501) 후면에 형성된 걸림구(551)가 안내부(500)에 형성된 안내홈(552)에 결합되어 있고, 펀칭부(501) 전면에 형성된 펀칭부돌기(537)가 펀칭스프링(539)의 일측을 고정하고, 펀칭부(501)에 형성된 작동힌지a,b(509,514)에는 작동대a,b(503,504)가 연결되어 있고, 작동대a,b(503,504) 내부에는 작동스프링a,b(512,542)를 지지하는 작동완충대a,b(520,52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작동대a,b(503,504)의 하단에는 측면으로 작동돌기(510,511)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완충대a,b(520,521)의 결속힌지a,b(543,544)에는 결속틀a,b(545,546)가 연결되어 있고, 결속틀a,b(545,546) 내부의 결속스프링a,b(547,548)는 체결구a,b(517,518)와 연결되어 있다.
도 4의 (b)는 안내부(500)에 형성된 안내홈(552)에 펀칭부(501)의 걸림구(551)가 걸려있고, 안내부(500)의 전면에는 안내부돌기(538)가 안내스프링(540)의 일측을 고정하고, 안내부(50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힌지(506)에는 안내대a,b(507,508)가 연결되어 있다. 안내대a,b(507,508)의 하측에는 상측안내틀a,b(534,535)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측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은 안내돌기a,b(529,530)와 연결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돌기a,b(529,530)의 중앙에 조임돌기a,b(524,5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a,b(529,530)와 조임돌기a,b(524,525)의 외주면에는 각각 안내돌기스프링a,b(531,532)와 조임스프링a,b(526,5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 5는 철근결속장치의 수납부(3)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통(3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는 수납커버(301)는 일측면에 수납손잡이(302)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커버(301)가 수납통(300)의 하측까지 내려갔을 때 수납손잡이(302)로 수납커버(301)를 상측으로 끌어당겨 수납커버(301)를 수납통(300)에서 쉽게 여닫을 수 있게 한다.
이때, 수납손잡이(302)는 수납통(300) 측면에 형성된 수납커버홈(310)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수납커버(301) 하측면에 형성된 태엽고정돌기(304)에 태엽스프링(303)을 직접 연결하거나 체결구로 고정시킨다. 태엽스프링(303)은 클립가이드부(306)에 형성된 태엽핀(313)에 감겨지면서 수납커버(301)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수납커버(301)는 클립부(4)를 하향시키면서 클립가이드(306)를 따라 배출이 되게 한다. 작업자는 수납커버(301)의 위치를 육안으로 보면서 수납통(300) 내부의 클립부(4)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클립부(4)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태엽스프링(303)에 간섭받지 않고 수납통(300)에 삽입하여 장전하게 된다.
또한, 수납통(300)의 측면에는 수납돌기(309)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스프링(308)은 수납돌기(309)와 수납가이드바a(204)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209)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가이드바a,b(204,205)가 수납스프링(308)의 탄성 작용에 의해 수납통(300)의 측면에 형성된 수납가이드홈a(307), 수납가이드홈b(311)를 따라 움직이므로 철근 결속작업시 수납통(30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 2 및 도 6은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철근결속장치의 작동 순서는 손잡이a(200)의 작동에 의해 철근결속장치의 수납통에 수납된 클립부(4)의 절단된 클립(406)이 배출되면서 철근을 결속한다.
상기 손잡이a(200)를 누르면 케이스(209)가 하강하면서 펀칭부돌기(537)와 케이스돌기a(206) 사이에 연결된 펀칭스프링(539)과 안내부돌기(538)와 케이스돌기b(207) 사이에 연결된 안내스프링(540)이 압축되어 안내부(500)와 펀칭부(501)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500)와 펀칭부(501)가 하강되어 펀칭스프링(539)과 안내스프링(540)의 최대 탄성한계까지 압축이 될 때에 케이스(209) 내부 상측에 형성된 분리돌기(208)가 안내부(500)와 펀칭부(501) 사이에 삽입이 되면서 양측으로 분리시키기 때문에 안내홈(552)에서 걸림구(551)가 이탈되어 펀칭부(501)가 순간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부(500)의 상측안내틀a,b(534,535)가 수납통(300)에서 배출된 클립부(4)의 연결바a,b(403,405)를 절단하여, 클립(406)이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안내부(500)와 펀칭부(501)가 더 하강하면서 도 6의 (a)처럼 하측안내틀a,b(553,554)와 체결구a,b(517,518) 사이에 하나의 클립(406)을 고정시킨 후, 결속틀a,b(545,546)가 회전하면서 클립의 톱니부(400)를 결합시켜서 철근을 결속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결속하는데 사용하는 클립(406)은 도 7의 (a)~(f) 등의 다양한 클립(406)을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굽힘부(404)에 의해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a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406)의 형태에 따라 결속틀a,b(545,546)와 결속틀c,d,e(555,556,557)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으며, 결속틀a,b(545,546)에서 결속틀c,d,e(555,556,557)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a(200)에 더 힘을 가하면, 케이스(209)가 더 하강하면서, 케이스(209)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있던 분리돌기(2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부(501)와 안내부(500)를 분리시킨다.
상기 도 6의 펀칭대a, b 내부 양측의 평스프링(505)이 밀어주게 되면, (b)처럼 안내대a,b(507,508)가 조여지고, 클립(406)을 ∩자형으로 절곡시킨다.
또한, 도 6의 (c)처럼 펀칭부(501)와 안내부(500)가 분리돌기(208)에 의해 분리되면 펀칭부(501)가 순간 하강하면서 작동대a,b(503,504)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더 하강하게 되고, 결속틀a,b(545,546) 및 체결구a,b(517,518)가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내측으로 결속힌지a, b(543,54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작동하여 클립(406)의 양측에 엇갈리게 형성한 톱니부(400)를 절곡시켜 결합시킨다.
또한, 작동대a,b(503,504)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돌기a,b(510,511)가 하향하면서 안내돌기a,b(529,530) 중간에 형성된 조임돌기a,b(524,525)의 끝단을 수평으로 타격하여 조임돌기a,b(524,525)를 감싸고 있는 조임스프링a,b(526,541)이 탄지되면서 철근을 결속한 클립(406)의 중앙을 타격하여 철근의 외주면에 더 밀착시키도록 하여 철근과의 결속력을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도 6의 (a'), (c'), (c")는 철근의 굵기가 굵을 때 결속기와 철근의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데, 철근의 굵기가 굵어지면, 안내대a,b(507,508)가 철근의 굵기에 따라 벌어지면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철근이 굵을 때 결속틀a,b(545,546)가 결속힌지a, b(543,544)를 중심으로 화살표㉢의 방향처럼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결속틀a,b(545,546)의 내부에 형성한 결속스프링a(547), 결속스프링b(548)이 탄지됨과 동시에 체결구a, b(517,518)가 더 튀어나와서 철근을 결속한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철근이 굵을 때 안내돌기a,b(529,530)의 외주면에 장착된 안내돌기스프링a, b(531, 532)에 의해 상측안내틀a,b(534, 535)과 하측안내틀a,b(553,554)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하향되면서 철근을 양측으로 감싸게 되며, 손잡이a(200)나 손잡이b(201)를 다시 올리게 되면, 도 6의 (d)처럼 케이스(209), 펀칭부(501), 안내부(500)가 올라가면서 결속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클립(406)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클립(406)은 클립을 결속시키는 톱니부(400)와, 상기 톱니부(400)에 연장되어 클립의 길이와 형태를 결정하는 클립바(402)와, 톱니부(400)와 클립바(40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는 굽힘부(404)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굽힘부(404)는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철근 결속시 굽힘부(404)가 인장되면서 철근의 결속력을 더 강화시킨다.
상기 도 7의 (a)~(e)의 클립(406)의 형태는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6
'자형이다. 도 7의 (a)형의 클립(406)에서 클립바(402)와 굽힘부(404)는 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있어 굵은 철근을 결속할 때, 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도 7의 (b)형의 클립(406)의 클립바(402)는 사각기둥이고, 클립(406) 굵기만큼의 굽힘부(404)를 연결하여 클립의 톱니부(400)의 변형이 없이 결속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도 7의 (c)형은 클립바(402)와 굽힘부(404)가 모두 둥근 형태이므로 유연하게 구부러지고, 톱니부(400)의 변형이 없이 결속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의 (a)~(c)형이 톱니부(400)가 삼각형 모양이었던 것에 비해, (d)형은 톱니부(400)가 사다리꼴 모양이고, 굽힘부(404)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굵기가 굵은 철근을 결속할 때 굽힘부(404)가 유연하게 인장되면서 철근의 외주면을 더 감싸안게 되고, 사다리꼴 모양의 톱니부(400)는 삼각형에 비해 톱니부(400)의 표면적이 넓어서 철근의 결속력을 더해 준다.
또한, 도 7의 (e)형은 도 7의 (d)형에 비해 톱니부(400)가 원형 모양의 형태인 것으로 (d)형의 또 다른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 (f)~(h)형은 클립의 형태는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7
'자형이며, (f)형은 톱니부(400)가 삼각형 모양이고, (g)형은 톱니부(400)가 사다리꼴 형태이고, (h)형은 톱니부(400)가 원형 모양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의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8
'자형의 클립(406)은 굵기가 굵은 철근의 결속력을 더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클립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클립부(4) 연결도이다. 클립부(4)에서는 각각의 클립(406)의 중앙부를 구부려서 굽힘부(404)가 형성되도록 하고, 도 8의 (a) 또는 (b)처럼 연결바a(403), 연결바b(405)로 다수의 클립(406)을 연결시켜, 수납통(300)에 클립(406)의 수납이 편리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와 클립(406)을 이용한 철근 결속 후의 결속도이다. 상기 도 9의 (a)는 평행으로 놓여있는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한 결속도이고, 도 9의 (b)는 대각선으로 놓여있는 철근을 결속할 때의 클립의 결속도이다. 도 9의 (c)는 평행으로 놓여있는 철근에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09
'자형 클립을 결속할 때의 결속도이고, 또한, 도 9의 (d)는 공사현장에서 배근한 철근을 클립(406)으로 결속한 결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다수개를 결합하여 작동하는 실시예 1의 사시도이다.
상기 철근결속장치는 손잡이봉(12)을 눌러서 동작시킬 수 있고, 작업자 신체에 맞는 위치에 보조손잡이(1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봉(12)에 손잡이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2)에 연결된 손잡이a(200)를 좌, 우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천공된 상판(20)과 하판(21)의 장공(13)에 삽입하고, 철근의 위치에 맞게 조정된 손잡이a(200)를 나사부(22)로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조정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20)에 연결된 손잡이봉(12)은 작업에 용이하게 다수의 손잡이홈(11)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손잡이(10)를 형성한다. 또한 손잡이봉(12)과 연결되어 있던 상판(20)을 하강시키면 상판(20)에 고정되어 있던 손잡이a(200)도 하강하여 케이스부(2)가 작동하면서 클립(206)이 배출되어 철근을 결속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이용한 실시예 2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케이스부(2)에 에어실린더(52)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에어실린더(52)의 실린더이송축(58)을 케이스부(2)의 결합부(203)에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10)에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한다. 또한, 에어실린더(5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손잡이(10)의 전원스위치(51)를 누르면, 에어실린더(52)의 상,하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실린더이송축(58)에 결합된 케이스부(2)가 작동하면서 클립(206)을 배출하여 철근을 결속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를 이용한 실시예 3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케이스부(2)에 전동실린더(60)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전동실린더(60)의 실린더이송축(58)을 결합부(203)에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에(10)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하고, 또한 전동실린더(6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손잡이(10)의 전원스위치(51)를 누르면, 전동실린더(60)의 상,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실린더이송축(58)에 결합된 케이스부(2)가 작동하면서 클립(206)을 배출하여 철근을 결속시킨다.
2. 케이스부 3. 수납부
4. 클립부 5. 작동부
10. 보조손잡이 11. 손잡이홈
12. 손잡이봉 13. 장공
17. 케이스축 18. 체결봉
20. 상판 21. 하판
22. 나사부 23. 조절공
51. 전원스위치 52. 에어실린더
58. 실린더이송축 60. 전동실린더
200. 손잡이a 201. 손잡이b
202. 손잡이체결부 203. 결합부
204. 수납가이드바a 205. 수납가이드바b
206. 케이스돌기a 207. 케이스돌기b
208. 분리돌기 209. 케이스
300. 수납통 301. 수납커버
302. 수납손잡이 303. 태엽스프링
304. 태엽고정돌기 306. 클립가이드부
307. 수납가이드홈a 308. 수납스프링
309. 수납돌기 310. 수납커버홈
311. 수납가이드홈b 313. 태엽핀
400. 톱니부 402. 클립바
403. 연결바a 404. 굽힘부
405. 연결바b 406. 클립
500. 안내부 501. 펀칭부
503. 작동대a 504. 작동대b
505. 평스프링 506. 안내힌지
507. 안내대a 508. 안내대b
509. 작동힌지a 510. 작동돌기a
511. 작동돌기b 512. 작동스프링a
542. 작동스프링b 514. 작동힌지b
517. 체결구a 518. 체결구b
537. 펀칭부돌기 538. 안내부돌기
539. 펀칭스프링 540. 안내스프링
524. 조임돌기a 525. 조임돌기b
529. 안내돌기a 530. 안내돌기b
534. 상측안내틀a 535. 상측안내틀b
526. 조임스프링a 541. 조임스프링b
531. 안내돌기스프링a 532. 안내돌기스프링b
543. 결속힌지a 544. 결속힌지b
545. 결속틀a 546. 결속틀b
547. 결속스프링a 548. 결속스프링b
549. 체결힌지a 550. 체결힌지b
520. 작동완충대a 521. 작동완충대b
551. 걸림구 552. 안내홈
553. 하측안내틀a 554. 하측안내틀b
555. 결속틀c 556. 결속틀d
557. 결속틀e

Claims (11)

  1. 손잡이b(201)를 장착한 케이스(209) 상측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a(200)가 형성되고, 케이스(209)의 타측면에는 수납통(300)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과 하측에 수납가이드바a,b(204,205)가 형성되며, 또, 케이스(209)의 내측면에 분리돌기(208) 및 케이스돌기a,b(206,207)가 형성된 케이스부(2)와,
    상기 케이스부(2)의 수납가이드바a,b(204,205)로 고정되는 수납통(300)의 양측면에 수납가이드홈a,b(307,311)을 형성하고, 또, 수납통(3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209)의 상측 수납가이드바a(204)와 수납통(300)의 수납돌기(309) 사이에 수납스프링(308)을 형성하는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3)에 장착되어 철근을 체결하기 위해 양측단부에 톱니부(400)를 갖고 있는 클립부(4)와,
    상기 케이스(209)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펀칭부(501)의 걸림구(551)가 안내부(500)의 안내홈(552)에 결합되고, 상기 펀칭부(501)의 하단 양쪽으로 작동대a,b(503,504)가 작동힌지a,b(509,51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작동대a,b(503,504)의 단부에는 결속힌지a,b(543,544)에 의해 결속틀a,b(545,546)가 연결되고, 상기 결속틀a,b(545,546)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 스프링a,b(547,548)에 의해 연결되는 원호 형태의 체결구a,b(517,518)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500) 하단에는 안내힌지(506)로 연결되는 안내대a,b(507, 508)를 형성하고, 안내대a,b(507,508)하단에 상측안내틀a,b(534, 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가 형성되고, 상기 펀칭부(501)의 결속틀a,b(545,546)와 상기 안내부(500)의 하측안내틀a,b(553,554)가 체결힌지a,b(549,550)에 의해 연결되어서 작동하는 작동부(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3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수납커버홈(310)을 따라 이동하는 수납커버(301)의 측면에는 수납손잡이(302)를 형성하고 또, 상기 수납통(300)의 하부에는 클립가이드부(306)를 형성하여, 상기 클립가이드부(306)의 내부에 형성된 태엽핀(313)에 감겨지는 태엽스프링(303)의 상단은 수납커버(301)의 하부에 형성된 태엽고정돌기(304)와 연결되어 수납통(300)에 수납된 클립부(4)를 클립가이드부(306)로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a,b(503,504)의 내측 하부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작동스프링a,b(512,542)이 위치되고,
    상기 작동스프링a,b(512,542)의 하단에는 작동완충대a,b(520,521)의 상단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5)는 상측 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를 연결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a,b(529,530)와, 상기 안내돌기a,b(529,530)의 외주면에 안내돌기스프링a,b(531,532)를 형성하여 철근의 굵기에 따라 안내돌기스프링a,b(531,532)의 상하탄성작용에 의해 상측 안내틀a,b(534,535)와 하측안내틀a,b(553,554)이 신축작용을 하면서 결속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a,b(529,53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임돌기a,b(524,525)의 외주면에 조임스프링a,b(526,541)를 장착하여, 작동돌기a,b(510,511)가 조임돌기a,b(524,525)를 수평으로 타격하여 클립(406)의 중앙부가 철근과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4)는 다수개의 클립(406)을 연결바a,b(403,405)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클립(406)은 철근을 결속시키기 위한 상, 하측 톱니부(400)가 서로 엇갈리게 클립바(402)에 형성되어 수납통(300)에 수납가능하도록 구부러지게 굽힘부(40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406)은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10
    '자형 또는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11
    '자형 형태로 형성되고, 또 톱니부(400)를 삼각형, 둥근 원형,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406)은 '
    Figure 112010034273318-pat00012
    '자형을 체결할 때 결속틀c,d,e(555,556,557)로 클립(406)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9. 손잡이a(200)를 삽입할 수 있게 상판(20)과 하판(21)에 천공된 장공(13)이 형성되고, 상, 하판(20,21)의 전면에는 배근된 철근의 위치에 맞추어 좌, 우로 이동된 손잡이a(200)를 나사부(22)로 고정할 수 있게 다수의 조절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20)에 연결된 손잡이봉(12)에는 작업에 용이하게 다수의 손잡이홈(11)에 보조손잡이(10)를 체결하고, 상기 손잡이봉(12)과 연결되어 있던 상판(20)이 하강하면서 상판(20)에 체결된 손잡이a(200)가 케이스부(2)를 하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2)는 에어실린더(52)의 실린더이송축(58)을 결합부(203)에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10)에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하고, 에어실린더(5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2)는 전동실린더(60)의 실린더이송축(58)을 결합부(203)에 결합하여 상,하 작동할 수 있게 보조손잡이(10)에 전원스위치(51)를 형성하고, 전동실린더(6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18)을 상,하판(20,21)에 천공된 장공(13)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KR1020100050025A 2010-05-28 2010-05-28 철근결속장치 KR10115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25A KR101154812B1 (ko) 2010-05-28 2010-05-28 철근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25A KR101154812B1 (ko) 2010-05-28 2010-05-28 철근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17A KR20110130617A (ko) 2011-12-06
KR101154812B1 true KR101154812B1 (ko) 2012-06-18

Family

ID=4549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25A KR101154812B1 (ko) 2010-05-28 2010-05-28 철근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06B1 (ko) * 2021-03-16 2023-03-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 결속 장치 및 철근 결속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31U (ja) * 1992-05-13 1994-02-08 清水建設株式会社 自動鉄筋結束装置
KR100379950B1 (ko) * 2000-07-10 2003-04-18 정진우 철근 결속장치
KR200352561Y1 (ko) *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KR100793465B1 (ko) * 2006-11-22 2008-01-14 강대진 철근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31U (ja) * 1992-05-13 1994-02-08 清水建設株式会社 自動鉄筋結束装置
KR100379950B1 (ko) * 2000-07-10 2003-04-18 정진우 철근 결속장치
KR200352561Y1 (ko) *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KR100793465B1 (ko) * 2006-11-22 2008-01-14 강대진 철근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17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12B1 (ko) 철근결속장치
KR100692517B1 (ko)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KR200465434Y1 (ko) 와이어 앵커
KR100727140B1 (ko) 로드 클립 및 클립 설치 장치
US8099864B2 (en) Tie, tie assembly, and tie attachment device
KR101377608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200186891Y1 (ko) 철근 결속기
CN109201944A (zh) 一种桩顶钢筋弯曲机
KR101154811B1 (ko) 철근 결속기
JP5189468B2 (ja) 鉄筋の結束装置
KR101404197B1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CN210258960U (zh) 一种地梁钢筋钢管支撑架
KR100379950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110045432A (ko) 철근 결속기
KR101459344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100346961B1 (ko) 철사 결속기
KR101212839B1 (ko) 철근 결속용 클립
KR101196778B1 (ko) 철근 자동 결속장치
CN205919000U (zh) 压线夹
CN111299455A (zh) 一种便捷式双向钢筋折弯器
KR20110067896A (ko) 자동철근결속장치
CN218438323U (zh) 一种多功能钢筋绑扎钩
KR200221903Y1 (ko) 보강재 당김기구
KR101197227B1 (ko)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42622B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